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Arnold Toynbee’s Theory of World Government

        Yoon-Jae Chung(정윤재) 한국정치학회 2006 한국정치학회보 Vol.40 No.4

        이 논문은 역사학자 아놀드 토인비의“세계정부이론”을 규명하기 위해 그의 주저인 〈역사의 연구〉와 관련 연구들에 나타난 현대문명과 국제정치에 대한 그의 견해들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적 목적에 서, 필자는 토인비를 한 사람의 정치이론가로 간주하였다. 정치이론가들은 통상 그가 속한 사회의 문제점들을 인식하면서부터 그의 이론적 작업을 시작하며, 우선 문제점들이 무엇인지룰 밝히고 그에 대한 인과적 설명과 함께 진단한다. 그런 다음, 정치이론가들은 자신의 상상력과 비전에 따라 문제해결을 위한 정첵적 처방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필자는 문명사가 토인비의 철학적 비전, 진단, 그리고 처방을 체계적으로 분석, 정리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토인비가 2차 대전 이후에 발표한 글들과 토인비연구가들의 연구결과들을 두루 참고했으며, 이 연구는 토인비의 역사철학, 국제정치에 대한 비판적 견해들, 그리고 그의 문명과 정치에 대한 인사이트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결론에서 필자는 토인비의 세계정부이론은 그 자신의 풍부했던 기독교 지식을 배경으로 생산된 것이며 앞으로 세계정부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정치적, 종교적, 문화적 논의들을 촉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This paper focuses upon Arnold Toynbee’s treatments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nd world politics with a view to identifying his “theory of world government.” For analytic purposes, Toynbee is regarded as a “political theorist.” A political theorist begins his work out of a growing sense that something is wrong in the society. His first concern, therefore, is to identify the problem. He then must engage in a careful diagnosis of the political malfunction he has perceived. Next, using his imagination, the theorist is naturally moved to consider what the political order would like if the problem or predicament was dealt with as effectively as possible. Finally the political theorist will very likely make some programatic suggestions which would, in his view, best remedy the problem he has analyzed. From this understanding of political theory, it is assumed that political theory consists of philosophical vision, diagnosis, and prescription. This paper thus seeks to examine the three components of Toynbee’s “theory of world government” in order, using as the main source of reference his crucial texts published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some books by a few Toynbee specialis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help make a clear understanding of Toynbee’s mixture of philosophy of history, insightful reflections, and critical analysis of world politics.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his theory of world government resulted from his Christian knowledge, not belief, and active participation in religiuous movements. Whether he would have wanted or not, it seems that his theory of world government supports Christian eschatology and would also boost discussions of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a global nation, invigorating a cultural or religious approach to world politics.

      • The Modern Cities of East Asia Arnold J. Toynbee Had Seen in 1929

        Lee, Young-Suk East-Asian Society for Urban History 2019 Journal of east-asian urban history Vol.1 No.-

        A. J. Toynbee published a book called Travel to China(1931) after traveling around the Asian continent in 1929. The book mostly focuses on Japan, Chin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Toynbee visited major cities in Japan and China by train. Most of the Japanese cities he saw were turning into modern cities in the process of spontaneous modernization mixed with its tradition. On the other hand, Chinese cities that he visited showed him various characteristics, including traditional, colonial, or semi-colonial cities. The modern cities of Japan and China in the late 1920s were transformed into various aspects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 spontaneous modernization, colonial or anti-colonial modernization. How did Toynbee look at cities in East Asia? How did he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modernization and colonization while visiting this area? Toynbee emphasizes the weight and influence of tradition especially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in Japan and China. So, are modern European cities born out of their own traditions? Modern cities everywhere in the East and West were newly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 Toynbee's attitude, which emphasizes especially its tradition in the modern cities of East Asia, seems to reflect his Orientalistic view.

