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베이비붐세대 여성의 인적자원개발과 경제활동 참여

        허은성(Heo, Eun-Sung)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2012 여성연구논총 Vol.11 No.8

        본 연구는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출생한 집단인 베이비붐세대, 그 가운데 여성들의 경제활동 현장에서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인적자원개발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활동 참여율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낮았다. 남성의 경우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경제활동참여가 높은 반면 여성의 경우 대학원졸 이상을 제외하고는 학력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제활동참여율이 높았다. 베이비붐 세대의 혼인상태별 경제활동 현황은 배우자가 있는 경우 참여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여성은 배우자가 있는 경우 경제활동 참여가 가장 낮은 반면 남성은 배우자가 있는 경우 가장 높아 남성과 여성의 혼인상태별 경제활동 참여율의 현격한 차이를 드러냈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는 비경제활동여성에 비해 자아존중감,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감을 높여주었다. 경제적인 측면은 삶의 질을 구성하는 핵심 영역이며 개인은 직장을 통해 경제적 안정을 비롯한 많은 것들을 성취할 수 있는 것이다.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노후에 안정적인 소득원을 확보해 주기 위해 재취업지원이 필요하며, 그 방안의 하나로 인적자원개발을 연관시킬 수 있다. 경제활동 진입을 시도하는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하게 된 가장 큰 요인은 인적자원개발이라는 연구 결과를 통해, 베이비붐 세대 여성 인적자원개발이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focusing on analyzing Baby boomers Women(born between 1955 and 1963)’s Labor Force Participation. Promote Baby boomers women’s Human Resource Development which makes baby boomers women can contribute to economic activity. First of all, look at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the baby boomers, women’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was lower than for men.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of man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is high. Whereas Except for the Graduate School at least, the lower the educational level of women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is high. If women have a spouse has the lowest labor force participation. The other side, If men have a spouse has the highest labor force participation. Men and Women according to marriage condition, Revealed striking differences in labor force participation. Secondly, baby boomers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force compared to economically inactive women self-esteem, enhancing a sense of confidence in his ability was. Women who do not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y as opposed to, Baby boomers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self-esteem, confidence in their ability increases. Economic aspects that make the quality of life is a key area. nd economic stability due to having a job, and many things can be accomplished. Baby boomers women’s retirement income to ensure a stable re-employment assistance is needed. Attempts to enter the economic activity of women in economic activities to become a part of the biggest factors is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nsequently Baby boomer women to participate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to stimulate economic activity can be identified.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important that promote Baby boomers women’s Human Resource Development which makes baby boomers women can contribute to economic activity.

      • KCI등재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와 경력단절

        은기수(Eun, Ki-Soo) 한국인구학회 2018 한국인구학 Vol.41 No.2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의 특성을 기술적인 수준에서 분석하고 있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M자형을 보이는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형태는 2000년에 가까울수록 완만한 M자형으로 변하다가 최근으로 올수록 다시 경제활동참여의 정점과 최저점의 사이가 벌어지는 전형적인 M자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여성의 교육수준의 향상, 결혼연령 및 출산연령의 상승과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또한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형태가 M자형을 이루고 있는 배경에는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결혼과 출산이 여성의 경제활동참여를 가로막아 일하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낳고 있음을 확인한다. 그래서 이 연구는 2015인구및주택총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20-59세 사이의 기혼여성 중 결혼 전 일한 경력이 있는 여성을 골라, 경력단절의 경험이 있는지, 있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등을 기술적인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그 다음 다항로짓분석을 통해, 여성의 연령, 교육, 도시/농촌, 주택보유상황, 초혼연령, 그리고 결혼코호트별로 결혼과 출산이 여성의 경력단절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다항로짓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여성들의 경력단절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최근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결혼하고 노동시장에서 퇴장하는 확률은 매우 낮아지지만, 출산을 하게 되면 결국 노동시장에서 퇴장하는 확률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성의 교육수준이 여성의 경력단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과 출산으로 인해 노동시장에서 퇴장할 확률이 낮아지고, 반면에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결혼 및 출산으로 인해 여전히 경력단절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Pattern of Korean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shows M-shape which is also observed in Japan. This M-shape curve of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flattened around year 2000. However, as number of women who dropped from the labor market increased after marriage or childbirth, pattern of Korean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came to show much clearer M-shape again after year 2000. This change of pattern of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results from increasing educational attainment, postponement of marriage and childbearing in Korea. Marriage and childbirth are still critical barriers to hinder Korean women from pursuing careers without disruption. Using raw sample data from Census 2015, this research investigated experience of career discontinuities for women.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shows that age, education, urban/rural residence, type of housing, age at first marriage and marriage cohort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obabilities of the exit from the labor market because of marriage and/or childbearing.

