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Intelligence Activity and the Risk Assessment of the U.S. Military

        Sung-Yoon Chung(정성윤)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0 국제관계연구 Vol.15 No.2

        1968 1월 23일 발생했던 북한의 푸에블로호 나포사건(USS Pueblo Incident)으로 한반도는 정전협정 이후 15년 만에 다시 한번 전쟁의 나락으로 전락할 수 있었던 심각한 안보위기에 직면하였다. 본 연구는 푸에블로호 나포사례를 통해 당시 미군의 정보수집활동과 ‘위험요소평가(Risk Assessment)’ 작업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해 본 연구는 광범위한 1차 자료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교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미 해군은 당시 한반도 정세에 대한 미국 정보기관들의 분석과 북한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정보수집 활동을 감행함으로써 비극을 미연에 차단하지 못하였다. 둘째, 작전 수행 인력들의 전문성 부족, 장비의 노후화, 작전명령 및 운용체계의 구조적 모순 등에도 불구하고, 군 작전 임무에 대한 타당성과 위험성을 판정하는 최종적인 위험요소 평가 작업이 소홀히 이루어졌다. 셋째, 당시 미군과 한국이 위기대응 시스템을 갖추지 못함으로써 북한의 푸에블로호나포 행위를 저지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론들은 2010년 3월 한반도 서해안에서 발발한 한국 초계함(천안함)의 침몰사건과 관련하여, 북한의 비대칭적 전력에 대한 위험요소 평가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한국군의 위기대응 매뉴얼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평가들을 감안해 볼 때 사례비교의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is empirical research that looks into the composition of the U.S. military’s intelligence gathering activities and risk assessment efforts through a case study of 1968’s Pueblo incident. This research utilizes a wide range of comprehensive raw materials and presents the following lessons. First, the U.S. military insisted the mission be carried out despite analysis from U.S. intelligence agencies and repeated warnings from North Korea. Second, due to contradictions in the structure of the U.S. military’s operational management system, final risk assessment work on operational responsibility was carried out carelessly. Third, by not properly preparing the U.S. military’s emergency response system, the U.S. could not prevent North Korea from capturing the Pueblo. These conclusions suggest less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inking of the South Korean corvette - Cheonan - in the west sea off the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March 2010.

      • KCI등재

        제1∙2차 세계대전기 미국 해군 대잠전 전술의 변천 연구

        김현승,황병선 육군군사연구소 2017 군사연구 Vol.- No.143

        본 논문은 제 1·2차 세계대전기 미국 해군 대잠전 전술의 변천 양상을 고찰하여 현대 대잠전 수행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해군의 대잠전 전술은 우군 함선의 피격을 예방하는데 중점을 두는 소극적이고 거부적 양상을 띠었다. 이렇게 시작된 미국 해군의 대잠전 전술은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했다. 제1차 세계대전기 단일 대잠함정의 대응이 주가 되었던 대잠전은 다수의 대잠함정과 항공기가 참여하는 해·공 협동대잠전의 양상으로 진화했다. 그리고 회피, 부상억제 중심의 수동적, 거부적 전술은 탐지 및 공격무기체계의 발달에 따라 적극적으로 유보트를 탐색 및 추적하고 공격을 펼치는 전술로 발전했다. 제2차 세계대전기 미국 해군의 대잠전 전술은 다양한 탐지장비와 공격무기를 갖춘 다양한 대잠전 전력이 유보트를 비교적 정확하게 탐지하고 정밀하게 공격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양상으로 변화했다. 제 1·2차 세계대전기 미국 해군의 대잠전 전술의 변천과정에 대한 고찰은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한다. 먼저 당시 활용된 거부적 대잠전 전술과 적극적 대잠전 전술은 각각의 특성이 있었으며, 미국 해군은 상황에 따른 적합한 대잠전 전술을 채택하여 대잠전의 성공을 거두었다. 다음으로 대잠전 수행 시 항공기가 매우 유용한 대응전력임이 증명되었다. 셋째로 제1차 세계대전부터 유보트를 탐지는 주요수단이었던 시각탐색은 제2차 세계대전 시에도 그 유용성을 잃지 않고 유용한 잠수함 탐지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마지막으로 대잠전력간 정보교환체계의 구축 및 지속적인 정보교환이 대잠전 전술의 성공적 집행을 보장했다. The great capabilities of submarines as a weapon of war were first revealed during World War Ⅰ, when the German U-Boat campaign almost proved decisive. Against the German U-Boat, the U. S. Navy adopted a convoy system in 1917. As a result of various passive and defensive countermeasures, the U.S. Navy successfully eliminated the threats posed by U-Boats. Although shipping losses had decreased,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from an offensive point of view, the U-Boat had not been assuredly beaten during World War Ⅰ.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Allies had not developed any offensive weapon during World War Ⅰ which could deal effectively with the U-Boat at sea. Same as the first World War, U-Boats in early World War Ⅱ operated as submersible torpedo crafts which relied heavily on the surface for movement and battery generation. This pattern was repeated in World War Ⅱ until the Allies' anti-submarine countermeasures had forced the Germans to modify their existing U-Boats with the schnorchel. The U.S. Navy doctrine wa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active and offensive anti-submarine measures that had stood the test of time since 1917, despite considerable technological changes. Especially, the emergence of patrol aircraft as anti-submarine asset contributed to complement the active and offensive anti-submarine tactics. Maintaining aircraft patrol not only lead to detecting U-Boats, thus permitting allies' ships to evacuate, but these aircraft also forced U-Boats to dive, thus hindering them in their effort to track a ship and approach it. By studying U.S. Navy anti-submarine tactics, this article could discover that passive and defensive anti-submarine warfare in World War Ⅰ developed into active and offensive anti-submarine warfare in World War Ⅱ. This article provides essential and additional insights on how modern anti-submarine warfare was invented and developed.

