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구만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 고찰 (2)

        이황진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ems related to Nam Gu-man and listed in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s well as in Yakcheonjip and thereby to identify the compiling intent and compiling pattern for the part 「Poems」 in Yakcheonjip. Chapter 2 examined surviving poems by Nam Gu-man, and discovered from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nd presented, 13 poems by Nam Gu-man not contained in Yakcheonjip and 20 or so poems written by other writers by using the same rhymes as those of Nam Gu-man’s poems. The total number of remaining poems by Nam Gu-man, as verified by the author of this article, is 294. Chapter 3 examined the compiling intent for 「Poems」 in Yakcheonjip. In the 「Poems」, “Book 1” and “Book 2” are divided, in terms of when the poems were written, by the year 1679 when Nam Gu-man was exiled for the first time, which may be because the compiler Nam Hak-myeong (son of Nam Gu-man), recognized that year as the turning point in the life of his father. Also, 「Poems」 in Yakcheonjip contains other people’s poems in addition to those by Nam Gu-man, as ‘adding the original poem whose rhyme is used in another poem)’ (No. 14) or ‘adding a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the original poem’ (No. 1), and the single example of the latter was Provincial Governor Park Tae-Sang’s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Nam Gu-man’s poem written when the latter was exiled for the second time to Gyeongheung. The intent here seems to be to remember Nam Gu-man’s accomplishments as Governor of Hamgyeong Province and to emphasize his patriotism, national awareness and literary achievements. Chapter 4 examined the compiling pattern for 「Poems」 in Yakcheonjip. All poems written by Nam Gu-man on or before 1659, when he was 31 years old, were deleted from 「Poems」 in Yakcheonjip, and due to political situations of his time, poems related to certain figures were excluded from the same. Also, one can see that quite a few poems mourning the dead were deleted, which implies that the compiler maintain balance in selecting poems to be listed in Yakcheonjip. 본고는 『약천집』과 당대의 다른 문인들의 문집에서 찾아낸 남구만과 관련된 시들을 통해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남구만의 현존시를 재검토하며, 당대 문인들의 문집에서 『약천집』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남구만의 시 13수와 남구만의 시에 차운한 다른 문인들의 시 20여수를 찾아내어 제시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남구만의 현존시는 총 294수이다. 3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권1과 권2는 남구만이 처음 유배를 갔던 1679년을 기점으로 나뉘는데, 이것은 편집자(아들 남학명)가 이 시점을 부친(남구만) 인생의 전환점이라고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약천집』 「시」에는 남구만의 시 외에 다른 사람의 시가 ‘부원운附元韻 ’(14번) 혹은 ‘부차附次 ’(1번)라 하여 덧붙여지기도 했는데, 단 한번 ‘부차’가 된 것은 남구만이 두 번째 유배를 받아 경흥으로 갔을 때 지은 시에 차운한 관찰사 박태상의 시이다. 여기에는 남구만의 함경도 관찰사 시절의 업적을 되새기며 남구만의 애국심과 민족의식과 문학적 성취 등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깃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경향을 살펴보았다. 『약천집』 「시」에서는 남구만의 31세(1659년) 이전의 시작기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적잖은 만시가 산삭되었을 것으로 유추되는데, 이는 편집자가 『약천집』에 수록할 시를 균형 있게 배분하며 선별하였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남구만의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 고찰(2)

