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도고시가의 작품과 연구 동향

        김신중 ( Shin Chung Kim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9

        근래 지역문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남도(광주·전남지역)의 고시가에 대한 지역문학적 탐색 성과를 연구사적 입장에서 검토한 것이 이 글이다. 특히 남도고시가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문학을 주요 대상으로 삼았다. 논의한 내용은 크게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남도고시가의 작품 현황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작품 범주를 남도인이 남도를 배경으로 제작한 작품, 외지인이 남도를 배경으로 제작한작품, 남도인이 외지를 배경으로 제작한 작품의 셋으로 나누고, 각 범주에 드는 작품들을 살폈다. 둘째, 남도고시가의 연구 동향을 검토하였다. 먼저 작품의 발굴과 소개가 이루어진 경위를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이어 지역문학적 입장에서 이루어진연구를 다시 자료정리적 차원과 지역성 해명 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남도고시가의 지역적 특성에 대한 해명이 아직 미흡함을 지적하였다. 그 이유로는 ``연구의 편향성``과 ``지역성 해명을 겨냥한 문제의식의 결여``를 들었다. Regional literature was recently spotlighted. In connection to this point, I dealt with the result of study about old Siga(詩歌) of Namdo(南道) which refers to the area of Gwangju and Jeollanam-do. In particular I mainly covered Sijo(時調) and Gasa(歌辭) literatur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at centralized Namdo`s old Siga. The main ideas were as follows. First, I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Namdo`s old Siga. In order to do this, I categorized the works of Namdo`s old Siga into three groups. The three categories were as follows: the ones written about Namdo by Namdo`s regional people, the ones written based on Namdo by people from other regions and the ones written about other regions except Namdo by Namdo`s regional people. Second, I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about Namdo`s old Siga. I ga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details of how the works are excavated and introduced with respect to the period. Then I divided the research done in the light of regional literature into two different groups such as the one studied in terms of organizing the research material and the one conducted with regard to explaining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upon this, I pointed out that there was not enough explanation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amdo`s old Siga for two reasons. The earlier studies are biased and there was a lack of critical mind to account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 17세기 시가문학의 연행 환경과 창작,향유의 경향

        길진숙 ( Jin Suk Kil ) 시학과 언어학회 2012 시학과 언어학 Vol.22 No.-

        This essay attempted to reveal the fact that Siga literature is performing arts on 17th century. Therefore on this report, I recomposed the performance environment, the popular song, a musical taste or artistic bent during 17th century. As a result, it showed tendency of Siga literature on 17th. Sadaebu fell into the esthetic appreciation and artistic quality on song and music on the stage. They put great emphasis on appreciation and announced that esthetic appreciation of song is extream pleasure. So artistic theory what controlled emotion and trained the nature have been tossed aside. Sadeabu enjoyed Jung Chul`s song <Gwandongbulgok>, <Samiingok>, <Sokmiingok>, <Jangjinjusa> during 17th century. As this songs, they was emotionally free and was sensible to artistic splendor. During 17th century, Sadeabu thank that the reality is absurd, that the life is the continuation of the trouble, that all is vanity in world, that the grow old and the death is destroyed for fear. Therefore They sang about mourning for the agedness and the conviviality. As this song, they was eager to enjoy the present, fall in beauty, respond to the change of the time, was given to wine and song and play with friends. The mood of Sadaebu was free and wallowed in pleasure.

      • 17세기 시가문학의 연행 환경과 창작·향유의 경향

        길진숙 시학과언어학회 2012 시학과 언어학 Vol.0 No.22

        17세기 시가문학사 연구는 문학적 측면에만 지나치게 경도되어, 시가문학의 연행문화적인 면모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다. 본고는 시가문학이 문학만이 아니라 공연예술이라는 점을 중시하여 연행환경, 유행하는 레퍼토리, 음악적 기호나 취향 등의 재구를 통해 17세기 시가문학의 특성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17세기 사대부들은 공연을 통해 고도의 심미감과 예술적 경지에 빠져들고자 했으며, 이런 추세에 부응하여 사대부가에서는 지방에서 활동하던 명창들을 개인적으로 보호하고 훈련시켰다. 이런 명창들의 노래 중 애호되었던 작품은 송강의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장진주사>였다. 이 작품들은 사대부들의 정서적 해방과 탐미적 예술성을 만족시키며 애청되었다. 17세기 사대부들은 아름다운 노래를 몰아 상태에서 감상하고 노래를 흥겹게 불러대는 순간이 인생 최대의 지락임을 선언했다. 17세기에 이르러 시가예술에서 도덕적 아취를 찾고, 도덕적 품성을 기르려는 도문일치의 패러다임은 한켠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17세기 사대부들은 현실은 언제나 부조리하고, 인생은 우환이 가득하며, 세상만사는 허망하며, 늙음과 죽음은 소멸을 향해 화살처럼 달린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페이소스 가득한 눈으로 현실을 바라보았다. 이들이 선택한 방식은 또 다른 구도의 길이나 인생을 달관하는 관조적이고 철학적 시선이 아니었다. 그들은 현재를 즐기고, 아름다움에 빠지고, 매 순간의 변화에 매혹되고, 시와 노래와 술이 어우러지는 예술과 놀이에 탐닉하고자 했다. 그 결과 17세기 노래를 관통하는 담론은 탄로와 취락이었다. 17세기 사대부들의 정서는 방달하고 쾌락적인 것이었지만, 퇴폐적 향락으로까지 치닫지는 않았다. 감성적이고 예술적인 것에 몰입하는 탐미적 완상이 17세기 사대부 시가예술의 개성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詩歌文學史에서 漢文詩歌의 위상과 의미 - 궁중 악제의 흐름과 관련하여

