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退溪 四七論에서 四端의 純善함에 대하여

        이치억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In general, the specific character of Toegye’s Thought is known for spontaneity of li(理), namely ‘issuance of li’(li-fa 理發) which he argued in Four Seven debate. However, creativeness of Four Seven debate completed from separating and distributing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respectively to li(理) and qi(氣) preferably parting ‘issuance of qi’ rather than parting ‘issuance of li’.As a matter of fact, what became a controversy by Gobong in Letters of Four Seven debate was ‘issuance of qi’, not ‘issuance of li’. Toegye separated ‘issuance of qi’, not for its significance; he intended to reveal and assure ‘Purity of Four Beginn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all moral feelings are not necessarily Four Beginnings whereas Seven Feelings are possibly all moral feelings. He indicated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naturally different feelings. More precisely, the bounda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is not good and evil, or moral and immoral feelings, it is rather feelings of human nature or feelings of egocentric temperament since Toegye considered that egocentric feelings with all its morality always categorized in Seven feel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categories and meanings of Four Beginning and Seven Feel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excluding a heavy dispute of ‘activeness of li’, ‘issuance of li’, and ‘issuance of qi’ as possible. 일반적으로 退溪 사상의 특성이 리의 능동성, 특히 사단칠정론에서 理發을 주장한 데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자면 퇴계-고봉의 사단칠정왕복서에 드러난 퇴계 사단칠정론의 독창성은 사단과 칠정을 리와 기에 분속한 것에 있고, 그 중에서 리발을 제창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기발을 떼어낸 데 있다고 보여진다. 이는 주자학에 정통했던 고봉의 반론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사단칠정왕복서에서 高峯이 문제 삼은 것은 리발이 아니라 오히려 기발에 있는 것이다. 퇴계가 기발을 따로 분리해 낸 것은 물론 기발을 중시해서가 아니라 리발인 사단의 순선함을 드러내고 확보하려는 데 그 의도가 있다. 퇴계의 논리에 따르면 도덕적 감정이라고 해서 모두 사단이라고 할 수 없으며, 칠정도 충분히 도덕적 감정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사단과 칠정은 본질적으로 다른 감정임을 주장한다. 즉 사단과 칠정의 분계점은 선과 악, 내지는 도덕-비도덕의 감정이 아니라, 인간 심연의 본연적 감정인가, 자기중심의 기질적 감정인가 하는 것에 있는 것이다. 퇴계는 자기중심적 감정은 그것이 아무리 도덕적이라 하더라도 칠정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본다. 본 논문은 리의 능동성, 리발-기발이라고 하는 理氣論의 무게를 최대한 내려놓고 퇴계의 논리에 따라 그가 상정한 사단과 칠정의 범주와 의미를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 KCI등재

        퇴계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의 수양론적 고찰-정심공부(正心工夫)를 중심으로-

