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진성여왕대의 재이와 농민반란

        이기봉 ( Gi Bong Lee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2 No.-

        신라 진성여왕대의 농민반란은 신라사회를 돌이킬 수 없는 분열로 이끌었고, 그 결과 후삼국 시대를 거쳐 고려의 건국으로 이어졌다. 신라 하대에 있어 농민반란과 같은 민의 이탈은 재이와 관련된 대응과 관련된 경우가 적지않았다. 여기에서는 진성여왕대의 농민반란이 일어난 배경을 보다 시야를 넓혀 경문왕가기의 재이에 대한 대응양상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신라 하대 경문왕가가 성립되면서 재이에 대한 국가적 대응은 상당히 미흡하였다. 경문왕대의 경우 재해에 대한 대응보다는 왕권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노력에 주력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헌강왕과 정강왕대에도 이어졌다. 헌강왕대에는 도적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다시 부각되었지만, 이의 해결에는 별다른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지방민의 수탈에 기초한 왕경의 풍요로움에 만족하였던 것이다. 이는 정강왕대 역시 마찬가지였다. 가뭄이 발생하였지만, 백고좌법회의 개최에만 그치고 있는 것이다. 경문왕가의 재이에 대한 대응 양상은 진성여왕대도 이어졌다. 농민반란이 일어난 이듬해에 국왕은 황룡사에 가서 연등회를 개최한 것이다. 이는 그 이전의 경문왕가의 재이에 대한 대응과 다름이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경문왕가는 재이로 야기된 사회문제를 극복할 능력이 없었는데, 이것이 결국 새로운 왕계의 등장으로까지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진성여왕대의 농민반란은 신라 하대의 누적된 정치ㆍ사회ㆍ경제적 모순에 기인한 것이지만, 그 近因은 경문왕가의 재이에 대한 대응에서 구체적으로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The peasants’ revolt during the ruling years of Queen Jinseong of the Silla Kingdom led Silla society to a irrevocable division, which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Goryeo Kingdom through Later Three States. There are not a few cases where breakaway of the public will like peasants’ revolt in the late period of the Silla Kingdom was associated with the response to the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This study looked into the background for the outbreak of peasants’ revolt during the ruling period of Queen Jinseong by connecting it with the response aspects to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during the period of the Gyeongmun royal household in wider horizon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Gyeongmun royal household during the later days of the Silla Kingdom, the state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was considerably insufficient. In case of the ruling period of King Gyeongmun, they concentrated on enhancing the status of royal authority rather than the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Such circumstances carried over even to the ruling period of King Heongang and King Jeonggang. During the ruling period of King Heongang, social problems due to the occurrence of rampant thieves emerged again, but the State didn’t have a concern in particular for its solution. The ruling group was satisfied with the richness of Royal district based on exploitation of local people. Such an aspect was also true of the ruling period of King Jeonggang. Even when a drought struck the state, they just settled for holding Baekgojuwabeophe, lit., Buddhist Services led by high priests for safeguarding the state. The response aspects to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of the Gyeongmun royal household carried over even to the ruling period of Queen Jinseong. The next year after the peasants’ revolt broke out, King held the lotus lantern festival at Hwangryongsa Temple. It can be said that such an aspect was nothing short of the previous Gyeongmun royal household’s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Like this, the Gyeongmun royal household didn’t have the ability to tide over social problem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which can be said to carry over even to the appearance of a new royal pedigree after all. In this respect, the peasants’ revolts during the ruling years of Queen Jinseong was attributable to the accumulated political, social, economic contradictions during the late days of the Silla Kingdom, but the proximate cause thereof could be found concretely from the response of Gyeongmun royal household to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 재이(災異) 관련 기사의 기초적 검토

        이기봉 ( Lee¸ Ki-bong ) 수선사학회 2021 史林 Vol.- No.77

        This paper analyzed the records related to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s(災異), which caused important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in ancient history, mainly focusing on the articles in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Samgukyusa)』. 『Samgukyusa』 tells us that various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s occurred. However, the frequency of ocurrence is quite small compared to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Samguksagi)』. In addition, disasters such as lightning strikes, earthquakes, and droughts were recorded in relation to Buddhism more often than those recorded in 『Samguksagi』. Next, several features are found in the articles on extraordinary events. A number of articles on extraordinary events were recorded in relation to celestial phenomena. That is, there were many unusual occurrences related to the sun, the moon and stars. There were also a considerable number of extraordinary events associated with animals. Most of the articles on extraordinary events recorded in 『Samgukyusa』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re not found in the articles of 『Samguksagi』. Furthermore, unusual events occurred in certain areas and places.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records, they occurred in the royal capital and in temples. This seems to b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author of 『Samgukyusa』 is Il-yeon. The articles related to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s recorded in 『Samgukyusa』 inform several points. In particular, the records in 『Samgukyusa』 show that Buddhism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sponding to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s. In addition, the activities of Uisang and Gyeongheung show how monks perceived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s. Next, the records on ‘寂忍禪師碑’ and ‘新羅 壽昌郡護國城八角登樓記’ show that monks connected to the clan and local government responded independently to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s without the help of the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late Silla Dynasty. In this regard, even though there are many records related to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s in 『Samguksagi』, attention should also be paid to the records in 『Samgukyusa』. Thus, a review of these articles on disasters and extraordinary related to Buddhism will help analyz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through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宋史筌』 「五行志」의 “災異” 기록과 그 의미

        홍승태(HONG, Seung-Tae) 한국사학사학회 2013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8