        이황진(李黃振)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5

        본고는 『약천집』과 당대의 다른 문인들의 문집에서 찾아낸 남구만과 관련된 시들을 통해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남구만의 현존시를 재검토하며, 당대 문인들의 문집에서 『약천집』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남구만의 시 13수와 남구만의 시에 차운한 다른 문인들의 시 20여 수를 찾아내어 제시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남구만의 현존시는 총 294수이다. 3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권1과 권2는 남구만이 처음 유배를 갔던 1679년을 기점으로 나뉘는데, 이것은 편집자(아들 남학명)가 이 시점을 부친(남구만) 인생의 전환점이라고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약천집』 「시」에는 남구만의 시 외에 다른 사람의 시가 ‘부원운附元韻’(14번) 혹은 ‘부차附次’(1번)라 하여 덧붙여 지기도 했는데, 단 한번 ‘부차’가 된 것은 남구만이 두 번째 유배를 받아 경흥으로 갔을 때 지은 시에 차운한 관찰사 박태상의 시이다. 여기에는 남구만의 함경도 관찰사 시절의 업적을 되새기며 남구만의 애국심과 민족의식과 문학적 성취 등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깃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경향을 살펴보았다. 『약천집』 「시」에서는 남구만의 31세(1659년) 이전의 시작기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적잖은 만시가 산삭되었을 것으로 유추되는데, 이는 편집자가 『약천집』에 수록할 시를 균형 있게 배분하며 선별하였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ems related to Nam Gu-man and listed in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s well as in Yakcheonjip and thereby to identify the compiling intent and compiling pattern for the part 「Poems」 in Yakcheonjip. Chapter 2 examined surviving poems by Nam Gu-man, and discovered from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nd presented, 13 poems by Nam Gu-man not contained in Yakcheonjip and 20 or so poems written by other writers by using the same rhymes as those of Nam Gu-man’s poems. The total number of remaining poems by Nam Gu-man, as verified by the author of this article, is 294. Chapter 3 examined the compiling intent for 「Poems」 in Yakcheonjip. In the 「Poems」, “Book 1” and “Book 2” are divided, in terms of when the poems were written, by the year 1679 when Nam Gu-man was exiled for the first time, which may be because the compiler Nam Hak-myeong (son of Nam Gu-man), recognized that year as the turning point in the life of his father. Also, 「Poems」 in Yakcheonjip contains other people’s poems in addition to those by Nam Gu-man, as ‘adding the original poem whose rhyme is used in another poem)’ (No. 14) or ‘adding a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the original poem’ (No. 1), and the single example of the latter was Provincial Governor Park Tae-Sang’s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Nam Gu-man’s poem written when the latter was exiled for the second time to Gyeongheung. The intent here seems to be to remember Nam Gu-man’s accomplishments as Governor of Hamgyeong Province and to emphasize his patriotism, national awareness and literary achievements. Chapter 4 examined the compiling pattern for 「Poems」 in Yakcheonjip. All poems written by Nam Gu-man on or before 1659, when he was 31 years old, were deleted from 「Poems」 in Yakcheonjip, and due to political situations of his time, poems related to certain figures were excluded from the same. Also, one can see that quite a few poems mourning the dead were deleted, which implies that the compiler maintain balance in selecting poems to be listed in Yakcheonjip.

      • KCI등재

        근대 이후 편찬된 한국 한자 사전의 변화 양상 연구

        신상현 ( Shin Sang-hyu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1 No.-

        이 논문은 근대 이후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주요 한자 사전을 대상으로 사전의 구성과 체제 등의 구조가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하였는지를 고찰하여 향후 한자 사전 편찬에 도움이 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근대 개화기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한국에서 간행된 주요 한자사전을 세 시기로 나누어 사전 편찬의 경향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구조와 내용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이러한 변화 양상을 ①자형 처리의 변화, ②자음 처리의 변화, ③뜻풀이 처리의 변화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먼저 자형 처리의 변화에서는 크게 ①부수 설정의 변화와 ②한자 부가정보가 확장되었다. 다음으로 자음 처리의 변화에서는 ①한자음 표기 방식이 다양화되고, ②현실음을 중심으로 남기고 나머지는 소멸시키며, ③새로운 한자음을 추가하거나 변화시켜 한자음을 확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뜻풀이 처리의 변화에서는 ①영어와 일본어 대역 의미를 제시하였고, ②한국어의 古語, 死語, 卑俗語를 현대의 표준어로 바꾸어 편찬하며, ③한자의 품사 정보 표시를 시도하며, ④동사와 형용사를 ‘-다’형으로 끝을 맺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한국 한자 사전의 변화 양상을 통하여, 첫째 다양한 종류의 자전과 옥편이 편찬되는 과정에서 한국화된 특유한 형태의 자전이 완성되었으며, 둘째 한자를 집대성한 자전과 옥편의 형태에서 한자 어휘 중심의 사전의 형태로 발전하였고, 셋째 10,000자 내외의 한자를 수록한 한자 학습사전이 많이 편찬되었다. This paper examined how the structure of dictionaries, such a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dictionaries, has changed in relation to major Korean Hanja dictionaries compiled in Korea since modern times to today. So, It was intended to help in the compilation of Korean Hanja dictionaries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first, has outlined the trend of lexicography by major Korean Hanja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from the modern flowering period to the latest a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based on the compilation period.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se Chinese dictionaries over time, so the changes were considered in three aspects: First, in the changes of character shape processing, the ① change of 214 radicals and ②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were expanded. Next, in the changes of consonant processing, ① Chinese consonant notation method was diversified, ② left the real sound as the center, and the rest disappeared, and ③ Chinese consonant was expanded by adding or changing new Chinese consonants. Finally, in the changes of meaning processing, ① suggested the meaning of English and Japanese translation, ② converted and compiled Korean archaic, sarcastic, and profanity into modern standard words, ③ attempted to display part of speech in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④ tried to present verbs and adjectives by ending with ‘-다’. Through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Korean Hanja dictionaries compiled since the modern era, it is possible to derive how the direction of Korean Hanja dictionary compilation has changed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compilation of various types of Jajeon (字典) and Okpyeon (玉篇), it can be said that the unique Koreanized version of Jajeon (字典) was completed. Secondly, it developed from the form of the Jajeon (字典) and the Okpyeon (玉篇), in which Chinese characters were compiled, to the form of a dictionary centered on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Thirdly, a number of Hanja learning dictionaries have been compiled so that students can lear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by including heading characters between 2,000 and 10,000. As described above, the trend and trend of the compilation of Korean Hanja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after the modern era can give many implications for the compilation of a new Korean Hanja dictionar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일제강점기 문집편찬과 대구・경북지역의 상황

