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 영성형성의 관점에서 본 영성일기

        유재경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7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여 종교개혁의 입장에서 한국교회를 분석하고 진단한 학술대회가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한국교회의 위기의 본질을 ‘개혁의 부재’ ‘신학교육의 빈곤’ ‘경건의 결핍’ 등에서 찾는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한국교회의 위기를 ‘경건의 위기’ 즉 ‘영성의 위기’로 인식하고 있다. 진단과 인식은 공유하지만 뚜렷한 대안이 없는데 어려움이 있다. ‘영성의 위기’를 논하는 담론은 풍성하나 교회공동체는 영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물론이고 체계화된 영성훈련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필자는 현재 한국교회 신앙들이 실천하고 있는 영성훈련의 한 방법인 ‘영성일기’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영성훈련의 한 방법으로 ‘영성일기’가 기독교인의 영성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논구할 것이다. 영성형성의 관점에서 ‘영성일기’를 분석함으로써 ‘영성일기’ 훈련이 영성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밝힐 것이다. 기독교 영성형성은 성령 안에서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의 형상을 닮아가는 여정이다. 이러한 기독교 영성형성의 본질은 지속적인 진행 과정, 본받는 것, 그리스도의 형상, 그리고 다른 사람을 위한 삶에서 찾을 수 있다. 영성형성은 기독교인의 영적 성장의 과정과 다르지 않다. 그런데 영성일기는 청교도 신앙인들이나 현대 영성가들의 삶에서 나타나듯이 영적 성장의 촉매가 되는 영성훈련의 한 방법이다. 영성훈련의 방법으로 영성일기 쓰기의 본질은 그리스도의 분량에게까지 자라 그리스도와 하나 되는데 있다. 따라서 기독교 영성형성과 영성일기는 서로 추구하는 방향과 목적 같다고 할 수 있다. 기독교 영성형성의 핵심 역량은 영의 형성, 감정의 형성, 관계의 형성, 지성의 형성, 소명의 형성, 육체적 건강의 형성, 그리고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에 있다. 이러한 7가지 핵심 역량을 통해 인간은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고, 급기야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한다. 그러면 영성일기 쓰기를 통해 개발되는 핵심역량은 어떤 것이 있는가. 영성일기를 쓰는 가운데 내면의 통합 능력, 감정의 순화 능력, 지성적 판단의 능력, 자신의 발견 능력, 소명확인의 능력, 육체의 건강 유지 능력, 타자와의 관계의 증진 능력, 영적인 성숙의 능력 등이 함양된다. 우리는 여기서 기독교 영성형성의 핵심역량과 영성일기를 쓰는 가운데 개발되는 핵심역량과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에서 영적성장의 과정에서 영성일기의 요소들과 영성형성의 요소들이 많은 부분에서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영성일기가 기독교인의 영성형성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 영성형성의 관점에서 볼 때 영성일기는 단일한 영성훈련이지만 아주 효과적이고 능력 있는 영성훈련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ill discuss the role of spiritual journal as a spiritual training method for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By analysing spiritual journal from the viewpoint of spiritual formation, we will identify the role that spiritual journal plays in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The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is a key topic in Christian Divinity. It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one gradually resembles God in Holy spirit, through Jesus Christ. The essence of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is a gradual process, an emulation, Christ’s form, and living the life for others. A spiritual formation is not far from a spiritual growth. However, a spiritual journal is a catalyst for spiritual growth and one of many methods of spiritual training. The essence of spiritual journal is growing to the extent of Jesus Christ and becoming one with him. Therefore, both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and spiritual journal share the same purpose and direction. The core capabilities of of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are a formation of one’s spirit, emotions, relationships, intelligence, calling, physical health and efficient use of resources. Through these seven core capabilities, we, humans, emulate Jesus Christ and restore in us God’s form. If so, which of these core capabilities can be developed through the keeping of spiritual journal? Keeping a spiritual journal helps develop an ability to consolidate one’s inner thoughts, refine one’s emotions, make intelligent judgements, discover one’s inner being, confirm one’s calling, maintain one’s physical health, improv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grow spiritually. Here, we find similarities in core capabilities between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and a spiritual journal. Therefore, a spiritual journal is one method of spiritual training but keeping of the journal contains many abilities and elements of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The core capabilities of spiritual journal ar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spiritual formation. Thus, from the viewpoint of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keeping of a spiritual journal is a simple spiritual training but one that is very effective and powerful. Here, we can see the presence, that a spiritual journal has within the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remit.

