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재조사 지적경계 데이터의 관리 개선방안 연구

        이용호 한국지적학회 2023 한국지적학회지 Vol.39 No.3

        Through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the boundaries of each lot are ultimately determined through the boundary determination committee, but many documents and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is process are registered and managed only in the cadastral resurvey system and are only available to the project manager to conduct future cadastral surveys.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is information cannot be reused. Many of the data obtained from the current cadastral resurvey project are delivered to the cadastral authority, and the cadastral survey performer has no obligation to manage them. The cadastral authority also loads the delivered data into the Cadastral Resurvey System for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but manages it only in file form. However, there is no environment in which survey-related data generated from the cadastral resurvey boundary decision can be registered. Therefore, in this study, I focuse on surveying technology for cadastral resurvey and compare and analyze Japan and Taiwan's cadastral information registration models designed based on LAD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data generated from boundary determination in cadastral resurvey. This paper suggests a direction for improving cadastral resurvey boundary decision data management based on GIS environments. 지적재조사사업을 통해 일필지의 경계는 최종적으로 경계결정위원회를 통해서 결정하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많은 서류와 정보들이 지적재조사시스템에만 등록・관리되고 있고 사업담당자만 열람하는데 있어 향후 지적측량을 수행하는데 이 정보를 재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현재의 지적재조사사업에서 얻어지는 많은 자료들은 지적소관청에 납품하면서 지적측량수행자는 관리할 의무가 없고, 지적소관청 또한 납품한 자료들을 지적재조사사업을 위한 바른땅시스템에 탑재는 하고 있으나 파일 형태로만 관리하고 있을 뿐, 지적재조사 경계결정에서 발생하였던 측량관련 자료들을 등록할 수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재조사를 위한 측량기술 중심의 선행연구에서 탈피하여 지적재조사에서 경계결정에서 발생하는 자료들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 LADM기반으로 설계된 일본과 대만의 지적정보 등록모델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지적재조사 경계결정 자료관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The Big Data Analytics Regarding the Cadastral Resurvey News Articles

        주용진,김덕호 한국측량학회 2014 한국측량학회지 Vol.32 No.6

        With the popularization of big data environment, big data have been highlighted as a key information strategyto establish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for a scientific land policy and the extension of the creativeeconomy. Especially interesting from our point of view is the cadastral information is a core national informationsource that forms the basis of spatial information that leads to people’s daily life including the production andconsumpt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 estate. The purpose of our paper is to suggest the scheme of big dataanalytics with respect to the articles of cadastral resurvey project in order to approach cadastral information interms of spatial data integration. As specific research method, the TM (Text Mining) package from R was usedto read various formats of news reports as texts, and nouns were extracted by using the KoNLP package. Thatis, we searched the main keywords regarding cadastral resurvey, performing extraction of compound noun anddata mining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the results was presented. In addition, new reports related to cadastralresurvey between 2012 and 2014 were searched in newspapers, and nouns were extracted from the searcheddata for the data mining analysis of cadastr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 approval rating, reliability, andimprovement of rules were presented through correlation analyses among the extracted compound nouns. As a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ones of the extracted nouns, five groups of dataconsisting of 133 keywords were generated.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words were “cadastral resurvey,” “civilcomplaint,” “dispute,” “cadastral survey,” “lawsuit,” “settlement,” “mediation,” “discrepant land,” and “parcel.”In Conclusions, the cadastral resurvey performed in some local governments has been proceeding smoothly aspositive results. On the other hands, disputes from owner of land have been provoking a stream of complaintsfrom parcel surveying for the cadastral resurvey. Through such keyword analysis, various public opinion andthe types of civil complaints related to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can be identified to prevent them throughpre-emptive responses for direct call centre on the cadastral surveying, Electronic civil service and customercounseling, and high quality services about cadastra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is study, therefore,provides a stepping stones for developing an account of big data analytics which is able to comprehensivelyexamine and visualize a variety of news report and opinions in cadastral resurvey project promotion. Henceforth,this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a framework of the information utilization, enabling scientificdecision making with speediness and correctness.