      • KCI등재

        미국 해병대의 현대적 상륙작전 능력발전에 관한 연구

        김현승,장은용 육군군사연구소 2016 군사연구 Vol.- No.142

        This article examines the evolutionary development of amphibious warfare capabilities conducted by the U.S. Marine Corps and Navy during the period following the end of the World War Ⅰ through 1941, commonly referred to as the Interwar Period. The involvement of the U.S. Marine Corps in amphibious warfare capabilities is briefly traced from its early days through World War Ⅰ. From the very beginning of Interwar Period, the U.S. Marine Corps forecasted the nature of the next war in the Pacific and tried to create methods that eventually defeated Japan. In close cooperation with the Navy, U.S. Marine Corps established their own tactical and strategic mission: amphibious assault. Developments of amphibious warfare capabilities linked with Navy’s concept of War Plan Orange firmly set the U.S. Marine Corps as the ideal amphibious assault force. The third section illustrates the specific efforts of the U.S. Marine Corps on not only amphibious warfare doctrine but also on organization, training, material, and personnel issues. The U.S. Marine Corps’s development of amphibious warfare capabilities during the Interwar Period provides an example of successful peacetime innovation and a guide for future warfare development. Furthermore, how the U.S. Marine Corps solved those challenges informs the efforts of current us in addressing comtemporary conceptual, operational, and tactical challenges and those of the future. 이 논문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부터 태평양 전쟁이 발발할 때까지 미국 해병대가 새로운 상륙작전 능력을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펼쳤는지 살펴본다. 전간기(戰間期) 미국 해병대는 상륙작전을 통해 해군작전에 필수적인 전진기지를 확보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상륙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적 상륙작전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간기 미국 해병대 노력을 구조편성, 교리발전, 교육훈련, 무기장비 및 인적자원 등 5개 전투발전 분야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미국 해병대는 상륙작전 능력의 확충을 위하여 1933년 상륙작전을 전문으로 하는 함대해병대의 창설, 1934년 해병대 고유의 ‘상륙작전교범 초안’의 발간, 함대기동훈련의 한 부분으로 시행되던 상륙훈련을 1935년부터 함대상륙훈련으로 확대 개편, 1938년 전용 상륙주정 시제품의 개발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노력을 경주하였다. 1920년대의 준비과정을 거쳐 193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된 노력을 통해 미국 해병대는 현대적인 개념의 상륙작전 수행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전간기 미국 해병대의 주로도 이루어진 상륙작전능력 발전 과정에 관한 역사적 사례는 우리에게 아래와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먼저 한국 해병대는 미래 임무수행에 부합한 구조편성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음으로 한국 해병대가 지향하는 입체고속상륙작전에 필요한 교리를 정립하고 이에 필요한 전력을 적기에 확보해야 한다. 셋째로 상륙작전 전문교육을 확대하고 상륙작전을 선도할 인적자원의 풀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바다를 무대로 하는 해군과 해병대의 협력을 지속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합동성 제고를 위한 6·25전쟁 초기 미 해군의 지상군 화력지원 실태 분석

