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형성과 변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오세영,구형선,송정화 한국신종교학회 2019 신종교연구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were reviewed, and the response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to the institutional and legal changes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was analyzed, and the issues and issues that followed were analyzed.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and change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escription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was the result of an active response to the enactment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law in 1970. Second,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and its facilities, which soared in the 2000s, account for the overwhelming portion of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Samdonghoi, and the typ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was the most common among the elderly, and was the most concentrated in Jeonbuk by region. Third, Won-Buddhism founded a social welfare corporation in each diocese across the country while advocating ‘nationalization of welfare foundations’but failed to grow to its original purpose.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insufficient diocese capability and poor response at religious body. Fourth,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is highlighted as the issue of reintegration of social welfare foundations, the problem of improvement of delivery system, and the issue of religious body responsibility for diocese foundations. Finally, the history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has been formed and changed in line with the institutional and legal changes in Korea’s social welfare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형성과 변천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설립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변화 추이와 사회복지의 제도적⋅법적 변화에 따른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대응을 분석한 후, 그에 따른 현안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형성과 변천에 따른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원불교사회복지법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은 1970년 사회복지사업법 제정에 따른 적극적인 대응의 결과였다. 둘째, 2000년대에 들어서 급증한 원불교사회복지법인 및 시설은 사회복지법인 삼동회가 압도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은 노인복지시설이가장 많고, 지역별로는 전북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원불교계는 ‘복지법인의 전국화’를 표방하면서 전국 각 교구에 사회복지법인을 설립하였으나본래의 취지에 맞게 성장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교구역량부족은 물론 교단적 차원에서의 대응이 미비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넷째,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은 사회복지법인의재통합 문제, 전달체계 개선에 관한 문제, 교구법인에 대한 교단적 책임 문제 등이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역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제도적⋅법적 변화와 그 맥을 같이하면서 형성되고 변천해왔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소태산의 정법회상론 -원불교 정체성의 길을 묻다-

        권동우 한국신종교학회 2019 신종교연구 Vol.40 No.-

        Won-buddhism is really Buddhism or a New relig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which has not been solved for a long time, and to seek its answer. The result of this paper is to reconfirm the identity of Won-buddhism in the perspective of Buddhism, especially ‘completion of Mahayana Buddhism’-oriented Buddhism. While most people in Won-buddhism argue identity of Won-buddhism as a religious organization, that is the direction of an intact religion, I aim to urge Won-buddhism to return Sotaesan’s original spirit, emphasizing that Won-buddhism will regain Buddhistic identity. For this, ‘Dharma Assembly’ of Sotaesan(1891-1943), both a great religions teacher(大宗師) and the founder of Won-buddhism, should come into the spotlight. While previous researches have been mostl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in perspective of doctrine and system of Won-buddhism or social environment⋅political relationship, this paper will consider Buddhistic meaning of Won-buddhism in the perspective of ‘Dharma Assembly’s world view, which was suggested by Sotaesan. 원불교는 과연 불교인가, 아니면 독자적인 종교인가? 원불교의 정체성에 직접 관련되나 오랫동안 해소되지 않고 있는 원불교의 불교의 관계를 다시 거론하고 그 답을 찾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본고에서는 원불교가 불교, 특히 ‘대승불교의 완성’을 지향하는 불교라는 시각에서 원불교의 정체성을 다시 확인해 가고자 한다. 원불교 내부적으로 많은 구성원들이 원불교의 독자적인 교단으로서의 정체성, 곧 독립된 종교의방향을 주장하고 있는데 대해, 논자는 오히려 원불교의 불교적 정체성 회복을 강조하는 것이며, 원불교가 소태산의 본래정신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하려는 목적에서 본고를 작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목한 것이 원불교의 교조 소태산대종사의 ‘정법회상’이다. 이는 기존의 원불교와 불교의 관계에 대해 주목한 논고들 대다수가 원불교의 교리적인 면, 제도적인 면, 또는 사회환경적⋅정치적 관계 속에서 원불교와 불교의 관계에 주목한 것에 대해, 본고는 소태산이 제시하고 있는 ‘정법회상’이라는 세계관의 측면에서 원불교의 불교적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불교와 원불교의 만남