      • KCI등재

        지적재조사기획의 이론적 배경

        이동현(Lee Dong-Hyun),김영학(Kim Young Hak),김남식(Kim Nam-Sik) 한국지적정보학회 2000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 No.-

        지적재조사는 천문학적인 경비와 수많은 인력과 시간이 투입되는 국가의 대사이다. 기획이란 계획(master plan)을 완성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서 기획이 잘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적재조사를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적재조사기획이 전제조건인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적재조사계획을 위한 필수적인 전제조건으로서 기획의 원리ㆍ과정 ㆍ기획의 평가를 통하여 지적재조사계획 수립에 필요한 요소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획의 일반이론을 토대로 지적재조사기획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재조사기획이란 국가 전체 면적을 유효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서 토지의 잠재능력을 조사하고, 지적불부합을 해소함으로서 토지정보에 대한 국민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토지정보 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설계하는 것으로 정의 할 수 있다. 둘째, 지적재조사의 원리는 인적ㆍ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으로 나기야 하며, 그 집행에 있어서도 민주화에 근거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지적재조사기획의 과정은 목표의 설정, 상황의 분석, 대안의 비교ㆍ평가, 기획의 집행과 평가로 구분된다. 넷째, 지적재조사기획의 평가를 위해서 기본요건, 범위, 평가방법, 주요변수가 기본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지적재조사기획에 따라 계획이 완성되어 집행된다면 지적재조사사업은 잘 진행되리라고 사료된다. TCadastral resurvey is a national matter that required a astronomical cost, human resources and a period of time. Planning is a series of process to accomplish master plan. So that the planning for cadastral resurvey make a precon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success of cadastral resurvey. Therefor, this study provide factors that require in establishment of cadastral resurvey plan with planning evaluation, principle and process as a necessary condition of cadastral resurvey plan. The planning for cadastral resurvey based on the common theory of planning provide as follows : First, the planning for cadastral resurvey is to survey latent faculties on land in order to make efficient use of national land, to raise national reliability in la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solution of cadastral inconformity and to formulate a alternative that can easily applicate land information. Second, the principle of cadastral resurvey make human and material resource use optimumly and the performance of it is based on a democratic system. third, the process of planning for cadastral resurvey includes goal establishment, circumstances analysis, alternative comparison and evaluation,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Fourth, the factor of evaluation includes condition, scope, method and variable generally. As a result of many considerations, on implementing established-plan according to the planning for cadastral resurvey. cadastral resurvey project will accomplish smoothly.

      • KCI등재

        선형 SOC 사업과 지적재조사측량의 연계에 따른 효과 분석

        이병길,윤종성,손종영 한국측량학회 2014 한국측량학회지 Vol.32 No.4

        「Master Plan of Cadastral Resurvey Project」 aims to put the governmental budget of 1.3 trillion Won into thecadastral resurvey project until 2030 that reflects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conducted by government at2012. The cadastral Resurvey, which takes 78.8% of the expenses in the project, has to take an critical role forearning the most effective results from the project. The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take up almost 13%of the project and is controlled under the areal SOC(Social Overhead Capital) projects in current ˹Master Planof Cadastral Resurvey Project˼. Also, the affiliations of cadastral resurvey and linear SOC projects are expectedto bring advanced results, although those are excluded from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For linear SOCprojects, the land division survey is conducted by using boundary stakes in boundary survey, while the cadastralresurvey is conducted within the SOC project area,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In this study, we couldconclude that cadastral resurvey results with the world geodetic system from boundary survey at the point ofland division could be produced without the duplication of land division and cadastral resurvey. As a result, theexpected benefits are 73,877 parcels and 4,078 million won, annually. 「지적재조사 기본계획」에는 2012년에 수행된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가 반영되어 2030년까지 약 1조 3,000억 원의 국가재정을 지적재조사사업에 투입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지적재조사사업의 사업비 중 78.8%를 차지하고있는 지적재조사측량을 효율적으로 사업추진하는 것이 전체 지적재조사사업의 효율화에 매우 중요하다. 현재 「지적재조사 기본계획」 상 지적확정측량으로 계획된 13%의 물량은 「측량 ·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제86조에규정된 면형 SOC(Social Overhead Capital) 사업이며,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선형 SOC 사업도 지적재조사사업과연계를 통하여 효율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선형 SOC 사업에서 용지경계측량이 이루어지면 설치된 경계말뚝을이용하여 지역측지계에 의한 분할측량이 이루어지고, 사업이 완료된 후에 용지경계와 내부에 대한 지적재조사측량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계방안에 의하면 분할측량과 동시에 용지경계측량 성과를 이용하여 세계측지계에 의한 지적재조사측량 성과를 산출함으로써 중복작업을 배제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선형 SOC 사업과지적재조사사업의 연계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년간 73,877필지, 4,078백만원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 KCI등재후보