        김동숙 ( Kim Dong-so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6 No.-

        본 논문은 『大學』의 正心工夫에 대한 퇴계와 고봉의 논의를 중심으로, 퇴계의 소종래로서 정의된 사칠 개념으로는 해명이 어려워 보였던 四端不中節 · 七情中節 현상이 수양론적 측면에서 마음의 主宰문제와 연결되어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한 후 그의 사칠론을 새롭게 모색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고봉과의 논쟁 내용 및 기타 언급을 통하여 퇴계의 사칠 개념을 정리해볼 것이다. 사단과 칠정이 본래 性에서 발한 하나의 情이라는 점에 초점을 둔 고봉은 퇴계의 소종래로부터의 정의 방식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다. 그의 논리로 보면 퇴계의 사칠론은 사단의 기적 측면과 칠정의 리적 측면이 제외된 것이자, 아울러 사단부중절과 칠정중절을 정합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퇴계에게 있어 사칠의 중절·부중절은 그의 소종래적 정의로부터 보장되는 것이 아닌, ``마음이 그들을 온전하게 주재하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문제이다. 퇴계의 사칠개념은 연원으로부터 정의됨과 동시에 마음이라는 수양론적 층위에서도 논의되고 있었다. 이러한 퇴고 양자의 입장과 그 대립양상은 『대학』·「정심장」해석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퇴계는 소종래로부터의 정의방식에 입각하여 악으로의 轉化가능성을 가진 칠정을 정심공부의 대상으로 두어야 한다고 본다. 이에 고봉은 소종래적 사유로 정심공부의 대상을 결정할 수는 없다고 반론하고, 그 근거로 사단이 부중절할 가능성을 든다. 즉 사단 또한 하나의 의도로서 마음에 개입되어 잘못 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퇴계는 칠정을 정심공부의 대상으로 보는 입장을 견지함과 동시에, 사단 또한 마음에 담아두어도 전혀 해가 되지 않는 순선무악한 감정임을 명시한다. 그는 맹자가 말한 사단의 본래적 함의에서는 부중절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들의 사칠 정의방식의 차이는 이와 같은 공부론 상의 해석에서도 보인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퇴계가 사단부중절을 전면 부인했다고 볼 수는 없다. 퇴계에게 있어 사단의 중절한 발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마음이 그를 온전히 주재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순선이라는 소종래적 정의가 그대로 실현되는 상황은 오직 성인의 경우에 한정된 것이다. 고봉과의 논의에서 사단부중절의 발생을 범인의 경우에 한했던 것 또한 이와 같은 맥락이다. 한편 칠정이 중절하여 선한 감정이 될 수 있는가 또한 ``악으로 흐를 수 있다``는 소종래적 정의가 아닌 리의 주재여부, 즉 마음의 수양문제로 귀결된다. 다시 말해 퇴계에게 있어 사단과 칠정의 중절 여부는 소종래로서의 정의가 아닌 마음의 주재라는 수양론적 차원에서 해명되는 문제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본 논문은 그의 사단칠정 개념을 마음의 주재문제와 연결지어 재검토하는 것으로 마무리될 것이다. 퇴계의 사단과 칠정 개념은 "마음이 감정을 주재하면 모두 중절한다."는 수양론적 해석을 통하여 더욱 완결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그를 통해 보다 현실적이며 실천적인 개념으로 재고 가능하다. This paper, based on The Study of Rectifying the Mind from The Great Learning, pursues the confirmation of Not Perfectly-measured of Four-Beginnings and Perfectly-measured of Seven-Feelings whether could be interpret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ory of The Study on Rectifying the Mind and seeks the unique way of understanding of Toegye`s Four-Seven. For achieving these goals, this paper will analyze the gap between Toegye and Gobong about Four-Seven and will discuss Four-Seven of Toegye`s issues which could be questioned by Gobong who has the different point of view from. Toegye explains Four-Beginnings` manifestation connects with Purely-Good and Seven-Feelings` with qi. Per contra, Gobong focuses more on Feelings that Four-Beginnings and Seven-Feelings are revealed by Feelings originated from Nature. Gobong pointed out the limitation of Toegye`s opinion which deficient in explanation of qi from Four-Beginnings and li from Seven-Feelings and also lack of coherence of "Not Perfectly-measured of Four-Beginnings" and "Perfectly-measured of Seven-Feelings". However, for Toegye, the matter of whether Perfectly-measured or Not Perfectly-measured decided not by its Origin but the Supervision of the Mind itself that consists inside mind thoroughly. Then this paper will state Toegye`s reasoning why he introduced Seven-Feelings for studying in "The Chapter of Rectifying the Mind" of The book Great Learning, Gobong`s contention of Not Perfectly-measured of Four-Beginnings as a refutation from Toegye`s logic, and will figure the divergence of two opinions. Toegye emphasizes only Seven-Feelings as a study subject because Purely-Good nature of Four-Beginnings cannot harm inside mind yet there is a possibility of Seven-Feelings might turn into Evil. On the other hand, Gobong focuses both Four-Beginnings and Seven-Feelings for study subjects with his view which Four-Beginnings could involve inside mind with intention and eventually can cause the result of Not Perfectly-measured of Four-Beginnings. In Toegye`s opinion, Not Perfectly-measured of Four-Beginnings is just the result of wrong manifestation interrupted by intention. Toegye insists that Four-Beginnings itself cannot be described as Perfectly-measured or Not Perfectly-measured. For him, the matter of Perfectly-measured or Not Perfectly-measured of Four-Beginnings is not defined as Origins but is on the level of the expansion of the Supervision of Mind. Throughout this paper, it will be concluded by reviewing Toegye`s Four-Seven with the Supervision of Mind. Whether Perfectly-measured of Seven-Feelings morally revealed or not depends on the Supervision of Mind, not the Origin which ``Seven-Feelings might turn into Evil``. For Toegye, Four-Beginning matter contains not its definition from the Origin but the Supervision of Mind portrayed in the perspective of the Self-Cultivation Theory. Thus, Toegye`s Four-Beginnings and Seven-Feelings could be interpreted thoroughly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Self-Cultivation Theory and considered as practical concept.

      • KCI등재

        퇴계(退溪) 사칠론(四七論)에서 사단(四端)의 순선(純善)함에 대하여

        이치억 ( Lee Chi-eok )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5 No.-

        일반적으로 退溪 사상의 특성이 리의 능동성, 특히 사단칠정론에서 理發을 주장한 데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자면 퇴계-고봉의 사단칠정왕복서에 드러난 퇴계 사단칠정론의 독창성은 사단과 칠정을 리와 기에 분속한 것에 있고, 그 중에서 리발을 제창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기발을 떼어낸 데 있다고 보여진다. 이는 주자학에 정통했던 고봉의 반론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사단칠정왕복서에서 高峯이 문제 삼은 것은 리발이 아니라 오히려 기발에 있는 것이다. 퇴계가 기발을 따로 분리해 낸 것은 물론 기발을 중시해서가 아니라 리발인 사단의 순선함을 드러내고 확보하려는 데 그 의도가 있다. 퇴계의 논리에 따르면 도덕적 감정이라고 해서 모두 사단이라고 할 수 없으며, 칠정도 충분히 도덕적 감정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사단과 칠정은 본질적으로 다른 감정임을 주장한다. 즉 사단과 칠정의 분계점은 선과 악, 내지는 도덕-비도덕의 감정이 아니라, 인간 심연의 본연적 감정인가, 자기중심의 기질적 감정인가 하는 것에 있는 것이다. 퇴계는 자기중심적 감정은 그것이 아무리 도덕적이라 하더라도 칠정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본다. 본 논문은 리의 능동성, 리발-기발이라고 하는 理氣論의 무게를 최대한 내려놓고 퇴계의 논리에 따라 그가 상정한 사단과 칠정의 범주와 의미를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In general, the specific character of Toegye’s Thought is known for spontaneity of li(理), namely ‘issuance of li’(li-fa 理發) which he argued in Four Seven debate. However, creativeness of Four Seven debate completed from separating and distributing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respectively to li(理) and qi(氣) preferably parting ‘issuance of qi’ rather than parting ‘issuance of li’.As a matter of fact, what became a controversy by Gobong in Letters of Four Seven debate was ‘issuance of qi’, not ‘issuance of li’. Toegye separated ‘issuance of qi’, not for its significance; he intended to reveal and assure ‘Purity of Four Beginn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all moral feelings are not necessarily Four Beginnings whereas Seven Feelings are possibly all moral feelings. He indicated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naturally different feelings. More precisely, the bounda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is not good and evil, or moral and immoral feelings, it is rather feelings of human nature or feelings of egocentric temperament since Toegye considered that egocentric feelings with all its morality always categorized in Seven feel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categories and meanings of Four Beginning and Seven Feel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excluding a heavy dispute of ‘activeness of li’, ‘issuance of li’, and ‘issuance of qi’ as possible.

