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은 교회를 위한 기독교 교육

        유재덕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30 No.-

        작은 교회는 숫자에 있어서는 여전히 다수를 점유하고 있지만, 목회 현장이나 신학적차원에서 작은 교회를 위한 지원과 관심이 충분하지 않은 게 현실이다. 1970∼80년대를주도하던 성장지향 패러다임을 여전히 고수하는 교단들은 작은 교회의 목회자들을 위한연장교육이나 재교육을 통한 목회지도력의 지속적인 혁신보다 복지 차원의 재정후원이나단발적인 지원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비 목회자들을 위한 신학교육의 상황 역시크게 다르지 않아서 졸업생 대부분이 작은 교회에서 목회자로 활동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신학대학원의 교육과정에 작은 교회의 목회를 위한 과목들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있다. 현재 작은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위기에 주목하면서 기독교교육학적 차원에서 해결의 단서를 확인하는 한편, 작은 교회를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이 글은 일차적으로 작은 교회의 정의와 성격에 관한 논의를 살펴본다. 계속해서 최근의 작은 교회들의 유형들을 차례대로 정리하고 나서 작은 교회의 교육적 특징과 작은 교회를 위한 기독교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Most churches in South Korea are small membership churches. More than 90% churches have an average worship attendance of less than 100-200and more than half have an average worship attendance of less than 100. Small membership church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⑴survival-oriented churches, ⑵ small membership-oriented churches, ⑶theological-oriented churches. Small membership churches at large are facing a crisis of immense proportions. Many of these churches are in a similar position-the attendance has dropped over the years, the congregation has aged, the facility needs maintenance, young people have moved away and finances are tight. Small churches, in short, struggle for membership,for money, and for survival. In this article, various definitions and solutions to solve a lot of problems faced with small churches are reviewed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small membership church. This article begins with an overview of basic problems surrounding current discussion of the small membership church. Next,three types of small church are explored. Finally, several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small churches(the story, the third place, and the laity)and implic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in the small membership church are suggested.

      • KCI등재

        교육목회를 위한 작은 교회들의 연합활동 사례연구

        이영운(Young Woon Lee)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2

        본문은 작은 교회에 대한 학문적 연구들과 작은 교회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작은 교회의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면서, 작은 교회들이 기독교교육 즉 교육목회를 어떻게 사역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필자의 경험과 관찰에 의한 사례들을 소개함으로, 작은 교회 사역자들이 새로운 도전과 비전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는 작은 교회들의 현황, 성경적 근거, 정의와 기준, 작은 교회의 유형, 작은 교회의 가치와 특성, 작은 교회의 장점과 단점, 작은 교회의 과제와 도전, 작은 교회의 문제점, 어려움, 작은 교회의 성장 방안 등을 살펴보았다. 작은 교회의 유형과 특성을 살피면서, 교회 크기에 따른 목회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Schaller가 제시하는 주일출석 평균인원에 따른 교회의 특성과 교인이해를 설명하기 위해서 교회를 일곱 가지 유형을 살펴보았고, 교회의 모델과 사역 유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Avery Dullus가 제시하는 6가지 교회의 모델: 제도로서의 교회, 신비한 공동체로서의 교회, 예전으로서의 교회, 선포하는 교회, 종으로서의 교회, 제자학교로서의 교회를 소개했다 연구자는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는 슬로건이 작은 교회들이 연합활동의 이유라고 주장하면서 작은 교회의 연합교육목회활동 사례들을 소개하는데, 교단별로 진행되어오고 있는 연합교사교육 사례와 여름성경학교를 위한 연합교사교육 사례를 소개하였고, 청소년 연합집회 사례로 시카고지역에서의 초교파 연합수련회, 베이지역(Bay Area): 산호세와 샌프란시스코지역 성결교단의 청소년연합수련회, 에이지역의 성결교단 청소년연합수련회는 ROM(Reach Out Ministry)을 소개했다. 개교회에서의 청소년지도자 훈련 사례 LIT (Leaders in Training), SALT(Students Action Leadership Team)을 소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small churches can survive, and grow strong and healthy through research based on previous academic study and introducing some successful examples of small churches joint programs and activities. It also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small churches to apply to their ministries. For the research based on the previous study, the researcher explores (1) meaning and value of small church, (2) current situation of small churches, (3) biblical understanding, (4) definitions and standards, (5) types of small churches, (6)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churches, (7)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mall churches, (8) task of small churches, (9) problems and difficulties of small churches, and (10) ministry plans for small churches" growth.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the definitions of small church need to be considered not only the numbers of attendants of Sunday service but also the vision of the small church pastors. What follows is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s of educational ministries with various small churches in Chicago, Los Angeles, San Jose in the USA, and Seoul, Choonchun, and Pusan in Korea. Which then provide some visions and challenges for small church, i.e. what is the better way and desirable way/methods of educational ministry for small churches to stand, survive, or grow. Researcher introduces Schall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even different types of church by Sunday service attendants, then introduces Avery Dulles for six models of churches such as Institution, Mystical Community, Sacrament, Herald, Servant, and School of Discipleship. With the slogan, "United we stand, Divided we fall," the researcher details several of his experiences with joint ministries amongst small churches in Chicago, Los Angeles, San Jose, Seoul, Choonchun, and Pusan such as ROM (Reach Out Ministry), LIT (Leaders in Training), SALT (Students Action Leadership Team) in Los Angeles Area.

