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BS 기반 무기체계 기술분석을 통한 핵심기술과제 기획방안 연구

        전은혜,김대호,한영진,하영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5

        Defense technology planning can be a basis for weapon system development to meet the military's future demands in the process of analyzing required capabilities, future weapon systems, and the R&D environment, and identifying core technologies that require mid- to long-term technology development. As the linkage of developed technologies and weapon systems for efficient investment is emphasized, this paper proposes a planning method for core technology projects through a WBS-based weapon system technology analysis. W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bottom-up defense technology planning system and preemptively derive the core technology required for weapon system development. In this study, a top-down weapon system package-type project planning method was proposed that can reduce the shortage of technologies required for weapon system development and increase the linkage between required technologies. In order to analyze the case of planning applying the WBS-based weapon system technology analysis, this paper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weapon system package type project planning for the tactical communication weapon system. Also, this study suggests ways to shorten the time to derive core technologies for the early application of technology. 무기체계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는 국방기술기획은 군의 미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래 소요 무기체계의 요구능력, 국방과학기술 R&D 환경을 분석하고 중장기 기술개발이 필요한 핵심기술을 식별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효율적인 국방과학기술 투자를 위해 개발된 기술의 무기체계 연계성이 강조되는 추세에 따라, 기존의 Bottom-up 방식의 상향식 과제기획의 제한사항을 극복하고 무기체계 개발에 소요되는 핵심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출하여 무기체계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Top-Down 방식의 WBS 기반 무기체계 기술분석을 통한 핵심기술과제 기획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무기체계 개발 시 필요한 핵심기술의 공백을 줄이고 하나의 무기체계에서 소요되는 기술간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Top-Down 과제기획 방식인 하향식 무기체계 패키지형 과제기획 방안을 제안하였다. WBS 기반의 무기체계 기술분석을 적용한 과제기획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전술통신 무기체계에 대한 무기체계 패키지형 과제 기획을 수행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제안방식으로 개발되는 기술들의 무기체계 조기적용을 위하여 핵심기술 도출 시기를 단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복합형 타격체계의 시스템 정렬방안 연구

        이부환(Boo-Hwan Lee),전기현(Gi-Hyun Jeon),김치환(Chi-Hwan Kim)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11

        System Alignment is needed to develop more precise and fine weapon systems. There are typical methods to align and assemble the substructure of weapon system such as Laser or Optical tools. Laser Tools will give us more realistic and comfortable solution to our weapon fields. This paper propose Align method for hybrid system and compares and analyzes systemic performance between optical and laser tools to align hybrid weapon effectively. One of the Laser Tools has lots of advantages that measure status of alignment precisely without using optical mirror and lense. In this study we studied Laser Tools for Armored Combat Vehicle as a special use and military specification and tried to do a case study that applies to one of the unique military weapon system. By using optical tools and Laser tools we tried to find proper and prompt method and its solutions to check our misalignment in the Hybrid weapon. When we need to make our new weapon with a small modification of previous system, we should apply this method to align new substructure of weapon which we can select. The results show that Laser tools and Optical tools give one of the best solutions to align hybrid and complicate weapon which is needed to have high-precision weapon such as gun or laser weapon.

      • KCI등재후보

        고문서(古文書)로 본 17세기 조선(朝鮮) 수군(水軍) 전선(戰船)의 무기체계(武器體系)

        박진철 ( Jin Cheol Par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9 嶺南學 Vol.0 No.16