      • KCI등재

        1929년, 아놀드 토인비가 바라본 동아시아의 근대도시

        이영석 ( Lee Young-suk ) 영국사학회 2018 영국연구 Vol.39 No.-

        1929년 아놀드 토인비(A. J. Toynbee)는 아시아대륙을 여행한 후, 『중국으로의 여행』이라는 책을 펴냈다. 이 여행기는 중국과 일본, 그리고 두 나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토인비의 여정은 주로 기차 편으로 일본과 중국의 주요 도시들을 방문하는 방식이었다. 그가 들린 일본의 도시들은 대부분 전통의 무게를 보여주면서도, 자생적인 근대화과정에서 근대도시로 변모하고 있었다. 이와 달리, 중국의 도시들은 전통적 도시, 식민지적 도시, 半식민지적 도시 등 다양한 특징을 보여준다. 1920년대 말 일본과 중국의 근대도시는 전통, 자생적 근대화, 식민지적 또는 반식민지적 근대화의 영향 아래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했다. 토인비는 동아시아의 도시들을 어떻게 바라보았는가. 그는 이 지역을 탐방하면서 전통과 근대화, 그리고 식민지성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했는가. 토인비는 일본과 중국의 근대도시 발전에서 특히 전통의 무게와 영향을 강조한다. 그렇다면 유럽의 근대도시들은 그들 고유의 전통에서 벗어나 발전했던 것 것인가. 동양과 서양 어디서나 근대도시는 전통의 영향아래 새롭게 발전한 것이다. 동아시아 근대 도시에서 전통을 강조한 토인비의 태도는 오리엔탈리즘의 시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A. J. Toynbee published a book called Travel to China(1931) after traveling around the Asian continent in 1929. The book mostly focuses on Japan, Chin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Toynbee visited major cities in Japan and China by train. Most of the Japanese cities he saw were turning into modern cities in the process of spontaneous modernization mixed with its tradition. On the other hand, Chinese cities he visited showed him various characteristics, including traditional, colonial, or semi-colonial cities. The modern cities of Japan and China in the late 1920s were transformed into various aspects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 spontaneous modernization, colonial or anti-colonial modernization. How did Toynbee look at the cities in East Asia? How did he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modernization and colonization while visiting this area? Toynbee overemphasized the weight and influence of tradition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in Japan and China. And yet, are modern European cities born irrespective of their own traditions? Modern cities everywhere in the East and West were newly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 Toynbee's attitude that emphasized especially its tradition in the modern cities of East Asia, seems to have reflected his Orientalistic view.

      • KCI등재

        김대중의 역사인식과 한국사 이해의 특징

        류시현 ( Ryu Sihyu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0 역사학연구 Vol.80 No.-

        김대중은 한국 현대사를 대표하는 정치가이자 국정 책임자인 대통령을 지냈던 인물이다. 그의 활동과 영향력과 관련해서 외교와 통일을 포함한 정치 영역에서의 연구 성과는 많이 축적되어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정치적 활동과 결정의 기반이 되었던 그의 사상에 관한 연구는 적었다. 따라서 김대중의 정치활동에 기반이 되었던 그의 역사 인식이 어떠했는가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김대중은 아놀드 토인비와 그의 『역사의 연구』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인류문명사의 ‘도전과 응전’, ‘창조적 소수자’의 역할 등의 개념을 한국 역사 이해에 적용하고자 했으며, 민족사의 적용과정에서 형성된 역사 진행과정에 관해 ‘낙관’적 전망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민중 주체의 개혁을 긍정적으로 이해했다. 세계사와 한민족사의 경험에 기초한 역사 발전에 관한 믿음은 민족주의에 관한 유연한 인식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민족사에 관한 이해는 민주주의와 통일이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했다. 역사를 좋아하고, 역사의 심판을 중요시 했던 김대중은 자신의 역사관을 그의 정치활동의 정신적, 사상적 자산으로 삼았다. Kim Dae-jung a politician who represents the modern Korean history and national responsibility, a former president. Reflecting his influence, many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political area including diplomacy and unification have been accumulated. However there was less researches on his ideas which were relatively the basis of political activities and decisions. Therefore his A Study on the historical perception as well as Kim Dae-jung's political activities is required. Arnold Toynbee and his book A Study of History affected to Kim Dae-jung. He wanted to apply the role of "challenge and retort" and "creative minority" in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to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The "optimistic" outlook on the progress of history, which was formed during the application of national history was given. And positively understood the reform of the people's subjects. Belief in the development of history based on the experience of world history and Korean history has made it possible to have a flexible perception of nationalism. And the understanding of national history was used as a way to solve the challenges of democracy and unification. Kim Dae-jung regards history as his mental, spiritual assets of his political activities.