      •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경제활동참가에 관한 연구

        신경수 ( Kyung Soo Shin ),이성아 ( Sung Ah Lee ) 한국창업정보학회 2006 창업정보학회지 Vol.9 No.2

        This study investigates in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by Gender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ent trend in women`s economic status and role.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1.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recently. It has stimulated variety of research about women`s economic status. 2.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high education level is higher. 3.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a farm is higher. The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a farm is higher. Although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has increased steadily, the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has not improved. The wage gap by gender has declined, but the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is getting worse. This results came from increasing demand for women`s labor in female dominated occupation. The decline of gender wage gap cannot be interpreted as a relaxa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Without improvement in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and ongoing crowding effect, increase in female participation would lead to higher gender wage gap. Therefore, improvement of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should precede reduction in gender wage gap.

      • KCI등재

        중국과 대만의 여성지위 비교연구: 경제활동참여를 중심으로

        이경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0 中國硏究 Vol.83 No.-

        This study attempts to recognize Chinese and Taiwanese women’s status level and its limitation by analyzing women’s economic activities in both countries. First of all,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in China is gradually decreasing as Chinese system converted to socialist market economy, whereas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in Taiwan is becoming higher. Meanwhile, age-specific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Chinese urban women and Taiwanese women shows similar figure forming a reversed U-shape. Next, in the aspect of gender division of labor(industrial, occupational, employment status and regular/non-regular distribution), China and Taiwan have contrary features. First, in the aspect of industrial distribution, proportion of Chinese women participating in primary industry is still high, while Taiwanese women take huge proportion in tertiary industry. Second, in the aspect of occupational distribution, Taiwanese women’s gender division of labor is evenly distributed compared to China. Third, in the aspect of employment status distribution, high proportion of Chinese women participate in self-employment, while high proportion of Taiwanese women participate as employees. Fourth, China has high proportion of non-regular women workers compared to Taiwan. Lastly, gender pay gap in China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after entering into socialist market economy. On the other hand, gender pay gap in Taiwan has been consistently decreased as the economy become developed and the society has been democratized. In conclusion, the reason why women’s status is becoming lowered is because after Chinese economic reform, patriarchy under market economy has been reinforced again, and this caused gender discrimination(gender division of labor, occupational segregation by gender and gender pay gap) to be intensified. On the other hand, women’s status in Taiwan is becoming higher due to increased women’s economic role and activation of women’s rights movement which caused patriarchy to be gradually weakened. 본 연구는 중국과 대만 여성의 경제활동참여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 여성지위 수준을 이해하고, 나아가 그 사회구조적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중국은 사회주의시장경제체제로 전환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반면, 대만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은 중국 도시여성과 대만여성이 모두 ‘역U자형’으로 유사하다. 다음, 성별분업(여성의 산업, 직업, 종사상 지위 및 정규직/비정규직) 상황을 분석하면, 중국과 대만이 서로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첫째, 산업별 분포에서 중국여성은 1차 산업의 비중이 여전히 높고, 대만여성은 3차 산업의 비율이 월등히 높다. 둘째, 여성의 직업별 분포에서, 대만여성의 직업이 더 고르게 분포하여 성별분업이 더 완화되어 있다. 셋째, 종사상 지위 분포에서, 중국여성은 자영업자의 비율이 높고, 대만여성은 임금노동을 하는 피고용자의 비율이 높다. 넷째, 중국여성은 대만여성에 비해 비정규직 비율이 매우 높다. 마지막으로, 중국은 사회주의시장경제를 도입한 후, 성별임금격차가 점차 확대되었고, 대만은 경제발전과 민주화가 진행됨에 따라 성별임금격차가 꾸준히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에서 여성지위가 낮아지는 원인은, 국가에 의해 억제되었던 가부장제가 개혁개방 후 시장경제와 상호작용 하에 다시 강화되어, 성차별 현상(성별분업, 성별직종분리 및 성별임금격차)이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대만에서 여성지위가 향상되고 있는 원인은, 여성의 경제적 역할이 증대되고 여권운동이 활성화되어 가부장제가 점차 약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부모와의 근거리 거주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경곤 ( Kyunggon Lee ),성효용 ( Hyo-yong Su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7 질서경제저널 Vol.20 No.3