      • Christian Journaling and Christian Education: A Rapprochement Facilitating Students to Focus on Their Purpose

        John K. Bondy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09 지성과 창조 Vol.- No.12

        Journaling has been an essential part of history. Without journals much of history would be lost. However, in the 21st century journaling is neglected as part of the pedagogical process. Christian journaling has almost vanished. The reason that Christian journaling has become almost extinct is explored. This work argues that Christian journaling is still a vital part of the educational process. Currently public schools are rediscovering the value of journaling. Christian journaling is a key component for the balance of the orthodox, orthopathos, and orthopraxis components of learning. Specifically contemplative Christian journaling is fundamental to the orthopathos or the affective domain, bringing God’s creative love in sync to the inner life which is central to intellectual development. Christian universities can be leaders in providing Christian journaling as part of the medium for education.

      • KCI등재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사회복지사의 성찰일지에 나타난 존재 중심 영성 살이 실천 사례연구

        황종렬(Hwang, Jongryul),도건창(Do, Gunchang),김미숙(Kim, Mee Sook)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1 생명연구 Vol.62 No.-

        그리스도교 영성 살이는 하느님의 흔적을 띤 존재인 우리가 타인에게 생명의 숨을 매개하는 삶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존재 중심 영성 살이 관점에서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실천가들의 성찰일지를 분석해서 인간의 존재론적 존엄성을 우선적으로 인식하고, 그리스도교 영성 살이 과정이 사회복지 실천에서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존재 중심 영성 살이의 사회복지 실천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가톨릭사회복지회 산하기관에 근무하는 실천가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세 사례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존재 중심 영성 살이 실천과정은 ‘존재와 존재의 대면’, ‘식별을 통한 인간 존재의 상태 이해’, ‘역할 차원에서 존재 차원으로 전환하는 행동’(행동 1)과 ‘존재가 존재를 동반하는 행동’(행동 2), 곧 대면-식별-행동 세 과정으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서 존재 중심으로 복지 당사자를 동반하는 과정으로 이해되었다. 결론에서는 존재 중심 영성 살이 개념이 비신앙인에게도 적용 가능한지, 영성 살이가 이론적 진술에 머무르지 않고 구체적인 실천 지침을 제공하는지, 영과 숨, 존재와 역할을 통합한 영성 살이 교육이 왜 필요한지 등을 논의하였다. Being-based liv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can be seen as a life in which we, bearing the traces of God, mediate the breath of life into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flective journals of Catholic social workers from the perspective of being-based living of spirituality, to recognize ontological dignity of human beings.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being-based living process of spirituality to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by looking at how the process of Christianity’s spiritual living can be actualized in the practice.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n three cases of reflective journals prepared by practitioners of the Catholic Social Welfare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being-based spiritual living process consists of four stages: ‘encountering of being vs. being’, ‘understanding the status of human being through discernment’, ‘action that transforms from a role level to a being level’, and ‘action in which being accompanies being’. The ‘encountering-discerning-acting’ was understood as a process that accompanies others in a being-based spiritual living. In conclusion, we discussed whether the concept of being-based spiritual living is applicable to non-believers, whether spiritual living provides concrete guidelines for practice without staying in the theoretical statement, and why spiritual living education that integrates spirit and breath, being and role is necessary.