      • KCI등재

        복지공간으로서 인보관을 통한 사회복지실천의 뜻과 정체성의 사유 : 토인비 홀과 헐 하우스의 비교

        박선영 ( Park Sunyo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7 사회복지연구 Vol.48 No.1

        이 연구에서 19세기말-20세기 초 영국의 토인비 홀과 미국의 헐 하우스 두 인보관의 사상과 활동을 소환하는 목적은 첫째, 당시 사회복지실천이 점진적으로 형태를 갖추게 된 계기와 당초의 뜻을 찾아보는 것이다. 둘째, 개인화의 문제와 대안의 공동체 만들기가 공존하는 이 시기에 당시 `사회적 일`로 시작된 맥락과 영국과 미국의 특징적인 활동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현재 의미와 정체성에 유용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문헌들을 활용하여 서사를 고찰하되 인보관이라는 장소가 복지공간으로 구성된 당시 시대정신과 활동, 지도력을 목적과 위치, 전문성과 교육, 사회행동 차원으로 분석하며 오늘의 의미를 살리고자 하였다. 유용한 분석 결과는 첫째,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은 상반되기 보다는 빈곤에의 대응책으로 `제안―실행―비판―대안의 제안―사회복지실천의 대두`가 진행된 일련의 과정속에서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인보관은 빈곤문제를 중심으로 계층, 젠더, 개인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민간과 공공의 개입 등 여러 현상을 담은 담지자로서 복지공간을 구성하였다. 셋째, 두 인보관은 상이점도 있지만 둘 다 공공의 선과 안녕을 목적으로 하여 사회적인 일, 즉 사회복지실천을 구체화시켰다. 끝으로, 인보관의 복지공간으로서의 의의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Purposes of this study, summoning thoughts and activities of Toynbee Hall of the UK and Hull House of the US held in between the end of 19C and the early 20C, are two folded: first, it is to examine the momentum and aims for which `social` work was progressively established at that time; second, it is to look for implications for today`s social work practice through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istic activities and the context in which `social` work was devised as an alternative in the two nations. The study method mainly relies on literature review, but further goes on to analyze the spirit of the age when settlement house was constructed as a welfare space and activities, leadership demonstrated in there, and to draw meanings for today, in terms of three dimensions: aim and location, professionality and education, and social action. Some of useful findings are: first, the COS and settlement house need to be considered in a continuum of socially responsive remedies against poverty and social work practice was developed in the process of `suggestion―performance―critique― alternative suggestion―emergence of social work`, rather than contrasting the two as opposite roots of social work practice. Second, settlement house was a socially constructed welfare space that contained intersectional dynamics of class, gender, personal vs. social, private vs. public, surrounding poverty issue. Third, beside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ttlements, both purported for public goods and well-being and tried to realize the `social` in that society. Lastly, this study explored historical meanings of settlement house as the welfare space with critical questions and discussed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today.

      • KCI등재

        Legal Education and Legal Traditions: Selected Essays

        Christina Jones-Pauly (사) 이준국제법연구원 2022 Journal of East Asia and International Law Vol.15 No.1

        This edited volume of 127 pages on legal education and legal traditions is divided into eight essays. Legal education encompasses a myriad of topics spanning from economics to sexual behaviour and reflect various legal traditions, which are philosophical in nature. The traditions taken from the western European legal systems reach as far back to the Greeks highlighted in works by Aristotle and Socrates, followed by European medieval philosophers of various religious traditions, namely Thomas Aquinas (Roman Catholic), St. Augustine (Roman Cathlic) and Baruch Spinoza (Hebrew) as well as 17th-18th century’s European political philosophers such as Rousseau and Locke. These laws and traditions have been imported into Southeast Asian (SE) countries via the British colonialisation. These traditions do not consistently prevent the political and constitutional turmoil in some SE Asian countries under dictatorships that trample on rule of law and human rights. Morality plays a role in the law, yet it never stays the same through the ages; the law must deal with changing morality, such as attitudes towards slavery or homosexuality.

