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Community-Based Art Education)

        정현일(Jung, Hyun Il)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1

        본 논문은 최근에 들어와 미국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는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에 대한 의미와 역사 그리고 교육실천 가능성들을 탐구하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다. 필자는 먼저, 미국의 여러 미술교육학자들의 교육철학과 그들의 역사적 시각을 통해서 ‘커뮤니티(community)’란 개념과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community- based art education)’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다양하고 포괄적인 의미의 CBAE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한 모형을 만들기 위해서 공동체주의 담론, 사회재건주의, 탈구성주의 담론(Deconstructivism), 그리고 후기구조주의 담론(Post- Structuralism)의 관점들에 입각하여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을 네 종류의 작은 범주로 다시 분류하였다. 이 논문의 두 번째 목적은 국내에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또한 미술교육자들이나 학자들이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앞으로 지속적으로 그 교수-학습법을 연구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finitions, histories, and possibilities of implementing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which is popularly being research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firstly defines the meaning of the term ‘community’ encompassing the most vague and diverse meaning and then explores the concept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hrough many art educators and scholars' philosophies and in historical perspectives. Secondly, this study grounded in Communitarianism, Reconstructionism, Deconstructivism, and Post-structuralism makes a model to understand well the various and comprehensive educational strategy of CBAE.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called an umbrella term is categorized by four sub-groups such as local society-based art education, ecology-based art education, ethnic-based art education, and virtual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based on the model to closely look at the practical possibilities.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apers related to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Korean journals such as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and Art Education Review to know what kinds of contents being studied from 1985 to 2008, to provide Korean art educators and scholars with theoretical foundation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o encourage teachers to engage with communities as source of knowledge and pedagogy, and eventually to help them make invisible historie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Korea visible.

      • KCI등재

        미술과 지역사회의 파트너쉽

        김형숙(Kim, Hyung Sook )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1

        최근 한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지역사회 미술교육은 공교육에서 미술교육의 부실과 위축을 극복하고 실기와 기능 전수의 전통적 미술교육 개념을 넘어 미술교육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간주된다. 국가차원에서 실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정책과 교육과정에서는 지역사회와 연계된 미술교육의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학습자의 미술교과서에 교수 학습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실제 중학교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미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반응을 조사한 결과 그다지 동기부여가 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정황에 비추어 보아, 지역사회 미술교육을 국가적 차원에서 강조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학습자나 지역시민들이 모두 공감하고 참여할 수 있는 단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미술교육이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관점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교육과정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들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또한 지역의 공공문화기반 시설 중의 하나인 박물관·미술관에서 지역사회와 연계된 프로그램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한다.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Korea today is considered as a new art education paradigm in overcoming the earlier weakness of school art education which had been focused on studio-oriented and technique- oriented art education. Even though various governments through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Ministry of Education tried to assist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o develop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and the national curriculum, middle school students have not any motivation and interest in visual art education for engaging in their own communities, based on data from survey research on students. Since most art classes related to communities were provided not as regular art classes but as after school activities, only a small percentage of students could participate in these art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it is time to promote the current stag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o a stage in which students and people in communities actively can participate. This study firstly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nd various art programs and cases in order to reconsider current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Korea. The literature on John Dewey’s education theory is reconsidered focusing on students’ experiences, processes, and themes. Second, this study discusses how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activated a partnership between art education and communities.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it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which have appeared in art textbooks.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re also analyzed in order to uncover problems with current art education related to communities.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program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Korean museums which are one of many significant cultur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a key element that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needs to have partnerships with various cultural organizations and human and educational resources in society.