      • KCI등재후보

        교회의 원형으로서 “작은교회”의 회복: 위기의 한국교회를 위한 대안

        YANG PETER HYUNPHYO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1 No.-

        The Korean Church faces a real crisis. Where does this crisis come from? There may be many causes, but the root is in the model of the large church and, moreover, the processes that are necessary to become a large church. Therefore, this paper insists that a return to the small church as the prototypical church is needed in order to save the Korean Church from its crisis. A small church is defined as “a local church that does not go beyond the pastoral ability of a pastor” and has a numerical size of 100 families. This kind of church is ① typical of the early church as it appears in the Bible, ② is worthy of God’s principle of creation, and ③ is reflected in historical experience wherein most churches are small churches. The benefits of a small church are ① true community, ② true pastoring, ③ making high quality disciples, and ④ the recovery of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In order to develop such small churches well this paper suggests ① establishing a proper theology and identity of the pastor of a small church, ② addressing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small church, ③ establishing a biblical paradigm of church growth, ④ developing special ministries to resource small churches to sustain its survival, and ⑤ providing a seminary curriculum and education to develop small church specialists. 한국교회가 위기에 직면했다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위기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한국교회의 위기는 어디서부터 연유되었을까? 많은 원인이 있겠지만, 필자는 모든 원인이 집약되어 나타난 교회의 대형화와 그 과정에 있다고본다. 때문에, 필자는 위기의 한국교회를 살리기 위해 교회의 원형이라 할 수있는 작은교회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작은교회를“한 목사의목양 범주를 벗어나지 않은 지역교회”라고 정의하며, 수치로는 100가정 정도까지의 교회를 작은교회로 규정한다. 그리고 그러한 작은교회는 ① 성경에나타난 원래의 교회이며, ② 하나님의 창조 원리에 합당하며, 또한 ③ 현실의대부분 교회가 작은교회라는 사실에서 그 합당성을 찾는다. 필자는 작은교회의 유익함을 ① 진정한 공동체, ② 참된 목양, ③ 양질의 제자화, ④ 한국교회의 미래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작은교회를 잘 육성하기 위하여 필자는 ① 작은교회의 목사 자신이 우선 바른 신학과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며, ② 작은교회의 경제적 어려움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해결해야 하며, ③ 교회성장에 대한 성경적 패러다임을 확립해야 하고, ④ 작은교회로서 생존할 수 있는 작은교회만의 특화된 사역을 개발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⑤ 이 땅의 대부분인 작은교회 전문 목사들을 배출할 수 있는 신학교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교회의 원형으로서 “작은교회”의 회복 : 위기의 한국교회를 위한 대안