        여성의 교육기회 확대 등을 통해 현세대의 여성들은 이전 세대보다 경제활동참가율이 더 많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고학력 여성을 중심으로 결혼 이후에 노동시장에 복귀하지 않는 이른바 L자형 여성 고용률을 보이고 있다. 전통적으로 여성 노동시장은 M자형의 노동시장 참여를 보여 젊은 연령대에서는 고용률이 높다가 결혼 이후 급격히 하락하고, 이후에 다시 증가하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L자형 모습은 고학력 여성을 중심으로 결혼 이후의 경력단절이 심각함을 보여준다.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진입과 경력단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녀, 특히 미취학 자녀의 양육과 이에 따른 시간적 부담과 함께 가사부담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의 정책적 지원 역시 양육 부담 감소를 위한 영유아 보육시설 확대에 집중되어 있다. 예전보다 나아지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의 보육시설은 운영시간이나 서비스 면에서 제한이 많은 편이다. 이런 경우에 부부의 부모나 형제와 자매를 포함한 친인척은 공식적인 보육서비스의 비공식 공급자로서 이해될 수 있다. 부모와의 동거 및 근접 거주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세대 간 동거는 세대 간 사적 자원이전을 통해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였음에도 사용한 자료의 한계로 인해 세대 간 시간 자원의 사적 이전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반영하지 않았던 가족 구성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부부의 거주지 근처에 부모가 거주할 경우와 그렇지 않을 경우에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을 비교한다. 이는 부모의 육아 및 가사 도움이 여성의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기혼여성 본인과 남편 부모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에 있어서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도보로 도달 가능한 거리에 부모가 거주하는 경우에,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확률은 7.8%p 정도 높아지며, 노동공급 시간은 하루에 23분 정도 증가한다. 그렇지만 부모와 동거하는 기혼여성의 경우에는 경제적 효과가 명확하지 않다. 이런 결과는 부부가 부모와 동거 또는 근처에 거주하는 이유가 단순히 경제적인 이유 때문만은 아님을 암시하며, 경제적인 이유 이외에 가족 구성원 간의 친밀감을 통한 만족감을 높이려는 선택일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부부의 거주지 선택의 내생성 문제를 적절히 처리하지 못한 점에 있다. 패널 상관확률효과모형을 통해 개인의 특성을 적절히 통제했지만, 어떤 이유로 부모와의 거주지 거리를 선택하는지는 적극적으로 고려되지 못했다. 또한, 거주지 선택에서의 성별 특성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지 못했다. 기혼여성의 부모나 남편의 부모 거주지 근처로 이동하는 원인은 다를 수 있으며, 이런 차이점은 여성의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런 한계점은 추후 연구 과정에서 보완될 것이다. The upheaval of women’s social status due to higher education has stimulated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women in the current generation rather than the previous generation. Even though women’ employment rate has steadily increased, it is showing a ‘L’ shaped pattern which means most highly educated women are not returning to the labor market after marriage and childbirth. Traditionally Korean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shows a ‘M’ shaped patten. It implies that a number of women drop out of labor market when they have childbirths, some of whom return to the market as their children grow. However, a ‘L’ shaped pattern indicates that the career discontinuity of highly educated women after marriage is serious. Raising Employment rates in the labor market is importantly considered in the wake of the maternity and childcare crisis. Thus studies on married women’s labor market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mainly due to factors concerning childbirth and childcare, primarily involving childbirth and childcare, and human characteristics of women and spous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parents’ proximity on marrie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This study describes the economic activity of married wom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members not reflected in previous studies. It compares the economic activity of married women, especially if they reside in close proximity to a couple of dwellings. This is because parental childcare and parental support are expected to affect the economic activity of women. According to the estimates, the role of parents and parents-in-laws in married women’s economic activity has a certain impact. In cases where parents are living on a walking distance,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ng in the labor market is increased by 7%p, and labor supply hours increase by 23 minutes. Also, the economic effects of married women who live with their parents are unclear. The implication implies that the reason why couples live with their parents or living nearby is not simply because of economic reasons, but rather by choosing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lifestyle of their family members rather than economics reason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not adequately treated an endogeneity problem of residence choice by married couples. We control individual characteristics by panel correlated random model, but it is not actively considered why couples choose residence distance from their parents. The reasons for moving close to a married woman’s parents or her parents’ home may differ, and this difference affects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is limitations will be supplemented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

