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조경제와 지속가능한 경제민주주의의 공법적 고찰

        이춘구(Lee Choon Goo) 한국국가법학회 2013 국가법연구 Vol.9 No.2

        경제민주화(economic democracy)에 관한 입법 논의가 제대로 정리되지 않은 가운데 창조경제(creative economy)가 주창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창조경제는 박근혜 정부가 주요 국정 방향으로 정한 것 가운데 하나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과학기술과 산업이 융합하고 문화와 산업이 융합하고 산업간 벽을 허문 경계선에 창조의 꽃을 피우는 것'으로 창조경제를 정의하고 있다. 창조경제의 목표는 '융합의 터전 위에 새로운 시장, 새로운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라고 한다. 박근혜정부의 정책 목표는 중산층 70%를 재건하여 국민행복시대를 여는 것이다. 경제의 당면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새로운 원동력을 찾고자 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이에 대해서 개념이 모호하다든지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공법학계에서는 아직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문제는 한 정부 내지 한 정권에게만 맡기는 일회성 구호로 치부할 수 없는 것이다. 대한민국 경제질서의 기본이 자유와 창의, 구체적으로 창조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창조경제는 대한민국을 지속가능하게 하며 경제민주화의 주요한 원동력이 된다. 창조경제와 경제민주화의 관계에 관한 헌법학과 행정법학적, 경제학적, 정치학적 검토를 융복합적으로 진행한다. 창조경제를 가로막고 있는 각종 규제 등 입법 환경을 진단한다. 박근혜 정부가 내놓고 있는 창조경제 정책을 세계 입법조류 등과 비교 검토한다. 헌법재판소의 창조경제에 관한 판단을 살피고, 창조경제에 관한 입법 정책적 제안 즉 '창조경제기본법' 제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산업화, 민주화 경험이 궁극적으로 창조경제와 지속가능한 경제민주화의 제도적 틀을 완비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유시장경제, 창조중심경제, 규제장벽철폐가 이뤄져야 한다. '창조경제기본법'은 총칙, 창조경제계획, 구체적인 실행, 주무 행정부처, 창조경제위원회, 네거티브 시스템, 창조경제교육과 창조적 인재 육성, 경제민주화 실천, 세계적 교류 협력, 벌칙 등의 체계를 갖추는 게 필요하다. 창조경제는 자유민주주의의 근간이다. 산업화, 민주화, 경제민주화, 창조경제의 흐름을 선순환적으로 진행시키며, 품격있는 자유민주주의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2의 한강의 기적'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창조경제의 지속가능성은 개인과 기업의 자유와 창의의 발현, 창조경제의 성공, 자유ㆍ창의와 평등의 조화를 통한 경제민주화 성숙, 창조경제의 이륙(take off)의 선순환이 전제되어야 한다. 공법적 과제는 이 같은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제도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법철학적 원리를 끊임없이 제공하여야 한다. While the legislative debating on economic democracy is not fully arranged, creative economy is advocated and dispute is provoked. Creative economy is one of the important national policies which are chosen by Park Geunhye Government. President Park Geunhye defined creative economy in her inaugural address as 'what is fused in scientific technology and industry, and is fused in culture and industry, is that makes flowers of creation be fully blown on the boundary line where the walls between industries are broken.' The goals of creative economy are 'to make new market and new works on the ground of fusion'. Park Geunhye Government's policy object is to rebuild 70% middle class and to open the era of nation's happiness. It is that they try to solve the immediate economic problem and to find new energy for sustainable growth. About creative economy people say that it's concept is vague and that they can not understand the government's true intentions. Public law scholars are not debating about this problem till now. This is not the one time slogan for one government and one political groups who are incumbent. Because Republic of Korea's economic order's base is on the bottom of liberty and original idea, more concretely creativity. More over creative economy will make ROK be able to be sustainable and will be the impetus for economic democracy. I t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economy and economic democracy on the view of constitution law and administration law, economics, politics which are fused. And I try to analyze the legislative environment on many regulations which are hindering creative economy. I try to inspect creative economy policies Park Geunhye Government puts forward in comparison with global trends of legislation. I try to scrutiniz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n creative economy. I suggest to legislate 'Creative Economy Basic Law'. I study that ROK's experience of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shall contribute to complete the institution building for creative economy and sustainable economic democracy. For this liberal market economy and creation centred economy, the destruction of regulations are to be realized.