        양현표(Yang, Hyunphyo)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1 No.-

        한국교회가 위기에 직면했다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위기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한국교회의 위기는 어디서부터 연유되었을까? 많은 원인이 있겠지만, 필자는 모든 원인이 집약되어 나타난 교회의 대형화와 그 과정에 있다고 본다. 때문에, 필자는 위기의 한국교회를 살리기 위해 교회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작은교회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작은교회를“한 목사의 목양 범주를 벗어나지 않은 지역교회”라고 정의하며, 수치로는 100가정 정도까지의 교회를 작은교회로 규정한다. 그리고 그러한 작은교회는 ① 성경에 나타난 원래의 교회이며, ② 하나님의 창조 원리에 합당하며, 또한 ③ 현실의 대부분 교회가 작은교회라는 사실에서 그 합당성을 찾는다. 필자는 작은교회의 유익함을 ① 진정한 공동체, ② 참된 목양, ③ 양질의 제자화, ④ 한국교회의 미래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작은교회를 잘 육성하기 위하여 필자는 ① 작은교회의 목사 자신이 우선 바른 신학과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며, ② 작은교회의 경제적 어려움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해결해야 하며, ③ 교회성장에 대한 성경적 패러다임을 확립해야 하고, ④ 작은교회로서 생존할 수 있는 작은교회만의 특화된 사역을 개발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⑤ 이 땅의 대부분인 작은교회 전문 목사들을 배출할 수 있는 신학교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Korean Church faces a real crisis. Where does this crisis come from? There may be many causes, but the root is in the model of the large church and, moreover, the processes that are necessary to become a large church. Therefore, this paper insists that a return to the small church as the prototypical church is needed in order to save the Korean Church from its crisis. A small church is defined as “a local church that does not go beyond the pastoral ability of a pastor” and has a numerical size of 100 families. This kind of church is ① typical of the early church as it appears in the Bible, ② is worthy of God’s principle of creation, and ③ is reflected in historical experience wherein most churches are small churches. The benefits of a small church are ① true community, ② true pastoring, ③ making high quality disciples, and ④ the recovery of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In order to develop such small churches well this paper suggests ① establishing a proper theology and identity of the pastor of a small church, ② addressing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small church, ③ establishing a biblical paradigm of church growth, ④ developing special ministries to resource small churches to sustain its survival, and ⑤ providing a seminary curriculum and education to develop small church specialists.

      • KCI등재

        작은 교회를 위한 성서적 접근

        이후천(Lee, Hu-chun) 한국선교신학회 2008 선교신학 Vol.18 No.-

        Now, it presumes that dependent church, which is economically poor and numerically small, among Korean churches is 60-70 percent. Such dependent churches are on the increase. The first reason is that birthrate in Korea will be fallen and the number of young people will be fallen in Korean church. The second reason is related to the change of dwelling style. In Korea, high-rise apartmentsincrease in number now. The difference between churches, which are located in the religious site, and churches, which are not located in the religious site will be deepened. The third reason is that the faithfully mature members in small church will move into the big church. It is more serious that the small churches will disappear finally. In this situation, the study on the growth of church is focusing on the system of the bigger church. Even though most of Korean churches are small church, leaders of Korean church concentrated on the bigger church. As a result, the study on ministry and philosophy for small church is overlooked. In this respect, the successful model and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small church should be suggested for survival through the consistent self-change of small church. Therefore, this article will focus on directions for small church. Small churches should be aware of their biblical self-identity. Therefore, I will articulate the notion of the remnantin the Hebrew Bible. And I will find out the biblical basis for small church through the parable of mustard seed in New Testament. Finally I will try to suggest that the Bible provides us the balanced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the church as the community of faithful people of God not as small or big church.