        박경주 한국한시학회 2008 韓國漢詩硏究 Vol.16 No.-

        Chinese writing song(漢文詩歌) is the form of a song which was transcribed with Chinese writing or Hyeontoche(懸吐體). It was written by the intellectual class, the literary men and the clergy in the mode of singing or recit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ly to define the field of Chinese writing song by inspecting the mode of enjoyment, secondly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Chinese writing song and Korean writing poems and songs(國文詩歌), and finally to clarify the literature historical meaning of Chinese writing song connected with musical system of the Royal Court. Chinese writing song is more broad category than genre; therefore, it includes many genre, and we can study on Chinese writing songs according to the genre. For Chinese writing song written by the intellectual class, Aakgasa(雅樂歌詞) and Gooho(口號) had not changed much from Chinese style, while Dangakgasa(唐樂歌詞) had gone through a big change. The genres of Zeng song(禪歌) and hymn(讚) among the songs written by the clergy had constantly changed. It is considered that some of the genres from Chinese writing song had come to take the form of Korean writing poems and songs after going through some change. We can verify that there are elements of Hyangak(鄕樂) in the Dangakgasa such as <Poongyipsong(風入松)>, <Yasymsa(夜深詞)>. This transformaton phenomenon had become more significant in the works like <Jahadong(紫霞洞)>, Kyeonggichega(景幾體歌) and Eobuga(漁父歌). In addition, Chinese writing song had an influcence on Korean writing poems and songs. This kind of influence can be easily seen in Goryeosokyo(高麗俗謠), Gasa(歌辭) and Akjang(樂章) in early Choseon.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Chinese writing song can be appreciated when we divide our history of poems and songs according to the mode of writing. Our history of siga literature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Mixed spoken language transcription period, written language transcription period and spoken language transcription period. Goryeo dynasty falls into the written language transcription period, during which Hyangchal(鄕札) had declined and the Korean alphabet had not been developed yet. That is why Korean writing poems and songs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writing and Chinese writing song became popular. The new types of Chinese writing song which was appeared during the period were Dangakgasa and Zen song. Compare to Korean writing poems and songs written in the spoken language, it was more difficult to sing Chinese writing songs since they were written in Chinese writing which takes the form of a written language. Moreover, Chinese writing song did not have the song characteristics of Korean writing poems and songs. This resulted in the change of these genres to ge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riting poems and songs. 본고에서는 아직도 학계에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한문시가에 대해 보다 깊은 논의를 진행하기 위한 전제로 먼저 그 개념과 범위를 문인층과 승려층으로 나누어 소개한 후, 한문시가 내에서 악장이란 영역이 갖고 있는 의미를 추적하여 한문시가와 한시의 접점을 찾고, 이를 통해 이 둘 사이의 보다 세밀한 영역 구분을 시도해보고자 했다. 또한 한문시가가 각 시대별로 국문시가의 여러 장르와 서로 영향 관계를 맺어나간 양상을 파악해보았는데, 이에 있어서는 시대에 따른 궁중 악제의 변화와 각 시대마다 시가 장르를 기록할 때 어떠한 문자들을 주된 표기 양식으로 사용했는가 하는 문제가 중요한 관건으로 대두되었다. 특히 아악, 당악, 속악으로 구분되는 궁중 악제가 각 시대에 따라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변화해가는가 하는 문제는 한문시가와 국문시가 모두에 영향을 끼치며 그 둘의 관계항을 규정짓는 중요한 조건으로 작용했기에 그 양상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했다. 한문시가는 전반적으로 궁중 악장의 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그 전통을 이어왔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시각에서 바라보면 궁중 악제가 본격적으로 정비된 것이 고려시대 와서의 일이고 조선후기 이후로는 민간악의 영역이 당대 음악의 중심이 되어간 사실에 비추어볼 때 고려시대에 한문시가가 가장 활발하게 창작되고 향유된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궁중 악장의 편제에 영향을 받는 것은 한문시가만이 아니라 국문시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 고대가요 몇 편과 향가를 제외하고는 별 장르를 찾아보기 어렵다가 고려초기 악제가 아악, 당악, 향악으로 정비된 이후로 고려가요, 경기체가, 어부가 계열의 장르들이 쏟아졌다. 시조와 가사의 형성 시기를 고려말로 보는 주장은 이제 거의 학계의 정설이 된 듯하니 시가사에 있어 고려시대의 중요성은 참으로 크다. 조선초기에 이루어진 악제의 재정비는 당악의 향악화를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추후 한문시가의 쇠퇴를 이끌어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이르러 시조와 가사를 비롯한 정악과 잡가, 판소리, 민요 등의 민속악을 주류로 한 민간악 중심으로 시대의 흐름이 달라지자 궁중악은 음악사에서 점점 그 존재가 약화되기에 이른다. 이렇듯 한문시가와 국문시가가 궁중 악제 편제의 영향 하에서 유지돼온 것은 중세까지 지식층에 의해 문학사가 주도되어 온 사실에 비추어보면 지극히 자연스런 일이기도 하다. 이렇게 궁중 악제의 영향을 동시에 받으면서도 내부적으로 한문시가와 국문시가는 당대의 주도적 표기문자에 의거하여 서로의 자리를 구축 혹은 변화시켜 나갔다. 궁중 악제를 중심으로 한 음악사의 추이와 각 시대마다 주도적 역할을 한 표기문자의 관계항 속에 한문시가는 국문시가와 길항관계를 맺으며 그 사적 흐름을 이어갔다고 볼 수 있겠다.

