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유 및 우유 중에 존재하는 항균성 물질에 의한 Escherichia coli(Enterotoxigenic Strains) 성장억제에 관한 연구

        이조윤 中部大學校 農業開發硏究所 1994 農業開發硏究論文集 Vol.3 No.-

        본 연구는 인유 초유 중에 다량 존재하면서, 국소면역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Secretory immunoglobulin A (SIgA)를 분리하여 신생아 또는 성인에게 설사를 일으키는 장독소형 대장균 (Enterotoxigenic type E. coli ; E. coli O148, E. coli O79, E. coli O15, E. coli O1)의 성장억제효과를 실험하였다. 인유와 우유 초유 중에서 분리한 SIgA를 각각 0.1~2.0 ㎎/㎖의 수준이 되도록 stock solution을 제조하여 성장억제효과를 비교 검토하였으며, 한편 항균성물질로 알려진 human lactoferrin, bovine lactoferrin과 egg lysozyme을 각각 0.1~2.0 ㎎/㎖의 수준으로 SIgA와 혼합 첨가하면서, 그에 따른 성장억제효과를 구명하였다. Human SIgA는 0.1~O.5 ㎎/㎖의 농도에서 효과적인 성장억제효과를 보였으며, 그 以上의 농도에서는 억제효과의 증가추세가 둔화되었다. Bovine SIgA는 human SIgA와 같이 0.1~O.5 ㎎/㎖의 농도에서 효과적인 성장억제효과를 보였으며, E. coli O1의 경우, 0.5 ㎎/㎖이상의 농도로 증가시킬수록 점진적인 효과를 보여 주었다. Bovine IgG는 enterotoxigenic type E. coli에 대하여 성장억제효과를 보여 주지 못했으며, 다만 toxin을 분비하지 않는 E. coli O1에서 경미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Human SIgA와 human 또는 bovine lactoferrin 및 egg lysozyme을 단독 또는 혼합 첨가하면서 시간경과에 따른 성장억제효과를 시험한 결과, 4균주 모두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성장억제효과가 높았다. 특히 SIgA와 egg lysozyme을 혼합한 처리구에서 탁월한 억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SIgA 단독 첨가구와 SIgA와 human 및 bovine lactoferrin을 혼합한 처리구에서는 E. coli O79를 제외하고는 비슷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SIgA와 human lactoferrin 또는 bovine lactoferrin의 혼합 첨가에 따른 성장억제효과는 상호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Bovine SIgA와 human 및 bovine lactoferrin 그리고 egg lysozyme을 단독 또는 혼합 첨가한 시험에서는, human SIgA에 human및 bovine lactoferrin 그리고 egg lysozyme을 첨가한 시험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Human secretory immunoglobulin A (SIgA) which had bacteriostatic activity on enterotoxigenic type E. coli for adult and children were seperated from human and bovine colostrums and were tested for the bacteriostatic activities. Seperated SIgA was used in 0.1~2.0 ㎎/㎖ concentration with or without the addition of human and bovine lactoferrins and human, bovine and egg lysozymes tested for theirs bacterioatatic activitles,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Human SIgA appeared to be the most bacteriostatic effect for all varieties of E. coli in a range of 0.1~O.5 ㎎/㎖. Bovine IgG had show bacteriostatic effect against all enterotoxigenic type E. coli in a range 0. 1~O.5 ㎎/㎖ while it increased its effect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for E. coli O1. Bovine SIgA as well as human SIgA also showed a marked bacteriostatic effect in the presence of 0.1~O.5 ㎎/㎖ and the effect of both samples against E. coli O1 increase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When the growth inhibition of human SIgA was tested by adding human and bovine lactoferrins or egg lysozyme with time interval, all entero-strains showed bacteriostatic effects as compared with control. Especially human SIgA containing egg lysozyme showed a marked bacteriostatic effect. Both SIgA and the mixture containing SIgA and human and bovine lactoferrins were similar to the result except for E. coli O79 which rarely showed the bacteriostatic activity. When SIgA by adding human lactoferrin and bovine lactoferrin the effects were not observed. When the growth inhibition of bovine SIgA was added with human and bovine lactoferrins or egg lysozyme with time interval, the result was similar to that of human SIgA with the addition of human and bovine lactoferrins or egg lysozyme.