      • KCI등재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을 통한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의 현황 분석

        장윤희(Jang, Yoon Hee),정현일(Jung, Hyun Il)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4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은 지난 10여년간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의 정책을 기반으로 공공의 분야에서 지속적인 재정지원이 이루어져 왔다. 학교에 한정되어 있던 교육의 공간을 학습자의 일상적 삶이 이루어지는 지역사회로 확장시켜 미술교육의 주제를 다루며 새로운 교육지평을 제시하기 때문에 최근 교육영역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통합 융합교육의 관점에서 지역사회의 참여, 공동체 의식 함양, 일상연계, 인문학 등 다양한 학습요소를 아우를 수 있어서 교육적 활용성 및 가치가 높다. 학습자의 개인적 경험이 인지적 정서적 사고로 전환되는 과정을 수반하기 때문에 지역의 역사 생태 환경 지형 전통 문화예술 등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과 관련된 정부의 재정지원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 활동에 대한 전반적 흐름과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도별, 지원대상별, 지원주제별, 지원방법별, 지원주체별로 구분하여 5가지 측면에서 자료를 분류하고 각각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이 학교현장에 실현되기 위한 기초적인 기반 마련의 차원에서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며 교육적 활용범위를 파악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필요성을 지닌다. 앞으로 더욱 구체적인 후속 연구들이 이어져서 미술교육의 당위성과 확장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For the past decade in Korean,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has been provided with continued financial support in the public sector based on policies such as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motion Act. Education space which has been limited to schools has recently drawn keen atten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it expands the education space to communities where learners daily lives are made, treats it as a subject of art education and presents new education standards. In particular,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it is highly useful as a medium that can encompass diverse learning factors such as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ies, communal spirit promotion, fostering community awareness, daily connections, and humanities. In this study, we will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related to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to understand the overall trend and pattern of community base art education activit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year, target, subject of support, an entity of support, and method of support classified the data and each suggestion was drawn and summarized in five aspect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are of significant value in terms of laying the foundation for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to be realized at the school site and are necessary as a basic study for future development. We hope that further detailed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to contribute to the relevance and scalability of art education.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에서 CRAFT 모형 활용 사례 연구

        안혜리 한국예술교육학회 2024 예술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국내 미술대학의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과정 내에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community-based art education)을 실행하기 위한 교수법으로서 CRAFT 모형에 관한 고찰이다.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2급교육과정의 미술분야 교수역량 교과목인 ‘미술교수학습방법’을 담당한 교수자로서 연구자가 지녔던 고민 즉 공동체 중심 미술이라는 학습 주제를 어떻게 수강생들에게 의미 있고 쉽게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시작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공동체 기반 예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하려는 이들에게 효과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CRAFT 모형을 활용하였다. CRAFT 모형은 접촉(Contact), 연구(Research), 행동(Action), 피드백(Feedback), 교육(Teaching)이라는 5가지 단계로 이루어진 공동체 기반예술 프로젝트를 이끌어주는 틀이다. 이 연구는 2022~23년 2학기에 국내 미술대학에서 개설된 문화예술교육사 수업을 통해서 CRAFT 모형을 활용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 사례를 살펴보고, 교수법으로서 CRAFT 모형이 어떤 교육적 성과와 의의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a cas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nd the CRAFT model as a teaching strategy in the curriculum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a domestic art college. The research began with the instructor and researcher's concern about how to meaningfully and easily convey the theme of community-based art to preservice teaching artists in 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urse. As a solution to the concern, the researcher employed the CRAFT model consisting of the following five stages: Contact, Research, Action, Feedback, and Teaching. This model serves as a framework guiding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community-based art projects. The study explored a case of community-based art edu- cation using the CRAFT model in a course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fered by an art college during the second semesters of 2022 and 2023 academic years at a university in Seoul. It also examined percep- tions and experiences of instructors and students regarding how the CRAFT model, as a teaching strategy, provided meaningful eudcational process and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discussed implications of using the CRAFT model based on these findings: Firstly, the students positively evaluated the process of develop- ing proposals using the CRAFT model as it provided them with the opportunity to address community is- sues they were interested in, discover the social value of art and grow cognitively, and gain confidence in their planning capabilities as cultural and arts education professionals. Secondly, the students felt the greatest difficulty in specifying the details of the proposal, considering its feasibility, due to their lack of experience in developing proposals. They also found it challenging to identify the immediate problems of the community and conduct research on the issues. Thirdly, the students evaluated the CRAFT model as an easy and effective framework for specifically planning community-based art projects and regarded it as a highly applicable model. Fourthly, the students found that the process of developing proposals using the CRAFT model was useful in changing their perceptions of the social role of art, cultivating the job com- petenc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ors, and exploring career paths. Fifthly, the students wanted to imple- ment their proposals in their communities and positively evaluated the opportunity to learn about various proposals through presentations and feedback during the class. In conclusion, the case of commun- ity-based art education using the CRAFT model in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urse was highly relevant.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similar models in the future.