      • KCI등재

        ICT와 미래창조경제의 나아갈 방향

        김국진 한국법제연구원 2013 법제연구 Vol.- No.44

        Paradigm of Global economy is changing to creative economy.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creative economy to clarify (understand clearly) the impact (influence) which transition of economy system will bring about. The creative economy is basically came from New economy theory. According to the New economy theory, a state can achieve sustainable growth without an inflation, or higher growth rate under given inflation rate, through an investment on ICT. However, different from America, Korea had limited effect of New Economy. This is because Korean economy had factor-input driven growth model rather than New Economy mechanism. However, ICT is essential requirement to move toward New Economy(Digital Economy), it does not sufficiently explain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A crucial point to realize New economy is how to diffuse and spill over the technology development on ICT sector to other industry. ICT is not creative industry or creative economy per se, and it should play as an enabler to improve other industry’s productivity. Key Words : creative economy, creative industry, ICT, convergence The creative economy can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New Economy theory. It means the economy that creates values by cultural assets and human resource, as well as capital and labor factors. However, if we understand the meaning of creative economy as change of input factors, it is hard to bring real shape of creative economy. 글로벌 경제의 성장 패러다임이 창조경제 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가져올 결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나아가 바람직한 미래의 창조경제를 위해서, 그리고 ICT의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창조경제는 경제성장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신경제 체제에서 ICT 부문에 대한 투자를 통해 인플레이션 없는 지속적 성장 또는 주어진 인플레이션 하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미국에서와 달리 국내에서는 신경제 현상이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신경제보다는 요소투입에 의존하는 성장 패턴을 보였기 때문이다. ICT는 신경제(디지털 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필수적 요소이긴 하나 그 자체로 생산성 및 성장을 전부 설명하는 것은 아니라고 평가된다. 관건은 어떻게 정보통신 및 기술발전을 타 산업에 확산시키는지의 여부에 달려 있다. ICT는 그 자체가 창조산업이거나 창조경제가 아니라 enabler로서 제대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창조경제는 신경제론의 연장선에 볼 수도 있다. 자본과 노동력 요소 투자 이외에 문화적 자산과 인적 자원(Human resource)을 투여하여 가치를 생산해 내는 경제를 의미한다. 그러나 투입요소의 변화에 국한되면, 진정한 의미의 창조경제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한 의미에서 창조경제는 정권 5년 정책이슈가 아니라 미래지향적이어야 하며 단순히 투입요소에 창의력이 추가되는 차원을 넘어 through-put이라고 할 시스템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여기에 ICT의 역할이 있다.

      • KCI등재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법제방안

        고문현 韓國土地公法學會 2014 土地公法硏究 Vol.64 No.-

        창조경제는 모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고 공급자 중심의 제도에서 수요자 중심의 제도를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융합적 사고가 경제의 중심이 되는 경제라 할 수 있다. 창조경제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제적 개편방안을 논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우리 법제가 갖고 있는 현황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창조경제에서 법제적 뒷받침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법제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리모델링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창조경제에 대한 법적 뒷받침은 창조경제의 실현의 추상성을 줄이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 가능한 과제로 전환시키는 과정으로서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해 필수불가결 하다.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해서는 창조경제와 관련되는 현행 법령들을 분석·검토하여 창조경제의 실현에 장애가 되는 요소를 찾아내어 제거하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창조경제를 뒷받침할 수 있는 방안을 융합 법제적 관점에서 재정비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때이다. Creative Economy means paradigm shift from imitating economy to pioneering economy. It means creative idea and integrated thought are center of economy. In this essay, we study definition of creative economy and foreign cases on creative economy, and then a way for modifying legislation and remodelling for creative economy. Legal backing-up for creative economy reduces abstractness of realization of creative economy and converts creative economy into a form of concrete realization. Therefore, Legal backing-up for creative economy is indispensable to realization of creative economy. In the end, it is high time that we should rebuild a integrated legal system in a point of comprehensive view for creative economy through getting rid of barrier to creative economy