      • KCI등재

        한중 시가의 맥락관계에 대한 논변

        김준옥(kim Jun-ok)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60 No.-

        어느 민족이나, 시가는 원래 생활환경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발전한다. 그 시가가 유지되고 지속되기 위해서는 자신들의 악률과 성정에 맞아야만 가능한 일이다. 새로운 시가가 생성되더라도 이런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한국시가의 중국 시가 수용 및 영향설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상대로부터 중국 문화의 수용과 영향을 받아 왔던 한국은 국문시가 만큼은 가창의 수단으로서 한민족 악률의 전통을 잇고 사상 감정을 실어 독자적으로 발전했다. 이는 문화변동 차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내부적으로 시가의 전통을 이으려는 강한 주체적 의지가 가장 크게 작동했다고 보아진다. 따라서 한중시가의 맥락관계는 다시 검토되어야 한다. 상대 시가는 그 원형을 알 수 없고, 한중은 음운 체계부터 상이하여 시경의 체와 비교하는 것은 무리다. 향가는 2행 배행인 4구체를 기본으로 8구체로, 10구체로 확장되는 모습을 보는데 이것은 한국의 고유 언어에 맞는 악률 때문이다. 경기체가는 향가나 정과정과 선율이나 노랫말에서 그 유사성이 발견되고 또 민요와도 닿아 있다. 고려가요는 향가와 전통 민요의 변이 형태이다. 악장은 중국의 그것을 그대로 차용하거나 모방하지 않은 창조물이다. 시조는 향가의 3단 구성과 낙구, 고려가요의 3분절 형식이 그 연원이다. 가사는 경기체가, 고려가요, 시조의 산문화에서 장가로 변이되었다. 이렇게 보면, 한국시가는 앞 시대의 시가 형태에서 질서정연하게 변이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에는 무엇보다 언어의 악률 문제, 내부의 주체적 의지가 크게 작용한 결과로 이해된다. 앞으로도 한국시가의 전통성과 독자성은 이 틀 안에서 전개될 것이다. Siga had originally been formed and developed in the midst of a close relationship with primitive living environment. For Siga to maintain and continue, it is necessary for Siga to be fit to their own melody and character. It is clear that Korean Siga as means of singing had independently developed, succeeding in tradition of melody and conveying thoughts and emotion of Korean people. Based on this premise, the study explored acceptance and influences of Chinese Siga upon Korean Siga. There are clear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character is also distinguished each other. So the author figured out that Siga in two countries coexisted, did not exist in assimilation and fusion in contextural relationship of two Siga. Above all, such coexistence was possible by internal willingness to maintain tradition and uniqueness of Korean Siga, being free from acceptance and influence of Chinese Siga. And Korean Siga was created, disappeared, and maintained from such internal willingness. Tradition and uniqueness each genre of Korean Siga are as below. Prototype of Siga in the ancient times is not known today and phonemic system was different so that it would be unreasonable to compare with style of Book of Odes. Hyangga may consist of four, eight or ten lines. Four lines is basic and expanded to ten lines. This development is based on melody that is fit to Korean unique language. Gyeonggichega is similar to Hyangga in ten lines or 〈Jeonggwajeong〉 in melody or song words. Gyeonggichega is also close to "voice to give and take" in folk song. Goryeo Gayo was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and established in letter later. Form of original Gayo is not known but this is related to traditional folk song in lingering refrain, melody etc. Akjang did not borrow or copy Chinese one as they are even in the ideological framework of Confucianism. It accepted form that had maintained from previous era and changed the form or it was created to new style of Siga. The origin of Sijo is three lines and concluding line of Hyangga in ten lines, and three parts form of Goryeo Gayo. Gasa escaped from becoming prose and norm of Sijo. In addition, encouraged by era"s spirit of expansion of prose spirit, it developed to Jangga while maintaining existing melody. Until now, Sijo among Korean Siga was innovated to modern literature. Gasa also just entered the way of creation as modern literature. Sijo and Gasa coexist with modern poem and essay. This is a result of internal willingness only. This is anti-cultural phenomenon against western culture rushed like water. This is understood as part of maintaining our own tradition and keeping uniqueness. Here, tradition and uniqueness of Korean Siga are found. Tradition and uniqueness of Korean Siga would be maintained and developed as long as our people thrive.

      • KCI등재

        남도고시가의 작품과 연구 동향

        김신중 ( Shin Chung Kim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9

        근래 지역문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남도(광주·전남지역)의 고시가에 대한 지역문학적 탐색 성과를 연구사적 입장에서 검토한 것이 이 글이다. 특히 남도고시가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문학을 주요 대상으로 삼았다. 논의한 내용은 크게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남도고시가의 작품 현황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작품 범주를 남도인이 남도를 배경으로 제작한 작품, 외지인이 남도를 배경으로 제작한작품, 남도인이 외지를 배경으로 제작한 작품의 셋으로 나누고, 각 범주에 드는 작품들을 살폈다. 둘째, 남도고시가의 연구 동향을 검토하였다. 먼저 작품의 발굴과 소개가 이루어진 경위를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이어 지역문학적 입장에서 이루어진연구를 다시 자료정리적 차원과 지역성 해명 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남도고시가의 지역적 특성에 대한 해명이 아직 미흡함을 지적하였다. 그 이유로는 ``연구의 편향성``과 ``지역성 해명을 겨냥한 문제의식의 결여``를 들었다. Regional literature was recently spotlighted. In connection to this point, I dealt with the result of study about old Siga(詩歌) of Namdo(南道) which refers to the area of Gwangju and Jeollanam-do. In particular I mainly covered Sijo(時調) and Gasa(歌辭) literatur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at centralized Namdo`s old Siga. The main ideas were as follows. First, I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Namdo`s old Siga. In order to do this, I categorized the works of Namdo`s old Siga into three groups. The three categories were as follows: the ones written about Namdo by Namdo`s regional people, the ones written based on Namdo by people from other regions and the ones written about other regions except Namdo by Namdo`s regional people. Second, I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about Namdo`s old Siga. I ga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details of how the works are excavated and introduced with respect to the period. Then I divided the research done in the light of regional literature into two different groups such as the one studied in terms of organizing the research material and the one conducted with regard to explaining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upon this, I pointed out that there was not enough explanation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amdo`s old Siga for two reasons. The earlier studies are biased and there was a lack of critical mind to account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삼국유사』의 시가와 향가 ― 찬시와 향가 속 ‘꽃’의 양상을 통해본 상징과 층위 ―