        기혼여성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가구소득 불평등의 변화

        김영미(Kim young-mi),신광영(Shin Kwang-yeong)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77

        이 연구는 한국에서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힌다.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상이한 결혼을 내리고 있다. 한편으로 저소득층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상대적으로 더 활발하므로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가구소득 불평등을 완화시킨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다른 한편, 교육적 동질혼이라는 현대 혼인 선택의 특성상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증가하는 것은 고학력 부부와 저학력 부부의 소득 격차를 증가시켜 가구소득 불평등을 오히려 강화시킨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노동패널자료 분석 결과 1998년 이후 빠르게 증가하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이 가구소득 불평등의 강화로 귀결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화 동시에 남편-부인의 소득 연관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이 가구소득분포를 다소나마 균등화하는 효과는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가구소득 불평등에 대한 부인소득의 기여분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는 기혼여성 노동공급상의 변화보다는 부인들 간의 소득 불평등이 강화된 데 기인한 것이다. 기혼여성 사이의 경제적 이질성의 증가는 경제위기 이후 기혼여성의 집중되어 있는 단순서비스직 일자리의 질적 저하와 여성 노동시장의 이중구조화의 결과이다. 저소득층 기혼여성의 열악한 일자리는 해당 개인의 경제적 문제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불평등의 재생산 단위인 가족 간 소득 불평등을 악화시킨다는 점에 대한 사회적 문제의식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how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affects family income inequality among married couple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contrasting results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on family income inequality. On the one hand, some research found that as married women in the low income family tend to participate into the labor force,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contribute to reducing family income inequality. On the other hand, other research presented that due to marital homogamy,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increases family income inequality. Analysing the Korea Labor Income Panel data, 1998-2005, this paper shows that while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has reduced family income inequality, the extent of reduction of family income inequality due to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has decreased between 1998 and 2005. Income in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nd income inequality within men has been decreasing, whereas income inequality within women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irregular jobs.

      • KCI등재

        한국여성의 ‘인적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수미(Su Mi Park) 한국인구학회 2002 한국인구학 Vol.25 No.1

        이 연구는 개인들의 노동공급행위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 중 하나인 ‘인적 자본론’이 여성들의 취업특성을 설명하는 데에 여전히 유효한지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여성들이 지닌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결정과 취업직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가설은 크게 두 가지로서, 첫째는 여성들의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이며, 둘째는 여성들의 인적 자본이 여성들의 취업직종에는 어떤 영항을 미치는지이다. 한국사회 고학력 여성들의 경제활동참여율이 매우 저조하다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여성들이 지닌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률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점이 이 연구의 주된 가설이다. 하지만 일단 취업을 한 여성들의 경우에는 그들이 갖고 있는 인적자본이 취업직종에서는 상당한 설명력을 지닐 것으로 여겨져 이러한 내용으로 두 번째 가설이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가설에서 설정한 대로 인적자본론의 이론적 예측과 달리, 여성들의 취업결정에 인적자본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혹은 정반대로 부(-)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중요한 인적자본 중의 하나인 ‘학력’의 효과를 살펴보면, 학력이 높을수록 뚜렷하게 일률적으로 취업률이 낮아짐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그밖에, 여성들이 지닌 자격증이나 취업훈련 여부, 또 건강 상태 등과 같은 인적자본 요소도 여성들의 취업결정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적자본은 여성들의 취업직종에는 상당한 정도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분석결과도 실질적인 내용을 따져보니 그다지 유효한 영향 효과라고 보기 어려웠다. 취업직종과 연령 및 학력과의 회귀분석결과 여성 취업직종의 열악한 상황을 재확인해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사회 여성들의 인적자본은 여성들의 취업 결정 및 취업유형에 의미있는 변수가 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Korean women's human capital on their employment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ich Korean women's human capital increase the rate of women's employment. And the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which Korean women's human capital affect the kind of women's job. In general, women's representative human capital indicates the educational attainment, the training of job skill, the certificate of job, and the their health. Human capital theoriests insist that individual's human capital determines the participation into the labor market, the type of job and wage. But in Korea it is well known that highly educated women's rate of employment is very low.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s logi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cross-sectional data. We find in this research that women's human capital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women's employment rate. The longer women's schooling period is, the less women's participation rates into the labor market are. Women's training of job skill, certificate of job and health does not also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ir employment rate. Besides women's human capital does not affect the kind of job. So human capital theory is very limited explanation on Korean women's economic activities.