        1780년(정조 4년), 朝鮮王朝 正祖에 의해 편찬된 『宋史筌』은 중국 宋朝의 실제적 역사경험들을 집약하고, 그곳에 투영된 정치적 문화적 ‘鑑戒’를 찾아내고자 했던 결과물이었다. 『宋史筌』은 각각 本紀 8권, 世家 2권, 志 47권, 列傳 91권, 義例 1권, 目錄 1권으로 총 150권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글자수는 약 180만자에 이른다. 『宋史』는 本紀 47권, 志 162권, 表 32권, 列傳 255권으로 총 496권, 총 글자수는 약 500만자이다. 표면적인 통계수치로만 볼 때, 각 부문별 편차는 있지만 『宋史筌』은 『宋史』전체의 약 28%에 해당하는 분량으로 크게 축소되었다. 그러나 『宋史筌』은 『宋史』의 단순한 ‘요약ㆍ정리본’이 아니라 『宋史』가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을 극복하는 동시에 朝鮮王朝의 입장에서 宋朝의 역사를 재구성하려고 했던 편찬의 목적이 있었다. 본고는 古代 史書의 특수한 體裁인 「五行志」를 통해 『宋史筌』이 어떻게 『宋史』의 결함을 보완하고 정리ㆍ재구성하였지를 분석하였다. 「五行志」의 내용은 주로 자연재해와 異變현상 등 災異에 대한 기록이다. 「五行志」는 正史에서 중요한 체재의 하나로, 자연재해가 고대 국가의 흥망성쇠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正史類 典籍에서 이를 중요시했다. 『宋史筌』「五行志」는 『宋史』의 水, 火 항목의 上下 분류방식을 “災”와 “異”로 구분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은 宋代 가장 빈번하게 발생했던 水災와 火災를 異變현상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기록의 객관성과 신빙성을 높였다. 『宋史筌』 「五行志」 글자 數는 총 18,600여 字로, 71,800여 字인 『宋史』「五行志」의 약 1/4 정도로 압축되었지만, 오히려 재해별 항목에서, 재해의 횟수와 피해상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宋史』의 번잡함을 제거하였다. 한편, 「五行志」의 기록은 단순한 자연재해의 기록이 아니라 君主로 하여금 자신의 통치에 대해 자성하고 경계하기 위한 유교의 이념이 반영되었다. 漢代 董仲舒의 ‘天人感應論’은 災異현상이 인간의 정치적 도덕적 행위와 밀접한 인과관계가 있다는 이론으로, 古代政治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관념은 朝鮮王朝 正祖시대에도 줄곧 지속되었고, 『宋史筌』이란 역사서 편찬에도 반영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宋史』와 『宋史筌』「五行志」의 내용을 비교하여 災異기록에 내포된 정치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Song-Sa-Jeon, the Commentaries on the History of Song was complied under Jeong-Jo of the Chosun Dynasty in 1780, which was the result of integration for historical precept such as political, cultural successes and failures in the whole history of Chinese Song Dynasty. The History of Song with its 496 chapters is the largest of the 24 Dynastic Histories. It contains 47 chapters of Imperial biographies, 162 chapters covering Song Dynasty records, 32 chapters of tables (showing genealogy etc.) and 255 chapters of historical biographies. And Song-Sa-Jeon was composed with 8 chapters of Imperial biographies, 47 chapters covering Song Dynasty records, 91 chapters of historical biographies. and From the statistical data, this book was reduced to 28% of the original. but It was not simple summary or rearrangement of The History of Song, was to correct some of the shortcomings of the History of Song, and to reorganize the Song Dynasty's history with the Confucianism from her own view-point. This paper is tried to analyze how to correct some of the shortcomings of the History of Song and to recompile Treatise on the Five Elements(五行志) as a special from of ancient historiography, which mainly records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s. Treatise on the Five Elements in Song-Sa-Jeon rationally classified natural disasters, which had frequently occurred in era of Song Dynasty, from extraordinary events with two categories, that is, water and fire in Five Elements(五行). It was more systematically recompiled in the frequency of disasters, records of damage conditions than it's original version. On the other hand, it was not only the historical records of natural disasters, but also means a kind of prior warnings or caution signals to King and politicians, those have regarded it as a political and moral self-reflection in Confucian thought. The theory of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heaven(天人感應)is a set of doctrines formulated by Chinese Han Dynasty scholar Dong Zhongshu which at that time became the basis for deciding the legitimacy of a monarch. At the same time, for the Confucian School of Thought, Interactions between Heaven and Mankind provided a set of checks and balances on a reigning monarch. They believed that a monarch was ordained by heaven as its representative. Auspicious heaven honoured the ruler; calamitous heaven condemned his thinking with all calamity caused by political errors. Treatise on the Five Elements, Song-Sa-Jeon was also based on this thought of Confucianism which Korean Chosun Dynasty had set a high value on.

      • KCI등재
      • KCI등재

        新羅 景文王代의 政局運營과 災異

        이기봉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2 新羅文化 Vol.39 No.-

        신라 경문왕대의 정국운영은 災異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경문왕 3년에 발생한 異變은 경문왕의 지지기반을 확대하고자 하는 정국운영방식에 불만을 품은 진골귀족들의 움직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러한 대응으로 경문왕은 感恩寺에 행차하여 望祭를 지내고, 五廟制 개편과 태자 책봉을 통해 왕권강화를 추진하였던 것이다. 경문왕 6년 이후에는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들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는데 진골귀족들은 이러한 정국운영방식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경문왕 6년 이후에는 재이가 많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한 피해가 컸다. 그렇지만 경문왕대는 재이로 인한 사회적 변화에는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였다. 재해 피해에 대해서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하였을 뿐만 아니라, 재해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대규모 修造役事를 계속하여 추진하였기 때문이다. 경문왕 8년과 14년의 진골귀족들의 모반은 재해 피해에 미온적인 국가적 대응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이 여건이 되었다. 이와 같이 이 시기의 재이는 정치․사회적 변화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