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爲’자에 현토된 석독표기자와 그 해독

        이전경(Lee, Jeon-kyung) 구결학회 2012 구결연구 Vol.28 No.-

        ‘爲’는 그 의미가 다양하여 우리말로 번역될 때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한자이다. 여말 선초의 불경 중 음독구결 자료에 ‘爲’자에 약체 한자가 작은 글씨로 첨기되어 있는 자료들이 있다. 팬아시아 종이박물관 소장의 보물1153호 법화경과 연세대 중앙도서관 소장의 법화경 귀중본 647 및 능엄경 귀중본 622에 그러한 예가 나타난다. 사용된 글자들은 대체로 ‘三, ?, ?, 乍, 是/?, 當, 以, 寸’ 등이다. 이들은 ‘爲’자의 새김을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三’은 석독구결에서 ‘爲’에 현토되는 것이다. 다른 글자들도 그 의미상 ‘爲’자와 관련된 것으로 쉽게 추측할 수 있다. 이글에서 이들의 분포와 용법을 소개하고 이것이 석독구결의 한 종류로 연구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여 ‘爲’의 독법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하려 한다. ‘爲’ is a chinese character that has discrete meanings, and thus even its Korean translations seem to reflect such discrete senses of the character. Out of the Eumdok-gugyeol materials of the Buddist scriptures writte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Cho-Sun dynasty are found the documents that show small letters attached to the word ‘爲’. The Beophwa-Gyeong (Treasure n.1153) of Junju Hanji Musium and the Beophwa-Gyeong(guijungbon n.647) and Neungeom-Gyeong(guijungbon n. 622) of the Central Library of Yonsei University can be taken as examples. The small characters most frequently used are ‘三, ?, ?, 乍, 是/?, 當, 以, and 寸,’ and they seem meant to instruct the semantic readings(saegim) of the word ‘爲’. For example the character ‘三’ is attached to the word ‘爲’, in materials of Seokdok Gugyeol. And it is not hard to surmise that the rest of the characters should be somehow related to the word ‘爲’.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locations and usages of these characters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that these characters were employed as a way to indicate semantic readings which originated from Seokdok Gugyeol, and to offer a solution to reading ‘爲.’ Hopefully, this project that takes an in-depth and multidimensional investigation of one text will better illuminate the prevalent translation and learning methods utilized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口訣 및 吏 讀 漢字音 硏究의 回顧와 展望

        金武林(Kim Moo-rim) 구결학회 2011 구결연구 Vol.26 No.-

        본고는 口訣 및 吏讀의 漢字音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를 정리하고, 그 성과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앞으로의 課題를 제시한 것이다. 口訣 및 吏讀의 漢字音은 國語의 形態와 漢字音이 절충되어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國語史的인 시각과 漢字音史의 측면이라는 內外의 안목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준과 안목을 바탕으로 할 때, 口訣 및 吏讀의 漢字音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따라서 앞으로의 과제도 山積해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and prospect of the phonetic studies on Idu and Gugyeol. The characters of phonetic in Idu and Gugyeol have both sides, which are Chinese and Korean faces. Therefore to study on Idu and Gugyeol, it is very important to recognize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wo languages. But untill now the results of that studies are not enough for our expectation.

      • KCI등재

        새 자료, 고려본 『자비도량참법』의 석독 구결 분석 및 음독 구결과의 상관성 비교 연구

        남경란(Nam, Kyeong-Nan)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40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eokdok Gugyeol in Goryeo ChojuDaejangkyung, ‘Jabigoryangchambeop’ discovered at Kirimsa Temple in December 2015. The purpose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eokdok Gugyeol shown in this new material and Eumdok Gugyeol, which is a previous edition Goryeo period copy. The main study object, ‘Jabigoryangchambeop’ from the Kirimsa Temple remains only in chapters 17 to 20 of Volume 4 and it is the crucial information academics are studying due to the discovery of one more Seokdok Gugyeol material dated to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Although the number of Gugyeol letter types in the text is only about 50, it has been pai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academia because it uses letter types that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eokdok materials. In addition, this is very precious data in Korean history because it contains Eumdok Gugyeol data that can not be found in any other existing material. Furthermore, Seokdok Gugyeol and Eumdok Gugyeol can be analyzed at the same time, providing the potential for new discoveries. However, in ‘Jabigoryangchambeop’ from Kirimsa Temple, Gugyeol letter types have been erased or destroyed in some main parts of original copy, and it is difficult to clearly judge the original image of the Gugyeol letter types based solely on the released images. In order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presented information, the researcher used Adobe Photoshop to precisely identify missing or damaged Seokdok Gugyeol letter typ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correlation found between Seokdok Gugyeol and Eumdok Gugyeol in the Goryeo period, via and informaton processing method and comparative analysis of Seokdok Gugyeol of ‘Jabigoryangchambeop’ from Kirimsa and Eumdok Gugyeol of ‘Jabigoryangchambeop’ from a private collection.