        황위주(Hwang, Wee Zoo)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9 No.-

        본고는 일제강점기 문집 편찬의 전국적 상황을 개괄한 다음, 특히 대구・ 경북지역의 실상과 특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전국적 상황을 살펴본 결과, 한문시대가 끝난 것으로 간주해온 1900년 이후 오히려 이전보다 많은 문집이 간행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행 주체는 대부분 서당에서 공부한 위정척사 계열의 학자들이었고, 간행 대상은 신라부터 일제강점 당대에 이르기까지 유명한 인물의 문집을 두루 망라하였다. 그리고 이전에 간행한 것을 중간하기도 하고, 미처 간행하지 못한 것을 신간하기도 하는 등 다른 어떤 시대보다 활발한 간행양상을 보였다. 대구・경북지역의 경우, 위정척사 계열의 학자가 다른 어떤 지역보다 많았다. 그래서 이들 또한 문집 간행에 적극 나섰다. 시기적으로는 신라부터 한말까지를 두루 포괄 하였고, 인물형에 있어서도 관료 학자 문장가 등을 가리지 않았다. 그리고 문집 편찬을 주도한 인물은 자신이 곧 문집을 남긴 주인공이기도 하였다.그래서 이들이 남긴 문집을 별도로 검토해본 결과 몇 가지 흥미로운 점이 있었다. 지역별로는 유명 학자의 근거지였던 안동 봉화 칠곡 성주 영천 지역 문집이 특히 많았고, 간행 시기는 광복 이전보다 이후가 오히려 일반적 이었으며, 간행형태는 소규모 석인본의 비중이 높았다. 수록 내용에 있어서도 表箋 狀啓 對策 등 몇 가지 문체는 완전히 사라졌고, 관습적인 시문과 편지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새로운 시대상을 반영한 글이 추가되기도 하였 다. 이런 사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일제강점기를 한문시대가 끝난 것으로 간주하는 관점은 수정할 필요가 있을 듯하였다. 간행한 문집의 총량, 간행 대상으로 삼은 인물의 비중, 문집의 형태와 내용상의 변화 등 여러 면에서 독자적인 가치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제강점기는 국문과 한문의 역할이 근본적으로 바뀌어가는 과도기로 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런 관점에서 양자의 서로 다른 역할과 상호작용을 함께 주목할 필요가 있을 듯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nationwide literary collection compilation situa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and takes a close look at the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Daegu and Gyeongbuk region in this regard. The examination of nationwide situations found that, after the 1900s, when the Chinese classics era presumably ended, rather than before, more literary collections were published. They were mostly published by scholars of the Wijeongcheoksa (Pro-Neo-Confucianism Movement) who studied Chinese classics at Seodang schools. Publications covered a wide range of literary collections by famous figures from Silla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some previous publications were republished, and others were newly published, all suggesting active publication activities. The Daegu and Gyeongbuk region had more Wijeongcheoksa scholars than other regions. They thus were positive in publishing literary collections. The publication of literary collections widely covered Silla to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covered diverse figures from government officers to scholars to writers. Those who led the compilation of literary collections were those who authored the literary collections. The examination of such literary collections revealed a few interesting things.By region, there were many literary collections which were produced in Andong, Bonghwa, etc. which were home to many famous scholars, and by publication time, more publications were made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an before it. Publication pattern was that the rate of small-scale lithographic printing versions was high. Of recorded contents, certain writing styles of the previous times completely disappeared, the rate of customary poems and letters was high, and writings of new times were added, indicating many changes. Putting together all this, the viewpoint that the Chinese classic era ended by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e needs to be revised. The transit time when the roles of Korean language and classic Chinese literature fundamentally changed should be set up to pay attention to the interaction thereof.

