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합동성 제고를 위한 6·25전쟁 초기 미 해군의 지상군 화력지원 실태 분석 = A Study on the U.S. Naval Gunfire Support in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6976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operational system of the ground force's fire support at a tactical level by the US navy during the Korean War. It gives us an opportunity for thorough evaluation of the joint operations conducted by the US Navy. To do so, I ...

      This article analyzes the operational system of the ground force's fire support at a tactical level by the US navy during the Korean War. It gives us an opportunity for thorough evaluation of the joint operations conducted by the US Navy. To do so, I introduced the theoretical approaches of the ground force's fire support and analyzed the fire support system of the US Navy during the Korean War and operational procedure based on the naval gunfire support and CAS(Close Air Support) conducted by the US Navy.
      Through this research, I discovered that the US naval fire support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ground operation by adding firepower needed by the ground forces. However, I identified many problems concerning coordination issues with other services.
      The SFCP(Short Fire Control Party) did not function effectively when coordinating between warships and ground forces during the naval gunfire support. Additionally, ANGLICO (Air and Naval Gunfire Liaison Company) was not utilized properly. The CAS by the US Navy also played a key role in the ground operations as a supplementary fire power, but the US Navy implemented operations under the Air Force operations system which led to a poor outcome considering the amount of input. It turned out, however, that the US Navy showed relatively better performance when they conducted the CAS under the Navy operation system. This led to the US Navy's bias that CAS might not be effective if coordination was not established. This raised many questions about changes needed to improve the coordination and doctrine of the US Navy CAS, but with few results.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research emphasizing the positive outcomes of the US Navy during the Korean War. However, this article seeks to present a more complete picture by reviewing subcategories of the operations system. I hope to draw attention to the inefficiencies of the system due to lack of coordin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realities of the w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6·25전쟁 초기 미 해군이 수행한 지상군 화력지원의 작전수행 및 협조체계의 실행을 분석하였다. 6·25전쟁 당시 미 해군이 화력지원을 통해 지상의 전황 개선에 기여하였다는 기존의 ...

      본고는 6·25전쟁 초기 미 해군이 수행한 지상군 화력지원의 작전수행 및 협조체계의 실행을 분석하였다. 6·25전쟁 당시 미 해군이 화력지원을 통해 지상의 전황 개선에 기여하였다는 기존의 인식을 배제하고, 미 해군이 지상군을 화력지원하기 위해 구성한 각 군간 작전협조체계를 면밀히 고찰하였다.
      6·25전쟁 당시 미 해군이 수행하였던 함포지원사격과 근접항공지원을 중심으로 지상군 화력지원의 협조체계를 고찰해 본 결과, 미 해군의 지상군 화력지원은 작전수행체계상에서 군간 협조와 관련된 다수의 문제를 드러냈다. 함포지원사격의 작전수행간 해안사격통제반은 함정과 지상군 간 협조에서 한계를 드러냈으며, 항공함포연락중대는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였다.
      미 해군이 수행한 근접항공지원 역시 미 공군의 근접항공지원 수행체계로 작전을 수행하는 가운데, 투입된 전력에 비해서 많은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반면에 인천상륙작전에서는 미 해군이 독자적 수행체계로 지상군을 효과적으로 화력지원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미 해군에게 미 공군의 근접항공지원 수행체계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지금까지 6·25전쟁 당시 미 해군에 대한 긍정적 평가만 부각되었던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본고는 지상군 화력지원 작전수행의 하부요소까지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협조체계 및 작전수행체계의 문제를 확인하였다. 한반도에서 수행된 6·25전쟁에서 미 해군의 표적처리를 비롯한 지휘·협조체계와 각 군의 합동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평가함으로써 과거와 우리 군의 현 실태를 비교·진단하고, 향후 합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일상, "한국전쟁에 있어서의 기뢰전" 1 : 1981

      2 전기원, "한국전쟁시 미국 해군의 활동과 역할" 44 : 2001

      3 김태준, "한국전쟁 중 원산기뢰전에 대한 연구" 25 : 2007

      4 Field, James A., "미 해군 한국전 참전사" 해군본부 1985

      5 Gorshkove, Sergei, "국가의 해양력" 책세상 1999

      6 Marolda, Edward J., "U.S. Navy in the Korean War" Naval Institute Press 2007

      7 Futurell, Robert 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in Korea 1950-1953" AirForce History and Museums Program 2000

      8 U.S. Navy, "Supporting Arms Coordination in Amphibious Operations" Department of the Navy Office of the Chief of Naval Operations and Headquarters, U.S. Marine Corps 2004

      9 Marine Aircraft Group-33, "Special Action Report" 1950

      10 Muir, Malcolm Jr., "Sea Power on Call: Fleet Operations June 1951-July 1953" Dept. of the Navy 2005

      1 김일상, "한국전쟁에 있어서의 기뢰전" 1 : 1981

      2 전기원, "한국전쟁시 미국 해군의 활동과 역할" 44 : 2001

      3 김태준, "한국전쟁 중 원산기뢰전에 대한 연구" 25 : 2007

      4 Field, James A., "미 해군 한국전 참전사" 해군본부 1985

      5 Gorshkove, Sergei, "국가의 해양력" 책세상 1999

      6 Marolda, Edward J., "U.S. Navy in the Korean War" Naval Institute Press 2007

      7 Futurell, Robert 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in Korea 1950-1953" AirForce History and Museums Program 2000

      8 U.S. Navy, "Supporting Arms Coordination in Amphibious Operations" Department of the Navy Office of the Chief of Naval Operations and Headquarters, U.S. Marine Corps 2004

      9 Marine Aircraft Group-33, "Special Action Report" 1950

      10 Muir, Malcolm Jr., "Sea Power on Call: Fleet Operations June 1951-July 1953" Dept. of the Navy 2005

      11 Y`Bloodm, William T., "Mig Alley: The Fight for Air Superiority"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0

      12 Commander in Chief U.S. Pacific Fleet, "Korean War U.S. Pacific Fleet Operations: Commander in Chief U.S. Pacific Fleet Interim Evaluation Report No. 1 Period 25 June to 15 Novermber 1950, U.S. Pacific Fleet"

      13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Republic of Korea, "History of U.N. Forces in Korean Wa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Republic of Korea 1975

      14 Utz, Curtis A., "Assault from the Sea: The Amphibious Landing at Inchon" Naval Historical Center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육군본부 -> 육군군사연구소
      영문명 : Army Headqarters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 ROK Army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