      • KCI등재

        사단칠정론의 윤리적 성격에 대한 성찰

        윤사순 ( Sa Soon Youn ) 퇴계학연구원 2013 退溪學報 Vol.133 No.-

        사단칠정론에 대한 학계의 이제까지 연구는 사단과 칠정에 적용된 리기론적 해석의 타당성 여부의 심찰(審察)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이런 탐구와 더불어 사단과 칠정 자체가 유학 ``원전(原典)의 문맥``에서 지니고 있는 ``윤리적 성격에 대한 구명``도 필요하고, 오히려 이런 구명이 보다 더 선행되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논자가 원전의 문맥을 고찰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사단을 언급한 맹자의 본뜻은 인간의 타고난 선한 본성인 인의예지(仁義禮智)가 사단의 유출에 의거해 현현(顯現)됨을 지적하여, 일종의 ``덕성윤리(德性倫理)의 이론``을 낸 데에 있다. 칠정(喜怒哀樂)의 경우는 『중용』에 따를 때, 이기적 정감의 제어 조절로써 절도(節度) 명칭의 규범인 시중(時中)의 원리에 합치(中節)하도록 하는 일종의 ``의무윤리(義務倫理) 이론``의 성격을 지닌다. 이황과 이이 등은 사단칠정설이 지닌 이 두 가지 윤리적 성향을 ``리기론으로 통합한 이론``을 냈다. 이황의 이론은 “사단은 리가 발함에 기가 따르고 - [理發而氣隨之], 칠정은 기가 발함에 리가 탄다 - [氣發而理乘之]는 것이다. 이것은 두 정이 지닌 소지(所指)와 소종래(所從來)를 고려해 내려졌다. 그런데 문제는 이것이 리의 무작위성, 리기의 실제적 불가분리라는 본래의 규정에 어긋나는 데 있었다. 이에 그는 이 합리화의 조치로 “리기의 호유발용설(互有發用說)”을 창출하고, ”리기의 상수(相須) 호재기중(互在其中)”의 설명을 보충했다. 이러한 그의 이론은 이이의 것에 견주면, 리발로 표현한 사단 측면의 ``덕성윤리를 위주로 내린 해석``이라는 특징의 통합설이다. 이이는 원래 사단과 칠정을 대비한 이황과 달리, 사단을 칠정에 포함[七包四]시켜 통합된 정(실상 칠정)만을 대상으로 리기론의 해석을 했다. 그는 리의 실재성을 인정하면서도, 그 리의 동(動)과 발(發) 같은 작위성을 부정하기 때문에, 정(情)으로 실제 발하는 것[發之者, 能發者]은 기이고, 발하게 하는 것[所發者, 所以發者]이 리임을 전제로, 사단이든 칠정이든 다 “기가 발함에 리가 타는 것일 따름 - [氣發理乘一途]”이라고 했다. 이는 얼핏 보면 칠정만을 기저로 한 의무윤리적 해석에 그친 듯이 보일 수 있으나, 실은 여기에도 덕성을 고려한 면이 있다. 왜냐하면 기를 타고 있는 리[乘氣之理]가 곧 ``기질에 있는 리[在氣質之理]``로서 발하는 소이(所以)과 함께 사덕의 성[四德之性]까지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사단칠정론은 ``의무윤리의 성격이 짙은 특징``의 통합설이다. 이렇게 살피면, 사단칠정론의 함의는 충분한 윤리설을 성립시키려면 덕성윤리과 의무윤리를 균형 있게 구비하여 구현해야지 어느 하나 만으로는 되지 않음을 깨닫게 하는 데서 찾아진다. 어느 시대에나 한 가지 윤리설만으로는 도덕의 형성과 기능이 충분하기 어려운 만큼, 오늘날에도 두 가지의 윤리가 통일적으로 겸비된 이론의 수립에 진력해야 한다. 그래야 오늘날의 도덕은 사회질서 수립의 구실을 제대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들은 항상 ``이타적 덕성(利他的德性)을 키우는 노력``, 즉 덕성윤리에 의거한 도덕의식에 투철해야 하는 한편, 과거 당연의 뜻으로 사용되어온 전통적 의(義) 또는 의리(義理)를 ``절도적(節度的) 규범``으로 계승하여, 이것들을 일종의 ``정의(正義)`` 로 간주하는 정의감으로써 철저히 지키고 구현해야 하겠다. 사단칠정론의 현대적 의의는 바로 이러한 깨우침과 그 철저한 실천에 있다는 것이 논자의 판단이다. Studies of academic circles on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four-seven; 四端七情) used to be focused on the inquiry into the tenability of Yi Hwang`s and Yi Yi`s interpretations of four-seven on the basis of ri (理) and gi (氣). This writer thinks that such an inquiry should be preceded by the contextual inquiry into the ethical characteristics on which four-seven are based. The conclusions of this writer`s contextual inquiry are as follows. Mencius` real intention in his remark of four beginnings was that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仁義禮智), or the original nature of four virtues, are manifested by the issuance of four beginnings. So his theory on four beginnings is considered to be a kind of ``ethics concerning virtues``. As for seven feeling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according to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strong selfish de-sires of human being should be controled so that they may function moderately and conform to normative conducts. So the interpretation of seven feelings in this book has the characteristic of ``ethics concerning obligation``. Then, it may be said that theories on four-seven interpret the above two kinds of ethics on ``the same basis of ri-gi``, and in this connection they are ``the fusion of the two kinds of ethics``. For this fusion Yi Hwang interpreted seven feelings on the basis of ``the issuance of gi``, and four beginnings on the basis of ``the issuance of ri``. As ``the issuance of ri`` disagrees with the original definition of ``the immobility of ri``, he newly introduced the view of substance and function (體用), or the view of ``the simultaneous issuance of ri and gi``, which does not seem to disagree with the original definition of ``the immobility of ri``. Though his interpretation on the issuances of ri and gi does not seem impeccable, it surely points to ``the ethics justifying the manifestation of virtues``. Yi Yi, unlike Yi Hwang who originally distinguished four beginnings from seven feelings, included four beginnings in seven feelings and suggested the interpretation of only seven feelings based on ri-gi. Unlike Yi Hwang who regarded mind or feeling structurally as ``the sum of ri and gi``, Yi Yi understood mind or feeling functionally as ``mind is gi``(心是氣), and would not regard human nature (性) as formless and abstract ri by defining that ``human nature is also ri inside the physical nature called mind``(性在氣質之理). Furthermore, while admitting the entity of ri, he did not admitted the mobility and issuance of ri. On this assumption, he thought that not ri but gi has the capability of issuance and ri is the cause of gi`s issuance, and said, in both cases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Only gi issues and ri rides on gi”.(氣發理乘一途) His view as such seems to be ``ethics concerning obligation`` based only on seven feelings. However, we have to know that his view also implies the importance of virtues because ri riding on gi refers to ``the ri inside physical nature``, (在氣質之理) that is, human nature. It may be confirmed in his comparison of ri to human being and gi to horse. Though ri seems immobile, it superintends gi as a human being controls a horse, and this very ri refers to the four virtues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Therefore, Yi Yi`s theory on four-seven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sion of the two kinds of ethics``. However, it`s only that the characteristics implied in his theory are not so clear as those in Yi Hwang`s theory. In any age, moral consciousness can properly take its role of establishing social order not with either ``ethics concerning virtues`` or ``ethics concerning obligation`` but with the fusion of both kinds of ethics. In this connection we have to cultivate and practice not only ``altruistic virtues`` but also traditional ethics of righteousness or obligation. Here, I believe, lies the significance of theories of four-seven in modern times.