      • KCI등재

        미술교육과 봉사학습의 연계 가능성

        안혜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1 造形敎育 Vol.0 No.41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art education to service-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he advantage of service-learning is that it allows students to apply curriculum content to real-life problems and subjects in a specific context of their community. The service-learning also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service activities in a systematic curriculum framework. The service-learning is distinguished from other service activities for it has two essential components: one is self-reflection and the other is reciprocity. Self-reflection makes our service activities more meaningful. Reciprocity enhanc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ervice-givers and service-receivers. By combining service-learning with art content, students can connect theory to practice, while expanding their personal interest towards social issues. The combination of service-learning and art education will be attuned to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whose purpose is to support art education as social engagement and to increase civic consciousness and citizenship skills. The study also has examined several service-learning cases in the U.S. and Korea. Most American arts-based service-learning can be found in art education courses in higher education. They are usually based on the partnership between the universities and public schools, museums, galleries, or service organizations in the community. However, its Korean counterpart is currently at the beginning stage. To develop service-learning in art education, we need to develop the partnership mentioned above, to find the needs of the community as well as service-receivers.

      • KCI등재

        공동체 미술의 교육적 역할 -폴 챈의 <고도를 기다리며>를 중심으로

        고윤정 ( Yoon Jeong Ko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공동체 미술은 최근에 교육론에서 논의되고 있는 인류학적인 조사 방법론의 이론을 받아들이면서 학제간 교류를 넘어실천 방법이 구체화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지역에 대한 조사를 기반으로 접촉-조사-실행-피드백-교육의 과정을 통해 공동체의 일원을 대면하는 절차가 포함이 되는 데, 이 방법론의 중심에는 ‘대화’가 있다. 본래 파울로 프레이리가 주장했던 억압된 민중을 해방시키는 교육방법론을 파블로 엘게라의 <사회참여예술이란 무엇인가>에서와 같이 큐레이터들이 받아들이면서 공동체 미술 프로젝트에 교육적 성격이 더해지고 있는 것이다. 나토 톰슨, 그랜트 케스터 등의 이론가들은 공동체 미술은 미술관 교육이나 교실에서의 교육과는 다르게 수행적이고, 협동적이어야 하며, 열린 자세여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한편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예술가인 폴 챈은 공동체 미술 교육을 실천하는 대표적인 행동주의적 예술가로서 2006년에 카트리나가 휩쓸고 간 뉴올리언즈를 방문한 이후의 도시공동체에 대한 문제의식을 느끼고, <고도를 기다리며>라는 연극을 기획하게 된다. 폐허가 된 도시에서 끊임없이 희망을 기다리는 내용은 정치적, 사회적으로 외면당하고 있는 뉴올리언즈의 상황을 여실히 보여 주었으며, 연극이 성공적으로 개최되기까지 약 8개월에 걸쳐서 폴 챈은 지역 예술가들과 함께 장기간의 조사, 주민들에 대한 현대 미술 교육 프로그램, 포트럭 파티 등 직접적인 접촉을 기반으로 한 행사를 열었다. 뉴올리언즈의 도심을 무대삼아 기획된 연극을 통해 시민들은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도시 재건에 대한 의식을 갖게 되었으며, 연극을 계기로 도시에는 출판, 다큐, 건축 등의 많은 재건활동이 시작되었다. 친밀감과 대화를 통한 각종 교육활동들은 이같이 도시와 시민들을 비물질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Community art became more specific with the research guide of cultural anthropology and pedagogy. Basically in this case community art include local reseach and question investigation strongly. And diverse conversation is the fundamental methodology of the community art field. Community artists practice more concrete guide because of these new methodology that is systematized by Pablo Helguera who worked for MOMA in “Education for socially engaged art”. In addition, Nato Thompson and Grant Kester developed community art education theory for long time. They insist community art education is different with classroom education or museum education. According their theory community art education is emphasize on performative, collaborative and open mind. Paul Chan is a successful artist who practiced the political art project in New York. He visited New Orleans after Hurricane Katrina in 2006. He decided stayed the city with new community based art project, “Waiting for Godot in New Orleans”. This project combined the ruined situation of New Orleans and Samuel Beckett``s famous play “Waiting for Godot”. This play means waiting useless hope for long time. This play include workshop with local artist, door-to-door speaking with resident, comtemporary art theory education in university classroom, potluck party. These event means the community art project include not only place but socially engaged in a process of various conversation and face to face education.