        장진영 한국불교학회 2011 韓國佛敎學 Vol.61 No.-

        Encounter of modern age and Buddhism gave a birth of Won-Buddhism. If there was no Buddhism, a universal religion, or no turmoil period of modern time, in this country, then Won-Buddhism might not be able to show its figure in this world. Sotaesan Jung-Bin Park(1891-1943) had developed new dimensional religious movement by combining whole energy of new religion to universality of Buddhist thought. Direction of Won-Buddhist movement can be comprehended as a process forwarding from a native modern neo-religion to an innovative Buddhism, then to a neo-Buddhism. From this aspect, the meeting of Buddhism and Won-Buddhism can be investigated with three periods in general. The first period is "from Sotaesan's enlightenment to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In this period,Sotaesan established his origin as Buddha-dharma for his experience of reading Vajracchedika Sūtra, proclaimed a future Buddha-dharma,and laid the foundation of tenet and system of a innovative Buddhism after surveying those of traditional Buddhism. Sotaesan,from the early perio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undane life and mainly suggested the way of "the essential dharma of the Way of humanity" for being able to practice and study Buddha-dharma without leaving actual life. The second period is "after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to the declaration of Won-Buddhism." In this period,Sotaesan made his stand point concrete with his proclamation of Buddha-dharma. He asserted the stand point of innovative Buddhism in and out, through the Theory on Innovation of Choseon Buddhism published in 1935. And Buddhistic reconstruction of tenet had been conducted with centered on "the Dharmakāya Buddha, Il-won-sang."It was a process of innovation of Choseon's Buddhism turing to modern age, and a way of coping with suppression policy to "pseudo religion" of Japanese police. From the view point of traditional Buddhism, Won-Buddhism was nothing but an innovation from outsider. However, Sotaesan was ceaselessly trying to find out hopeful prospective of future Buddha-dharma, maintaining critical view point to traditional Buddhism from the stand point of "a Buddhism but not adhering to Buddhism."The third period is "from proclamation of Won-Buddhism to present." The main subject of innovative Buddhism was mostly "Choseon Buddhism", however, proclamation of the name,Won-Buddhism, became a causation to develop neo-Buddhism as a part of "world Buddhism."Won-Buddhism is still a minority, however, awarded a positive valuation for a independent Buddhist order. It does not mean extinction controversy whether it is a Buddhism or not. It is very valuable to discuss in private and public. The essential point is finally coming back to the matter of "what is Buddhism?", whatever they decide on identity of Won-Buddhism as a Buddhism or not. It is worthy to watch that as Won-Buddhism developed from ethnic religion as a Korean native neo-religion to innovative Buddhism, it can move forwards to "a universal religion" of mankind as a neo-Buddhism. But it can not deny that Won-Buddhism had deeply deliberated of problems of Choseon Buddhism from little different angle, and played a part to expand the scope of Korean Buddhism and to raise its state, by participating to the flow of neo-Buddhism of contemporary with autonomous and subjective motive. 근대와 불교의 만남은 원불교를 낳았다. 이 땅에 불교라는 보편종교가 없었다면, 그리고 근대라는 격변의 시대가 없었다면, 원불교가 세상에 그 모습을 드러낼 수 없었을 것이다. 少太山朴重彬(1891-1943)은 新종교의 에너지를고스란히 불교의 보편성에 접목시킴으로써 새로운 차원의 종교운동을 전개하였다. 원불교 운동의 방향은 근대 자생의 新종교에서 출발하여 혁신불교로, 나아가 새 불교로 전개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불교와 원불교의 만남을 크게 3시기로 살펴보았다. <1기>인 ‘소태산의 대각부터 불법연구회 창립까지’는 『금강경』을 인연으로 불법에 대한 연원을 정하고, 미래의 불법을 선언하였으며, 전통불교의 교리와 제도를 견문하고 혁신불교의 교리와 제도를 초안하였다. 소태산은 일찍부터 世間生活을 중시함으로써 일상을 떠나지 않고 불법공부를 할 수 있도록 ‘人道上의 要法’의 길을 주로 제시하였다. <2기>는 ‘불법연구회 창립부터 원불교 선포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불법선언에서 제시되었던 입장이 구체화된다. 1935년 발간된 『조선불교혁신론』을통해서 내외적으로 혁신불교의 입장을 천명하였고, ‘법신불일원상’을 중심으로 교리의 불교적 재구성이 진행되었다. 이는 근대를 맞이한 조선불교에 대한 혁신의 과정임과 동시에 일경의 유사종교 탄압 정책에 대응하는 방식의하나였다. 전통불교의 입장에서는 외부자의 혁신일 수밖에 없지만, ‘불교에얽매이지 않은 불교’의 입장에 선 소태산은 전통 불교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견지하면서도 미래 불법에 대해서는 희망적 전망을 제시하고자 했다. <3기>는 ‘원불교 교명 선포 이후 지금까지’이다. 혁신불교의 대상이 주로‘조선불교’였다면, 원불교 교명 선포는 ‘세계불교’의 일부로서 새 불교운동을전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원불교는 여전히 소수자의 종교지만, 독자적인 불교교단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그렇다고 불교냐 불교가 아니냐는 논쟁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핵심은 ‘원불교는 불교다’라고 하든, ‘원불교는 불교가 아니다’라고 하든, 결국 ‘불교가 무엇이냐’라는 문제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원불교가 한국 자생의 新종교인 ‘민족종교’에서 다시 새 불교로서 인류사회의 ‘보편종교’로 나아갈 수 있을지 여전히 두고 볼 일이다. 다만 원불교가 근대에 조선불교가 안고 있었던 문제를 조금은 다른 입장이었지만 함께 고민하였고, 현대불교의 흐름에도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동기에 의하여 동참하고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국불교 나아가 세계불교의 흐름 속에서 원불교 운동이 가지는 의의에 대한 바른 평가가 요청된다.