        최용희,정경두 육군군사연구소 2018 군사연구 Vol.- No.145

        This article analyzes the operational system of the ground force's fire support at a tactical level by the US navy during the Korean War. It gives us an opportunity for thorough evaluation of the joint operations conducted by the US Navy. To do so, I introduced the theoretical approaches of the ground force's fire support and analyzed the fire support system of the US Navy during the Korean War and operational procedure based on the naval gunfire support and CAS(Close Air Support) conducted by the US Navy. Through this research, I discovered that the US naval fire support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ground operation by adding firepower needed by the ground forces. However, I identified many problems concerning coordination issues with other services. The SFCP(Short Fire Control Party) did not function effectively when coordinating between warships and ground forces during the naval gunfire support. Additionally, ANGLICO (Air and Naval Gunfire Liaison Company) was not utilized properly. The CAS by the US Navy also played a key role in the ground operations as a supplementary fire power, but the US Navy implemented operations under the Air Force operations system which led to a poor outcome considering the amount of input. It turned out, however, that the US Navy showed relatively better performance when they conducted the CAS under the Navy operation system. This led to the US Navy's bias that CAS might not be effective if coordination was not established. This raised many questions about changes needed to improve the coordination and doctrine of the US Navy CAS, but with few results.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research emphasizing the positive outcomes of the US Navy during the Korean War. However, this article seeks to present a more complete picture by reviewing subcategories of the operations system. I hope to draw attention to the inefficiencies of the system due to lack of coordin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realities of the war. 본고는 6·25전쟁 초기 미 해군이 수행한 지상군 화력지원의 작전수행 및 협조체계의 실행을 분석하였다. 6·25전쟁 당시 미 해군이 화력지원을 통해 지상의 전황 개선에 기여하였다는 기존의 인식을 배제하고, 미 해군이 지상군을 화력지원하기 위해 구성한 각 군간 작전협조체계를 면밀히 고찰하였다. 6·25전쟁 당시 미 해군이 수행하였던 함포지원사격과 근접항공지원을 중심으로 지상군 화력지원의 협조체계를 고찰해 본 결과, 미 해군의 지상군 화력지원은 작전수행체계상에서 군간 협조와 관련된 다수의 문제를 드러냈다. 함포지원사격의 작전수행간 해안사격통제반은 함정과 지상군 간 협조에서 한계를 드러냈으며, 항공함포연락중대는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였다. 미 해군이 수행한 근접항공지원 역시 미 공군의 근접항공지원 수행체계로 작전을 수행하는 가운데, 투입된 전력에 비해서 많은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반면에 인천상륙작전에서는 미 해군이 독자적 수행체계로 지상군을 효과적으로 화력지원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미 해군에게 미 공군의 근접항공지원 수행체계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지금까지 6·25전쟁 당시 미 해군에 대한 긍정적 평가만 부각되었던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본고는 지상군 화력지원 작전수행의 하부요소까지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협조체계 및 작전수행체계의 문제를 확인하였다. 한반도에서 수행된 6·25전쟁에서 미 해군의 표적처리를 비롯한 지휘·협조체계와 각 군의 합동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평가함으로써 과거와 우리 군의 현 실태를 비교·진단하고, 향후 합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미국 해군 장교 펠란(J.R. Phelan)이 제작한 「조선전도(Carte de la Corée)」 연구

        김종근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0 한국고지도연구 Vol.12 No.2

        Recently, this author discovered two maps of a new type of Carte de la Corée at the NARA and BnF, and conducted cartographic analysis on these maps.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Carte de la Corée of NARA was copied by U.S. Navy midshipman J.R. Phelan, and he was a U.S. Navy midshipman aboard U.S.S. Shenandoah sent to investigate the General Sherman incident.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waterway of Korea, he copied Father André Kim Taegon’s Carte de la Coree. In addition, Phelan's Carte de la Corée was found to be a new type of map with different information on mountain areas and place-names, althoug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n coastal lines, rivers, and islands we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ly known Carte de la Corée of Father André Kim Taegon. Meanwhile,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ta Corea, a Latin version map of the National Library of France(BnF), is similar to Phelan's Carte de la Corée, but the Carta Corea has more detailed topographical information and more geographical names. According to these findings, this author categorized three Carte de la Corée as maps of ‘Carte de la Corée of 1845’, and classified Phelan’s Carte de la Coree and Carta Corea of Bnf as maps of ‘Carte de la Corée of 1848’.