      • KCI등재

        여성취업이행 경로의 생애과정 씨퀀스(sequence) 분석

        은기수(Ki-Soo Eun),박수미(Soo-Mi Park) 한국인구학회 2002 한국인구학 Vol.25 No.2

        여성들의 경제활동 상태는 ‘가족주기’와 같은 ‘생애과정’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경력단절 경향이 강하다. 이 연구는 한국여성의 취업유형을 규명하는 데, 특히 여성들의 생애과정 씨퀀스(sequence)가 갖는 효과를 중심으로 여성들의 취업 이행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여성들의 경제활동상의 지위 변화에는 과거의 일회적인 사건의 효과 이상으로 과거 생애과정의 축적된 연계의 효과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연구가설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생애과정 씨퀀스별로 구분되는 여성들의 네 개의 취업경력 유형들 사이에 유의미한 사회ㆍ인구학적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두 번째 연구가설은, 생애과정 씨퀀스의 배열 순서에 따라 여성들의 취업 이행 과정은 매우 다를 것이라는 점이다. 이 연구가설을 검중하기 위해서 여성취업실태조사자료 가운데 취업력 및 생활사에 대한 종단적 자료를 일원변량분석 및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취업경력 유형에 따라 구분된 ‘연속취업형’, ‘불연속취업형’, ‘비경제활동형’, ‘결혼후 퇴장형’의 네 집단간에는 연령, 학력, 자격증 소지 여부, 부모의 인적자본, 건강 상태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생애과정 씨퀀스의 배열 순서에 따라 구분된 ‘취업후 결혼형’과 ‘결혼후 취업형’은 취업 진입과 취업 단절 행위에서 매우 구별되는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서, 여성들 내부의 경제활동상의 이질적인 집단의 구분과 각 집단 내부 여성들의 다양한 취업 경로를 규명하는 데, 생애과정 씨퀀스가 중요한 설명변수로 작용함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In general,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follows a M-curve pattern because women's state of economic activity usually changes by their life course stage. This research attentions that the effect of sequence of life course as well as the effects of 'marriage bar', or 'maternity leave' is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women's chaning economic activity status. First, this research hypothesizes that women's four patterns of job career such as 'continuous pattern', 'discontinuous pattern', 'non-economic activity pattern', 'marriage leave pattern' resul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and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 of ordering and timing of life events on women's work transi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labor market dynamics to conceptualize labor market behaviors using longitudinal data and sequence analysis and event history analysis. We find that four patterns of job career vary by age, educational attainment, having a certificate or not, their parents' human capital and health status. And we find that the ordering and timing of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marriage' determine the pattern of women's work transition.