      • KCI등재

        창조경제, 창조성, 창조산업 : 개념적 논제들과 비판

        최병두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3 No.3

        이 논문은 창조성에 바탕을 둔 창조경제 및 이의 구체적 형태로 드러나는 창조산업에 관한 개념적 논제들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우선 창조경제에 관한 논의들이 거의 무시하고 있는 이론의 등장 배경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그다음 창조경제, 창조성, 창조산업에 관한 논의에서 주요한 개념적 논제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비판하고자 한다. 이러한 재검토를 통해, 이 논문은 첫째 창조경제 이론은 자본주의하에서 창조경제로의 전환 및 현재 경제체제의 작동 메커니즘, 즉 실제 어떤 생산체계 및 노동과정에 바탕을 두고 작동하는가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부족하고, 둘째 창조성에 관한 모호한 개념 규정과 지나친 규범화는 결국 창조성 나아가 창조경제에 대한 정책이나 담론이 현재 자본주의 경제의 작동 메커니즘과 창조계급의 지배적 지위를 정당화시키기 위한 이데올로기로 전락시키며, 셋째 다양한 부문을 포함하는 창조산업은 창조경제 및 창조인력과 관련하여 유형화의 한계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창조산업의 여러 부문들은 실제 노동과정의 유연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을 안고 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reconsiders critically some conceptual issues of creative economy developed on the basis of human creativity, and of creative industry as actual forms of creative economy. It first looks into the context of the rise of creative economy theory which has been often ignored, and then reexamines critically major conceptual issues of creative economy, creativity and creative industry. Through this reconsidera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ory of creative economy, especially suggested by Florida, lacks for concrete explanation o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to, and operation of, creative economy, that is, what kind of production system and of labor process have promoted actually creative economy; that a vague and dubious definition and excessively normative elucidation of creativity of creativity leads to an ideology that policy or discourse on creative economy would legitimate the actually operating mechanism of present economy of capitalism and the dominant status of the so-called creative class; and that the concept of creative industry which includes a number of sectors has a limitation of its classification in relation to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employment, and several sectors of creative industries have revealed serious problems of actual labor process due to its flexibility.

      • KCI등재

        Creative Economy in the Regions

        전태영(Tae Young Jun),Ja Don Koo,Yong Hwan Byun 지역사회학회 2014 지역사회학 Vol.15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arch for solutions to boost local economy on the basis of the spirit of creative economy. It gropes for new directions based on creativity or convergence in the important domains which shape the local economy. It considers important local issues concerning public service, urban and rural community, promotion and attraction of business enterprises, social enterprise, tourism, local autonomous ecosystem, etc. It suggests various solutions for the problems that the regions are now facing, which rely on the businesslike point of view that emphasizes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And local needs are generally approached with a social welfare viewpoint. The most important plans to promote the local economy on the basis of creativi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Creative public administration: expansion of the recruitment from other industries and regions, creative leisure rather than constant focus on work, brain storming, horizontal communication. 2) Creative city: convergence of local governance, urban development for local communal life. 3) Promotion and attraction of business enterprises: adventurous venture funds from government, education-industry complex, hub-network for the coordination of business-promoting programs from diverse institutions, managerial support rather than subsidy or hardware construction, specialist group for consulting and education, systematic promotion for one-person creative enterprise. 4) Rural community: vitalization of sextic industry, communal support for emotional and economic settlement of urban-to-rural returners, invigoration of cooperative association, enhancement of public service. 5) Social enterprise: systematic incubation, business capability promotion rather than subsidy, economics of scale on the basis of connection and cooperation, development of niche market neglected by strong competitors. 6) Ecosystem for creative economy: promotion of local creativities through gradual decentralization

      • KCI등재

        창조산업과 한국 창조경제의 차이점 연구

        강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9

        The creative economy must a very important field at the current point where economic democratization is urgent in that creative economy can bring innovation to overall economy and industry based on the individual's creativity. However, the creative economy that is being proceeded in Korea recently is the alternative for the bias of wealth and low growth with no employment and is comprehended as being different from innovation of economy.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in each region and is operating it as core institution which will lead the creative economy. Here, the government will foster smart-up corporations and improve employment based on creative ideas, through which the government intends to realize creative economy. However, it is comprehended that by assigning the operation budget and technical support and management to the large corporations, the government is rather going up front and reinforcing the conglomerates-based economic management structu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are controversies that the creative economy system where creativity is the core of the economy and social activity is providing a new escapeway to the big capital groups which have reached their limitation in terms of growth. In the creative economy, the government shall have to expand the public regions for expansion of creative industry in which is realized not by the conglomerates-based business promotion but by the public and make effort so that creativity can work as the power for the social innovation. 창조경제는 개인의 창의성을 토대로 산업 및 경제 전반의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민주화가 절실한 현시점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일 것이다. 그러나 최근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창조경제는 부의 편중과 고용 없는 저성장에 대한 대안으로서 경제의 혁신과는 다른 것으로 파악된다. 정부는 창조경제를 이끌어갈 핵심기관으로 각 지역마다‘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립하고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서 창조적 아이디어들을 중심으로 스타트업 기업을 육성하고 고용을 개선하는 등 이를 통해 창조경제를 실현하려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운영 예산과 기술지원, 관리 등을 대기업에 맡김으로써 정부가 나서서 대기업 위주의 경제적 지배구조를 오히려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창의력이 경제 및 사회활동의 중심인 창조경제 체제는 성장의 한계에 도달한 거대 자본 그룹에 대해 새로운 탈출구를 제공하고 있다는 논의들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창조경제에 있어서 정부는 대기업 중심의 사업추진이 아닌 다중을 통해 이뤄지는 창조산업의 확장을 위해 공공영역을 확장하고, 창의성이 사회적 혁신을 위한 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박근혜 정부 창조경제의 과제