        김은령 ( Kim Eun-ryeong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8 한국불교사연구 Vol.13 No.-

        이 논문은 『삼국유사』에 수록 된 시가와 향가를 일별하여 보고, 그 중 ‘꽃(花)’이라는 글자나 꽃의 이름이 들어 있는 작품을 중심으로 그 꽃이 가진 상징을 통해 꽃의 불교적 층위를 규명해 보았다. ‘꽃’은 문학에서 다양한 의미의 기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꽃의 종류에 따라 가지고 있는 상징 또한 다 다르다. 이러한 상징성을 통해 문학의 향취와 덕목을 형성하는 꽃은 문학에서 스토리와 배경을 가지기도 한다. 『삼국유사』에는 14편의 향가가 실려 있다. 그리고 계(契)와 일연의 찬을 포함하여 모두 73편의 시적(詩的) 형태의 글이 실려 있는데, 이를 모두 시가의 범위에 둘 수 있다. 이들 시가와 향가 87편중에서 ‘꽃’이라는 글자나 꽃 이름이 들어 있는 작품을 발췌해 보면 시가에서는 일연의 찬(讚)에서만 10편, 향가에서 3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삼국유사』의 시가와 향가는 본문의 이해를 높이는 기능적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등장하는 꽃은 시의 중요한 대상 중 하나로 공통의 상징과 개별의 상징으로 다양한 의미를 도출해 내고 있었다. 또한 꽃은 불교에서는 육공양물(불교 의례 중 부처님 전에 올리는 공양으로 6가지인 꽃(花)·차(茶)·향(香)·과일(果)·초(燈)·쌀(米) 등)에 속하는 불교 의례의 상징물 중 하나이다. 이러한 상징을 가진 꽃에 대한 시선을 『삼국유사』 속 시가와 향가에서는 문학적 측면 이외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두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발췌한 시가와 향가에서 등장하는 꽃의 종류는 연꽃, 매화, 철쭉, 버들 꽃, 천화, 만덕화 등이 있었다. 또한 잡화, 낙화, 안화(岸花), 화랑 등을 비유한 ‘花’가 있었다. 이 꽃들은 그 상징으로써 층위를 나눌 수 있는데, 우선 1차적 상징만으로 ‘불·법·승’을 상징하는 ‘연꽃’, ‘천화’, ‘만덕화’, ‘양화’는 ‘불화(佛花)’로 지칭하고, 꽃이 가진 1차적 상징을 은유하여 ‘불·법·승’을 나타내는 것으로 불교의 전래를 상징한 ‘매화’, 불교의 전수를 상징한 ‘철쭉’, 화엄사상을 상징하는 ‘잡화’와 밀교와 정법을 상징한 ‘안화’는 ‘법화(法花)’로 나누었다. 시가와 향가에 등장하는 꽃들은 ‘꽃’이 가지고 있는 상징으로 불법의 전수와 홍포, 불교의 근본적인 사상인 자비 등 전법의 전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모두 불찬(佛讚)을 바탕에 두고 상징의 방식에 따라 층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Siga and hyangga in Samkukyusa written by Il Yeon, a Buddhist monk (1206-1289) and tries to demonstrate Buddhistic hierarchy of ‘flower(花)’ by focusing on stories with the word ‘flower(花)’ and the names of flower. In the literary works, ‘flower’ has been used for materials with various meanings and each flower has different symbols. 'Flower' creating literary fragrance and virtue with symbolic meanings, has its own background and stories. In Samkukuysa, there are 14 hyangga and 73 poetic writings including Gye and Chan(eulogy) of Il Yeon, and all of them are categorized in the types of Siga. The word ‘flower(花)’ and the names of flower are found in 10 Chan of Il Yeon and 3 hyangga, out of all 87 Siga and hyangga. Siga and hyangga in Samkukyusa can help u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ext itself, and ‘flower’ used in Samkukyusa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 of the poem and it has various meanings with common or unique symbols. ‘Flower’ in Buddhism, an iconic symbols of Buddhistic rite, is one of the six ritual offering for Buddha (6 ritual offerings for Buddha in Buddhistic rite: flower, tea, fragrance, fruit, candle, rice etc). It will also be meaningful to try to found out what symbolic ‘flower’ means in Siga and hyanggas in Samkukyusa. The names of lotus, apricot, a royal azelea, willow flower, Caesar weed are written on the Siga and hyangga. And there are names of weed, fallen flower, flower on a hill and ‘花' used for metaphor for Hwarang. These flowers are symbolic objects used to admire and buddhism around the world. And they make Buddistic hierarchy based on different types of symbolism. For example, lotus, apricot, a royal azelea, willow flower, Caesar weed can be the Buddistic sacred objects, symbolizing Budda, universal truth, Buddist monk, which can be the prior and first symbols. And the letter ‘flower(花)’ used in Hwarang can be the secondary symbols, which means Buddistic propagation, official recognition.