        이 논문은 고문서를 통해 17세기 조선시대 수군(水軍) 전선(戰船)의 무기체계의 구체적 실상을 실증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임진왜란이 끝난 17세기 조선 수군의 주력 전투선은 전선(戰船)이었다. 이는 조선 초기 猛船體制의 大猛船에서 임진왜란 당시에는 板屋船으로 그리고 다시 戰船으로 바뀐 것이다. 임진왜란에서의 수군의 승리는 대형 전투선인 판옥선과 그 안에 탑재된 각종의 총통 등 화약 병기에 힘입은 바 크다. 이러한 승리의 요인으로 인해 임진왜란 이후 조선 수군의 전투선은 더욱 거대화되고 무기체계도 정비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자료의 부족으로 임진왜란 이후 17세기 戰船의 구조와 체제, 군비와 무기체계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연구된 것이 거의 없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입수한 1693년 羅州 牧의 重記를 검토하던 중에 나주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두 척의 전선(戰船)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중기(重記)는 지방 관청에서 작성되어 보관되던 것으로 일종의 재물조사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 자료를 통해 나주에서 관리하고 있던 전선(戰船)의 군사장비와 각종 무기류를 파악할 수 있었다. 나주에서는 일전선색(一戰船色), 일전선군기색(一戰船軍器色), 이전선색(二戰船色), 이전선군기색(二戰船軍器色) 등을 담당하는 지방 관리들이 전선(戰船)과 관련된 각종 물자와 군사장비, 무기 등을 관리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러한 나주 목 중기의 군선(戰船) 관련 자료와 1633년 경기수사 해유문서에 나타나 있는 군선(戰船) 관련 기록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들 자료가 현재까지 발견된 17세기 조선 수군의 전선관련 자료의 거의 전부이다. 이들 자료를 통하여 조선후기 수군의 주력함인 전선(戰船)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군사장비의 실태와 무기체계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은 우선 전선의 수는<<續大典>>에 기록된 것과 거의 일치하게 각 지역별로 건조되고 유지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무기체계는 역시 각종 화약무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활과 도검(刀劍) 중심의 체계가 임진왜란 이후에는 화약무기 중심의 무기체계로 전환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보다 상세한 군사장비 실태와 무기체계에 대해서는 본문에서 밝혔다. This study is a concrete study of military equipment and weapon systems of Chosun navy in the 17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main warship of Chosun navy was a Jeon-Sun in the late Chosun dynasty. Main warship had been changed from Dae-Maeng-Sun under Maeng-Sun system in the early Chosun dynasty to Pan-Ok-Su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finally changed to Jeon-Sun. Victory of Chosun nav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s indebted much to large warship Pan-Ok-Sun and its gunpowder weapons like Cheon-Ja-Chong-Tong. Due to these factors, navy warship in Chosun dynasty had gotten bigger and bigger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However, due to lack of data, there were almost no specific studies about structure and system of Jeon-Sun, armaments and weapon system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rtunately I found that two Jeon-Sun were newly constructed in Naju when I was studying Naju-Mok Joong-Gi of 1693. Joong-Gi is a written investigation of wealth that had been kept in local authorities. Therefore I could grasp various military equipment and weaponry of Jeon-Sun which had been managed in Naju. Local officials of Il-Jeon-Seon-Saek, Il-Jeon-Seon-Goon-Gi-Saek, Yi-Jeon-Seon-Saek and Yi-Jeon-Seon-Goon-Gi-Saek managed various materials, military equipments and weapons related to Jeon-Sun. This study reviews and compares data about a military ship of Naju-Mok Joong-Gi with 1633 Gyong-Gi-Soo-Sa Hae-Yu- Mun-Seo`s. Data related with navy Jeon-Sun in 17th century which is discovered is these two so far. I could identify actual conditions of specific military equipment and weapon systems of Jeon-Sun which is main warship of Chosun navy in 17th century thru datas I mentioned above. Firstly this study found that number of constructed Jeon-Sun in each region is almost same as Sok-Dae-Jeon recorded. Gunpowder weapon is main weapon in weapon system. This shows that weapon system had been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bow and sword to gunpowder weapon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7th century. more specific military equipment and weapon systems will be mentioned in the body of this thesis. I think this study would contribute small bit to studies of navy and Jeon-Sun of Chosun dynasty that were insufficient due to lack of data. I hope there will be a new excavation of data and profound studies.