        지적재조사 사업비의 효율적 관리 방안 연구

        김진,정태용,성윤모 한국국토정보공사 2013 지적과 국토정보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how to efficiently and reliably manage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cost during a period of cadastral resurvey project. According to government reports, this project needs at least 19 years and large budgets(13 billion dollars). Nevertheless, there is no mention about managing project cost in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and ‘cadastral resurvey project basic plan’.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establishing cadastral resurvey project fund is the most suitable solution to efficiently and reliably manage cadastral resurvey cost. 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this suggestion, revision of the act is needed as a mandatory requirement. 본 연구는 지적재조사 사업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지적재조사 사업은 상당한 기간(19년)동안 많은 예산(약 1조 3천억 원)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이나 ‘지적재조사 사업 기본계획’에도 지적재조사 사업비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에 대해 별다른 언급이 없다. 따라서 지적재조사 사업비를 효율적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적재조사 특별회계 설치와 지적재조사 기금을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최적의 방안으로 지적재조사 기금을 설치하는 방안 제시와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법률개정안을 제시했다.

      • KCI등재후보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소고

        김진,안종호 한국국토정보공사 2011 지적과 국토정보 Vol.41 No.2

        Current cadastral system in Korea has been operated on the basis of paper-based cadastral maps completed with a plane-table and bamboo rulers during the colonial period of the imperial Japan 100 years ago. Therefore, it is not only out-of-date but also unsuitable for cadastral digitalization. The rate of discrepancies between land registration and real land use is growing, and it accounts for 15 percent of the nation’s total land area. If we leave this situation as it is, it is feared that more critical problem will be happened. The land resurvey project is strongly essential for solving this problem. In September, 2011, ‘Special Act on Land Resurvey’ was established and then proclaimed for managing the stable practice of Land Resurvey Project. As to enacted details of ‘special Act on land resurvey’, establishment of a general plan and a action plan, a land parcel investigation and land resurvey surveying from competent authorities, a standard of boundary set-up and boundary settlement, a procedure of formal objection of boundary settlement were regulated. Moreover, land resurvey committee and boundary decision committee have been founded to considerate the estimating way of adjustment payment, collection and payment of adjustment payment, calculation of adjustment payment, boundary settlement and application for objections. For drawing up new cadastral record, it is necessary to include locations of buildings on ground and underground space. The aim of this study is that land resurvey project not only bring about technological innovation, national policy and administration service innovation, but also define national and public’s property right. Its another purpose is to decrease wasting cost, to establish a special act to improve the quality of our life and to compare the prior acts. This study also helps to promote land resurvey project efficiently and reduce the errors of land resurvey practice while performing this project by reviewing main contents and considerations of 'Special Act on land resurvey'. 현재의 지적은 100여 년 전 일제 강점기에 평판과 대나무자로 측량하여 수기로 만든 종이지적을 지금까지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지적의 디지털화에 맞지 않고,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이 토지의 실제 현황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전 국토의 15퍼센트에 달하고 있어 이를 방치할 경우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업이 지적재조사사업이며, 지적재조사사업을 제도적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2011년 9월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공포되었다. 새로 제정된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의 주요 내용은 기본계획과 실시계획 수립, 지적소관청의 일필지조사와 지적재조사 측량, 경계설정ㆍ결정에 대한 기준 및 경계결정에 대한 이의신청 등의 절차를 규정하였다. 또한 조정금 산정 방법과 조정금의 징수ㆍ지급, 조정금의 산정, 경계의 결정 및 이의신청 심의를 위해 지적재조사위원회와 경계결정위원회의 설치를 규정하였으며, 새로운 지적공부 작성 시 지상건축물 및 지하건축물의 위치도 등을 기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과 기술혁신, 국토정책과 행정서비스의 혁신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국토와 국민의 재산을 명확히 하는 것은 물론, 소모적인 비용을 줄이고 국민의 삶을 변화시킬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과 선행 법안 비교,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의 주요 내용 및 고려사항 등을 고찰함으로써 지적재조사사업 시행 시 시행착오를 줄이고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지적재조사 기본계획의 수정계획에 관한 고찰