      • KCI등재

        栗谷의 ‘七情包四端’ 명제가 含意하는 두 가지

        김기현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Lee Yul-gok confirmed the proposition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The perception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had already been proposed by Ki Ko-bong in the 1st four-seven debate; the opposite debater Lee T’oe-gye did not deny the perception. However, Lee Yul-gok’s assertion has different meanings which distinguishes it from the perception of other Neo-Confucians, including Lee T’oe-gye and Ki Ko-bong. Focusing on these two points, the author discusses the differences. Usually, the term “seven feelings” of saying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means the whole human emotions, and the saying is based on two assumptions: one,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feelings are two different collections of human emotions, namely two categories of human emotions; and two, good or bad of the four beginnings are distinguished from the good or bad of the seven feelings. On the other hand, by saying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Lee Yul-gok did not place the four beginnings under another category of human emotions. According to Lee, the so-called “four beginnings” refers to some good ones of the seven feelings. And whatever the case, none of the human emotions is irrelevant to moral value. 율곡은 ‘칠정은 사단을 포함한다(七情包四端)’는 명제를 세웠다.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는 七包四 진술은 퇴계와 고봉 간의 제1차 사단칠정 논변에서 이미 고봉이 제기하였고, 퇴계 또한 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율곡의 七包四 명제는 퇴계ㆍ고봉을 비롯하여 많은 성리학자들이 말하는 칠포사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의미들을 함의한다. 이 글은 그 차이를 두 가지로 정리하여 드러낸 것이다. 일반의 성리학자들이 말하는 七包四는 다음 두 사실을 前提로 하고서 칠정은 사단을 포함한 모든 情의 전체집합 명칭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첫째, 四端과 七情은 근본적으로 성격을 달리 하는 두 부류의 情의 집합이며, 둘째, 사단의 善ㆍ惡과 칠정의 선ㆍ악은 각각 긍정된다. 반면에 율곡이 말하는 七包四는 사단을 별도의 한 부류의 情 집합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율곡에 따르면 사단은 칠정 중 善한 정들의 일부를 지칭한다. 그리고 어느 情이 되었든, 모든 정은 도덕가치와 직접 관련이 있다.

