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실험 수업에 관한 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분석

        조영미 ( Young Mi Cho ),오필석 ( Phil Seok Oh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1 초등과학교육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concerning science experiment lessons. A female elementary teacher in the early career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video recordings of her science experiment lessons as well as audio-taped interviews with her were analyzed by means of Elbaz`s framework. The teacher expressed six images of science experiment lessons: ``Science is difficult``, ``Experiments are dangerous``, ``Experiments are accurate``, ``A science experiment takes a long time``, ``Science experiments are interesting``, and ``Children are little scientists.`` These images were supported by several principles and rules, most of which were clearly described. Among the images, principles, and rules, there were complex relationships with some working in synergy and some conflicting. In case of the image ``Children are little scientists``, its subordinate principles and rules were not fully realized in the classroom.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ing reform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과학의 본성 지도를 위한 중학교 과학 실험수업에서 "반성"의 중요성

        도송희 ( Song Hee Do ),황요한 ( Yo Han Hwang ),박종석 ( Jong Seok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과학적 소양의 요소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제5차 교육과정에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과학교육의 목표로 제시되기 시작했다. 학교수업에서도 과학의 본성을 가르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졌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주로 과학사 소재를 수업에 도입하는 방법에 국한되어 진행되어 왔다. 이외에 과학의 본성을 가르치는데 있어 적합한 방법으로 실험수행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성적 접근 방법을 적용한 과학의 본성수업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것을 조합하여 현장에서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는 실험수업에서 실험에 대한 반성과 토의를 강조하면 학생들이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라 예상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반성을 강조한 실험수업을 중학생들에게 적용하였고, 과학의 본성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과학실험 활동에서 적극적인 반성과 토의 과정이 과학의 본성의 대한 이해의 증진에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반성을 강조한 실험수업은 관찰과 추론 관계, 자료 해석의 다양화, 탐구와 사회적 제반 상황과의 관련 영역에서 과학의 본성 이해에 특히 효과적이었으며, 그 외 과학적 탐구기능과 과학적 탐구의 사회성 모든 영역에 대한 학생의 이해에 효과적이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반성을 강조한 실험수업은 과학의 본성 이해에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NOS) is element of scientific literacy. Its importance is emphasized, especially understanding about NOS was presented as goal of science education on the fifth curriculum in Korea. Attempt of teaching NOS has been continuous in school, that was limited by method of using History of Science. Except method of using History of Science, Experimenting is appropriate for method of teaching NOS. We expected that is effective to apply reflective approach method for understanding the NOS and composite lesson to emphasize reflection and discussion to general experiment class in the school. We applied experiment class to emphasize reflection and discussion to second grad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and researched whether positive reflection and discussion is helpful understanding the NOS in science experiment class or not, through questionnaire about NOS and analysis of observation and interview. As a result, experiment class to emphasize reflection and discussion was effective for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sociality of scientific inquiry, particularly for relation observation with deduction and possibility of variable analysis to experiment result. Therefore, experiment class to emphasize reflection and discussion is effective for understanding the NOS.

      • KCI등재

        초등학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과학 실험 수업 사고과정 비교 분석 연구

        박경원 ( Kyeong Won Par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과학 실험 수업 사고과정을 비교하여 보고,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과학 실험 수업 개선을 위한 지원 및 연수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초임교사 2명과 경력교사 2명을 대상으로 과학 실험 수업의 계획과 실제 수업 실행에서의 사고과정을 언어적 표출과 자극회상 질문 면담 등 방법론적 삼각법을 활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어낸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과학 실험 수업 계획 시 학생들의 탐구능력 신장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으며 경력교사에 비해 초임교사들은 실험결과를 교사주도로 이끌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수업계획 시 대체로 확인적 실험 수업 모형에 의존하여 계획을 세웠다. 셋째, 경력교사들에 비해 초임교사들은 수업 중 학생들의 이해 정도와 관심정도를 자주 확인하지 않았으며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정도가 낮았다. 넷째,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은 과학 실험 수업 계획 시 경력교사들에 비해 다차원적인 상황들을 고려하는 능력이 부족하며, 실제 수업 실행에 있어서도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적절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한 초임교사 과학 실험 수업 지원 및 연수 방안 마련의 시사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험 수업모형을 실제 자신의 교실에서 적용해 보게 하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여 학생들과의 상호 작용 및 피드백 능력을 신장시켜 주어야 하며, 아울러 연수프로그램에 반성적 실천의 기회를 더욱 많이 포함시켜 다차원적으로 과학 실험 수업을 계획하고 예기치 않은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실천적 능력을 함양시켜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cience experiment lesson thinking process between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in or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 needed to prepare a support and training plan for improving the science experiment lesson of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Based on the study result, the following contents need to be strengthened in the science experiment lesson support and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Firs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lesson planning development method and implementation skill for enhancing the scientific exploration skill of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kill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various experiment lesson models in addition to general science experiment lesson model.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applying various science experiment assignments, activities and experiment lesson models in their actual class in order to enhance their interaction skill with students and feedback skill. Fourth, it is necessary to include more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ve practice on science experiment lesson to allow them to plan lesson in multi-dimensional level, and cultivate practical skill for appropriately responding to unexpected situations.

      • KCI등재

        미적 경험을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중학생의 상상력과 과학의 심미성 탐색

        문지영,손서진,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미적 경험을 강조한 수업을 개발하고 이 수업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과학적 상상력의 변화 및 특성을 탐색하고 학생들이 인식한 과학의 심미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전 연구에서 수행한 교사들의 과학의 심미성과 미적 경험 수업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수업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경기도 소재 중학생 97명에게 16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전에 개발한 과학적 상상력 도구를 수정하여 수업 전후에 실시한 상상력 검사에서 유의한 상상력 변화를 확인하였고 하위요소인 정서적 이해에서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유의하게 더 큰 폭의 향상을 가져왔다. 수업 후 학생들이 작성한 총 280회의 온라인 자유 게시글을 통해 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한 상상력의 특성과 학생들이 인식한 과학의 심미성의 특성을 찾았다. 수업 프로그램의 내용과 활동에 따라 다르지만, 상상력은 정서적 이해와 연관성 발견이, 과학의 심미성은 외적형식미와 상호작용에 내재된 감정이 학생들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이 수업은 학생들에게 상상력을 자극하고 과학의 심미성을 통한 긍정적인 과학에 대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현장에 적극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developed a course that emphasize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students, explored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 imagin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class, and explored the aesthetics of science perceived by the students. To this end, teaching strategi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esthetics of sc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classes conducted in the previous study. Based on this, a regular class program was developed and 16 classes were conducted for 97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By modifying the previously developed imagination tools, significant changes in imagination were confirmed in the imagination test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Through a total of 280 free online postings written by students after class, the characteristics of imagination experienced by students in class and characteristics of aesthetics of science perceived by students were defined. Although it differs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class program, the findings showed that imagination was connected to emotional understanding and the aesthetics of science helped students showed the external beauty of style and the emotions inherent in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