        유승경(Ryu, seung Kyo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20 한국지적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0 No.12

        본 연구는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제4조에 근거하여 지적재조사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수립 시행되고 있는 제1차, 제2차 지적재조사 기본계획의 주요 추진 내용과 실제 추진 성과를 비교 ·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2021년부터 시행되는 제3차 기본계획 시행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국토교통부에서 2019년 추진한 ‘제3차 지적재조사 기본계획 수립 연구’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재조사 사업은 당초 계획했던 목표를 크게 미달하여 추진 중이며 2020년부터 지적재조사 예산 확보가 보다 원활하게 되고 있지만 앞으로 어떠한 어려운 환경이 닥칠지 모르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지적재조사사업 기본계획 수정계획에는 예산 미확보시 대응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 놓아야 할 것이며, 거시적으로 사업기간의 연장에 관한 사항과, 2030년 이후 지자체에서 자체 추진하는 방안 등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third basic plan, which will be implemented from 2021,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main contents of the 1st and 2nd basic plan for cadastral resurvey and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basic plan for cadastral resurvey, which is being formulated and implemented for the efficient promotion of the cadastral resurvey based on Article 4 of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This paper focused on the main contents of the ‘3rd Basic Plan for Cadastral Resurvey’ promo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2019.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is being carried out far below the original goal, and although the budget for the cadastral resurvey is being secured more smoothly from 2020, it is possible that any difficult environment will be wiped out in the future. Accordingly, the plan to revise the basic plan for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should have an alternative to respond to the unsecured budget. It is also necessary to review matters concerning the extension of the business period on a macro basis. and measures to be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after 30 years.

      • KCI등재후보

        지적불부합지정리를 위한 법률의 제정에 관한 연구

        정태용,김진 한국국토정보공사 2009 지적과 국토정보 Vol.39 No.2

        This study aimed at the preparation of the system of the legislation and the general direction for the solution of cadastral non-corresponding parcels in Korea through the reflection of the changed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solution of fundamental cadastral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preceding researches of the relevant laws, that is, cadastral resurvey project bill(1996), special cadastral resurvey project bill(2005) and the special land survey bill(2006) were investigated and for the contents which is necessary to build up the bill, foreign relevant laws of cadastral resurvey project from Japan, Taiwan, France and Germany were investigated. The research method reflected the reports which were related to cadastral resurvey project or cadastral non-corresponding parcels,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of casebook and data from a public hearing. Lastly field trip and opinion listening from Digital cadastre establishment example areas and consultation of experts were collected. The general direction of legislation set as the establishment of legal basis of cadastral non corresponding parcels arrangement simultaneously, the preparation of the conversion into the future cadastral system and legal rationalization of cadastral system on a large scale. In order to propel the cadastral non-correspondence arrangement project efficiently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municipalities establish a commission and the plan regarding the propulsion of this project was established through the discussion. When cadastral authorities designated an project district the executive plan should be established. Commission guides the boundary and liquidation of property. The boundary of cadastral non-correspondence parcels should be determined by application or its force of cadastral authority. On the basis of the cadastral books the change of the boundary or the increase of the area would be minimized. In this case the national funds would be used for it. Cadastral survey would be performed by World geodetic system for cadastral non-correspondence parcels and after this project the existed cadastral books would be closed. When new cadastral book would be written out,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would be marked in cadastral book. And matters about drawing up & management of cadastral book regulated in current ‘Law on the Geodetic, and the hydrographical survey & cadastre’ would be coordinated. Finally the law on the cadastral system would be unified. 본 연구는 지적의 근본 문제 해결과 변화된 외부환경의 반영을 통하여 지적불부합지 해소를 위한 입법의 기본방향과 법안의 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적재조사법안(1996), 지적재조사특별법안(2005), 토지조사특별법안(2006) 등 선행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일본/대만/프랑스/독일 등 외국의 지적재조사 관련법을 조사하고, 지적재조사 및 지적불부합지와 관련한 연구보고서/사례집/공청회 자료 등의 문헌을 조사하고, 디지털지적구축 시범사업의 현장을 답사하고, 그 밖에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았다. 입법의 기본방향은 크게 지적불부합지 일제정리의 법적 근거 마련, 미래지적제도의 전환에 대비한 지적제도의 법체계 합리화로 설정하였다. 지적불부합지 정리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 시/도와 시/군/구에 위원회를 설치하고, 이들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사업의 추진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지적소관청이 사업지구를 지정할 때에는 그 사업지구에 관한 실시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각 사업지구마다 위원회를 설치하여 경계설정과 청산금산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게 하였다. 지적불부합지의 경계는 지적소관청이 직권 또는 신청에 의하여 결정하되, 기존 지적공부의 내용을 기반으로 경계의 변경이나 면적의 증감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면적의 증감이 발생한 경우에는 국가가 설치한 기금으로 청산하도록 하였다. 지적불부합지 정리를 위한 지적측량은 세계측지계에 의하도록 하고, 사업완료 후 기존의 지적공부를 폐쇄하고 새로운 지적공부를 작성할 때에는 건축물의 위치도 지적공부에 기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현재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규정되어 있는 지적공부의 작성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이 법률에 통합하여 지적제도에 관한 법률을 일원화하였다.