      • KCI등재

        공동체기반 예술교육(CBAE)의 동시대적 의의

        임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which actively spreads in Korea nowadays. To do this, Chapter 2 examined the academic research cases on the definition of the term Community and the current state of interaction between community and art. In particular, I considered the role of art in solving various problems of community and in engaging the collaborative efforts. And then, Chapter 3 proposed two theoretical grounds of community-based education: Social Reconstructionism and Critical Pedagogy. Subsequently, to looking through the educational meaning in activities of community-based education I articulated the way of changing each other and contributing to society by artist, community and art educator. Finally, I found the fact that the various practices of communication and dialogue between members of community established community-based education, then maintained the three common features between community-based education and community cultural development: collaborative network, democratic activity, and critical civic consciousness. 본 논문은 최근 국내에서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는 공동체기반 예술교육의 동시대적 의의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제 2장에서는 공동체 용어를 규정한 학술적 연구 사례와 공동체와 예술 사이의 상호작용의 현황을 진단해 보았다. 특히 공동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비판하는 공동의 노력에 개입하는 예술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이어서 제 3장에서는 사회재구성주의와 비판적 페다고지 이데올로기를 공동체기반 예술교육의 이론적 근간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공동체기반 예술교육 활동이 지니는 교육적 의의를 검토하기 위하여 공동체기반 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예술가, 공동체, 그리고 예술교육자들이 어떻게 서로를 변화시키며 사회에 기여하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공동체기반 예술교육이 공동체 문화개발로서 공동체 구성원들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과 대화의 다양한 실천들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저자는 공동체기반 예술교육과 공동체 문화개발의 공통의 특성을 협업적 네트워크, 민주주의적 행동, 비판적 시민의식이라고 주장한다.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Community-Based Art Education)

        김시내(Kim Si nae),김형숙(Kim Hyung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4

        인터넷과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지역사회의 개념을 변화시키고, 지리적으로 제한된 전통적 공동체와 다른 공동체의 개념을 등장시켰다. 온라인 커뮤니티는 서로의 생각과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공간이며, 이 새로운 공간에서 도시인들은 관심의 공유와 사회적 쟁점에 대한 대화 그리고 상호 호혜적 유대 관계를 통해서 보다 확장된 참여의 목소리를 증폭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문화와 기술 발전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지역적인 이슈에 집중하는 ‘커뮤니티 아트‘(Community Art) 성향의 프로젝트들을 소개하고, 위치정보 시스템과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지역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커뮤니티 맵핑(Community mapping)의 사례들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CBAE) 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인터넷 사이트나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하고, 지역사회 문제에 대해 소통하고 참여하는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티 아트의 형태를 통합적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교육현장에서 실천해 볼 수 있다. 커뮤니티 매핑은 환경, 지역안전, 역사, 문화, 예술 등 다각적 주제로 교육활동과 연계하여 학생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 증대와 참여 증진으로 공동체 역량을 강화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직접적 참여로 지역사회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The explosive diffusion of the Internet has led to a change in the concept of community. The notion of the community different from traditional communities geographically circumscribed entity is emerging. An online community is a place for social interaction that allows people to exchange ideas and opinions with one another. In this new space, urban people are amplifying the voices of expanded participation through the sharing of interests, dialogue on social issues, and mutually beneficial 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Community Art projects focusing on local issues based on the online community generated by digital cultur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nd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 new typ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CBAE) through examples of community mapping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citizens by utilizing the Global position system and collective intelligence. We can try out new forms of community art based on internet sites and social media, communicating and participating in community issues by constructing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educational field. Community mapping can be linked with educational activities on various topics such as environment, regional safety, history, culture, arts, etc., and it can strengthen community capacity by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mmunity. It can lead to social change.