      • KCI등재

        목회상담자의 셀프 슈퍼비전을 위한 신학적 성찰: 신학적 성찰을 위한 영적 저널 활용을 중심으로

        허영자 한국목회상담학회 2020 목회와 상담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self-supervision for pastoral counselors. Self-supervision has been regarded as the process of applying all things the supervisee has learned from the supervisor to his(her) own clinical work. However, with the influence of constructionism, self-supervision has come to imply all dynamics, feelings, and thoughts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of the present time and the process after counseling sessions. From that point of view, self-supervision cannot be regarded as a future goal but can be a goal from the early stage of supervisee training. Reflection is the core concept of self-supervision, Reflection means to think deeply about something in the past. Also, reflection focuses on relational dynamics, feeling, thinking, belief, value, attitude, and insight of the present time. However, general reflective questions and reflective thinking are not enough to make our counseling become pastoral counseling. For this reason, this study accepts the frame of theological reflection by Patricia O’Connell Killen and John de Beer. Theological reflection pursues the conversation between our experiences and Christian spiritual traditions. A spiritual journal can be a tool to process conversation between our experiences and Christian spiritual traditions and as a vessel to exteriorize and contain insights gained from the process. If counselor trainees use a spiritual journal as a tool of self-supervision from the early stage of clinical training, they can proceed with self-supervision independently even after completing their mandatory training course. In their self-supervision, all things that they had learned from previous supervision will be reactivated. Furthermore, a spiritual journal will contribute to open the field to experience intimacy with God and the dynamic work of the Holy Spirit in pastoral counseling and supervision. 이 연구의 목적은 목회상담자의 셀프 슈퍼비전을 활성화하는 데 있다. 셀프 슈퍼비전이란 슈퍼바이저에게서 배운 내용을 스스로의 임상활동에 적용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 왔다. 그러나 구성주의의 영향과 함께 셀프 슈퍼비전은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현시점의 모든 역동과 감정, 생각 등을 비롯하여 그 이후의 과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 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셀프 슈퍼비전은 슈퍼바이지의 미래 목표가 아닌 임상의 초기에서부터 훈련해야 할 목표가 될 수 있다. 셀프 슈퍼비전의 핵심 개념은 성찰이다. 성찰은 지나간 것을 되돌아본다는 의미도 있지만 현재 일어나고 있는 관계의 역동, 감정, 생각, 신념, 가치 태도, 통찰 등에 주의를 기울인다. 그러나 목회상담자로서 일반적인 성찰 질문과 성찰적 사고만으로써 상담을 목회적이 되게 하기에는 부족하다. 이에 패트리샤 오코넬 킬런과 죤 드 비어(Patricia O’connel Killen & John de Beer)가 제안한 신학적 성찰의 틀을 수용한다. 신학적 성찰은 우리의 경험을 기독교의 영적 전통과 대화하는 것을 추구한다. 영적 저널(spiritual journal)은 우리의 경험과 영적 자원과의 대화 과정을 이끌어 주는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주어지는 통찰들을 외재화하고 보관할 그릇으로서 유용하다. 영적 저널을 셀프 슈퍼비전의 도구로 활용하여 임상활동의 초기부터 훈련해 나간다면 모든 의무적 훈련 과정이 끝난 후에도 목회상담자로서 셀프 슈퍼비전을 계속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 안에는 슈퍼바이저로부터 받았던 모든 슈퍼비전의 경험도 재활성화될 것이다. 더 나아가 영적 저널은 하나님과의 친밀감을 체험하게 하고 목회상담과 슈퍼비전에 있어서 역동적인 성령님의 역사를 체험하게 하는 장을 여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 KCI등재

        개신교 영성훈련의 현재와 미래-금식과 영성일기를 중심으로-

        박미경 한국종교교육학회 2013 宗敎敎育學硏究 Vol.43 No.-

        본 논문의 목적은 개신교회의 영성훈련을 살펴보고, 금식과 영성일기에 집중하여 고찰한 뒤 이들의비판적 성찰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영성훈련이란 우리의 인격과전 존재를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살 수 있도록 결단하고, 예수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교제를 통해 사랑으로하나님의 뜻에 복종하며, 정신과 신체를 기독교 가치에 부합하도록 연마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금식은 영적인 목적을 위해서 음식을 절제하는 행위를 말한다. 성경은 금식이 믿는 자들이 마땅히행할 의무 중 하나로, 또한 구제와 연결되어 세상을 향한 섬김과도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금식을행하는 목적 역시 하나님의 뜻을 구하거나, 중요한 일을 앞두고, 죄에 대한 회개 등의 다양한 목적을가지고 행해졌다. 또한 금식을 통해 영적으로 민감해지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아갈 수 있다. 영성일기역시 예수 그리스도와 동행하며 일상생활 가운데 그리스도의 인도하심을 받고자 행하는 훈련이다. 영성일기를 통해 자신의 생활을 점검하고 무엇보다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을 우리 안에 채움으로써 영향력 있는삶을 살 수 있음을 상기시켜 주고 있다. 영성일기를 기록함으로써 자아중심의 삶에서 예수 그리스도중심의 삶으로 옮겨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을 포함한 개신교 영성훈련의 비판적 성찰을 통해, 미래에 요구되는 영성훈련의 방향에의 함의는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영성훈련은 하나님 중심이 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영성훈련을 실천해야한다는 것이다. 특정한 영성훈련에만 국한하지 않고, 기독교 전통에서 행해졌던 훈련들을 소개하고, 다양한훈련들을 소개해야 한다. 셋째, 영성훈련을 행하는 자신에게만 유익을 국한시키지 말고, 함께 하는 공동체와다른 이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가장 근본적인 목적이 될 수있을 것이다. 끝으로, 다양한 영성훈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시대에 맞는 영성훈련들을 통해, 더욱많은 이들이 함께 실천하고 함께 그리스도의 완전에까지 성화되어 가는 여정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