      • KCI등재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 관한 일고찰 -경계확정에 수반되는 제문제를 중심으로-

        김병두 ( Byung Du Kim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홍익법학 Vol.13 No.1

        1913년 내지 1918년에 일본의 동경원점을 측량원점으로 하여 토지조사사업이 실시되었다. 그러나 이후 측량기준점의 망실, 종이지적의 신축 마모 훼손, 국유지의 지적공부에 미등재 등 정확하지 않은 지적정보로 인하여, 토지에 관한 권리자간의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토지개발사업의 지연 등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격증하고 있다. 무엇보다 열악한 도해(圖解)측량으로 작성된 도상경계를 기준으로 하는 기존 지적은 지적불부합지를 사후적으로 조정하는 기준이 될 수는 있으나, 지적불부합지가 생성되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법적 분쟁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한계에 놓여 있다. 따라서 국토 전체에 대하여 지적을 재조사하여 지적공부에 토지를 재등록을 하는 지적재조사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2011. 9. 16. 토지의 실제현황과 일치하지 아니하는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을 바로잡기 위한 지적재조사사업의 실시근거 및 절차규정 등을 두는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 공포되었다. 그러나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은, 공법적 연구를 기반으로 준비된 나머지 사법상의 권리관계를 소홀히 취급하고 있으며, 행정법적 효율성이 개인의 권리보호에 앞서 강조되는 경향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사법적 권리관계에 대한 법률제도가 정비되지 않은 현 상태에서는 법률제도의 흠결로 인하여 개인적 법익을 둘러싼 법률분쟁을 극복하기 어렵다. 지적 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ⅰ) 토지의 실제 현황과 기존의 지적공부 상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적소관청은, 토지소유자의 합의, 현실경계, 경계복원측량 등의 기준을 가지고 경계를 설정하고, ⅱ) 그에 따라 지적재조사측량 및 지적확정조서를 작성하고, ii) 그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경계결정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경계가 결정 된다. 그러나 결정된 경계가 실체적 권리관계에 부합하지 않으면, 위의 경계는 확정되지 않게 된다. 토지소유자 또는 이해관계인 등이 지적소관청에 대하여 이의신청을 하거나, 경계결정위원회의 결정에 대하여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을 제기하는 경우에는 경계는 확정되지 않으며, 이른바 경계 미확정의 토지로서 잔존하게 된다. 경계결정위원회의 결정에 불복하는 토지소유자의 필지는 사업대상지에서 제외되는 바, 새로운 지적공부를 기초로 한 등기부와 기존의 지적 공부를 기초로 한 등기부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고, 장래에 소유권확인소송의 형태로 경계분쟁이 발생할 것이다. 그 밖에 설정된 경계에 불만을 가진 토지 소유자 등은 경계확정의 소, 소유권확인의 소, 취득시효의 주장 등 다양한 소송상 주장을 하면서 반발할 것이 예상된다. 본고에서는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이 인접하는 토지의 소유권의 범위에 관하여 물권 변동이 발생하는지 여부 및 정금 징수 및 지급의 법률관계에 대하여 명확하게 규정되어있지 않음에 착안하여, 그 법률관계의 규명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장차 경계분쟁에 있어서 쟁점해결에 유관할 것으로 판단된다. From 1913 to 1918, the land survey project was conducted with Tokyo Datum as the surveying origin. However, since then, due to incorrect cadastral data caused by loss of surveying control points, stretch, wear and damage of paper cadastral maps and unlisted national lands on the cadastral records, disputes between owners for lands have frequently been occurred and the social and economic costs such as delay of land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increasing. Above all, existing cadastral maps based on the graphical boundaries established by poor graphical surveying could be used controlling references for cadastrally discrepant lands afterhand, but for they could not be used to proactively cope with situations that cadastrally discrepant lands are generated, they are limited on fundamental prevention of legal dispute possibilities. Therefore, desperately needed is renovation of cadastre that re-registers lands to cadastral records by nationwide cadastral resurvey. To cope with such needs, on September 16th, 2011,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was enacted and promulgated for implementation basis and procedures of cadastral resurvey project to correct inconsistent cadastral records with actual states of lands. However, for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was prepared based on public act studies, it handles judicial rights carelessly, and it tends to emphasis on administrative law efficiency rather than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individual. Under current status that the legislation system for judicial rights is not organized, it is hard to avoid legal disputes around legal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individual due to deficiency of the legis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ⅰ) if the actual land state is not coincident with the boundary on the cadastral record, the cadastral competent office shall establish the boundary based on agreement between land owners, actual boundary and boundary relocation surveying, ⅱ) accordingly, shall conduct renovation surveying of cadastre and prepare the cadastral confirmation report, and ⅲ) shall determine the boundary by the resolution of the boundary determination council based on such data. However, if the determined boundary does not correspond with actual rights, above mentioned boundary cannot be determined. If land owners or stakeholders appeals to the cadastral competent office or file an administrative adjudication or litigation against the decision of the boundary determination council, the land has to be remained as so called the boundary undetermined land. As the land unit of the land owner who objects to the decision of the boundary determination council is excluded from the project target lands, it may create conflict between the registration book based on new cadastral record and that based on existing cadastral record and the boundary dispute will occur in the form of ownership verification lawsuit in the future. Other than that, it is expected that the land owners dissatisfied with established boundaries will object by various suit claims such as boundary confirmation suits, ownership verification suits and acquisitive prescription claims. In this paper, noticing that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does not clearly stipulate on whether there is change in the real right for the ownership scope of adjacent lands and legislative relationship for specie collection and payment, it is attempted to seek verification on its legislative relationship. It is considered that such attempt will be relevant to resolutions in the boundary disputes in the future.