      • KCI등재

        율곡(栗谷)의 ‘칠정포사단(七情包四端)’ 명제가 함의(含意)하는 두 가지

        金起賢 ( Kim Kee-hyeon )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4 No.-

        율곡은 ‘칠정은 사단을 포함한다(七情包四端)’는 명제를 세웠다.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는 七包四 진술은 퇴계와 고봉 간의 제1차 사단칠정 논변에서 이미 고봉이 제기하였고, 퇴계 또한 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율곡의 七包四 명제는 퇴계ㆍ고봉을 비롯하여 많은 성리학자들이 말하는 칠포사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의미들을 함의한다. 이 글은 그 차이를 두 가지로 정리하여 드러낸 것이다. 일반의 성리학자들이 말하는 七包四는 다음 두 사실을 前提로 하고서 칠정은 사단을 포함한 모든 情의 전체집합 명칭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첫째, 四端과 七情은 근본적으로 성격을 달리 하는 두 부류의 情의 집합이며, 둘째, 사단의 善ㆍ惡과 칠정의 선ㆍ악은 각각 긍정된다. 반면에 율곡이 말하는 七包四는 사단을 별도의 한 부류의 情 집합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율곡에 따르면 사단은 칠정 중 善한 정들의 일부를 지칭한다. 그리고 어느 情이 되었든, 모든 정은 도덕가치와 직접 관련이 있다. Lee Yul-gok confirmed the proposition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The perception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had already been proposed by Ki Ko-bong in the 1st four-seven debate; the opposite debater Lee T’oe-gye did not deny the perception. However, Lee Yul-gok’s assertion has different meanings which distinguishes it from the perception of other Neo-Confucians, including Lee Toe-gye and Ki Ko-bong. Focusing on these two points, the author discusses the differences. Usually, the term “seven feelings” of saying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means the whole human emotions, and the saying is based on two assumptions: one,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feelings are two different collections of human emotions, namely two categories of human emotions; and two, good or bad of the four beginnings are distinguished from the good or bad of the seven feelings. On the other hand, by saying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Lee Yul-gok did not place the four beginnings under another category of human emotions. According to Lee, the so-called “four beginnings” refers to some good ones of the seven feelings. And whatever the case, none of the human emotions is irrelevant to moral value.

      • KCI등재

        河濱 愼後聃의 四端七情論 ─ 貞山 李秉休와 茶山 丁若鏞에게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

        정소이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이 논문은 신후담의 공칠정리발설이 이병휴와 정약용의 심성론에 끼친 영향을 분석한 글이다. 이 논문에서는 신후담의 공칠정리발설을 다음 세 가지로 압축한다. 첫째는 이황의 理氣 相須설을 두 가지의 리와 두 가지의 기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것이다. 신후담은 리에는 사단과 칠정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음양오행의 리가 있고, 사단만이 가지고 있는 인의예지의 리가 있으며, 기 역시 사단과 칠정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지각감동의 기가 있고 칠정만이 가지고 있는 형기의 기가 있다고 분석한다. 이병휴는 이를 汎說과 別指說로 요약하였고, 정약용은 다시 이를 總설과 專설로 보아 전자를 이이의 것으로, 후자를 퇴계의 것으로 정리하였다. 두 번째는 신후담이 사단과 칠정을 두 근원을 가진 欲惡로 분석한 것이다. 그는 특히 공칠정과 같은 감정을 愛善惡惡이라고 이름하여 사단과 다르지 않음을 명확히 하였다. 이병휴는 신후담의 애선오악을 好善惡惡이라고 보고 이는 사적인 감정인 好利惡害와 대비된다고 설명하며, 성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감정으로 풀이하였다. 정약용은 더 나아가 공칠정과 사칠정 뿐만 아니라 공적인 사단과 사적인 사단도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또한 호선오악이라는 보편적 정감이 聖人이나 보통 인간 뿐 아니라 천하의 악인, 심지어는 악행을 저지르는 그 순간에도 발현되는 감정임을 역설한다. 마지막으로 신후담은 사단 및 공칠정이 ‘배우지 않아도 능한(不學而能)’ 것임을 언급한다. 이병휴는 호선오악의 감정은 선천적이며, 人性에는 내용이 없음을 역설하는데, 정약용은 이것을 다시 性 嗜好로 재정의한다. 이러한 세 가지 측면에서 신후담의 공칠정리발설은 이병휴를 거쳐 정약용의 심성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성호학파를 천주교를 비판하였는가, 옹호하였는가에 따라 信西派와 攻西派로 나누고, 혹은 나이에 따라 老壯派와 少壯派로 나누기도 하는데, 공서파이자 노장이었던 신후담이 신서파이자 소장파로 분류되는 정약용에게 끼친 이와 같은 영향을 고려한다면, 성호학파 내부에서의 분기점은 쉽게 단정 지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Habin Shin Hu-dam’s theory on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nd discusses its influence on later scholars of Sungho School, such as Jeongsan Yi Byung-hyu and Tasan Jeong Yag-yong. Shin’s main idea on the topic of Four-Seven, which was first initiated by Toegye Yi Hwang, is that although seven feelings are ‘generally’ neutral feelings arisen from the physical body, ‘some’ seven feelings, such as that of the sages, are arisen from the moral, ‘public’ nature of humans. Those public feelings are no different from Four beginnings described by Mencius. His theory was severely criticized by fellow scholars of Sungho School, for it deviated from the traditional Southern scholar’s line of Toegye and tilted toward the theory supported by the oppositional party of Yulgok. In developing such a theory, Shin held three suppositions that made a huge impact on later scholars. First one is that there are two kinds of li the principle and ki the material force. There is “li of yin-yang and five phases” that both four and seven feelings are comprised of, as well as “li of moral goodness” that only the four beginnings (and some moral seven feelings) are consisted of. Likewise, there is “ki of perceptual mind” that both four and seven are comprised of, as well as “ki of physical body” that only seven feelings are consisted of. Later scholars used this dichotomy in expl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oegye and Yulgok. The second premise of Shin was that human feelings are not only confined to “four” or “seven”; there are countless feelings that can be abstracted into either ‘love’ or ‘hate.’ The feeling of love and hate, however, are of two different kinds: one is the love for the good and hate for the evil, and the other is the love for the benefit and hate for the harm. Later scholars adopted this idea into their theory of love and hate. The last argument of Shin was that the two kinds of love and hate are innate, and can arise simultaneously. Later scholars establishe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s inclination’ out of this notion. Many scholars find Tasan Jeong Yag-yong’s theory of human nature and mind original and innovative. It would be helpful, nevertheless, to dig deeper into the root of his theory — then, one may meet Shin Hu-dam and one great original mind.