      • KCI등재

        작은교회의 문을 두드리다

        손원영(Wonyoung Sohn)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3

        이 논문은 최근 한국교회에서 새롭게 주목을 끌고 있는 ‘작은교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21세기 한국교회가 지향해야할 작은교회론의 이해 및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생태계를 탐색하는데 주요한 목적이다. 특히 ‘천국행 구원열차’로 표상되는 내세지향적인 교회론과 교회성장학적 작은교회론을 대신하여, 본 논문은 과연 한국 교회가 어떠한 의미의 작은교회론을 추구해야 하는지 비판적으로 탐색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질문을 탐색하고 있다. 첫째, 작은 교회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현대신학에서 교회론의 논의는 어떠하며, 그 맥락에서 작은교회론은 어떻게 새롭게 이해될 수 있는가? 셋째, 한국교회의 작은교회를 위한 한 모델로써 테오프락시스 작은교회론이란 무엇인가? 넷째, 작은교회에 근거한 기독교교육의 생태계는 어떻게 재구성될 수 있을까?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테오프락시스 작은교회론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교회가 보다 통합적인 교육생태계를 고려하는 교육목회를 수행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s of small church and to reconceptualize the meaning of the small church for the educational ministry in Korea. Instead of ecclesiology for the afterlife and the church growth, this article critically analyzes which aspects of the small church theory Korean church must pursue for educational ministry. To be more specific, this article asks four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small church? Second, what is the place of ecclesiology in modern theology and how should small church be understood in modern theology? Third, What is the theopraxis model which Korean ministry of the small church should follow? Foruth, how can educational ministry reform itself accordingly to the notion of small church? By acknowledging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suggests Korean church to practice educational ministry which considers integrated environment based on the theopraxis model for the small church.

      • KCI등재

        셀사역의 기독교교육학적 이해

        오태균(Tae-Kyun Oh)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8 기독교교육정보 Vol.19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mall group dynamics and cell church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church history and pastoral ministry. In the first section, this study figures out the difference general small groups in church and cell group as a new paradigm. A cell church is a Christian church structure centering on the regular gathering of cell groups. Small group ministries are often called cell groups, but may be different from several aspects. A definition of a cell church is notably tricky. A church with cell groups is not necessarily a cell church. A cell church must be composed of cell groups and centered around them. In cell churches, a cell leader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ly a pastor or mentor within the church. John Wesley used a form of cell group structure which he called Class Meetings as he formed his Methodist societies into national movement, first in Great Britain and later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the 18th century. In the second section, this study reviewed the history of small group movement from the early churches to these days. The first New Testament example of a small group is the small group the Christ chose. According to Backham, Christ's example of spending time with twelve disciples is the perfect time with twelve disciples is the perfect model for starting a cell church. New spiritual life has been marked by the emergence of small groups. Even in the Middle Ages, dynamic Christians gathered in small groups for prayer and study, training and service. They kept a flame burning admist the darkness of a decaying ecclesiasticism. Various sections of small group movement in Europe formed dynamic house-centered groups. They, such as Saint Francis of Assissi, Martin Luther, and the Hutterites in Moravia, lived out a New Testament-style community life, which had a far-reaching impact. The cell church movement today has done a great service to the church by reminding us of our New Testament roots. This movement rightly points to the New Testament as the basis for their practice. Although there are lots of strengths in the cell church ministry, there are also various dangers that can occur. One of those dangers is the issue of independence and isolation. When a cell leader exercises control without outside accountability, false doctrine and other problems can develop.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실펀신학의 실천적 목회 패러다임으로서의 소그룹 사역과 그 적용 연구

        양병모 ( Byung Mo Ya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3 생명과 말씀 Vol.7 No.-

