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비전 인식과 조직변화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 조직신뢰의 매개역할

        김기근,문명,조윤형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비전 인식이 조직변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변수들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직비전 인식은 명료성, 공유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직변화에 대한 태도는 인지적 요소와 행동적 요소로 구분하였다. 조직비전이 명료하다고 인식하고 조직비전이 조직구성원들에게 공유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조직구성원들은 조직에 대해 신뢰하고 이를 통해 조직변화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연구가설의 설정은 주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로 설정하였다. 표본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53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비전 인식의 영향력에 있어서 명료성 인식은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변화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반면에 공유성 인식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둘째, 조직신뢰는 조직변화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데 조직비전 공유성 인식이 조직변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비전 명료성 인식은 조직변화에 대한 태도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고 조직비전 공유성 인식은 조직신뢰를 통해 조직변화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조직비전과 조직변화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태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더불어 조직신뢰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조직이 추구하는 비전이 조직구성원들을 조직변화 노력에 동참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직신뢰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vision and attitude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als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trust those of variables. the organizational vision is divided into vision salience and vision shardeness. attitude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is consist of cognitive and behavioral component. We formulated direct effect hypothesis and medi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es, survey method are performed. total 253 questionnaires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vision salience have positive impact on attitude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however, organizational vision shardeness have not significant impact on attitude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second, organizational trust have positive impact on attitude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third, organizational trust have partially mediating role of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vision shardeness and attitude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Based on results, we conclude that a vision to be salient, employees feel that vision has been articulated, and will be likely more motivated to engage in activities based on organizational change that coincide with the visionary direction. it means that company emphasis on communicating and building consensus about the salient vision will be necessary to build up positive attitude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also, vision shardeness amplifies to enhance employees' good attitude of organizational change through organizational trust. if organization enhance effort of organizational vision shardeness, employees are implicitly acceptance of vision which having trustworthiness of organization. organization vision shardeness lead to organizational trust, that's why explain about organization should consider trust when formulate various organizational change practices.

      • KCI등재

        대기업 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변화태도와 긍정심리자본, 학습지원환경 및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

        나소영 ( Soyoung Na ),김진모 ( Jinmo Kim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6 HRD연구 Vol.1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기업 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변화태도, 긍정심리자본, 학습지원환경 및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대기업 근로자이다. 이 연구의 자료조사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253명의 응답자 중 240명의 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주 효과 및 조절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기업 근로자가 인식한 긍정심리자본은 조직변화태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지원환경은 조직변화태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변화태도의 관계에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심리자본이 기질적 특성이 강하고,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선행변인으로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셋째, 학습지원환경과 조직변화태도의 관계에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결론을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attitude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employees in large corporations. The data was collected total 253 out of 240 questionaries were used for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n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The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had an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However, learning supporting system haven`t an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Third,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ttitudes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I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s the trait-like, and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uld be considered as a antecedent variable. Fourth,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and attitudes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major conclusion and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HRD fields were suggested.

      • KCI등재

        기업에 대한 태도변화, 구매 및 불매의도를 통한 CSA 효과 검증 : 사전 기업태도, 개인-기업 입장 일치여부를 중심으로

        신별(Byeol Shin),조수영(Sooyoung Cho)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3 No.4

        CSA(Corporate Social Advocacy)는 사회적으로 논쟁적 이슈에 대한 기업의 입장표명 행위를 일컫는 개념으로, 소비 트렌드의 변화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의 역할이 강조되는 가운데 등장한 기업의 새로운 사회적 행위이다. 본 연구는 CSA의 주체, 대상 및 행동 요인의 상호작용을 고려하고 다양한 층위의 행동 변인을 추가하여 CSA에 대한 공중 반응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 기업태도(긍정/부정), 이슈에 대한 개인-기업 간 의견 일치여부(일치/불일치)에 따라 CSA로 인한 공중의 기업 태도 변화, 구매의도, 불매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조절변인으로 이슈 관여도와 구매경험을 고려하였다. 주요 결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논쟁적 이슈에 대한 기업 CSA를 접했을 때, 자신과 기업의 입장이 일치하지 않을수록 기업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 방향으로 크게 변화하였고, 입장이 일치할수록 구매의도가 높고 불매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한편 기업에 대한 기존 태도가 긍정적인 사람일수록 구매의도가 높았으나 동시에 부정적 방향으로의 태도변화 정도도 높았다. 태도변화와 구매의도에 대한 구매경험의 조절효과도 일부 확인되었다. 기업과 이슈에 대한 의견이 일치하는 사람보다 일치하지 않는 사람이 구매경험에 따른 태도변화 차이는 크고, 구매의도 차이는 적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공중이 CSA를 받아들이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CSA의 실무적 활용과 이론적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has been increasing attention to CSA(Corporate Social Advocacy) which refers to a organization"s public stance on controversial social-political issues.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consumer’s attitude change toward the organization, purchase and boycott intentions, depending on prior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positive/negative), and congruence between a consumer-organizational stances toward a social-political issue(in/congruence). In addition, an issue involvement and a purchase experience were chosen as moderating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people learned the CSA, the less their own attitudes toward the social-political issue were agreed with an organizational stance, the more their attitudes toward the organization changed in a negativ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shared the same stance with the organization showed a high purchase intention and low boycott intention. Also, the more positive people’s prior attitudes toward the organization were, the higher purchasing intention they had, but they were more likely to change attitudes toward the organization in a negative dire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urchasing experience on attitude change and purchasing intention have been partially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and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CSA by providing how the Korean public accepts CSA.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