      • KCI등재

        설총의 석독 구결(釋讀口訣)과 한국 고대의 유학교육

        박종배 ( Park Jongbae ) 한국교육사학회 2018 한국교육사학 Vol.40 No.3

        흔히 설총은 이두(吏讀)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지만, 한국교육사 분야에서 더욱 주목할 부분은 바로 유학 교재(儒學敎材)들에 대한 설총(薛聰, 655∼?)의 석독 구결(釋讀口訣)이다. 석독 구결은 한문 텍스트의 행간이나 한자의 내부와 주변에 자토(字吐)나 점토(點吐)의 형태로 우리말 어미나 조사에 해당하는 토(吐)를 기입하고, 점과 선 등의 여러 부호를 활용하여 한문 해석의 방법과 순서를 표시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사실상 유학 교재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구결자(口訣字)라는 고유의 문자 체계도 발달시켰다. 비록 현재 설총 당대에 이루어진 석독 구결 자료는 전해지지 않지만, 8∼9세기 일본의 신라 불전 훈점(訓點) 자료와 고려시대 불경의 석독 구결 자료들을 통해 석독 구결의 원리와 형태를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다. 설총의 석독 구결은 고려 말 성리학이 수입되기 전까지 유학의 주요 교재에 대한 해석의 표준으로 존중되었으며, 인재 선발 과정에서도 강서(講書)나 명경(明經)의 기준으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Seolchong(薛聰, 655∼?) is often known as the founder of Idu(吏讀), but more noteworthy in the study of Korean education history is Seolchong's Seokdok Gugyeol(釋讀口訣) of Confucian texts. Seokdok Gugyeol was the method of writing in the To(吐) between the lines of Chinese or the vicinity of Chinese characters to mark Korean language and the order of translation et cetera. This effectively served as the translation of Confucian texts into Korean language, and in the process developed a unique writing system called Gugyeol character. Although no materials are currently available on the Seokdok Gugyeol at the time of the Seolchong, the principles and forms can be estimated from the materials of the 8th to 9th century Japanese Buddhist scriptures containing Seokdok Gugyeol of Silla(新羅) and the Seokdok Gugyeol materials of Goryeo Dynasty. The Seokdok Gugyeol of Seolchong was respected as a standard interpretation of the major materials of Confucianism until Neo-Confucianism was imported at the end of Goryeo,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Seolchong's Seokdok Gugyeol was used as a standard for Gangseo(講書) in the selection process of human resources in Silla and Goryeo.

      • KCI등재

        A Basic Understanding of Hyangga Interpretation

        김영욱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Korea Journal Vol.50 No.2

        Hyangchal is an ancient writing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that used Chinese character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some Japanese scholars studied the vernacular poetry known as hyangga as part of an attempt to reconstructing the language of Silla. Later, Korean linguists pursued this topic, researching how to interpret hyangga. Their methodology was to locate reference materials that could be juxtaposed with the original hyangga, including ancient stories written in Korean with similar themes to those addressed in hyangga poems, associated myths, and Chinese translations of hyangga. Their research revealed that hyangchal includes Silla’s unique writing systems, such as seokdok (interpretative reading or reading the meaning of a character), bachim (transcription using supporting sounds), and hunju eumjong (the principle of “meaning value preceding the phonetic value”). With the recent discovery of many Goryeo era materials in seokdok gugyeol, another writing system that utilized Chinese charac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hyangchal and seokdok gugyeol could be gradually ascertained. The clarification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yangchal and gugyeol affirms that both writing systems occupy an important place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characters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ancient Korean language.