      • KCI등재

        원불교의 정체성 정치와 위치

        고병철(高炳哲)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3 No.-

        이 글의 목적은 원불교가 전개한 종교 정체성의 정치를 검토하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자들은 대체로 원불교를 불교나 신종교와 동일시하는 관점을 보여주었다. 그에 비해, 이 글에는 원불교가 정체성의 정치를 통해 중층적인 종교 정체성을 형성해왔다는 관점이 담겨 있다. 이런 관점을 토대로, 제2장에서는 종교 정체성의 변화를 드러내기 위해 원불교의 역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저축조합(1917), 불법연구회기성조합(1919), 불법연구회(1924), 원불교(1948) 등으로 전개된 역사적 과정에서 스스로를 불교단체 또는 신종교로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이 원불교 내부에 축적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1970년대 이후, 원불교의 종교 정체성에 관한 연구 경향을 논쟁 형태로 분석하였다. 여기서 논쟁 형태는 불교와 차이를 드러내어 신종교임을 강조하는 연구 경향, 그리고 불교와 유사성을 강조하는 연구 경향의 구도를 말한다. 그리고 이런 논쟁 구도가 형성된 배경이 원불교 역사에서 축적된 중층적 종교 정체성에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4장에서는 원불교가 사회적으로 전개한 종교 정체성의 정치와 효과에 관해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원불교가, 비록 1970년대 중반 이후 한국불교종단협의회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1948년 이후 불교 연합체에 꾸준히 참여한, 동시에 1962년 이후 범종교 연합체에서 활동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불교와 다른 독자성을 강조하면서 국가장, 군종, 교화위원, 인구총조사, 학문 분류 등의 측면에서 여러 제도적 이익을 획득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원불교의 중층적 종교 정체성이 역사적 경험의 축적물이고, 원불교의 현재 위치가 특히 해방 이후에 종교 정체성의 정치가 만들어낸 산물이라고 지적하였다. 구체적으로, 원불교가 이런 중층적 종교 정체성을 가지고 불교나 신종교와 공존할 수 있었고, 불교와 다른 독자성을 강조하여 불교와 동등한 차원에서 여러 제도적 이익을 획득할 수 있었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런 공존 가능성과 제도적 이익을 고려할 때 앞으로도 원불교가 종파불교나 신종교단체 가운데 어느 한 쪽만으로 종교 정체성을 규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dentity politics of Won-Buddhism in Korea. So far, many researchers have claimed that Won-Buddhism is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or a new religion. However, I take the view that Won-Buddhism has formed layered identities as both Buddhism and new religion, through the politics of religious identity. Based on this perspective, in chapter 2(‘Religious identities of Won-Buddhism’), I revealed the multi-layer dimensions of Won-Buddhists’ identities, examining the history of Won-Buddhism, And, I argued that Won-Buddhism can be regarded as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or as a new religion. In chapter 3(‘Controversy between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and a new religion’), I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on identities of Won-Buddhism since the 1970s. Looking at these trends, the researches of the first type have exposed the differences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and have emphasized Won-Buddhism as a new religion. By contrast, the researches of the second type have exposed the similarities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and have emphasized Won-Buddhism as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These trends were made because multi-layer dimensions of Won-Buddhists’ identities. Finally, in chapter 4(‘Won-Buddhism and Identity politics’), I examined the identity politics as Won-Buddhism. Here, I pointed out that Won-Buddhists, though they did not participate in Association of Korean Buddhist Orders since the mid-1970s, have worked in Buddhist association since 1948, not only in the pan-religious coalitions since 1962. As a result, Won-Buddhists could obtain various institutional interests through their identity politics. In summary, Won-Buddhists have formed multi-layer religious identities in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and Won-Buddhism could have existed between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and a new religion through its identity politics. And Won-Buddhism has obtained institutional interests at the similar level with Buddhists organizations. Considering these aspects, we can assume that multi-layer identities of Won-Buddhism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KCI등재