      • KCI등재

        메이지(明治) 민족주의에 관한 연구 : 시가 시게다카(志賀重昻)와 오카쿠라 텐신(岡倉天心)을 중심으로

        송석원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underpinned by a theoretical discussion on nationalism, to investigate how Japanese nationalism had established during a formative period in the modern nation, observing an attitude of the Japanese intellectuals in the Meiji era. As Gellner and Anderson had pointed out, it is the Meiji era that nationalism is firmly established, if nationalism is a result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I examine characteristics of the Meiji Nationalism, especially focused on the theories of Siga Sigetaka and Okakura Tensin, who made an outstanding impact during the period. Two of them sought to find a way of "non-western" like modernization, that is, modernization in Japanese style. Siga and Okakura had kept holding a negative position on a strong tendency of westernization over the Meiji Society. Therefore, they played a significantly important role to set up nationalism in Japan. The common factor found between 'Explorer Siga' and 'Artist Okakura' is that they had started to describe Japanese traditional beauty in western language, English, even though learning western culture was considered as a social norm at that time. Seen from this point of view, Siga, who highlighted the natural beauty, the scenery, and Okakura, who gave emphasis to the spiritual beauty, Dado, represent Japanese 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they also had open-mindness from the fact that they used western language. 본 연구는 민족주의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를 바탕으로, 메이지 시대 일본 지식인들의 동향에 주목하면서 일본의 근대 국민국가 형성기에서의 민족주의 확립 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겔너나 앤더슨이 지적하고 있는 바와 같이, 민족주의를 근대 산업사회의 산물로 규정할 수 있다면, 바로 메이지 시기야말로 일본에서의 민족주의가 확립되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 시기에 활약한 지식인 가운데 특히 시가 시게다카(志賀重昻)와 오카쿠라 덴신(岡倉天心)의 사상을 중심으로 메이지 민족주의의 논리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시가와 오카쿠라는 모두 대체로 비서구적인 근대화의 길, 환언하면 일본의 주체적인 근대화의 방향을 모색(이들이 당시의 사회 전반에 걸쳐 압도적인 서구화의 경향에 대해 비판적인 자세로 시종일관하였던 것은 이 때문이었다)하였다. 따라서 국수주의 혹은 국민주의적인 민족주의가 일본에서 확립되는 데 있어 이들이 차지하는 위상은 결정적으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탐험가 시가’와 ‘예술가 오카쿠라’에 공통되는 것은 두 사람 모두 서구를 학습하는 것이 사회적 규범이 되어 있던 시기에 서구를 향해 서구의 언어(영어)로 일본의 전통적 미를 표출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이다. 일본의 자연적 미(풍경)를 강조한 시가와 정신세계의 미(다도)를 강조한 오카쿠라는 바로 그러한 점에서 일본 국수주의를 대표하지만, 한편으로는 국수주의의 표출방식으로서의 서구 언어의 활용에서 보는바와 같이, 서구의 배제를 사정(射程)에 두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개화적이다. 이들의 국수주의 사상은 서구화의 진행 속에 비로소 일본적인 것에 대한 동경을 일본사회에 촉발시켰다는 점에서 국수주의의 원점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예안 사족 申甲俊 詩歌의 도학적 특성과 의의