      • KCI등재

        함정 묘의 파주력과 파주계수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관한 연구

        임봉택,고재우,김병석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에서는 해군 함정에서 운용하고 있는 묘의 파주력과 파주계수에 대한 계산이 단순하게 특정한 값만을 적용하고 있다는 한계를 인식하고,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문헌연구 자료와 묘 제작사, 연구기관, 학계의 여러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함정이 보유한 묘의 형태별 파주력과 파주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함정에서 사용 중인 대표적인 묘의 형태별 파주력 및 파주계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AC-14형 묘는 ASS형 묘나 U.S. Navy Standard형 묘에 비해 큰 파주력을 가지며 이는 묘의 경량화를 가능케 하여 조함의 용이성에 도움이 됨을 확인하였고, U.S. Navy Standard형 묘는 중량의 변화에 파주계수의 값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Danforth형 묘는 파주계수가 중량에 반비례한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묘를 운용할 때 유의하고 보완할 사항을 알기쉽게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묘를 운용하는 함정 승조원에게 파주력과 파주계수와 관련하여 신뢰성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보다 안전하게 묘박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ith the awareness of the limitations set in the currently operated calculations of holding power and the holding power coefficient of anchors of naval ships due to its simple application of a specific value, various factors that impact the holding power and its coefficient were verified based on existing data analysis of literature research and numerous experiment results from anchor manufacturers, research institutes and academic community in order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limitations. In addition, holding power and holding power coeffici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shape of anchors. As a result, we came to know that the holding power of AC-14 type anchor is stronger than that of ASS type anchor or U.S. Navy Standard type anchor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anchor and therefore ease the process of naval shipbuilding. Furthermore, we confirmed the fact that U.S. Navy Standard type anchor does not react sensitively to the weight change of the anchor. Lastly, we found out that Danforth type anchor’s holding power coefficient i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weight. Moreover, instructions for managing anchor are arranged easily for your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nchor – operating naval crew with a reliable theoretical basis pertaining to an anchor's holding power and its coefficient and contribute much for the safety of their act of anchoring.

      • KCI등재

        함정 묘의 파주력과 파주계수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관한 연구

        임봉택(Bong-Taek Lim),고재우(Jae-Woo Ko),김병석(Byoung-Sŭ,k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에서는 해군 함정에서 운용하고 있는 묘의 파주력과 파주계수에 대한 계산이 단순하게 특정한 값만을 적용하고 있다는 한계를 인식하고,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문헌연구 자료와 묘 제작사, 연구기관, 학계의 여러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함정이 보유한 묘의 형태별 파주력과 파주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함정에서 사용 중인 대표적인 묘의 형태별 파주력 및 파주계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AC-14형 묘는 ASS형 묘나 U.S. Navy Standard형 묘에 비해 큰 파주력을 가지며 이는 묘의 경량화를 가능케 하여 조함의 용이성에 도움이 됨을 확인하였고, U.S. Navy Standard형 묘는 중량의 변화에 파주계수의 값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Danforth형 묘는 파주계수가 중량에 반비례한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묘를 운용할 때 유의하고 보완할 사항을 알기쉽게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묘를 운용하는 함정 승조원에게 파주력과 파주계수와 관련하여 신뢰성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보다 안전하게 묘박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ith the awareness of the limitations set in the currently operated calculations of holding power and the holding power coefficient of anchors of naval ships due to its simple application of a specific value, various factors that impact the holding power and its coefficient were verified based on existing data analysis of literature research and numerous experiment results from anchor manufacturers, research institutes and academic community in order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limitations. In addition, holding power and holding power coeffici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shape of anchors. As a result, we came to know that the holding power of AC-14 type anchor is stronger than that of ASS type anchor or U.S. Navy Standard type anchor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anchor and therefore ease the process of naval shipbuilding. Furthermore, we confirmed the fact that U.S. Navy Standard type anchor does not react sensitively to the weight change of the anchor. Lastly, we found out that Danforth type anchor’s holding power coefficient i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weight. Moreover, instructions for managing anchor are arranged easily for your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nchor – operating naval crew with a reliable theoretical.

      • KCI등재

        A Study on the Intelligence Activity and the Risk Assessment of the U.S. Military

        정성윤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0 국제관계연구 Vol.15 No.2

        This paper is empirical research that looks into the composition of the U.S. military’s intelligence gathering activities and risk assessment efforts through a case study of 1968’s Pueblo incident. This research utilizes a wide range of comprehensive raw materials and presents the following lessons. First, the U.S. military insisted the mission be carried out despite analysis from U.S. intelligence agencies and repeated warnings from North Korea. Second, due to contradictions in the structure of the U.S. military’s operational management system, final risk assessment work on operational responsibility was carried out carelessly. Third, by not properly preparing the U.S. military’s emergency response system, the U.S. could not prevent North Korea from capturing the Pueblo. These conclusions suggest less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inking of the South Korean corvette — Cheonan — in the west sea off the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March 2010.