      • KCI등재

        향가 해독의 한계와 극복 방안 -부정법 문제를 중심으로-

        이용 국어학회 2008 국어학 Vol.0 No.51

        이 글에서는 종래 鄕歌에서 否定法으로 해독되었던 것들을 중심으로 종래 향가 해독을 되짚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들을 중심으로 현재의 향가 해독이 지니고 있는 한계를 살펴보고 이 한계를 극복할 방안이 있는지를 소극적으로 제시하였다. 부정법과 관련된 문제들을 다룸에 있어서도 향가 해독 전반과 관련된 문제들이 언급되지 않을 수 없었다. 轉訛, 문법사적 연속성, 새로운 자료의 미반영 등이 그 예가 된다. 그러므로 이의 극복을 위해서는 새로운 자료 특히, 석독구결 자료의 적극적 반영, ≪均如傳≫ 향가의 우선적 해독, 관련 분야의 업적에 대한 반영 등이 요구된다.

      • KCI등재

        우리 나라 文字史의 흐름

        李基文(Lee Kimoon) 구결학회 2005 구결연구 Vol.14 No.-

        中世語의 ‘사김’은 옛 문헌에서 ‘訓’ 또는 ‘釋’으로 적혔다. 일본어의 ‘訓’은 古代에 한국에서 건너갔는데, 현대에 이르러 이것이 다시 한국에 건너온 것이다. 漢字의 새김은 고구려에서 고유명사 표기에 먼저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三國史記』卷37의 표기들이 고구려 지명 표기의 一次的인 자료이다. ‘買忽一云水城’의 예와 같이 새김을 이용한 釋讀 표기와, 字音을 이용한 音讀 표기 두 가지가 함께 적혀 있다. 漢文의 풀어읽기 또한 古代에 한국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것이다. 1973년에 발견된 舊譯仁王經 다섯 장이 단적인 증거 중의 하나이다. 漢字를 완전히 해체한 것이 특징인 口訣字를 사용한 사실 또한 언어와 文字에 대한 한국인의 뛰어난 재능의 소산이다. 訓民正音은 音素文字이면서 音節 단위로 묶어 쓰는 점이 주목된다. 이것은 漢字語 표기에는 漢字를 쓰지 않을 수 없음을 직시하여 한글이 한자와 잘 어울리도록 한 것이다. 한국의 문자 생활은 세 층-①漢文, ②漢字와 한글의 혼용체, ③순한글-으로 볼 수 있다. 高度로 발달된 學問, 文化의 全領域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②층이 필요하다. 漢字語를 배제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漢字를 배제하기 위해 기계화를 명분으로 한 한글 가로풀어쓰기 방안도 모색되었다. 그러나 이것들은 우리 나라의 文字 생활과 文字史의 관점에서 볼 때 정곡을 찌르지 못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word 'sagim' in Middle Korean was synonymous with the Sino-Korean words ‘hun(訓)’ or ‘seok(釋)’. The Japanese word ‘hun(訓)’ was borrowed from Ancient Korea, and it was re-imported into Korea in modem times. We can guess that in Goguryeo(高句麗) sagims of Chinese characters were first used to write proper names. The primary source of place names of Goguryeo is the volume 37 of Samguksagi(三國史記). In examples like ‘買忽一云水城’, we can see that place names were written in two ways, i.e. using sagims or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The former is called ‘Seokdok(釋讀)’, and the latter ‘’Eumdok(音讀). The so-called Hundok(訓讀), i.e. the method of reading classical Chinese texts by one's own language, was transmitted from old Korea into Japan. This fact is evidenced by the five pages of Guyeok Inwanggyeong(舊譯仁王經). This material is also interesting in that it uses Gugyeol(口訣) characters, which were made by deconstructing Chinese characters. These show the excellent talents of Koreans on languages and characters. Hunminjeongeum(訓民正音) is remarkable in that it is basically a alphabetic writing, but graphemes are grouped into syllabic units, This was a thoughtful decision, based on the consideration that Hangeul characters should be used together with chinese characters expressing Sino-Korean words. The literary practice of Korea consists of three tiers: ①classical Chinese, ②mixed system of Chinese characters and Hangeul, and ③system consisting only of Hangeul. The second system was needed for a high level of culture and academie purposes. Some people attempted to exclude Sino-Korean words or Chinese characters entirely from the literary life of Korea, and also experimented with ways of writing Hangeul graphemes separately, i.e. not grouping them into syllabic units. However, these attempts were inappropriat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 KCI등재