        원불교의 탈불교화 과정에 대한 연구

        원영상 ( Yong-sang Won ) 한국신종교학회 2016 신종교연구 Vol.35 No.-

        원불교와 불교의 관계는 원불교 교단의 정체성은 물론 원불교의 현재와 미래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사안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원불교교헌 개정을 둘러싸고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논쟁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기도 하다. 이 과정 속에서 필자는 원불교의 역사를 통해 왜 원불교가 탈불교화의 길을 걷게 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 제기는 물론 소태산 박중빈의 깨달음에 의해 세워진 불법연구회가 전통적인 불법을 계승하고 있다는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소태산 박중빈의 불교관을 제시한 다음, 초기 교서인 『』불교정전(佛敎正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기 교단, 즉 불법연구회는 불교 결사운동의 현대적인 활동임을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1948년 원불교의 교명 전환이 이루어진 후, 불교와의 거리두기가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1962년 발포된 「불교재산관리법」에 제한받지 않기 위해 교단 스스로 제출한, 불교와의 관계를 단절하기 위한 정부청원을 계기로 탈불교화가 가속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원불교교헌」의 변천과정에서 드러난 불교에 대한 관점을 통해 살펴보았다. 원불교 교단의 출발과 함께 제정된 초기 교헌으로부터 현재의 교헌까지는 불교의 진리관과 세계관을 계승하고 있으며, 특히 불교와의 관계를 강조한 연원불(淵源佛) 조항은 이점을 잘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990년대 원불교 최고결의기관인 수위단회에서도 불교와의 관계에 대해 원불교의 입장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원불교의 탈불교화에 대한 의식은 일련의 역사적 과정에서 파생된 것이며, 불교와 원불교의 내적 일치를 공식적으로 천명한 교조 및 교단의 입장으로부터도 벗어난 것임을 알 수 있다. The relation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may be one of important factors to decide not only the identity of the Won-Buddhist Order but also the orientation of the present and future of Won-Buddhism. Recently it is also emerging up as a heart issue among many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of Won-Buddhism. From such perspective, I tried to elucidate why Won-Buddhism walked a path of de-Buddhistization through the history of Won-Buddhism. This presentation of an issue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established by Sotaesan Park Jungbin`s enlightenment had succeeded to the traditional Buddhadharma. Accordingly I suggested the Buddhist view of Sotaesan Park Jungbin first, and then analyzed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as a scripture of early times. And I suggested tha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as an early Order, was modern activities of the Buddhist association movement. Nevertheless, after the title of Won-Buddhism has changed in 1948, the Order`s keeping distance from Buddhism had appeared. Especially in order not to be restricted by The Buddhist Property Management Law declared in 1962, the Order itself presented a petition to the government to sever the relation with Buddhism. From such incident the de-Buddhistization accelerated. As well, it examined the Order`s perspective on Buddhism which was revealed at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Constitution of Won-Buddhism. From the early Constitution,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with the Order`s founding, to the present Constitution, the Won-Buddhist Order has inherited the truth view and the world view of Buddhism. Especially the article of The Buddha of an Original Guide shows this point very well. Moreover, in 1990`s the Supreme Dharma Council, the Won-Buddhist highest resolution organization, elucidated clearly the Won-Buddhist standpoint about the relation with Buddhism. Accordingly, the recent Won-Buddhist awareness about the de-Buddhistization was derived from a series of historical process, and deviat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Order which officially declared the unity of Buddhism and Won-Buddhism.