        송재연 한중인문학회 2020 한중인문학연구 Vol.68 No.-

        이 논문은 경상도 예안에 세거했던 申甲俊이 시가를 창작하는 데 배경이 되었던 학문적 원천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城西幽稿 소재 시가의 창작양상과 도학적 특성을 고찰하여 퇴계학이라는 학문적 배경 속에서 그의 시가 창작이 가지는 의미를 규명하고자 작성된 것이다. 申甲俊은 예안에 세거했던 한미한 향촌사족이었지만, 그의 향리인 예안은 퇴계학의 본향이라고 할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李滉은 그가 宦路에 나갔던 기간을 빼고 생애의 대부분을 이곳에서 보냈고, 만년에는 도산서당을 지어 학문을 연마하며 후학 양성에 전념했기 때문에 爲己之學의 학풍을 지닌 많은 문인들이 배출될 수 있었다. 李滉의 사후에는 趙穆이 뒤를 이어 스승의 학문을 계승하며 학파를 형성하는 한편, 도산서원을 중심으로 한 眞城李氏나 光山金氏 등의 가문에서 家學으로 퇴계학을 계승하면서 학맥이 이어지게 된다. 17ㆍ18세기에 들어서는 眞城李氏와 光山金氏 가문이 예안 내에서 실질적인 유력가계로 대두되었는데, 특히 眞城李氏 가문의 李滉 후손들은 그의 학문을 家學으로 삼아 문집을 간행하고, 언행록을 편찬하며, 문도록을 간행하는 일에 진력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申甲俊은 光山金氏 金時粲과 眞城李氏 李家淳과 교유하며 퇴계학의 영향을 받았고, 시조 <陶山十二曲>에 대한 관심도 깊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학문적 원천과 관심을 토대로 다수의 시조, 가사 작품을 창작하였다. 그의 시가 작품에 구현된 도학적 면모와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는데, 먼저 예안 지역 내 李滉의 遺痕 확인과 尊仰心의 발현을 들 수 있다. 시가를 통해 巨儒 李滉의 자취가 남아있는 ‘예안’의 지역 공간이 가지는 도학적 含意를 드러내는 동시에 李滉에 대한 尊仰心과 그가 體得했던 理趣를 재현하여 이를 예안 지역 유력 사족들과 함께 향유했는데, 이를 통해 향촌사족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는 동시에, 우리말 노래인 시조와 가사를 통해 퇴계학의 이념을 더욱 宣揚함으로써 사족층의 교화와 결속에도 기여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修己와 講學의 勸戒를 통한 대학적 세계관의 구현을 들 수 있다. 申甲俊은 三綱五倫과 같은 실천윤리보다는 愼獨, 修身, 守分과 같은 심성 수양, 학문 연마와 관련된 문제를 우리말 노래로 형상화했는데, 이는 당대 예안 지역에서는 실천윤리를 통해 향촌민을 규제하는 것보다는 향촌사족으로서 자신을 수양하는 것이 더욱 緊切하다는 대학적 세계관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his creation in relation to Toegye Studies by deriving the academic sources that led to the creation of Siga(시가) by Shin Gapjun, who lived in Yean, and by examining the aspects of his creation and the Neo-Confucian characteristics embodied in his Siga. Although Shin Gapjun was a humble Hyangchon Sajok who lived in Yean, Yean, his hometown, is the home of Toegye Studies. As is well known, Yi Hwang spent most of his life here except for the period when he was in office, and in his later years, he dedicated himself to cultivating his students in Dosanseodang. Therefore, many disciples who succeeded Wigijihak(위기지학) were able to be produced here. After Yi Hwang's death, Jo mok inherited his teacher's studies and formed a school, while succeeding Toegye Studies from a family of Jinsung Yi and Gwangsan Kim to a family's studie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descendants of Yi Hwang used his studies as a family education to publish literary works, compile records of his words and deeds, and and publish lists of his disciples. Under these circumstances, Shin Gapjun was influenced by Toegye Studies by interacting with Kim Sichan and Yi Gasun, and his interest in Dosansibigok(도산십이곡) and other literary works written by Yi Hwang also deepened. Based on these academic sources and interests, he created a number of literary works, Sijo and Gasa. The Neo-Confucian aspects and characteristics embodied in his literary work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he first is to identify the traces of Yi Hwang in the Yean area and to show respect for him. Shin Gapjun revealed the meaning of Yean's traces, while recreating the respect for Yi Hwang and the reason he realized through his Siga, and enjoyed it with the people of Yean Sajok. By doing so, he was able to solidify his position as Hyangchon Sajok,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 to the enlightenment and solidarity of the Sajok by further enhancing the ideology of Toegye Studies through Korean songs. The second is the embodiment of Ta Hsueh(대학)-based view of the world by encouraging the cultivation of mind and academic performance. Shin Gapjun embodies problems related to mental training and academic performance in Siga rather than practical ethics,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reflects the perception that training oneself as Hyangchon Sajok is more important than regulating the people through practical ethics in the Yean area of the time.