      • KCI등재후보

        古文書로 본 17세기 朝鮮 水軍 戰船의 武器體系

        박진철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9 嶺南學 Vol.0 No.16

        이 논문은 고문서를 통해 17세기 조선시대 수군(水軍) 전선(戰船)의 무기체계의 구체적 실상을 실증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임진왜란이 끝난 17세기 조선 수군의 주력 전투선은 전선(戰船)이었다. 이는 조선 초기 猛船體制의 大猛船에서 임진왜란 당시에는 板屋船으로 그리고 다시 戰船으로 바뀐 것이다. 임진왜란에서의 수군의 승리는 대형 전투선인 판옥선과 그 안에 탑재된 각종의 총통 등 화약 병기에 힘입은 바 크다. 이러한 승리의 요인으로 인해 임진왜란 이후 조선 수군의 전투선은 더욱 거대화되고 무기체계도 정비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자료의 부족으로 임진왜란 이후 17세기 戰船의 구조와 체제, 군비와 무기체계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연구된 것이 거의 없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입수한 1693년 羅州 牧의 重記를 검토하던 중에 나주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두 척의 전선(戰船)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중기(重記)는 지방 관청에서 작성되어 보관되던 것으로 일종의 재물조사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 자료를 통해 나주에서 관리하고 있던 전선(戰船)의 군사장비와 각종 무기류를 파악할 수 있었다. 나주에서는 일전선색(一戰船色), 일전선군기색(一戰船軍器色), 이전선색((二戰船色), 이전선군기색(二戰船軍器色) 등을 담당하는 지방 관리들이 전선(戰船)과 관련된 각종 물자와 군사장비, 무기 등을 관리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러한 나주 목 중기의 군선(戰船) 관련 자료와 1633년 경기수사 해유문서에 나타나 있는 군선(戰船) 관련 기록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들 자료가 현재까지 발견된 17세기 조선 수군의 전선 관련 자료의 거의 전부이다. 이들 자료를 통하여 조선후기 수군의 주력함인 전선(戰船)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군사장비의 실태와 무기체계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은 우선 전선의 수는 <<續大典>>에 기록된 것과 거의 일치하게 각 지역별로 건조되고 유지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무기체계는 역시 각종 화약무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활과 도검(刀劍) 중심의 체계가 임진왜란 이후에는 화약무기 중심의 무기체계로 전환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보다 상세한 군사장비 실태와 무기체계에 대해서는 본문에서 밝혔다. This study is a concrete study of military equipment and weapon systems of Chosun navy in the 17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main warship of Chosun navy was a Jeon-Sun in the late Chosun dynasty. Main warship had been changed from Dae-Maeng-Sun under Maeng-Sun system in the early Chosun dynasty to Pan-Ok-Su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finally changed to Jeon-Sun. Victory of Chosun nav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s indebted much to large warship Pan-Ok-Sun and its gunpowder weapons like Cheon-Ja-Chong-Tong. Due to these factors, navy warship in Chosun dynasty had gotten bigger and bigger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However, due to lack of data, there were almost no specific studies about structure and system of Jeon-Sun, armaments and weapon system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rtunately I found that two Jeon-Sun were newly constructed in Naju when I was studying Naju-Mok Joong-Gi of 1693. Joong-Gi is a written investigation of wealth that had been kept in local authorities. Therefore I could grasp various military equipment and weaponry of Jeon-Sun which had been managed in Naju. Local officials of Il-Jeon-Seon-Saek, Il-Jeon-Seon-Goon-Gi-Saek, Yi-Jeon-Seon-Saek and Yi-Jeon- Seon-Goon-Gi-Saek managed various materials, military equipments and weapons related to Jeon-Sun. This study reviews and compares data about a military ship of Naju-Mok Joong-Gi with 1633 Gyong-Gi-Soo-Sa Hae-Yu- Mun-Seo's. Data related with navy Jeon-Sun in 17th century which is discovered is these two so far. I could identify actual conditions of specific military equipment and weapon systems of Jeon-Sun which is main warship of Chosun navy in 17th century thru datas I mentioned above. Firstly this study found that number of constructed Jeon-Sun in each region is almost same as "Sok-Dae-Jeon" recorded. Gunpowder weapon is main weapon in weapon system. This shows that weapon system had been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bow and sword to gunpowder weapon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7th century. more specific military equipment and weapon systems will be mentioned in the body of this thesis. I think this study would contribute small bit to studies of navy and Jeon-Sun of Chosun dynasty that were insufficient due to lack of data. I hope there will be a new excavation of data and profound studies.