      • KCI등재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 원불교사회복지의 전개, 그 특징과 의의

        오세영 한국신종교학회 2020 신종교연구 Vol.42 No.-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oblem of lack of evaluation and academic research efforts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in Jwa-San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has been developed in A, and to examine its features and significance. To achieve this goal, the background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in Jwa-San Era was examined in terms of political, socio-economic and ideological aspects, and the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developed at that time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n-Buddhism’s social welfare in Jwa-San Era has developed direct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government’s policy response due to changes in the regime, IMF economic crisis, low birth rate and aging. Second, Won-Buddhism’s social welfare was influenced by the perceptions of the welfare issues of the left mountain workers and the economy. Third,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parish unit social welfare corporation according to the ‘nationalization of welfare’ has left many problems by choosing to separate from an existing corporation rather than to establish a new corporation. Fourth, the Korean Overseas Koreans Support Project of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Council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overseas business of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Chinese and North Korean cultivation. Lastly, the development of non-profit organizations created on the ideological basis of Won-Buddhism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base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Despit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Jwa-San Era’s Won-Buddhism social welfare has left many challenges. 본 연구는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 원불교사회복지의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평가와 학문적 연구의 노력이 미흡하였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 원불교사회복지가 어떻게전개되어 왔는가를 고찰하고, 그 특징과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달성하기 위하여 좌산종사시대의 원불교사회복지의 배경을 정치적, 사회⋅경제적 및사상적 측면에서 살펴본 후, 그 시기에 전개된 원불교사회복지의 내용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의 원불교사회복지는 정권의 변화, IMF 경제위기, 저출산⋅고령화 등의 변화에 따른 정부의 정책적 대응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으면서 발전해왔다. 둘째,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원불교사회복지는 좌산종사의 복지문제에 대한 인식과 경륜의 영향을 받았다. 셋째, ‘복지의 전국화’경륜에 따른 교구단위 사회복지법인 설립방식은 기존의 법인으로부터분리하는 방식을 택함으로써 많은 문제점을 남겼다. 넷째, 원불교사회복지협의회의한민족해외동포지원사업은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해외사업 개발과 중국 및 북한교화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원불교의 사상적 기반위에서 생겨난 비영리조직의 발전은 원불교사회복지의 저변을 확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원불교사회복지의 특징과 의의에도 불구하고 좌산시대에 있어서의 원불교사회복지는 많은 과제를 남겼다.