        願往生歌의 해독에 대하여

        황선엽(Hwang Seon-yeop) 구결학회 2006 구결연구 Vol.17 No.-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사적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향가 〈願往生歌〉를 해독하려는 것이다. 20세기 초부터 여러 연구자에 의해 향가의 해독이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의 해독들은 완독을 목표로 하였고 그에 따라 다소 무리한 해독이 행해져 온 것이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석독구결 자료 및 15세기 국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지식을 기반으로 가능한 한 국어사적 사실에 부합하는 해독을 행하였다. 또한 그 해독이 단순한 추정이나 가정일 경우에는 그것을 명확히 밝히고 현재의 수준에서 아직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에 대해서는 未詳으로 처리하였다. 〈願往生歌〉의 내용은 다른 향가에 비해 명확한 편이어서 그 해독에 있어서도 연구자들 사이의 견해차가 크지 않으나 해독의 미세한 부분에 대해서는 기존 해독이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기존의 해독들이 국어사적 지식으로 보아 합당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해독들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제들을 일일이 지적하고 그 해독 중 가장 옳다고 생각되는 것을 제시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새로운 해독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이 중 처격조사나 연결어미나 선어말어미로 쓰이는 ‘遺’에 대한 논의들은 필자의 이전 논문들에서 다루어진 것인데 종래의 해독과는 다른 견해를 제시하였다. 특히 ‘惱叱古音多’에 대해서는 아직 더 논의되어야 할 문제들이 있지만 완전히 새로운 해독을 제시하였다. ‘惱叱-’은 동사어간, ‘-古-’는 청자 높임의 선어말어미, ‘-音多’는 다른 향가에 나타나는 ‘音叱如, 音如, 音叱多’와 같은 어미구조체로 파악하였다. 이 논문은 필자가 계획하고 있는 향가 전편의 해독을 위한 첫 걸음이다. 앞으로 더 많은 자료가 발굴되고 고대국어에 대한 연구가 더 심화되어 이 글에서 미상으로 남겨진 문제들에 대한 해답이 찾아지길 기대한다. This paper is to interpret Wonwangsaengga(願往生歌: Song to pray for rebirth in paradise) in Hyangga(鄕歌) on the basis of knowledge in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interpreted Hyangga(鄕歌)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they have tried to interpret Hyangga(鄕歌)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hich has caused inaccurate interpretation of some parts in Hyangga(鄕歌).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knowledge that has been gained through research on Seokdok Gugyeol(釋讀口訣) and the 15th century Korean language. The study also informs us of whether the interpretation is fact or assumption. Some parts that cannot be interpreted accurately at this moment remain a mystery. In terms of meaning of Wonwangsaengga, researchers do not disagree because the meaning was clear compared with other works in Hyangga, Nevertheless, scholars put diverse interpretations on details of interpretation. Therefore, this study thoroughly examines diverse interpretations among scholars and selects interpretation which is thought to be the most desirable. If needed, this study introduces new interpretation: "惱叱古音多.' '惱叱' is a verb stem; '古' is a prefinal ending; and '音多' is a structure of ending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future study in interpretation of Hyangga.

      • KCI등재

        ‘爲’자에 현토된 석독표기자와 그 해독

        구결학회 2012 구결연구 Vol.28 No.-

        <P>&nbsp;&nbsp;‘爲’는 그 의미가 다양하여 우리말로 번역될 때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한자이다.</P><P>&nbsp;&nbsp;여말 선초의 불경 중 음독구결 자료에 ‘爲’자에 약체 한자가 작은 글씨로 첨기되어 있는 자료들이 있다. 팬아시아 종이박물관 소장의 보물1153호 법화경과 연세대 중앙도서관 소장의 법화경 귀중본 647 및 능엄경 귀중본 622에 그러한 예가 나타난다.</P><P>&nbsp;&nbsp;사용된 글자들은 대체로 ‘三, , 与, 乍, 是/, 當, 以, 寸’ 등이다. 이들은 ‘爲’자의 새김을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三’은 석독구결에서 ‘爲’에 현토되는 것이다. 다른 글자들도 그 의미상 ‘爲’자와 관련된 것으로 쉽게 추측할 수 있다.</P><P>&nbsp;&nbsp;이글에서 이들의 분포와 용법을 소개하고 이것이 석독구결의 한 종류로 연구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여 ‘爲’의 독법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하려 한다.</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