      • KCI등재후보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과 한국의 과제

        김강녕 ( Kim Kang-nyeong ) 미래군사학회 2017 한국군사학논총 Vol.6 No.1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ground robot weapon system in major countries and the ROK`s developmental tasks. The paper is composed of 6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concept and type of robotic weapon system; current situation of developing/operating countries of robot weapons system; development and operation cases of major ground robot weapons; development/operation status of ROK`s ground robot weapons and its future task; and conclusion. The need for robotic weapon systems to replace humans in combat has been constantly argued. Already since the 1990s, 4 major powe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USA, and other major countries such as Israel, West Germany, and France are deploying and operating rudimentary level robots. As the ROK Army plans to reduce its troop force by more than 100,000 by 2022, it is imperative to power up a ground robotic weapon system that can replace humans. So the ROK Army has set up a ground robotic weapon system development plan and has pursued the development of explosive detection and removal robots and unmanned search vehicles. Korea need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ground robotic weapons in the leading countries, and to develop and operate such ground robotic weapons so as not to fall behind. First, the ground robotic weapon system should make full use of the secured technologies in the private sector. Second, open platform architecture should be developed. Third, it is necessary to quickly dispose of the existing acquisition procedure and arrange a fast battlefield through a quick acquisition procedure. We Koreans should carefully study the implications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robotic weapon systems in major countries and actively develop and operate our ground robotic weapons system.

      • KCI등재후보

        论自主武器系统的国际法规制

        마광(Ma Guang)(马,光),강영(Jiang Ying)(江滢,)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명지법학 Vol.20 No.1

        인공지능 기술의 빠른 성장과 함께 인공지능 기술과 현대적 무기를 결합한 자율무기 시스템도 신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이러한 시스템의 공격목표를 자체로 선택하는 기능으로 인해 인명피해와 전쟁비용을 줄이게 되어 그 발전 및 이용은 상당수 국가들의 환영을 받고 있지만 자율무기 시스템의 자율적 특성으로 인해 인간의 안전과 존엄에 대해 새로운 도전을 가져왔으며 이는 국제사회의 우려와 관심을 야기시켰다. 국제법의 측면에서 볼 때, 국제사회의 자율무기 시스템에 대한 관심의 초점은 주로 두가지이다. 첫째는 자율무기 시스템의 합법성이고 둘째는 자율무기 시스템의 책임문제이다. 본문의 취지는 자율무기 시스템의 정의와 현황에서 출발하여 기존 국제법의 자율무기 시스템에 대한 규제와 결합하여 자율무기 시스템의 법률적 속성, 합법성 여부와 책임부담 문제에 대해 연구하고 자율무기 시스템에 대한 국제법 규제의 보완에 대해 건의를 도출하는데 있다. 伴随着人工智能技术的快速发展,结合了人工智能技术和现代武器的自主武器系统也得到了迅速的发展和应用。因自主武器系统自主选择、攻击目标的性能具有减少己方人员伤亡和战争成本的优势,它的发展和应用受到了相当一部分国家的追捧。然而,自主武器系统的自主性也给人类的安全和尊严带来了全新的挑战,引发了国际社会的担忧和关注。从国际法的角度来看,国际社会对自主武器系统的关注焦点主要是两个方面:一是自主武器系统的合法性;二是自主武器系统的责任承担问题。本文旨在从自主武器系统的定义和现状出发,结合现有国际法对自主武器系统的规制,探讨自主武器系统的法律属性、合法性和责任承担问题,提出完善自主武器系统国际法规制的建议。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mbin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modern weapon autonomous weapon system has been rapi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autonomous weapon system to choose its own target performance is to reduce the costs and casualties of war on our advantage, it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has been quite a number of countries The autonomy of autonomous weapons systems, however, also has brought the safety and dignity of the human new challenges, sparked concern and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ays attention to autonomous weapon systems mainly in two aspects: one is the legality of autonomous weapon systems; Based on the definition and status quo of autonomous weapon systems, and combined with the existing international laws on autonomous weapon systems, this thesis aims to discuss the legal attribute legitimacy and liability of autonomous weapon systems, and put forward suggestions on improving the international laws on autonomous weapon systems.