      • KCI등재

        歌曲과 時調의 접점: 신발굴 가집 『歌詞』의 특성과 계보

        권순회 국문학회 2011 국문학연구 Vol.0 No.23

        This thesis is written to introduce the newly discovered anthology, Gasa to the academic world. And another aim is to recheck the understanding of anthology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which are divided Gagokchang and Sijochang. Gasa which is introduced in this thesis, had been probably transcribed after the late of 19th century. It contains 392 pieces of Sijo and is the typical anthology in 18th centur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Gasa is that the fourth segment in last line of a Sijo was omitted in 276 pieces of 392 pieces even though it got the formation of Gagokchang in 18th century. It was very unique aspect. The compiler of Gasa, who knew full well about Sijochang had changed from the words of Gagokchang to Sijochang according to his or her musical tastes. The attitude of edit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Gasa was clearly grasped through the comparison of Gajobyeolram(歌調別覽) and Siga(詩歌). Gajobyeolram and Siga are different versions and anthologies which was compiled around in the mid-18th century was transcribed in the late of 19th century. These have attracted public attention because these show the characteristics of unique category which is different from Cheongguyeongeon(靑丘永言) and Haedonggayo(海東歌謠). Gasa is considered an abridged edition of Gajobyeolram and Siga. Gasa is the anthology which contained compiler's musical experience and interest even though it is drastically abridged the original text. This anthology contained the interest in Sijochang and is based on the abridged the musical experiences and anthology's characteristics in 18th century. These characteristics of Gasa suggest many things about understanding anthology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Whenever we see an anthology, we tried to figure out whether it is the anthology of Gagokchang or Sijochang till now. And we classified the history of Sijo into Gagokchang and Sijochang. There are anthologies like Gagokwonryu(歌曲源流) or Namhuntaepyongga(南薰太平歌) which are obviously planned to compile for Gagokchang or Sijochang. However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compilers naturally reflect his or her musical taste and interest during the transcribing the original texts frequently. In 19th century the tendency that the anthology of Gagokchang actively accepted the words of Sijochang became clear. This is related to the expansion of Sijochang’ performance. I can find several cases that Gagokchang and Sijochang coexist in the same anthology besides Gasa. There's a high probability that we will find more various aspects in anthology through the overall examination of anthology’s genealogy.

      • KCI등재

        吟誦의 淵源과 樣相

        李澯旭(Lee Chan-Wook) 한국시조학회 2010 時調學論叢 Vol.33 No.-

        古典詩歌는 音樂과 文學이 분화되지 않은 혼재된 양식으로 존재했다. 그런 점에서 古典詩歌의 미적 가치를 해명하고 享有하기 위해서는 詩歌의 演行方式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무릇 모든 詩歌는 創作ㆍ評論ㆍ傳播의 세 축을 중심으로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계승 발전되어 왔다. 현재까지 국민문학으로 전승 발전되어 온 時調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현재 時調는 歌唱, 吟詠, 朗誦, 朗讀, ?讀 등의 다양한 演行方式으로 전승되고 있다. 이는 吟誦의 연원과 양상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다. 吟誦은 吟詠과 誦讀의 합성어이다. 吟詠의 대상은 詩詞와 韻文이며 誦讀의 대상은 散文이다. 吟詠은 歌唱과 달리 고정된 音階와 曲調(가락) 그리고 樂譜가 없다. 吟은 음악의 리듬 쪽에 기울고 誦은 언어의 리듬 쪽으로 기운다. 그리하여 吟 할 때 가사의 音이 선명하고 誦보다 우아하며 부드럽다. 誦은 吟보다 의미의 표현이 더 뚜렷하다. 吟은 소리를 길게 끌어 노래부르는 것처럼 하고 誦은 소리를 짧게 끊어 승려들이 讀經하는 소리와 비슷하다. 吟과 誦은 모두 자연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樂語’를 사용한다. 그래서 자연언어 보다 좀 더 강한 음악적 미감을 지닌다. 원칙적으로 자연언어의 讀과는 구분된다. 그리하여 時調의 전파는 吟詠의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時調의 律讀은 吟詠의 演行方式으로 실현되어야 함을 밝혔다. 향후 時調의 傳統繼承과 世界化를 위하여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양식론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吟誦의 原理와 規則 그리고 그 效用性에 대하여 연구의 지평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The style of Gojeon-Siga is a song and a literature are not separated. In this aspect, to explain the aesthetic value of Gojeon-Siga and enjoy it, we need to focus on the way of enjoy style of Siga. In general, all songs have been passed on and developed pivoting on creation, critique, and transmission. Si-Jo which is passed on and developed as a popular literature is a typical example. Today, Si-Jo is enjoyed by song, recitation, reading, etc. This is because misunderstanding of the origin and style of Eum Song. Eum Song is compound word of Eum Yeong and Song Dok. Eum Yeong is used to enjoy Si-Jo and verse and Song Dok is used to enjoy pros. Eum Yeong has no scale, melody and score. Eum is inclined to music's rhythm and Song is inclined to language's rhythm. So, when something is Eum, a melody of lyrics is clear and it's more elegant and smoother than Song. Song expresses meaning clearer than Eum. Eum is similar to song and Song is similar to buddhist chant. Both of Eum and Song use musical language, not general language. So they have stronger musical sense than general language. In principle, they are different from general language's Dok(reading). Therefore, transmission of Si-Jo have to be done by Eum Song and reading of Si-Jo have to be realized by style of Eum Song. From now on, for succession of tradition and globalization, it is needed to study more about principle, rule and effectiveness of Eum Song by using methodology of style in point of comparative literature.