      • KCI등재

        The Art Education Philosophy Of June King McFee : Centering on Multicultural an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Community-based Environment Art Education

        Kim, Jeonghyo(김정효)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2

        본 연구는 미국의 미술교육학자 맥피의 미술교육철학을 다문화, 시각문화와 공동체 기반 환경 디자인 미술 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오늘날 미술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술이라는 개념에 대한 도구적 정의-미술은 문화적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다-는 맥피의 미술교육철학의 근간이며, 미술의 형식은 그 사회의 문화, 즉 사회적 관습, 신념, 태도, 그 시대의 생각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미술의 형식에 내포되어 있는 가치체계와 신념을 이해함으로서 그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게 된다. 맥피의 미술의 개념은 19 세기 서구 사회에 만연했던 엘리트주의에 의한 미술의 개념에서 탈피하여 대중문화, 민예, 그리고 대중 매체까지 수용하는 미술의 개념으로 확장시켰다. 맥피의 미술교육철학을 다문화사회에서의 공동체 기반 환경 미술 교육, 미술교육에서의 지각 발달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 그리고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맥피의 다문화적 접근의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맥피의 다문화미술교육 사상은 다양한 문화가 생성되고 유입되고 있는 한국 사회 상황과 학생들의 정체성 함양을 위하여 공동체 기반 미술 교육의 중요성을 미술교육자들이 인식하고, 미술교육과정의 주요한 주제로서 다루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rt education philosophy of June King McFee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art education. The instrumental definition of art-art is a cultural communication system- is an underpinning concept of McFee's art education philosophy. McFee noted that the art form reflects on customs, beliefs, thoughts, and attitudes of the society. One can understand the society and culture through learning the value systems and beliefs symbolized by art forms. The concept of art of McFee extended the boundary of art from limited in Western fine arts to inclusive of popular arts, folk arts, and mass media. The art education philosophy of McFee was examined, centering on multicultural, community-based environment education, the importance of perceptual readiness for art, and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views of McFee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Exploring McFee's art education philosophy provides an implication that art educators should be aware of the influx and emergence of diverse cultures in today's Korean society, and develop an art education curriculum in which diverse values and aesthetics are integrated.

      • KCI등재

        지역연계 학교예술교육에서 국악교육의 방향

        김아현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8 국악교육연구 Vol.12 No.2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ommunity-linked school arts education policy with a focus on the school art education programs ru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community-linked school arts education as follows. Firstly,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system of collaboration and legal basis among the departments of government. Secondly, the nation and schools should secure a budget for stable support of Korean music education. Thirdly, the nation, school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share information on the labor pool of local artisans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of community connection in various approaches such as training and workshops so that teachers can fully acquire the system and contents of the school-community connection. Fourthly, schools should design a model for community-linked music education, which covers institutional connection, material connection, personal connection, and community connection such as local community events, to help students learn the music culture of their community. It is expected that not only arts education in schools will be revitalized, but also community-linked Korean music education will be revitalized when concerns about human resources for student safety and management come together during activities of the programs or preparation for the activities. 본고는 교육부에서 진행한 학교예술교육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연계 학교예술교육 정책을 살펴보고, 지역연계 유형에 따라 국악 관련 학교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 결과 지역연계 학교예술교육에서 국악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에서는 정부부처 간 협업 체제와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국가와 학교는 국악교육의 안정적 지원을 위해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국가, 학교, 지자체는 지역예술인의 인력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야 하며, 교사가 지역연계에 대한 제도와 내용을 충분히 익힐 수 있도록 연수, 워크숍 등 여러 방법으로 다양한 지역연계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학교는 지역의 음악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제도적 연계, 물적 연계, 인적 연계, 마을 행사 공연 등 지역연계와 발표를 고루 갖춘 지역연계 국악교육 모델을 설계해야 한다. 이밖에 업무 보조나 프로그램 활동 시 학생 안전 및 관리를 위해 인력에 대한 고민이 함께 이루어질 때 지역연계 학교예술교육의 활성화 뿐 아니라 지역연계 국악교육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이라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