        소그룹 사역은 한국교회의 성장기에 선교단체를 중심으로 도입되었다. 오늘날 포스트모던시대의 한국교회가 처해있는 상황을 보면, 교회외부적으로는 다원주의, 뉴에이지, 세속화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교회 내부적으로는 전통적 목회패러다임이 지닌 한계로 인한 교인의 감소화 사회적 영향력의 감소로 새로운 목회사역의 패러다임이 필요한 상황이다. 자발적이며 대면적인 동시에 분권적이며 민주적 특징이 바탕으로 한소그룹 목회패러다임은 생명력과 건강한 성장을 위한 유기적 구조를 지닌 목회패러다임인 동시에 교회의 지속적 갱신과 사회적 변화를 이루는데 적합한 목회패러다임이다. 또한 에클레시아적인 동시에 디아스포라적인 소그룹 목회구조는 교회의 내적 변화와 외적 영향력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구조적 모델이다. 새로운 신학운동은 새로운 방법론을 필요로 한다. 새로운 신학운동인 개혁주의 생명실천신학운동 역시 그 정신에 적합한 방법론을 요구한다. 그리고 건강한 교회의 지표 중의 하나로 여겨지는 소그룹은 유연성과 포괄성 및 재생산성, 그리고 접촉용이성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개혁주의생명실천신학의 주요 지향점인 실천적이면서 문화변혁적인 신학, 영혼구원과 재생산을 통해 열매 맺는 신학에 가장 적합한 목회패러다임이다. 도한 소그룹 목회패러다임은 교제공동체성의 회복을 지향하기에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지향하는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개혁에 적합하다. 나아가서 삶의 전 영역에서 그리스도의 주권이 실현되기를 지향하는 개혁주의 생명실천신학의 효과적 실현을 위해 소그룹 내에서의 모델링과 인격적인 교제는 매우 효과적인 목회방법 중의 하나이다.소그룹 목회사역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첫째, 목회자는 소그룹이 교회본질회복이 그 기본정신임을 깊이 자각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소그룹사역은 전체 회중예배와의 상호보관적 균형이 필요하다. 셋째, 소그룹의 구조는 기존신자와 지도자 중심의 닫힌 소그룹과 신자와 불신자가 뒤섞인 열린 소그룹이 모두 필요하다. 넷째, 소그룹은 소그룹 밖의 교회 전체 회중을 대상으로 한 훈련프로그램과 병행되어야 한다. 끝으로, 소그룹 사역의 실천에서 지도자의 선택과 훈련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교회는 세심하고도 체계적인 훈련과 양육의 과정을 준비하도록 하여야 한다. The .small group ministry was introduced by para-churches during rapid church growth times in Korea. Korean churches in the postmodern era, however, need new pastoral paradigm because, on the one hand, they are challenged by pluralism, secularism, and new age movement in the -world and, on the other hand, are suffered by their declining membership, polarization and weakening social impact on the Korean society. Small group pastoral paradigm, based on voluntary, face-to-face, decentralized, and democratic traits, fits in making the vital and healthy organic structure and in renewing church and social change continually. Small group pastoral structure both as ecclesiatic and diasporatic character is an effective structural model which pursuits both the inner .renewal and outward influence of the church. As Jesus said, "New wine must be poured into new wineskins”(Luke5:38), historically new theological movement needs new theological methodology. The movement of Reformed Life-Theology Practical Theology also needs the new methodology fitting into its new spirit. Small groups which both have flexibility and inclusiveness, reproductivity, and accessibility and indicate one of the healthy church characters are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pastoral paradigm which turns both into the practical and countercultural theology and soul redeeming and reproducing theology. Because small group pastoral paradigm also pursues the recovery of koinonia communality, that paradigm is suitable in continuing reformation to recover the very nature of the Church. Through the modeling and personal fellowship, furthermore, small groups could be a very effective ministerial approach to actualize the Lordship which Reformed life-Theology Practical Theology seeks. In order to do small group ministry effectively, at first, ministers fully recognize the main focus of the small group is the recovery of the nature of the Church. Secondly, small group ministry needs the balance between small group activity and congregational worship. Thirdly, the structure of small group needs both the closed small group for the believers and the opened group for non-believers. Fourthly; small group ministry needs to go with the discipleship training courses for the congregation. Finally, in implanting small group ministry,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group, leaders-and their systematic training and churches should prepare The very detail and well-designed training and caring programs.