      • KCI등재

        時調唱의 展開와 現況

        문현(Moon, Hyun) 한국시조학회 2015 시조학논총 Vol.42 No.-

        ‘時調唱詞’를 노랫말로 하는 시조창의 전개와 현황에 대한 논문이다. 시조창은 현재까지 전하여지는 우리 한민족의 대표적인 詩歌로, 역사적으로 신라 鄕歌 이전부터 그 근원을 소급할 수 있으나, 현재 전하는 시조창은 1800년경 조선조 후기부터이다. 시조창은 1800년경 서울 일원에서 발생한 京制 平時調로부터 태동하여 다양한 악곡의 종류가 생겨나고, 또한 서울뿐 아니라 각 지방으로도 널리 불려 다양한 지역별 창제가 생겨났다. 본고에서는 1800년경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조창의 전개 양상을 1800년대와 1900년대 이후로 구분하여, 1800년대는 古악보를 중심으로 현행 악곡과의 비교를 통하여 현행 악곡의 발생 과정을 살피고자 하였으며, 1900년대 이후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경제를 비롯한 영제, 내포제, 완제 등 각 지역별 창제와 현재 전국적으로 가장 널리 불리는 석암제 창제를 포함하여 인물(창자) 중심의 전승계보를 밝혔다. 이에 따르면, 1800년경의 고악보에 수록된 초기 시조악곡들은 거의 현행 경제평시조와 지름시조 계통이었다. 1900년대 이후에는 악곡의 종류가 십여 종류로 다양화됨과 아울러 지역별 창제도 확립된 시기로 경제 시조창 외에 영제, 내포제등 시조창이 생겨났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에는 석암 정경태가 만든 창제가 전국을 통일하다시피 하여 각 지역별 창제의 고유성을 잃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편으로 1900년대 초, 중반 또는 중반기 이후부터 전개되기 시작한 시조창의 학술, 창작 및 공연별로 그 양상을 각각 살폈다. 학술 부문은 1950-60년대 초창기에 장사훈과 이혜구에 의하여 주도되었고, 이후 황준연, 김영운, 서한범, 변미혜, 최헌, 임미선(무순) 등과 같은 국악학자들과 시조창에도 관심이 많은 김동준, 신웅순, 신경숙, 조규익(무순) 등의 국문학자들이 뒤를 이었다. 또한 김기수, 이주환, 정경태, 이양교, 김호성, 조순자 및 필자(무순) 등의 전문 실기인들도 학술적 가치가 큰 악보집이나 저서 및 논문 등을 통하여 시조창 이론의 정립을 꾀하였다. 창작 부문은 시조창에 한정된 곡은 아니지만 정가에 바탕한 아악풍의 곡들을 만든 김기수로부터 시작되어 한만영, 이성천, 황병기, 김용진, 박일훈, 이상규, 김영동, 임진옥, 황의종, 이해식, 전인평, 이준호, 김성경, 유은선, 이건용, 백병동, 이만방, 황성호, 김기영, 구본웅, 임준희, 이찬해, 류형선, 김현정, 박경훈, 박정규, 신동일, 안현정, 윤혜진, 이태원, 임희선(무순) 등의 작곡가들에 의하여 시조 창작곡을 포함한 정가창 관련 창작성악곡들이 이어져 왔다. 공연 부문은 2000년대를 기점으로 그 이전에는 시조창을 포함한 전통 정가창 위주의 공연이 펼쳐졌으나, 그 이후에는 대중성 짙은 퓨전 국악이 활성화함에 따라 젊은 작곡가들과 몇몇 퓨전 정가 공연그룹에 의하여 퓨전 정가곡이 만들어지게 되었으나 아직은 다른 국악기 분야에서처럼 활발하다고 할 수는 없다. 결론에서는 전통 시조창의 올바른 전승을 위하여, 필자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가지를 제언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였다. 첫째, 현행 전하는 다양한 시조창 악곡이 골고루 불려지지 않으며, 곡명에 있어서 창자나 지역에 따라 달리 부르는 등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점, 둘째, 악곡의 종류별로 얹어 부르는 시조창사의 획일화, 셋째, 시조창자가 부를 수 있는 노래 장르의 영역이 점점 축소되고 있는 점 등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of Sijo-chang, the Korean classical vocal genre, which is the text as a fixed form of Korean classical poems. Historically, Sijo-chang has originally emerged from Hyangga鄕歌 during Silla period (BC. 57- AD. 935). However, the current Sijo-chang has been developed from the latter of Joseon朝鮮 period(AD. 1392-1910) in 1800s. Since 1800s, Sijo-chang derived from the Gyeong-je Pyeong sijo京制 平時調, which was established in Seoul, was able to accelerate its musical typ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mong the Korean peninsula. By setting a clear division of two time periods between 1800s and those periods since 1900s to today, this article mainly explains how Sijo-chang has been developed historically. First of all, in order to appraise the musical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Sijo-chang in 1800s, comparing the current musical types of Sijo-chang and those printed old score books which has its historical musical characteristics during 1800s is necessary. Secondly, this paper concentrated on the transmitted lineages of representative vocalists among the regional-based Sijo-chang from 1900s to today. During those periods, the Sijo-chang has formed its particular regional-based musical characteristics among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Yeong-je嶺制 of Gyeongsang province慶尙道, Naepo-je內浦制 of Chungcheong province忠淸道 and Wan-je完制 of Cheolla province全羅道. Although it was not a type of regional-based Sijo-chang, as a creation with reference based on certain regional types of Sijo-chang in 1960s, this paper introduced the inheritance process of Seogam-je石菴制 which was made by Jung Gyeong-tae鄭坰兌 named Seogam石菴 as his pen name. Since Seogam-je has been singing as the most influential musical types of Sijo-chang through the mainly south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and even in Seoul, it was highly significant to research it. In addition, this paper elaborately highlighted the developments of various Sijo-chang based on its historical performances, studies, and the composed pieces from the early 1900s or the mid-1900s. In conclusion, in order to set a vigorous development of Sijo-chang, this paper raised several concerns among the future of Sijo-Chang and the significance of its traditional value.