      • KCI등재
      • KCI등재

        도남 조윤제의 조선 시가사 기획 ― 형식의 역사화, 역사의 형식화 ―

        박슬기 ( Seulki Park ) 한림과학원 2017 개념과 소통 Vol.0 No.19

        이 글은 도남 조윤제의 『조선시가사강』과 이를 전후한 조선 시가에 관한 연구들을 통해서, 도남이 구성하고 있는 조선 시가사의 원리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는 조선 시가사를 관통하는 원리이자 조선 시가의 현상을 추동하는 이념으로서 형식을 설정했고, 그것은 향가의 분석에서 찾아진 2구와 반절성이었다. 그는 향가라는 기원형식에서 출발하여 시조와 가사에 이르는 과정 속에 변하지 않고 존재하는 형식을 설정하고 이를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형식을 역사화한다. 동시에 이 형식은 민족의 고유성이자 조선적인 것의 기원으로서, 역사의 흥망성쇠의 과정 속에서도 불변하는 것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불변하는 이념적 형식과 일치한다. 그는 이 지점에서 시가사의 이념을 민족사의 이념과 일치시킴으로써 역사를 형식화한다. 그러나 그의 서술에서 이념형은 수많은 조선 시가의 현상을 증명하는 데에는 실패한다. 즉 그의 이념형은 현상들의 생성과 소멸과정 속에서 그 부재성만이 증명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념형의 역사화 자체는 저항된다. 그리고 그런 차원에서만 역설적으로 이 무수한 충돌의 흔적들, 도남이 결국에는 설명하지 못했던 수많은 현상 자체가 자기를 역사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드러나는 것은 2구와 반절성이라는 이념의 이면에 있는 근대문학사가로서의 조윤제의 이념, 즉 시와 가의 구별이라는 근대문학의 이념이다. 이 지점에 조윤제가 1930년대에 조선 시가사를 구성하고자 했던 근본적인 동인이 자리한다. 그것은 조선 시가를 `문학적 현상`으로서 증명하고자 했던 혹은 해야만 했던 것, 즉 자기 자신의 증명인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inciples underlying Jo Yunjae`s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poetic song (Joseon Sigasa) by analyzing his studies of premodern Korean poetic texts, as developed in his monograph, Principles of Korean Poetic Song (Joseon Sigasagang), and in his other work. For Jo,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governing traditional Korean poetic writing was form. His understanding of form was distilled from his analysis of Hyangga (the extant poetic genre from the ancient Silla period of Korea), and it has a dual character. He considered form as the most essential poetic attribute, and believed it had been preserved substantially intact during the modal changes from Hyangga to Sijo and to Gasa. In Jo`s discussion of this continuity of form throughout history, poetic form is historicized, becoming deeply intertwined with the origin of Korean-ness (i.e. of Joseon), and provides a steadfast anchor for the unchanging Korean character through the course of Korean history. Thus, Jo created a vision of history which identified and synthesized the ideas governing both the history of poetry and that of the Korean nation. However, Jo`s theory of form fails to explain various features of premodern Korean poetry. His ideal form is profoundly difficult to establish, in the sense that its absence in history can be confirmed, rather than its existence, and the historical manifestation of Jo`s vision is unconvincing. To literary historians in modern Korea, Jo`s ideas simply cannot supply a usefu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poetic song throughout premodern Korea. Indeed, a better interpretation of Jo`s work would emphasize his unconscious desire to prove himself as a Korean literary historian through his blind insistence upon form.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