      • KCI등재

        원불교 문화콘텐츠 현황과 문화인프라 구축 방향

        허남진(許南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5 No.-

        본 연구는 2세기 원불교 문화인프라 구축의 방향에 대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원불교의 문화인프라 구축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접근해 보았다. 먼저 2세기 원불교 문화진흥을 위한 원불교문화에 대한 재정립을 시도했다. 원불교문화콘텐츠 현황을 검토하기 위해 원불교문화콘텐츠를 ‘콘텐츠로서의 원불교문화’가 아닌 ‘콘텐츠화된 원불교문화’ 즉, 원불교문화가 특정한 매체를 통하여 창출된 생산물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원불교의 문화인프라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앞으로 문화인프라를 어떻게 구축하고 어떠한 내용을 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이제 2세기 원불교문화 창달과 진흥을 담당하게 될 기관은 문화환경의 변화에 따라 역할도 새롭게 재정립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또한 원불교문화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문화이벤트나 문화상품 개발기획과 함께 콘텐츠를 정확히 파악하고, 원불교적 가치가 발현될 수 있도록 원불교 문화생태계를 제대로 만드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direction of construc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of the Second Century of Won-Buddhism. For this purpose, I tried to approach Won- Buddhism as follows. First, I tried to reorganize the culture of Won-Buddhism for the promotion of Won-Buddhism culture in the Second Century of Won-Buddhism. and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Won Buddhism culture contents, I examined the Won-Buddhism culture contents as ‘content Won-Buddhism culture’ rather than ‘Won-Buddhism culture as content`, that is, the Won-Buddhism culture through the media. Second, I have looked at what are the problems of Won-Buddhism cultural infrastructure, and how to reconstruct cultural infrastructure and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future. In conclusion, I have argued that the institutions that will be responsible for promoting the culture of the Second Century of Won-Buddhism should be newly reorganized according to changes in cul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For activate the Won-Buddhism cultural business,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the cultural events and cultural products development planning and to make the Won- Buddhism cultural ecosystem properly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ontents and to express Won-Buddhism’s values.

      • KCI등재

        『대승기신론』과 원불교

        김도공(金道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9 No.-

        『대승기신론』은 비록 인도 찬술설과 중국 찬술설로 논란이 많지만, 불교사상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논서이다. 그러나 불교와 원불교의 관계 속에서 볼 때, 『기신론』이 원불교의 교리와 문화 형성과정에는 어떤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관계는 발견할 수 없다. 원불교 교리의 핵심내용인 일원상의 교리구조를 볼 때『기신론』의 핵심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일심사상과 원불교의 일원상진리는 그 구조와 의미에서 서로 상통하고 있다. 이 점을 인정할 때 『기신론』의 이해와 해석을 둘러싼 많은 논쟁점들은 원불교의 일원상진리 해석상의 논점들에 매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이는 원불교에서 일원상진리를 해석 · 전개시켜 가는데 참고해야 할 부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국불교 근대화의 아버지로 불리는 양문회의 사상과 그의 문하생들이 중국불교를 실제로 근대화시키는 주역으로 등장하고 있는 시기와 소태산이 근대 조선불교를 새롭게 개혁하기 위해서 『조선불교혁신론』의 저술 속에 새로운 관점들을 전개하여 근대한국의 새로운 개혁불교를 열고 있는 시기와 그 방법론에 있어서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사실 『기신론』과 원불교의 역사적 연결관계는 없다. 그러나 불교사상이나 원불교사상이나 한마음 일심의 세계를 밝혀가고자 하는 같은 맥락의 사상이기 때문에, 이미 불교사상 내에서 충분히 성숙된 『기신론』을 유의 깊게 음미하는 것은 원불교사상의 발전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 분명하다.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though it very controversial for Indian work theory and Chinese work theory, is exquisitely important treatise in history of Buddhist thought. However, in the relation between Buddhism and Won-Buddhism, it is unable to find out the actual factor that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had given direct influence to establishment process of doctrine and culture of Won-Buddhism. Concerning on doctrinal structure of Il-Won-Sang, the core of Won-Buddhist doctrine, one mind thought, the central doctrine of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and the Il-Won-Sang truth are mutually connected in its structure and meaning. Considering on this point, various arguments on comprehension and interpretation on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could provide valuable suggestion for the discussion on the interpretation of Il-Won-Sang truth in Won-Buddhism. It means that the thought in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has many suggestive resources to interpret and develop Il-Won-Sang truth in Won-Buddhism. The time that Sotaesan had opened new reformative Buddhism in modern Korea by developing new view points in his work the Reformation Theory of Choseon Buddhism for change was very similar circumstances and structure to the thought of Yang Wen Hui who called the father of modernization of Chinese Buddhism, and the time that his pupils had appeared as main stream of actual modernization of Chinese Buddhism. As it has already mentioned,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and Won-Buddhism have no historical connection. Close research on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as a matured Buddhist thought is worthful for development of Won-Buddhist thought, since the both thoughts of Buddhism and Won-Buddhism are contextually identical stream of thought to illuminate the world of one mind.