      • KCI등재후보

        실존, 자유부인, 프래그머티즘 : 1950년대의 두 가지 '자유' 개념과 문화

        권보드래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8 한국문학연구 Vol.0 No.35

        해방기에 새로 등장해 1950년대까지 한국 사회를 휩쓸었던 ‘자유’는, 그 합법적(legitimate) 원천을 따지자면 프랑스 실존주의와 미국 사회과학이라는 두 가지 지적 조류에서 유래되었다. 실존주의를 통해 ‘자유’와 함께 ‘실존’이, 미국 사회과학을 통해 ‘자유’와 함께 ‘민주주의’가 들어오고 정련되는 과정에서, 그러나 두 가지 ‘자유’ 개념은 판연히 이질적인 것이었다. 존재의 부조리와 공포를 자각하는 데서 출발한 실존주의의 ‘자유’는 개인성의 수준에서 한국 전쟁의 충격을 명명하는 데 기여했고, 전체주의와의 대결 의식을 내재한 미국 사회과학의 ‘자유’는 사회체의 수준에서 자본주의와 보통 선거와 정당 정치 등 새로운 정치ㆍ경제적 조건을 수용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전자는 작가를 중심으로 문학과 철학ㆍ예술 분야에 깊은 영향력을 끼쳤고 후자는 대학 중심의 아카데미에 압도적 위세를 떨쳤다. 문제적인 사회 현상을 스펙트럼화하는 다소 무리한 작업을 시도해 볼 수 있다면, 1950년대에 화제가 되고 과제로 떠올랐던 많은 현상 중 상당수는 이 두 가지 ‘자유’ 개념 사이에 분포한다고 말할 수 있다. 예컨대 한국 전쟁 이후 문제된 ‘아프레 걸’이라는 여성군은 실존주의의 통속적 판본으로서 그 절망을 모방한 존재이자 미국 대중문화로 치장한 물질주의적 존재였으며, ‘자유 부인’이라는 명칭은 ‘아프레 걸’에 이웃하면서도 미국 대중문화를 더 일방적으로 편식하는 데 대해 붙여진 조롱의 레테르였다. 실존주의와 미국 사회과학의 ‘자유’가 남성지식인사이의 언어요 현상이었다면, 보다 대중적인 문화실천은 그 언어를 절단ㆍ채취하면서도 심각한 혼란과 좌충우돌과 자의적 해석을 드러내 보였다. 한국 전쟁의 충격이 소화되고 1950년대 당대 현실이 점점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면서 ‘자유’의 이러한 상황 또한 변화하기 시작한다. 1950년대 전반에는 전쟁의 폭력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새로운 이념을 주조하기 위해 먼저 ‘부정’의 자세가 필요했다면, 따라서 ‘부정’을 통해 형성된 모호성의 지대를 두고 실존주의와 미국 사회과학에 의한 ‘자유’가 각축하고 그 사이의 다양한 문화적 스펙트럼이 전개될 수 있었다면, 정치ㆍ경제적 불만이 팽배했던 1950년대 후반에 ‘자유’는 적극적 이념을 향해 수렴되어 갔던 것이다. 한국 전쟁 이후 4ㆍ19에 이르는 1950년대 한국 사회의 변화란, 다기했던 ‘자유’의 이해와 실천이 단일화되어 간 과정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을 터인데, 4ㆍ19로 상징되는 종합은 그러나 이후까지 계속되는 분열의 계기 또한 간직하고 있다. ‘Liberty’ or ‘freedom’ was a new token in the 1950's. It stemmed from two legitimate sources of French existentialism and American pragmatism, which formed the bifurcated configuration of the concept of ‘freedom’. Existentialism dominated the spheres of philosophy, art, literature, while pragmatism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academic practices, especially social sciences. The former helped people to endure the trauma of Korean war, and the latter suggested them to rebuild the society over the ruins of the war. The existentialism's ‘liberty’ was negative one which focuses to take a step backward from the violent world, while the pragmatism's ‘liberty’ was more or less positive one which projects the new vision of society. A variety of cultural phenomena was formulated in the tension of these two liberties. The notorious but attractive ‘apr?s-girl’ was circulated as popular version of existentialism, and the famous Madame Freedom was coined by the authoritative voice of American style liberal democracy. The various practices of ‘freedom’ in the field of popular culture inaugurated against the backdrop of such an interaction, and influence of American mass culture played a leading role in such a process. The political event which ends 1950's, 4ㆍ19 became possible when these diverse ‘liberty' or ‘freedom’ converge on the demand for political freedom and democ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