        임형백(Lim, Hyung Baek)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reative economy, creative industry, and to find opportunities for regional development based on creative economy. This study focuses on case studies in creative economy in Israel, the United Kingdom, Germany, USA and Australia. Israel has the advantage of IT and venture companies. The United Kingdom has an advantage in the field of creative literature and cultural business. Germany has the advantage of small business and craftsmanship. The USA has the advantage of entrepreneurial sprit, economic compensation, and equal opportunities. Local government played good role in Australia. While these nations have their own strengths, they also have their own weaknesses. Thus the cases of these nations are not simply applicable to Korea. We must be alert to the possibility of unquestioning acceptance of foreign institution. Present Park Geun-hye has been emphasizing a ‘creative economy’ as one of the factors that can contribute to revitalizing Korea’s sluggish economy. The Korean government has listed strategies with creating an environmental for creative economy, strengthening the growth power for job creation, small-and medium-size firms leading the creative economy, seeking advances in scientific technology through originality and innovation, establishing a market economy with apt principles and economic management that supports growth. The main problem with creative economy is that its definition is not crystal clear in Korea. In fact, people are putting ‘creative economy’ labels everywhere in Korea. Recreation and application is necessary for Korea.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articularities of Korea properly and throughly. This paper suggests several directions of Korean creative economy.

      • KCI등재

        박근혜 정부 창조경제의 과제

        임형백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4

        본 논문은 창조경제를 활용한 지역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박근혜 정부 들어 창조경제가 화두가 되고 있지만, 초기에 이스라엘, 영국, 독일의 창조경제 사이에서 표류하였고, 아직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어떤 분야에서 어떤 나라에서 최종적 결과물인 제도를 토양이 다른 한국에 이식하는 것, 즉 단순한 제도의 이식은 가능하지 않다. 한국에서 창조경제가 제도의 이식을 넘어, 사회적 시스템으로 뿌리를 내리기 위하여는 한국에 적합한 토착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본 논문은 1)창조경제의 개념과 창조산업의 개념을 고찰하고, 2)창조경제의 선진 사례로써, 이스라엘, 영국, 독일, 미국을 고찰하고, 3)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우리와 역사와 문화가 다른 나라에서 성공한 창조경제를 지역에서 우리에게 적용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각각의 창조경제의 선진국들은 자신들의 토양에 맞게 오랜 시간 동안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창조경제를 발전시켜 왔고, 장점 뿐만 아니라 단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국가와 다른 한국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무비판적인 외국 제도의 수용은 위험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적 창조경제의 방향을, 1)유사/중복 정책의 조정과 연계, 2)한국적 창조경제 모델 개발, 3)창조생태계의 조성, 4)창조인력의 유입, 5)창조적 아이디어의 발굴과 창조산업화, 6)재창조와 활용을 통한 가치 증대로 들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reative economy, creative industry, and to find opportunities for regional development based on creative economy. This study focuses on case studies in creative economy in Israel, the United Kingdom, Germany, USA and Australia. Israel has the advantage of IT and venture companies. The United Kingdom has an advantage in the field of creative literature and cultural business. Germany has the advantage of small business and craftsmanship. The USA has the advantage of entrepreneurial sprit, economic compensation, and equal opportunities. Local government played good role in Australia. While these nations have their own strengths, they also have their own weaknesses. Thus the cases of these nations are not simply applicable to Korea. We must be alert to the possibility of unquestioning acceptance of foreign institution. Present Park Geun-hye has been emphasizing a ‘creative economy’ as one of the factors that can contribute to revitalizing Korea’s sluggish economy. The Korean government has listed strategies with creating an environmental for creative economy, strengthening the growth power for job creation, small-and medium-size firms leading the creative economy, seeking advances in scientific technology through originality and innovation, establishing a market economy with apt principles and economic management that supports growth. The main problem with creative economy is that its definition is not crystal clear in Korea. In fact, people are putting ‘creative economy’ labels everywhere in Korea. Recreation and application is necessary for Korea.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articularities of Korea properly and throughly. This paper suggests several directions of Korean creative economy.