      • KCI등재

        원불교사회복지의 형성, 그 특징과 의의

        오세영(吳世榮)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1 No.-

        본 연구는 원불교사회복지의 형성과 전개에 대한 설명을 시도한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원불교사회복지의 시작을 무엇으로 볼 것인가’에서부터 출발하였다. 그동안 원불교사회복지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왔으나, 정작 원불교사회복지 연구의 출발점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준인 ‘원불교사회복지의 시작을 무엇으로 볼 것인가’에 관한 논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원불교사회복지를 판단할 수 있는 논리적 기준과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원불교사회복지의 시작을 원불교의 개교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로 본다면 모든 종교의 사회복지역사는 종교의 탄생의 역사가 되어 버리고 만다. 즉, 모든 종교사회복지의 역사는 종교의 역사와 일치하게 될 것이며, 모든 종교 활동 그 자체가 곧 사회복지활동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오류를 피하고 올바르고 일관된 논의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원불교사회복지 시작의 규명을 위한 판단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원불교사회복지 시작의 판단기준은 종교사회 복지와 민간사회복지, 그리고 사회복지의 특징 내지는 기준을 통해 설정하였다. 즉, 원불교사회복지는 종교사회복지의 개념 범주에 포함되고, 종교사회복지는 민간사회복지의 개념 범주에 포함되며, 민간사회복지는 사회복지의 개념 범주에 포함된다는 전제하에 종교사회복지의 특징과 민간사회복지 및 사회복지의 판단기준을 활용하여 원불교사회복지의 시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원불교사회복지의 판단기준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복지의 제공주체가 원불교조직이기는 하지만 그 조직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다양한 구제의 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한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있었느냐 하는 점이었다. 둘째는 민간사회복지로서 원불교사회복지는 그 활동들이 공공복지활동과 기능 및 역할을 분담하고 있었느냐 하는 점이다. 셋째는 종교사회복지로서 원불교사회복지활동은 당시 종교지도자의 복지문제 인식에 대한 영향을 받았는가 하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 가지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역사적 배경을 살펴본 후 그 시기의 사회복지의 내용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원불교사회복지의 시작을 해방이후 정산종사의 건국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전재동포원호회와 서울보화원의 활동에서 찾을 수 있었다. This study try to explain about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The critical mind started from ‘what is the begin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Many studies about Won-Buddhism Social Welfare have been done, It has not be done properly the discussion about ‘what is the begin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 the key criteria that provides departure point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It has predominated the view that the begin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is the foundation of Won-Buddhism, the existing studies have not lay out logical standards and basis that can judge Won-Buddhism Social Welfare. however in this view, the history of every religion social welfare is only the history of foundation of every religion. In other words, The history of every religion social welfare becomes to correspond to the history of every religion,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every religious activity itself is the social welfare activity. To avoid like this error and argue correctly and consistently, In this study, I would suggest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to trace the begin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of the begin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has be configured according to religious social welfare, private social welfare and the hallmarks and the standards of social welfare. As a result, I would suggest following three suggestions as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The first is ‘did it have selection standards of a relief case in the organization of Won-Buddhism?’ The second is ‘did the activities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share duties with the activities of public welfare as a private social welfare?’ The third is ‘did the activities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be influenced by awareness of welfare issues of religious leaders as a religious social welfare?’ In this study, I have suggested these three standards for determining, after examining history background according to that, considered contents and characters of social welfare that times. The results of that, The beginning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could be founded in activities proceeded by The War Damage Compatriot Relief Association and Seoul-Bohwawon after liberation.