      • KCI등재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의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 정산(貞山) 이병휴(李秉休)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에게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

        鄭素伊 ( Chung So-yi )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8 No.-

        이 논문은 신후담의 공칠정리발설이 이병휴와 정약용의 심성론에 끼친 영향을 분석한 글이다. 이 논문에서는 신후담의 공칠정리발설을 다음 세 가지로 압축한다. 첫째는 이황의 理氣相須설을 두 가지의 리와 두 가지의 기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것이다. 신후담은 리에는 사단과 칠정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음양오행의 리가 있고, 사단만이 가지고 있는 인의예지의 리가 있으며, 기 역시 사단과 칠정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지각감동의 기가 있고 칠정만이 가지고 있는 형기의 기가 있다고 분석한다. 이병휴는 이를 汎說과 別指說로 요약하였고, 정약용은 다시 이를 總설과 專설로 보아 전자를 이이의 것으로, 후자를 퇴계의 것으로 정리하였다. 두 번째는 신후담이 사단과 칠정을 두 근원을 가진 欲惡로 분석한 것이다. 그는 특히 공칠정과 같은 감정을 愛善惡惡이라고 이름하여 사단과 다르지 않음을 명확히 하였다. 이병휴는 신후담의 애선오악을 好善惡惡이라고 보고 이는 사적인 감정인 好利惡害와 대비된다고 설명하며, 성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감정으로 풀이하였다. 정약용은 더 나아가 공칠정과 사칠정 뿐만 아니라 공적인 사단과 사적인 사단도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또한 호선오악이라는 보편적 정감이 聖人이나 보통 인간 뿐 아니라 천하의 악인, 심지어는 악행을 저지르는 그 순간에도 발현되는 감정임을 역설한다. 마지막으로 신후담은 사단 및 공칠정이 ‘배우지 않아도 능한(不學而能)’ 것임을 언급한다. 이병휴는 호선오악의 감정은 선천적이며, 人性에는 내용이 없음을 역설하는데, 정약용은 이것을 다시 性嗜好로 재정의한다. 이러한 세 가지 측면에서 신후담의 공칠정리발설은 이병휴를 거쳐 정약용의 심성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성호학파를 천주교를 비판하였는가, 옹호하였는가에 따라 信西派와 攻西派로 나누고, 혹은 나이에 따라 老壯派와 少壯派로 나누기도 하는데, 공서파이자 노장이었던 신후담이 신서파이자 소장파로 분류되는 정약용에게 끼친 이와 같은 영향을 고려한다면, 성호학파 내부에서의 분기점은 쉽게 단정 지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Habin Shin Hu-dam’s theory on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nd discusses its influence on later scholars of Sungho School, such as Jeongsan Yi Byung-hyu and Tasan Jeong Yag-yong. Shin’s main idea on the topic of Four-Seven, which was first initiated by Toegye Yi Hwang, is that although seven feelings are ‘generally’ neutral feelings arisen from the physical body, ‘some’ seven feelings, such as that of the sages, are arisen from the moral, ‘public’ nature of humans. Those public feelings are no different from Four beginnings described by Mencius. His theory was severely criticized by fellow scholars of Sungho School, for it deviated from the traditional Southern scholar’s line of Toegye and tilted toward the theory supported by the oppositional party of Yulgok. In developing such a theory, Shin held three suppositions that made a huge impact on later scholars. First one is that there are two kinds of li the principle and ki the material force. There is “li of yin-yang and five phases” that both four and seven feelings are comprised of, as well as “li of moral goodness” that only the four beginnings (and some moral seven feelings) are consisted of. Likewise, there is “ki of perceptual mind” that both four and seven are comprised of, as well as “ki of physical body” that only seven feelings are consisted of. Later scholars used this dichotomy in expl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oegye and Yulgok. The second premise of Shin was that human feelings are not only confined to “four” or “seven”; there are countless feelings that can be abstracted into either ‘love’ or ‘hate.’ The feeling of love and hate, however, are of two different kinds: one is the love for the good and hate for the evil, and the other is the love for the benefit and hate for the harm. Later scholars adopted this idea into their theory of love and hate. The last argument of Shin was that the two kinds of love and hate are innate, and can arise simultaneously. Later scholars establishe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s inclination’ out of this notion. Many scholars find Tasan Jeong Yag-yong’s theory of human nature and mind original and innovative. It would be helpful, nevertheless, to dig deeper into the root of his theory ― then, one may meet Shin Hu-dam and one great original mind.