      • KCI등재

        신발굴 가집 『시가(詩歌)』의 특성

        권순회 ( Soon Hoi Kwon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5

        본고에서는 새롭게 발굴한 『『詩歌』』를 학계에 소개하고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詩歌』는 최근에 필자가 입수한 가곡 가집이다. 1888년에 필사되었다. 사설 이외에는 어떠한 부가 정보도 수록되어 있지 않고 순한글로 표기되었다. 표제 『詩歌』는 改裝과정에서 새롭게 부여된 것이고 원제명은 “취월탐행조” 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시조 147수와 가사 5편이 수록되어 있는 소규모 가집이다. 『詩歌』의 편집 방향은 다음과 같다. 가집의 앞부분에서 당대에 널리 불리던 여창 가곡 한바탕 사설을 수록하였다. 여기에 수록된 사설은 19세기 말 여창 가곡 한바탕의 대표사설들이다. 다음으로 안민영(安玟英) 작품 26수를 수록하였다. 기녀와 관련된 애정 관련 시조를 집중 수록한 반면에 왕실·종친에 대한 송축의 시조들은 완전히 배제되었다. 안민영 작품 가운데서도 보편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애정 시조를 집중적으로 선별 수록했다. 논의를 통해『詩歌』에 수록된 안민영 시조는 『金玉叢部』를 저본으로 필사한 것이 아니고 오히려 편찬 이전 안민영 시조의 원고본에 가깝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안민영 작품 다음에는 이삭대엽 계열 사설 가운데 애정을 노래한 작품을 집중 수록하였다. 19세기 이후 가곡 연행 공간에서 남녀의 애정 시조의 점유 비율은 대체로 30%내외인 반면에이 부분의 애정 시조 수록 비율은 무려 77.38%에 달한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 볼 때『詩歌』는 매우 독특한 가집이다. 편자의 취향이나 소용에 따라 ‘애정’이라는 단 하나의 주제를 특화해서 편집한 가집이기 때문이다. 불특정 다수에게 통용될 목적으로 편집된 가집이 아니라 특정한 개인이나 소규모 동호인 모임에서 소용될 목적으로 편집된 가집인 것이다. 아마도 妓房에서 가곡에 능했던 기녀와 같은 여성 창자의 특별한 관심을 담아냈거나 혹은 그 주변의 남성이 특정한 기녀를 염두에 두고 편집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았던 전혀 새로운 가집의 모습이다. 19세기 이전의 가집 가운데 이와 같이 편집된 가집은 없었다는 점에서 『詩歌』의 위치는 각별하다. In this paper, I introduces newly discovered Siga and studies its properties. It is a anthology of song, transcribed only in Hangul, the Korean alphabet, in 1888, recently procured by the present writer, which embodies nothing else but saseol. The title, Siga, is newly-decorated name, the original title of the book is ‘Chiwoltamhaengjo.’ It is the small anthology of songs, which includes 147-sijo and 5-gasa. Its editorial policy is as follows: widely sung yeochang gagok hanbatang saseol of the age is included at the front part of the book. These are typical saseol of yeochang gagok hanbatang in the late 19th century. 26 Ahn Min-young`s works are contained in sequence. Blessing sijo is absolutely excluded while romantic sijo related to gisaeng is intensively contained. Among Ahn`s works, romantic sijo that could be universally sung is intensively selected and included. I verify that Ahn`s sijo included in Siga was not transcribed from Guemokchongbu(金玉叢部) as original script, but rather it is close to Ahn`s original text before publishing. After Ahn`s works, works about love are embodied centrally among saseol affiliated with Isakdaeyeop(二數大葉). While sijo about love ratio is almost 30% in gagok playing space after 19th century, the rate for romantic sijo is fully 77.38% of its content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statements, Siga is very distinctive anthology of songs because it specializes in only one topic, his or her affections, depending on preference of a compiler. It was revised for personal, individual, or an affinity group, not for unspecified individuals. To be more specific, it might contain special interests of a chantress who was good at gagok or it might be revised for one particular chantress by some men around her. Siga has very extraordinary status in the way that no collection of songs has been revised like this style before 19th century. This book, in this sense, has new features hitherto unknown to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