      • KCI등재

        종교의 사회적 구제와 민중종교론에 나타난 사회참여 -원불교의 평화운동과 교단 변혁을 중심으로-

        원영상(元永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0 No.-

        본 논문은 종교의 사회적 구제와 민중종교론에 나타난 사회참여의 입장에서 최근 사회적으로 첨예화 된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철폐운동에 대한 원불교의 참여와 이를 계기로 확대되고 있는 원불교 평화운동의 의미와 사회참여를 위한 교단의 변혁을 논한 것이다. 최근 3년 동안 한국사회는 사드를 둘러싼 논쟁과 외교적인 마찰이 끊임없이 일어났다. 그러나 그 본질은 한 국가의 법적 체계를 무너뜨리고, 어떠한 효용성도 없는 전쟁무기가 원불교의 성지에 배치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드가 배치된 경상북도 성주군 소성리를 중심으로 원불교 교단은 종교 및 사회단체와 연대하며 적극적으로 철폐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 문제에는 미국의 군사패권과 이를 뒷받침하는 과학과 기업, 그리고 국가권력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슬로건을 걸고 태동된 원불교로서는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된 사안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현대문명에 대응하고자 나온 현대불교이며 현대종교인 원불교야말로 사드배치가 가져온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보고 있다. 또한 국가의 한계에 대해서 종교는 종교적 방식으로 개입할 수도 있다고 본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먼저 원불교가 가진 시민종교로서의 속성을 밝혔다. 이와 함께 공공종교(公共宗敎)로서 원불교의 사회적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원불교는 참여불교(Engaged Buddhism)로서 자신의 교의 속에 이미 불법을 삶 속에서 구현한다는 사회 참여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제2세기를 맞이한 원불교의 전환의 시기에 교단변혁의 필요성을 기술했다. 그 동안 원불교 반백년 및 백주년 기념대회, 소태산 박중빈 탄생 백주년 기념대회 때에 행한 사회를 향한 다짐의 메시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라도 적극적인 사회교의의 제정과 사회참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아울러 이러한 사회참여적 종교 기반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현대사회에 적절한 조직의 재정비, 개방적이며 대중적인 종교문화의 창출, 개혁을 위한 대결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of Won-Buddhism in the movement for elimination of THAD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as well as the meaning of a peace campaign led by Won-Buddhism and changes made in Won-Buddhism for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last three years, Korea could not be free from consistent diplomatic disputes and arguments over THADD. In fact, the most important point might be that the weapon of war, of no use and destroys a legal system of one nation, is deployed in the sacred place of Won-Buddhism. Therefore, along with Sosung-ri, Sungju-gun, Gyeongsangbuk-do in which THADD is placed, Won Buddhism has been actively working with various social groups to withdraw the THADD deployment. This issue is complicated by the military supremacy of the US and the material civilization supporting it, in other words, national power and science, and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ligious identity of Won-Buddhism, born under the slogan ‘As material civilization develops, cultivate spiritual civilizat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o be proper for Won-Buddhism to actively respond to the THADD issue since modern Buddhism has been initiated to cope with the modern culture. It also views that a religion can intervene with the limitation of a nation in the religious manner. For such discussion, it is important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Won Buddhism as a civil religion. Also, it would be necessary to enhance social activities of Won-Buddhism further. Since Won-Buddhism is regarded as a participatory religion, it has promoted the idea of exercising the principles of Buddhism in daily life. Therefore, this study has discussed the necessity of transformation of Won-Buddhism in its 2nd century. It would be important to enact the doctrines to promot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Won-Buddhism in order to exercise and practice the commitments of Won-Buddhism made at the half centenary anniversary and the centenary anniversary of Won-Buddhism, and the contrary anniversary of Sotaesan Park Jung-Min. Furthermore, for Won-Buddhism to create the social participatory found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re-organize to be more suitable for a modern society and to create the more open and popular religious culture as well as a strong association for re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