      • KCI등재

        同一 典據에 대한 退溪 · 高峯 解釋의 差異 硏究 : 「四端七情論辯書」를 中心으로

        김의성(Kim Eui seong)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2

        The part of which Toegye and Gobong claim each other while using same references is concerned about the relation of psychophysical nature(氣質之性) and original nature(本然之性), the Four beginnings(四端) and Seven Feelings(七情), by extension, nay even nature(性) and feelings(情) and feelings(情) and mind(心). We can find out a direct quote such as; "Joy(喜), anger(怒), Sorrow(哀) and Pleasure(樂)" in 『The doctrine of the mean』and "commiseration(惻隱), shame and dislike(羞惡), reverence and respect(辭讓), and approval and disapproval(是非)" in 『Mencius』for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Specifically, part of the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of references is joy(喜), anger(怒), Sorrow(哀) and Pleasure(樂) of which connected to the Centrality and Harmony(中 · 和). Toegye pointed out that "joy(喜), anger(怒), Sorrow(哀) and Pleasure(樂)" and the Four beginnings are essentially different because those four feelings should unskewed without bias(equilibrium) then available to connect to the Centrality and Harmony(中 · 和). On the other hand, Gobong looks differently because he focuses on how it can be the same by the method of equilibrium. It appears to say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pretation on the primordial nebulous state of the universe(渾淪) of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nd the problems, hobal (互發, the mutual issuance of ri and gi), nonequilibrium(不中節) of the Four beginnings and equilibrium(中節) of the Seven Feelings derived from it. We can find difference of understanding out for original nature(性) through "what haven has conferred is called the nature(天命之謂性)" in 『the doctrine of the mean』, "originally good Human Nature(性善) in 『Mencius』, and "by nature, men are nearly alike; by practice, they get to be wide apart(性相近 習相遠)" in 『Confucian analects』. These concerning brings th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in relation between Original nature and Psychophysical nature. Toegye tries to connect Original nature with ri(理) and to retain pure original nature. And he looks at the relation with Psychophysical nature in the inseparable · separable structure of ri(理) and gi(氣). Gobong interprets the relation that Psychophysical nature comes under the tendency of Original nature. The structure of original nature like th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justifying the claims on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s the Neo-Confucian framework because it is directly connected with Psychophysical nature. The differences of interpretation of passion(忿懥), terror(恐懼), fond regard(好樂), sorrow and distress(憂患) in 『The great learning』brings what appears to see whether viewed as feeling or mind. And also it is divided into understanding what to see whether negative object to be removed or to be properly changed and revealed. In the Four-Seven Debate, Toegye and Gobong try to understand the Four Chinese Classic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心性論) but they already had differences from the point of view to understand Neo-Confucianism. It is clearly evident from th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of the references. And, as a matter of fact,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already has hidden a possibility for this differences. The Four-Seven Debate will be able to be overlooked within the framework of Neo-Confucianism is simply beyond the nature of debate for the feelings. 조선 시대 성리학의 論辯들은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문헌적 근거를 제시한다. 그러나 동일한 典據를 제시한다고 해도 해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退溪와 高峯의 四端七情論辯에서도 典據의 제시와 해석의 차이는 중요하게 나타난다. 논문에서는 四端七情論辯의 주장을 통한 典據의 해석상 차이와 그에 따라 파생되는 문제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四書의 주석들을 중심으로 성리학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四端七情論辯을 조망해 봄으로써 논쟁의 중요한 맥락을 살펴보고자 한다. 退溪와 高峯이 동일한 典據를 사용하면서 주장하려고 하는 부분은 四端과 七情의 관계, 氣質之性과 本然之性의 관계에 대한 것이며 더 나아가 性과 情과의 관계, 情과 心과의 관계까지를 포함한다. 情에 대한 해석 차이로 『中庸』의 "喜 · 怒 · 哀 · 樂"과 『孟子』의 "惻隱 · 羞惡 · 辭讓 · 是非"는 四端 · 七情에 대한 직접적인 인용으로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典據에서 해석의 차이가 생기고 있는 부분은 "喜 · 怒 · 哀 · 樂"이 中 · 和로 연결되는 것이다. 退溪는 "喜 · 怒 · 哀 · 樂"이 中節해야만 中 · 和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四端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라고 보는 반면, 高峯은 中節이라는 방법으로 같아질 수 있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것은 곧 四端과 七情의 渾淪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나타나며 여기서 理 · 氣 互發의 문제와 四端의 不中節과 七情의 中節에 대한 문제가 파생된다. 性에 대한 이해의 차이는 『中庸』"天命之謂性" · 『孟子』"性善" · 『論語』"性相近 習相遠"에 보인다. "天命之謂性"과 "性善"은 本然之性으로 "性相近 習相遠"은 氣質之性으로 이해하며 둘의 관계 속에서 해석의 차이가 생긴다. 退溪는 本然之性을 理와 연결하며 純善性을 확보하려 하고 理 · 氣의 不離 · 不雜 구조 속에서 氣質之性과의 관계를 본다. 高峯은 本然之性에 氣質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氣質之性을 해석한다. 이러한 性의 구조는 情의 구조와 직접 연결되고 있어 四端 · 七情의 주장을 성리학적 틀로 정당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大學』의 "忿懥 · 恐懼 · 好樂 · 憂患"에 대한 해석의 차이는 情으로 볼 것인가 心으로 볼 것인가로 나타난다. 이것은 "忿懥 · 恐懼 · 好樂 · 憂患"이 부정적인 제거의 대상인가 아니면 적절히 변화시켜 드러내야하는 것인가의 이해로 나뉘게 된다. 四端七情論辯에서 退溪와 高峯은 四書를 성리학적 心性論의 틀로 이해하고자 하지만 이미 둘은 성리학을 이해하는 관점에서부터 차이를 갖고 있다. 이는 典據 해석의 차이를 통해 나타나며 기존의 주석에도 그와 같은 내용들을 찾아볼 수 있다. 여기에는 존재론적인 해석의 상충이 중요한 쟁점의 요소가 아니라 성리학의 틀 속에서 이해되는 자신의 시각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 KCI등재