      • KCI등재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이정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여성연구 Vol.82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chronological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issues. First, discourses on women's work have been changed since 1980s. Because of rapid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work-family balance issues became social issues but the problem were commonly considered an woman's personal matter. Second, in terms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in recent day the elder women over 40 years old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women employed in service industry have increased more than 80 percent. And the result of birth-cohort analysis to investigate generational differences shows that the rat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birth-cohort after 1970 has been higher and M-curve as an index of women's career interruption has been more gentle than earlier birth-cohort. Finally, in regard to social awareness of women's work, most people agreed that career development is just as important to women. However, many people thought difficulties of child-rearing were still the strongest factor to interrupt women's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rk-family balance issues have been changed chronologically and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tions(or birth-cohorts). Under the influence of recent changes in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e desires of the younger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are very strong but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are also very strong. Therefore, to solve work-family balance issues 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abor policies for women considering chronological change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이 글은 여성을 둘러싼 일‧가족 양립 문제가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문제가 아니라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라는 역사적 맥락 위에서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이를 위해 여성의 일과 가족을 둘러싼 담론의 변화, 여성 노동시장 구조와 경제활동 형태의 변화,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라는 세 차원에서 일‧가족 양립 문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가족 양립을 둘러싼 담론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의 전반적인 교육수준 상승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로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이 사회문제화 되기 시작했지만,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 모색 없이 여성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담론이 형성되었다. 두 번째 여성 노동시장 구조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부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급증했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여성 취업자의 연령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3차 산업으로의 집중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출생코호트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M자형 곡선도 완만해지는 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력지속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 경력지속의 장애요인에 대해선“육아부담”이라는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생코호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가 다른 출생코호트에 비해 일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남성 일을 우선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일‧가족 양립 문제가 시대적으로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세대에 따른 차이도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1980년대 중반 이후 교육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한 젊은 세대들은 여성도 대학에 진학해서 졸업과 동시에 직업을 갖는 것이 당연한 생애경로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로 높은 경제활동참가율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에 대한 높은 열망과는 다르게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 지속이 어려운 현실은 여전하다. 이렇듯 여성들이 경험하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는 최근세대로 올수록 더 커지고 있고, 이러한 괴리감으로 인해 여성들이 느끼는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의 체감지수는 이전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이정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여성연구 Vol.86 No.-

        이 글은 여성을 둘러싼 일·가족 양립 문제가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문제가 아니라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라는 역사적 맥락 위에서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이를 위해 여성의 일과 가족을 둘러싼 담론의 변화, 여성 노동시장 구조와 경제활동 형태의 변화,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라는 세 차원에서 일·가족 양립 문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가족 양립을 둘러싼 담론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의 전반적인 교육수준 상승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로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이 사회문제화 되기 시작했지만,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 모색 없이 여성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담론이 형성되었다. 두 번째 여성 노동시장 구조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부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급증했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여성 취업자의 연령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3차 산업으로의 집중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출생코호트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M자형 곡선도 완만해지는 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력지속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 경력지속의 장애요인에 대해선“육아부담”이라는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생코호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가 다른 출생코호트에 비해 일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남성 일을 우선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가족 양립 문제가 시대적으로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세대에 따른 차이도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1980년대 중반 이후 교육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한 젊은 세대들은 여성도 대학에 진학해서 졸업과 동시에 직업을 갖는 것이 당연한 생애경로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로 높은 경제활동참가율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에 대한 높은 열망과는 다르게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 지속이 어려운 현실은 여전하다. 이렇듯 여성들이 경험하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는 최근세대로 올수록 더 커지고 있고, 이러한 괴리감으로 인해 여성들이 느끼는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의 체감지수는 이전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ronological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issues. First, discourses on women's work have been changed since 1980s. Because of rapid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work-family balance issues became social issues but the problem were commonly considered an woman's personal matter. Second, in terms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in recent day the elder women over 40 years old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women employed in service industry have increased more than 80 percent. And the result of birth-cohort analysis to investigate generational differences shows that the rat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birth-cohort after 1970 has been higher and M-curve as an index of women's career interruption has been more gentle than earlier birth-cohort. Finally, in regard to social awareness of women's work, most people agreed that career development is just as important to women. However, many people thought difficulties of child-rearing were still the strongest factor to interrupt women's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rk-family balance issues have been changed chronologically and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tions(or birth-cohorts). Under the influence of recent changes in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e desires of the younger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are very strong but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are also very strong. Therefore, to solve work-family balance issues 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abor policies for women considering chronological change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