      • KCI등재

        프랑스의 지적정보의 갱신사업에 관한 민사법적 고찰

        김성욱 ( Sung Wook Kim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홍익법학 Vol.13 No.3

        The title of this thesis is A Study of Civil Law in connection with Renovation Project of France`s cadastral Information. It would be difficult at the present moment to predict exactly what problems may arise in the future. However, there should be efforts to find solutions for problems related to regulation of public order so that the risk of causing unreasonable consequences can be minimized. Since Cadastral System is something that is being newly developed, a thorough examination of past problems can lead to a future Cadastral System that is more rational and accords with substantial justice. All countries have been made efforts to land management in the world, because land is essential as the foundation of country. Land management made the land survey, varied a background and a purpose each times. Recently,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Project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and thus stable and practical legal foundations for implementing successful Cadsstral Resurvey Project are strongly required. Cadastral Advance Project designed by Korean government contains that registration of cadastral records would be revised and paper-based cadastre should be converted into Digitalization. The cadastral non correspondence arrangement is a national project that tries up a lot of workers, equipment, budget and time.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plays a pivot role in providing legal basis to promote governmental Cadastral Advance project and Korean government should progress successful advanced cadastre on the basis of this act. I explained about the main contents in connection with Renovation Project of France`s cadastral Information and dealt with the important contents of Renovation Project of France`s cadastral Information and suggested especiall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Renovation of cadastral Information, Legal Basis and Responsible state agencies in Korean Cadastral System or Korean Cadastral Resurvey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