      • 치사성 자율무기시스템에 대한 적법성 검토

        김자회(Jahoi KIM) 대한적십자사 인도법연구소 2018 人道法論叢 Vol.- No.38

        치사성 자율무기시스템(Lethal Autonomous Weapon Systems : LAWS)은 매우 높은 수준의 자율기술(自律技術, autonomous technology)과 무기시스템이 결합한 것으로, 인간의 개입 없이 스스로 목표물을 선택하고 공격할 수 있는 고도의 치사성을 보유한 시스템이다. LAWS는 기존의 재래식 무기들보다 훨씬 더 강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화학무기와 핵무기에 이어 제3차 전투혁명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전쟁에서의 비용을 절감하고 인력을 대체하는 등의 막강한 군사상 이점은 국가가 위 시스템을 사용하게 하는 강력한 동기를 제공한다. 미국, 영국 등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암암리에 위 시스템 개발에 뛰어들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자율기술의 무한한 발전은 우리가 전장에서 위 시스템을 접할 날이 머지않았음을 예고한다. 이 떠오르는 기술은 인간의 존엄과 국제 평화에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현 상황을 파악하고, LAWS의 개발 및 사용에 관한 적절한 통제와 감시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제네바협약 제1추가의정서 제36조에 대한 비준 여부와 상관없이, 신무기에 대한 적법성 검토를 수행해야 할 의무는 모든 국가에게 존재하는 국제관습법상 의무이다. 국가는 모든 신무기의 사용이 국제법을 위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신무기에 대한 적법성 검토를 수행할 의무가 있다. 어떤 무력 충돌에서도, 새로운 무기, 전쟁수단 또는 전쟁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국가의 권리는 무한하지 않다. 국가는 과도하거나 불필요한 고통을 유발하기 위해 새로운 무기, 전쟁수단 또는 전쟁방법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모든 국가는 위 제네바협약 제1추가의정서 제36조를 준수해야 하며, 합법적으로, 차별적으로(구별의 원칙), 그리고 비례적으로(비례의 원칙) LAWS를 포함한 새로운 무기 시스템을 사용하여야 한다. LAWS는 앞으로 많은 부분에서 문제될 것이고 예상을 넘는 상황을 초래하며 인류의 생명을 위협할 것이다. 우리는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가장 최선의 방향을 선택해야 하고 세계의 평화를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향후 LAWS 개발과 사용에 관한 추가 논의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Lethal Autonomous Weapon System are weapon systems combined with a higher degree of autonomy technology and have the ability to select and engage targets without human intervention. LAWS are expected to be much more powerful than existing conventional weapons and are described as the third revolution in warfare after chemical weapons and nuclear arms. There are certainly some strong motivations for adopting such technologies, including the desire to reduce the risks to military personnel and the costs needed for various military operations and capabilities, as well as the desire to replace partially or fully human soldiers with machines in war. Many countries are secretly spending billions on developing LAWS. Advances in technology are bringing them closer to reality. This emerging technology may result in a situation which invites great dangers to core human values and to the international security system. It is thus essential to take stock of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to establish appropriate controls and monitoring systems for the development and use of LAWS. Regardless of whether a nation ratified Additional Protocol I to the 1949 Geneva Conventions, the requirement to conduct a legal review still exists under customary international laws. States have an obligation to conduct a legal review of all new weapons to ascertain the legality of the weapon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ir use will be in all or some circumstances violate the international law. The material scope of the Article 36 legal review is broad. The legal review covers weapons of all types. It is applied to LAWS. Some factor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conducting a legal review of LAWS in terms of Article 36 of Additional Protocol I to the Geneva Conventions. First, it is important to ascertain whether LAWS is a new weapon or means of warfare. LAWS being put under review must be under the proper and meaningful control of a human. Second, it is prohibited to use LAWS that is indiscriminate in nature or causes superfluous harm. In any armed conflict, the right of States to the conflict to choose LAWS is not unlimited. States should not employ LAWS of a nature to cause superfluous injury or unnecessary suffering. States should satisfy the Article 36 standard and use LAWS lawfully, discriminately and proportionally. It should be called on states to establish within their jurisdictions, mechanisms and procedures that allow them to conduct legal reviews of LAWS and ascertain their legality beforehand. LAWS will threaten human life with creek and grave dangers under various circumstances. It should be noted that we take actions very carefully and make all efforts to make the best choice for peace of world. Further discussion and research will be needed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LAWS in the future.