      • KCI등재후보

        한국교회 소그룹 목회의 실태와 발전 방안

        김한옥 한국실천신학회 2007 신학과 실천 Vol.0 No.12

        한국교회는 소그룹으로 시작되었다. ‘구역’은 한국교회 소그룹 조직의 대명사이다. 그러나 한국교회는 소그룹을 조직만 해 놓고 그것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한국교회 그리스도인들은 생활 속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지 못하였다. ‘제자훈련’은 한국교회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된 소그룹 운동이다. 그러나 제자훈련은 한국교회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으나 대중적인 목회의 방법으로 발전할 수 없었다. 1990년대에 들어와 새로운 형태의 소그룹 목회가 소개되었다: 셀 교회, G. 12, 가정교회.소그룹 목회가 한국교회에 정착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한국교회는 너무 자주 대중집회를 갖는다. 둘째, 교회가 제도화 되었다. 셋째, 한국교회는 부흥집회를 목회의 수단으로 삼는다. 넷째, 목사들이 설교에 너무 많은 시간을 사용한다. 소그룹 목회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교회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먼저, 우리는 제도화되어버린 교회를 유기체적인 공동체로 바꾸어 놓아야 한다. 다음으로, 교회의 모든 직분들과 제도들이 목회의 기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소그룹과 대그룹이 공존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듣기만 하는 교회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실천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진정한 소그룹 목회는 방법론의 문제가 아니라 신학의 문제이다. 그러므로 소그룹 목회는 신약성경으로 돌아가는 것이며, ‘평신도는 누구인가’에 대한 해답이며, 올바른 교회론의 실천이다. Korean church began by small group. 'Guyeuk' is Korean church small group organization's major term. But, Korean church established small group and does not manages and operates it properly. As a result, the christian in Korean church did not expose God's glory in life. 'Disciple training' is small group that is begun to solve these problem of Korean church. But, disciple training dealt fresh impact to Korean church but could not develop by popular ministry's method. Small group ministry of new form was introduced entering in the 1990s : Cell church, G . 12, house church .What is reason that is not settled to Korean church that small group ministry does? First, Korean church often has mass meeting so. Second, church was institutionalized. Third, Korean church makes revival meeting ministry's means. Fourth, pastors use too many times on sermon. So that small group ministry develops, what is work which Korean church should does? First, we must displace church which have been institutionalized to community which is organic matter volume. Next, all functions and systems of church have to be understood by ministry's function. Also, it must become church which small group and great group coexist. Finally, it must become church which practice God's word and not church which hear God's word.Genuine small group ministry is problem of theology and not problem of methodology. Therefore, small group ministry is that returns to New Testament, is answer about 'who is Layman', and is practice of right ekklesiology.

      • KCI등재후보

        존 웨슬리의 구원론적 교회론 : 교회 개혁의 기초로서의 소그룹 교회 구조

        권문상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9 조직신학연구 Vol.31 No.-

        What was John Wesley’s(1703-1791) intention to make a small group church structure, the ‘ecclesioloa in ecclesia’, such as the Society, the Class Meeting, and the Band? It was the result of his pragmatic approach to the salvific conviction that he introduced a new church structure within the Church of England. And this small group church structure was presented as the basis for the reform of the church. It was not a true church figure that there was still sin in the church. A reform of corrupt church began with the realization of the sanctification and its church structure had to be in the form of a small group. The small groups, including the Class Meeting and the Band, sought to realize the fellowship of saints(communio sanctorum), which is the classical concept as the nature of church. In particular, he focused his attention on the practicalization of the holy fellowship of the saints by ‘entire sanctification.’ The reorganization of the church structure into a small group reached the apex of the soteriological ecclesiology. And the small group-centered reorganization of the church provided the basis for the church reform. It did not aim the church growth. Church reform was successfully created by ‘the churches in the Church’. The structure of a small group of churches proved to be a necessary tool for a true Christian life, the sanctification of men. 존 웨슬리(John Wesley, 1703-1791)는 ‘교회 안의 교회’(‘ecclesioloa in ecclesia’), 곧 신도회(Society), 속회(Class Meeting), 신도반(Band) 등의 소그룹 교회 구조를 어떤 의도로 만들었는가? 그가 영국 교회 안에서 새로운 교회 구조를 도입한 것은 그의 구원론적 확신에 따른 실용주의적 접근의 결과였다. 그리고 이 소그룹 교회구조는 교회 개혁의 기초로서 제시되었다. 교회 안에 여전히 죄가 있는 것은 진정한 교회의 모습이 아니었다. 부패한 교회 개혁은 성화의 실현에서 시작하고 그것의 교회 구조는 소그룹 형태여야 했다. 그가 만든 속회와 신도반을 비롯한 소그룹은 성화를 이루는 성도들의 교제, 곧 고전적 교회 본질 개념인 ‘성도의 교제’(communio sanctorum)의 실체 구현을 지향했다. 특히 그는 ‘완전 성화’에 따른 성도의 거룩한 교제를 실제화 하는 데에 관심을 집중시켰다. 교회 구조를 소그룹 중심으로 개편한 것은 구원론적 교회론의 정점이 되었다. 그런데 이 소그룹 중심의 교회 구조 개편은 교회 성장을 위한 것이 아닌 교회 개혁의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교회 개혁은 ‘교회 안의 교회’가 성공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것이다. 소그룹 교회 구조는 참 그리스도인의 삶, 곧 성화를 이루는 필요한 도구였음을 증명해준 것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