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 사용자의 지속사용을 유인하는 인터랙션 디자인 분석

        박예랑,조보민,윤재영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0 No.-

        The Affordance theory used in the design field has become a tool and mechanism to induce users to use continuous services, which causes excessive immersion and unrestrained SNS usage patterns, threatening society beyond individuals. This study analyzed and categorized interaction design cases of SNS that induce continuous use, and analyzed user behavior based on theoretical evidence to discuss strategies for continuous use incentives applied to case-by-case types. Studies show that the types of designs that induce continuous use of users are classified into those that constantly provide content, those that cause user anxiety, and those that induce user immersion and prevent departure, and this strategy induces user behavior to generate infinite interaction cycles within SNS. The above interaction design strategy has something in common that returns to the 'action execution' stage of re-executing repetitive actions, which causes users to repeat unconscious actions in continuous use of SNS.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for design research that induces users' continued use in the future and causes addiction. 최근 디자인 분야에 활용되는 행동유도 이론은 사용자의 능동적이며 효율적인 서비스 활용을 위한 목적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지속적인 서비스 사용을 유인하는 도구이자 매커니즘으로 전락하고 있으며, 이는 과도한 몰입과 무절제한 SNS 사용패턴 현상을 일으켜 개인을 넘어 사회를 위협하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속적인 사용을 유인하는 SNS의 인터랙션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사용자 행위를 분석하여 사례별 유형에 적용된 지속 사용 유인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의 지속 사용을 유인하는디자인의 유형은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자인, 사용자의 불안함을 유발하는 디자인, 사용자의 몰입을 유도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디자인으로 분류되며, 이 전략은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여 SNS 내에서 무한한 상호작용사이클을 생성시킨다. 위와 같은 인터랙션 디자인 전략은 반복적인 행위를 다시 실행시키는 ‘행위실행’ 단계로 회귀시키는 공통점을 가지며, 이는 SNS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데 있어 사용자의 무의식적 행위를 반복하게 한다. 도출된 연구 결과와 논의는 향후 사용자의 지속 사용을 유인하여 중독을 일으키는 디자인 연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기술 중독의 시대 : 디자인 관점에서 본 인스타그램 중독

        한창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6

        Design exists behind technology. Design is intertwined with the needs of daily life and market structures, and while dealing with technology, it can become insensitive to its meaning. Unlike other social media platforms, Instagram consists of image-based con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dictive design of Instagram. Furthermore, we discuss the ethical responsibilities that designers must hav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Instagram design is established through a review of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that has been previously studied. Understand the history, structure, and functions of Instagram and identify Instagram designs that promote social media addiction. In this study, we introduced the mechanism by which Instagram promotes user addiction through design issues. (1) Pull-to-Refresh (2) Red color in push alarm (3) Profile photo border expression in Instagram Story. This design stimulates users' social desires and FOMO, forming the structure of obsessive Instagram usage habits. Instagram is an example that forces us to reconsider the ethical role of design and designers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n today's world, the intrinsic value of what they create, including our society and life itself.

      • KCI등재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SNS 중독 경향성 개선 앱 서비스 제안

        김수현(Su Hyun Kim),이금선(Kum Seon Lee),한채희(Chae Hee Han),강민주(Min Ju Kang),이지현(Jee Hyun Le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4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5 No.2

        Physical and mental health issues caused by excessive Social Networking Service use are increasingly being recognized as social issue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Koreans in their 20s have the highest average daily smartphone use time and SNS usage rate, placing them at risk of SNS issues.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n app using the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to mitigate the SNS addiction tendenc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final prototypes usability study indicated that the apps gamification factors increased users interest and voluntary and continuous use, further mitigating SNS usage. The service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gulating the SNS usag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ultimately help mitigate tendencies toward ad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