        율곡에 있어 감정의 善惡문제와 誠意工夫

        김동숙(Kim, Dong-suk)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5

        본 논문은 율곡 이이(栗谷李珥, 1536~1584)의 사단(四端)과 칠정(七情),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그의 대표적인 수양방법인 성의공부(誠意工夫)가 감정의 발현에 있어 어떠한 역할과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는 것을 통하여 그의 감정공부론을 개략적으로 검토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율곡의 수양론에서 인간감정의 선악문제는 기의 청탁수박 혹은 용사(用事)의 여부로 설명된다. 그런데 이 선한 감정의 발현을 위한 공부과정에서 사단 · 칠정이라 명명된 ‘정(情)’은 공부의 직접적인 대상으로 다루어지지 않는다. 다시 말해 사단확충, 칠정검속 등의 표현은 좀처럼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율곡이 감정의 중절문제를 수양론에서 전혀 거론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사단과 칠정 대신 인심과 도심을 빌어 그 의(意)적 측면에 대한 공부, 즉 성의공부를 제시하고 있다. 이로써 성의공부는 심기의 과불급을 막아 지각능력이 올바로 작용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으로 자리매김한다. 이와 같은 율곡의 서술태도에 대해 그 이유를 두 가지 측면에서 가늠해볼 수 있다. 첫 번째, 율곡이 사단과 칠정을 포함관계(七包四)로 정의한 점이다. 이로써 본다면 ‘사단확충’, ‘칠정검속’처럼 공부의 방법을 대대하여 제시할수 없다. 반면 인심과 도심은 서로 교차 가능한 개념(相爲終始), 즉 주재자와 피주재자로 역할을 나누어 맡는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심이 인심의 주재자가 되어야 한다.”는 수양명제와도 논리적으로 충돌하지 않는다. 두 번째, 정은 직접 제어가 불가하지만 의는 제어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율곡은 사단과 칠정은 정이 직출한 것일 뿐 계교가 불가능하나, 정 뿐 아니라의의 측면 또한 아우르는 개념인 인심과 도심 영역에서는 심리적 계교가 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감정중절의 실현을 성의공부로써 이루고자 하였던 것이다. 한편 율곡에게 있어 사칠과 인도 개념 모두는 마음이 작용한 결과물, 즉 인간의 일반심리라는 점에서는 동질적인 개념이라 볼 수 있다. 그들의 선악 및 중절 · 부중절은 바로 심리 · 정서적인 측면에서 지향해야할, 혹은 지양해야할 상태 및 경지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의 각각의 양태는 리를 기가 엄폐하는가에 대한 여부로 설명되는데, 이들의 기질을 바로잡는 과정이 바로 성의공부이다. 즉 율곡은 감정을 인지적으로 조절하여 상황에 맞게 발현하는 성의의 과정으로 기질변화라는 수양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theory of the study on human feelings of Yulgok Lee Yi(栗谷李珥, 1536~1584) by examining the role and meaning of “the study on sincerity of the will”(誠意工夫, one of the representative methods of self-cultivation by Lee) in manifesting emotions, based on his ideas about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四端․七情) and human mind and moral mind(人心․道心). In his self-cultivation theory, Yulgok Lee explains the issue of good and evil emotion as the condition or function of qi(氣). However, it is noticeable that Lee does not treat emotion(情), named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s a direct object in the manifestation process of feelings. In other words, terms such as expansion of four beginnings or restriction of seven feelings are rarely used. This does not mean that Lee never comments on the issue of perfectly-measured emotion in his self-cultivation theory. He suggests the study on sincerity of the will(誠意工夫) with human mind and moral mind, instead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s a result, this study prevents excess or deficiency of the heart and works as the essential method for the healthy cognitive function. We can consider the attitude of Yulgok Lee Yi in two different ways. First, Lee defined that seven feelings already contain four beginnings(七包四). According to this, Lee cannot suggest incompatible methods such as expansion of four beginnings and restriction of seven feelings. On the contrary, human mind and moral mind are defined as interchangeable--sharing their roles as a supervisor and a subject. Therefore, the proposition “The moral mind ought to be the supervisor of the human mind,” does not contain any logical conflict. Second, meaning(意) can be controlled, whereas emotion(精) cannot be. Lee tried to give answer for the perfectly-measured emotion through the study on sincerity of the will, pointing that human mind and moral mind include both feeling and emotion and can be psychologically controlled, when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automatic reactions and cannot be controlled. Although Lee strictly discerned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human mind and moral mind, he also emphasized that all of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heart and mind reactions. He sees these four in the same level and explains their pattern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qi. For Lee, four-seven-human-moral only means the psychological condition in the light of Confucianism and does not respectively belong to different levels in essential. The goodness and evil of four-seven-humanmoral and their control are the states to be intended or refrained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In the same context, the study on sincerity of the will by Yulgok Lee Yi can be accepted as a method of cognitive approach for the problem of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