      • KCI등재

        창조도시와 창조계급

        최병두(Byung Doo Cho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1

        창조도시 이론은 기본적으로 탈산업화 과정 속에서 ``문화적 전환``에 따른 경제환경의 변화와 사회공간적 재구성간 관계를 반영한 이론이다. 이 논문은 우선 창조도시 이론의 발달 배경으로서 지식기반경제 또는 문화경제의 접근방 법들을 고찰하고, 창조도시의 개념화에서 구분되는 유형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 논문은 이러한 창조도시 이론을 직 접 논의한 국내외 연구 동향에서 비판적 관점들을 정리하고, 이의 함의를 신자유주의와 관련시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 논문은 창조성 또는 창조경제의 사회적 구성으로서 창조계급과 공간적 구성으로서 창조도시에 관한 개념적 논제들을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창조계급의 개념은 ``계급`` 개념과 범위의 모호성, 계급-편향성과 경제 특 권적 사고, 상품화 또는 시장 가치화의 촉진, 탈공동체적 개체화, 유연적 노동시장의 규범화, 도시 경제의 성공 여부 에 대한 불확실성 등의 문제 또는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지적된다. 창조도시의 개념은 (대)도시에 한정된 관심, 국가 적 및 지구적 차원 무시, 탈맥락적 규범적 전망, 신자유주의적 도시의 정당화, 창조계급 유치 및 경제 발전과의 인과 성 입증 부족, 도시 및 국토 공간의 양극화 심화 등의 문제 또는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지적된다. The theory of creative city can be seen as one that reflects a relationship between recent change of economic environment and socio-spatial reconstruction in the so-called ``cultural turn`` to deindustrialization. This paper considers approaching methods to knowledge-based economy or cultural economy as a context of development of theory of creative city, and suggests types of conceptualization of creative city. Then it reviews creative perspectives which can be found in recent domestic and oversea research trends on creative city, especially relating its nature with neoliberalism.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critically the concept of creative class as a social constitution of creativity or creative economy, and that of creative city as its spatial constitution. The concept of creative class can be criticized in terms of ambiguity of the concept of class, class-biased and economy-privileged idea, market valorization of culture, individualization against community, normalization of flexible labor market, and uncertainty of economic success of creative city. The concept of creative city can be criticized in terms of limitation of interests to city, ignorance of national and global dimensions, decontextual normative vision, legitimation of neoliberal city, lack of proof of causality between creative class and economic success, polarization of within and between cities.

      • Taekwondo and Creative Economy: Fusion Taekwondo Performance ‘KICKs’

        ( Jinyinzhe ) 한국체육학회 2016 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Vol.2016 No.1

        Purpose: The slogan ``creative economy`` has been rising suddenly in all fields of interest recently. Creative economy is combining imagination and creativity with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to create new industry and fortify existing industry. Creative economy is similar to ``fusion`` in having ``creativity`` as its core value and characteristic, fusion in creative economy is not only insisting on new techniques and services, but using existing ones creatively, and combining them with necessity of different fields to create new field of interest. Method: Creative economy ultimately works for human-centered innovation, and even the purpose must focus on maximizing human happiness. This is the key point of creative economy. Henc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new vision and alternative of Taekwondo performance and the possibility of fusion performance in theoretical framework of ``humanism``. There is no doubt that there are various complex elements in fusion performance and creative economy of Taekwondo, but only when we base these on humanism, we could elevate the value of human life to satisfying, healthy, and abundant state. Result: KICKs is a fusion performance about Taekwondo, that elevated Taekwondo performance as an art genre. It also pursuits modern Taekwondo that could appeal to the world. Its visual elements and concepts derived from RPG (role-playing game) overcame the limits of non-verbal performance, and gave satisfaction to the audience by materializing virtual reality with images, holograms, and mapping. Moreover, it shows liveliness with real sparring, and the height tehcniques with extreme breaking and Taekwondo kicks. Conclusion: We often misapprehend ``fusion`` as combination by considering it as mere addition or physical combination. However, fusion is above and beyond mere unity; it creates new values through organic bond. That is, fusion is about making a meaningful solution rather than a formal form. For example, KICKs is a performance about ``human body``. Each Taekwondo movement is passed on to the audience as body language, and powerful punches and kicks are like lines of actors. stereoscopic images givea new rise Taekwondo performance, and creative economical value of Taekwondo is expected with fusion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