      • KCI등재

        김천택 작품의 전승 양상과 수용 방식

        허영진 ( Hur Young-jin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7

        이 글은 가집사적 맥락에서 김천택 작품의 전승 양상을 종합·분석한 후, 『청구영언(진본)』 소재 각 작품이 후대의 개별 가집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그동안 김천택은 최초의 가집을 편찬한 인물로서의 역할과 위상이라는 관점에서 주목을 받았지만, 다수의 작품을 창작한 작가로서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그 결과 아직까지도 그의 작품이 가집사적으로 어떻게 전승되었고, 후대의 가집으로 전승된 작품이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는가에 대한 연구는 본격화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현전 가집 93종을 대상으로 김천택 작품의 전승 양상과 수용 방식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우선 김천택 작품으로 알려진 것 가운데에서 2수는 후대인의 추가 수록 작품인데다가 자료적 신뢰성이 매우 희박하기 때문에 김천택은 모두 79수의 작품을 남겼다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의 작품은 『청구영언(진본)』에서 30수가 최초로 수록된 이후, 해동가요계 가집에서 49수가 추가 수록되었으므로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전승 경로가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즉 그의 작품이 『청구영언(진본)』과 『해동가요』라는 양대 가집을 중심으로 전승 경로가 확연히 구분되는 바, 김천택 작품의 해석 기반 역시 최소 두 가지 이상의 층위를 지녔다고 판단하였다. 김천택 작품의 수용 방식에 관해서는 最先本, 즉 『청구영언(진본)』 소재 작품이 후대의 다른 가집으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작가, 악곡, 노랫말의 표기 방식면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상이 포착된다는 사실을 밝혀 보았다. 이러한 변화상은 『청구영언(진본)』이 편찬된 직후부터 곧바로 나타나므로 단순히 전승·수용 과정상의 오기나 착오에 의한 것은 아니었다고 생각된다. 요컨대 그의 작품은 가집사 전 기간 동안 전승이 이루어졌으나 수용 방식면에서 보편적 인식보다는 개별적 인식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고, 각각의 작품은 개별 가집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되었음을 실증해 보였다. This study put together and analyzed the transmission patterns of works by Kim Cheon-taek and examined how the works of Cheongguyeongeon(rare book) were accepted in individual anthologies by the later generations. The study looked into the transmission patterns and acceptance methods of Kim`s works in 93 anthologies and found out the followings: There are some of his works whose authenticity has been ambiguous till today, and two of them have little material authenticity. After excluding the two, it was concluded that Kim left total 79 works. Given that 30 of his works were first published in Cheongguyeongeon(rare book) and that 49 works were added in the anthology of Haedonggayo line later, a possibility was raised that there must have been at least two transmission paths. As for the acceptance methods of his works, there were noteworthy changes to the authors, tunes, and notation of lyrics. His works had been transmitted throughout the entire history of anthologies. Individual perceptions were more prominent in the specific acceptance method of each work rather than the universal ones. Each work was accepted in individual anthologies in diverse ways.

      • KCI등재

        개화기 민간 편찬 국어과 교과서의 띄어쓰기 양상 고찰 ― 학부 편찬 국어과 교과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송미영 국어사학회 2018 국어사연구 Vol.0 No.26

        이 연구는 개화기(1894~1910) 민간 편찬 국어과 교과서 18종을 대상으로 띄어쓰기 양상을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학부 편찬 국어과 교과서와 달리 민간 편찬 국어과 교과서에서 다양한 띄어쓰기 방법을 통해 학습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던 점에 주목하였다. 본격적인 민간 편찬 국어과 교과서의 편찬은 初等小學 (1906, 국민교육회)과 高等小學讀本 (1906-1907, 휘문의숙)이라 할 수 있다. 국자(國字) 습득을 위한 초등 수준의 교재 또는 학습 단계를 고려한 다양한 교과서가 편찬되었다는 점에서 띄어쓰기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국한문혼용체의 민간 편찬 국어과 교과서에서는 대체로 사이 띄우기는 나타나지 않으며, ‘권점(圈點, 。)’이나 ‘모점(、)’이 사용된다. 반면 국문체를 취한 교과서에서는 사이 띄우기가 두드러지며, ‘권점(圈點, 。)’과 ‘모점(、)’을 적절히 사용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도모하였다. 이처럼 학부 편찬 국어과 교과서와 달리 민간 편찬 교과서에서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띄어쓰기 방법이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표기자의 의식과도 관련이 있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spacing appearing in 18 kinds of Korean textbooks compiled by private publisher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1894-1910). Unlik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compiled by the government, Korean textbooks compiled by the private publishers sought to find effective ways to learn through various spacing methods. This study focuses on this point. The full-scale private compila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can be Chodeungsohak (Elementary School) (1906, Educational Association of Korea) and Kodeungsohakdokbon (Advanced Elementary School Reading Book) (1906-1907 Whimoon Euisook). In the private compilation Korean language textbooks written in Korean-Chinese mixed characters, there was no spacing. On the other hand, in the textbooks written in Korean characters, spacing was prominent, and the efficiency of the learning was improved by appropriately using ‘kwonjeom (。)’ and ‘mojeom(、).’ Likewise it found that unlik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compi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 variety of spacing methods considering the level of learners were considered in the private compilation textbooks. This is also related to the awareness of ma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