      • KCI등재

        미국 해군 장교 펠란(J.R. Phelan)이 제작한 「조선전도(Carte de la Corée)」 연구

        김종근(Kim, Jong-geun)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0 한국고지도연구 Vol.12 No.2

        최근 필자는 미국 국립문서기록보관청과 프랑스국립도서관에서 새로운 형태의 「조선전도」 두 장을 발견하여 지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 국립문서기록보관청에 소장된 「조선전도」는 미국 해군 장교 펠란이 모사한 지도임이 밝혀졌다. 아울러 그는 제너럴셔먼호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셰넌도어호에 승선한 미국 해군 장교였으며, 조선의 수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김대건 신부가 제작한 「조선전도」를 모사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이 지도는 「조선전도」는 기존에 알려진 김대건 신부의 「조선전도」와 해안선, 하천, 섬 등의 지형 정보는 매우 유사하였지만, 산지 정보 및 지명 기입 상태는 상이한 지도임이 확인되었다. 한편 프랑스국립도서관에 소장된 라틴어본 「조선전도」에 대한 분석 결과 이 지도는 펠란의 「조선전도」가 유사한 지도이나, 지형정보가 더 상세하고 지명이 더 많이 기재된 지도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자는 기존의 김대건 신부의 「조선전도」 3매는 ‘1845년 제작 「조선전도」 계열’로 분류하였고, 펠란의 「조선전도」 및 라틴어본 「조선전도」는 ‘1848년 제작 「조선전도」 계열’로 분류하였다. Recently, this author discovered two maps of a new type of Carte de la Corée at the NARA and BnF, and conducted cartographic analysis on these maps.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Carte de la Corée of NARA was copied by U.S. Navy midshipman J.R. Phelan, and he was a U.S. Navy midshipman aboard U.S.S. Shenandoah sent to investigate the General Sherman incident.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waterway of Korea, he copied Father André Kim Taegon’s Carte de la Coree. In addition, Phelan s Carte de la Corée was found to be a new type of map with different information on mountain areas and place-names, althoug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n coastal lines, rivers, and islands we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ly known Carte de la Corée of Father André Kim Taegon. Meanwhile,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ta Corea, a Latin version map of the National Library of France(BnF), is similar to Phelan s Carte de la Corée, but the Carta Corea has more detailed topographical information and more geographical names. According to these findings, this author categorized three Carte de la Corée as maps of ‘Carte de la Corée of 1845’, and classified Phelan’s Carte de la Coree and Carta Corea of Bnf as maps of ‘Carte de la Corée of 1848’.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의 해양 지능화작전 추진과 대응 방안

        김현승 ( Kim Hyun-seung ),신진 ( Jin Shi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2

        한반도를 포함한 서태평양 해역에서는 해양에서부터 중국을 적극적으로 압박하려는 미국과 자국의 핵심해역에 미국의 진입을 거부하고 외해로 적극적 진출을 추구하는 중국 간의 경쟁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미국과 중국은 상대방을 압도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접목한 혁신적 전력을 확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운용할 있는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적극 노력 중이다. 특히 중국은 무인수상정, 무인잠수정 및 해양작전용 무인항공기의 개발 및 배치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인공지능의 군사적 활용 역시 적극 추진 중이다. 이렇게 중국은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접목한 해양 지능화작전을 펼쳐 미국의 해양압박전략에 대응함과 동시에 원해로의 진출을 가속화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중국의 해양 지능화작전 추진은 중국과 인접한 한국에 잠재적 위협이 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중국은 서해에 다수의 함정을 상시 배치하고 있는데, 지능화작전을 추진하면서 무인수 상정, 무인잠수정 등도 배치할 가능성 높다. 이는 서해가 중국의 무인체계의 시험장이 될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주변국 군사역량의 급속한 변화에 대응하여 한국 역시 전투용 무인체계의 실용화, 인공지능의 군사적 활용성 등을 적극 추진해야한다. 그래야만 미래 해양전장에서 주변국의 도발행위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including off the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which is actively pressuring China from the sea, and China, has been increasing. In order to win this competition, the U.S. and China are actively working to procure innovative smart weapons combin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and establish operational concepts to effectively operate them that can overwhelm their adversaries. In particular, the U.S. Navy's Distributed Maritime Operations and Chinese Navy’s Maritime Intelligent Operations are different in their procedures, but they are similar in the basic concept of using evolv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to react more quickly than the adversaries and attack more rapidly. This means that China wants to achieve real-time battlefield awareness and speed up the decision cycle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to gain an upper hand in the maritime battlefield. The Korean Navy should also be able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maritime battlefields by making combat unmanned systems practical and improving the military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