      • KCI등재

        선도 기술 적용을 위한 한국군 무기체계 소요기획 발전방향 연구 : 기술주도, 기술견인, 수요주도, 수요견인을 중심으로

        김철규,배학영 한국방위산업학회 2022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9 No.3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urrent Korean military's demand planning and weapon system acquisition method was suggest to improve measures for cutting-edge technology applied weapon system. Currently, the problem of the Korean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system is the demand-oriented planning and acquiring. The demand-oriented weapon system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the weapon system that the military needs, but it lacks flexibility considering the shortened life-cycle of technology and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In particular, more innovative planning is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roop reduction and insufficien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ilitary power compared to neighbor countries. To do so, it is essential to secure a qualitative advantage by developing leading technologies and securing a weapon system to which leading technologies are applied. In this study, demand-push, demand-pull, technology-push, and technology-pull frameworks, which are methods of market innovation, were introduced to analyze military's planning and acquiring weapon systems. A theoretical framework was presented so that the weapon system planning and acquisition methods could be classified and analyzed in more detail. In addition, an institutions were proposed to develop future weapon system with leading technologies.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드론 등 첨단 융복합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현재 우리군의 소요기획 및 무기체계 획득 방식의 적절성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식별하였으며,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우리군 무기체계 획득의 문제점은 수요 중심의 소요기획 및 무기체계 확보이다. 수요 중심의 무기체계 확보 방식은 군이 필요로 하는 무기체계를 확보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기술발전의 템포와 안보상황의 변화 등을 고려할 때 유연성이 부족하다. 특히병력감소, 주변 경쟁국 대비 양적, 질적으로 부족한 군사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혁신적인 소요기획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도 기술개발 및 선도기술이 적용된 무기체계 확보를 통한 질적 우위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장의 혁신이 이뤄지는 방식인 수요주도, 수요견인, 기술주도, 기술견인 틀을 제시하고, 이를 군의 소요기획 및 무기체계획득에 맞게 재해석하여 기존의 소요기획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소요기획 및 무기체계 확보 방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사고할 수 있도록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또한 새로운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선도기술을 개발하여 미래 무기체계에적용된 획득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무기체계 가용도 예측에 관한 연구

        이세훈,최명진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21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1

        Availabilit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for developing weapon system, because it indicates the mission capability and sustainable life cycle management of weapon system. Recently, as weapon system becomes more advanced and more complex, availability estimation becomes more important to reduce the life cycle cost of weapon system. Modeling and simulation(M&S) is useful method to describe the availability of complex weapon system applying operational environment and maintenance plan. Especially agent based model(ABM) has the strength to describe interactions between agents and environments in complex system.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availability estimation of weapon system using agent based model. The sample data of part list and reliability analysis is applied to build availability estimation model. User agent and mechanic agent are developed to illustrate the behavior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using formal specification. Storage reliability is applied to describe failure of each parts.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is model is quite useful to estimate availability of weapon system. This model may estimate more reasonable availability, if full scale data of weapon system and real field data of operation is provided.

      • KCI등재

        전쟁양상 변화에 따른 한국의 병역제도 연구

        박종탁 ( Jong-tak Park ) 미래군사학회 2021 한국군사학논총 Vol.10 No.2

        전쟁 양상 변화는 군사기술이 집약된 무기체계의 발전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가진다. 전쟁의 역사 속에서 무기체계의 개발과 효율적인 운영이 전쟁의 승패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에 따라서 발전하는 국방과학기술은 첨단 무기체계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대의 무기체계는 다양화, 첨단화, 정밀화 등의 수식어로 표현하고 이를 운용할 수 있는 인적자원의 전문성과 효율성이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첨단 무기체계가 전장에서 주축을 담당하게 되면서 병력 운영 측면도 숙련된 전문인력의 획득과 유지, 활용의 중요도가 증대되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가지고 한국군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첨단 무기체계의 발전에 따른 전쟁 양상의 변화에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한 병력 운영체계를 찾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병력 운영체계를 구성하는 병역 제도의 유형 중 첨단 무기체계 운영에 적합할 수 있는 병역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효율적인 무기체계 활용을 위한 병력 운영요인을 도출하고, 징병제와 모병제의 장단점에 대입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한국군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Changes in warfare pattern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 weapon system in which military technology is integrated. It is the development and efficient operation of weapons systems that can try conclusions with the warfare in the history of war.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evolving in accordanc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leading edge weapon systems. Modern weapon systems are represented in modifiers such as diversification, high-tech and densification, and the expertise and efficiency of human resources are emphasized. As the leading edge weapon systems forms the principal axis on the battlefield, the importance of acquiring, retaining, and utilizing skilled professionals also increased in terms of military employment forces. Thu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military with the following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n employment force system that can effe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warfare pattern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leading edge weapon systems. In other words, it analyzes the military service type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advanced weapon systems among the types of military service systems that constitute the military employment service system. To this end, my intention is to presen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military by drawing factors for the employment forces for efficient use of weapons systems and analyzing them for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conscription system and volunteer military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