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원의 당론이탈 투표에 미치는 이념요인의 영향 재고찰: 제20대 국회 전반기 본회의 표결을 중심으로

        강신재 한국의정연구회 2019 의정논총 Vol.14 No.2

        How does the ideology of the congressmen affect the party defection voting? Existing studies have estimated the effect on party defection voting with different variables of ideology, such as left-right ideology, the intensity of ideology, and ideological distance from the party. These different measurements of ideology variables make it difficult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ology and party defection voting effectively. This study collects all the agendas vot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measures the party defection voting rate,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effects of ideology variables affecting i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ft-right ideology variable without considering relations with the party is not appropriate in the party defection voting model. Second, we found that both the intensity of ideology and ideological distance from the party are important variables in the party defection voting model, and the two variables have more explanatory power for party defection voting than left-right ideology. Third, the competition of primary variabl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model included the intensity of ideology and ideological distance from the party variable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ppropriate variables of ideology in order to more accurately estimate the influence of explanatory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party defection voting of legislators. 의원들의 이념은 당론이탈 투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기존 연구들은 좌-우 이념성향, 이념의 강도, 정당과의 이념적 거리라는 서로 다른 이념 변수들로 당론이탈 투표율에미치는 효과를 추정해왔다. 이렇게 상이한 이념 변수의 측정은 이념과 당론이탈 투표와의관계를 효과적으로 논의하기 어렵게 만든다. 본 연구는 20대 국회 전반기에 표결된 모든안건들을 수집하여 당론이탈 투표율을 측정한 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이념 변수들의 효과를 비교분석 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속 정당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좌-우 이념성향은 당론이탈 투표 모형에서 적절하지 않다. 둘째, 이념의 강도와 정당과의이념거리는 당론이탈 투표 모형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며 두 변수는 이념성향보다 당론이탈 투표에 대한 설명력이 높다. 셋째, 당론이탈 투표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알려진 경선의 효과는 이념의 강도와 정당의 이념거리가 포함된 모형에서 통계적 유의성이사라졌다. 본 연구는 의원들의 당론이탈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 적절한 이념변수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Who Toes the Line? Mandate Type, Open-Primary Experience, and Party Defection in the Korean National Assem

        김한나,박원호 한국학술연구원 2022 Korea Observer Vol.53 No.2

        Previous studies on legislative voting behavior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KNA) were based on two theories: "The Best of Both Worlds" vs. "Contamination." However, both these theories have paid limited attention to the electorally vulnerable condition of legislators owing to voting behavior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propose a conditional mandate-divide theory to elucidate party defection voting behavior in KNA. According to our findings,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PR) are more likely to defect from party-line voting than Single Member District (SMD) members, although SMDs elected through a party primary are more likely to defect from party-line voting than other SMDs. Additionally, SMDs elected with the primary experience deviate from their party line more in Yeongnam province compared to other reg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legislators' voting behavior in the mixed-member system may vary depending on their prospects of re-election, essentially shaped by their incentive structure.

      • KCI등재

        의원의 당론이탈 투표에 미치는 경선의 효과: 제20대 국회 본회의 표결을 중심으로

        김한나 ( Hanna Kim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9 의정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정당의 경선을 거쳐 당선된 국회의원들이 그렇지 않은 의원들에 비하여 당론으로부터 이탈하는 경향성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지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제20대 국회 본회의 표결을 중심으로 의원들의 당론이탈 투표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선을 통해 당선된 지역구 의원들이 당내 지명이나 전략 공천 방식으로 당선된 의원들에 비하여 당론으로부터 더 이탈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당의 상향식 공천 방식의 도입이 확대될 경우 정당의 표결 응집력을 약화시키거나 의원의 입법 자율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voting behavior of congressmen can vary depending on the different candidate selection methods of political parties.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whether congressmen elected through a primary tend to deviate from the party line vote in the floor voting,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As a result, it was founded that congressmen who went through competition of the primary are more likely to defect from the party line vote than who did not. This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at if the introduction of the open primary system is further expanded in the future, it may lead to weakening of party cohesion and reinforcing lawmakers’ autonomy.

      • KCI등재

        정당 간 합의와 의원 자율성 문제: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입법과정을 중심으로

        강신재,최선 한국의정연구회 2019 의정논총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ting behaviors of legislators on the amendment of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and Special Taxation Restriction Act.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explained the voting behavior of legislators on three major dimensions, including party, ideology, and constituency interest, this study included the 'party defection voting rate' in the model, paying attention to the variables of legislator’s autonom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r the party defection voting rat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opposing or abstaining from both bills. Second, the legislators with the high vacancy rate in commercial buildings are more likely to agree with both bil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ound that the party defection voting rate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voting behavior of legislators. 본 연구는 정당 간 합의에 의해 본회의에 상정되었지만 반대와 기권표의 비중이 크게 나타난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에 대한 의원들의 투표행태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주로 정당, 이념, 지역구 이익 등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의원들의 투표행태를 설명해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의원의 자율성이라는 변수에 주목하여 ‘당론이탈투표율’을 모형에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대 국회 전반기에 당론이탈투표율이 높은 의원일수록 두 법안 모두에 반대 혹은 기권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가 공실률이 높은 지역구의 의원일수록 두 법안 모두에 찬성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투표행태 분석에서 의원들의 자율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입법과정과 투표행태 연구 분야에서 의원의 자율성에 대한 논의와 경험적 분석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한국 국회의원의 정당 충성이 선거 결과에 미치는 영향: 제18대~제21대 총선을 중심으로

        강신재 한국정당학회 2024 한국정당학회보 Vol.23 No.1

        국회의원의 정당에 대한 충성은 다음 선거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미국 의회를 분석한 기존 연구들은 의원의 정당 충성도가 선거에서 의원에게 불리하게 작용한다고 설명하지만, 한국 국회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국회의원들의 정당충성도가 차기 선거에서 재선 여부와 이전 선거 대비 다음 선거의 득표율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범위는 18대 총선부터 21대 총선까지 이루어진 선거 결과에 초점을 맞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원의 정당충성도는 다음 선거에서 재선과 득표율 증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는 의원의 국회 후반기 정당충성도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의원의 정당 충성에 대한 선거 보상은 특히 영남과 호남 지역에서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지역주의가 강한 지역의 유권자들은 현직 의원들에게 지지하는 정당에 대한 충성을 요구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유권자 간 정서적 양극화와 연결되며, 적어도 선거정치 측면에서는 지역주의가 정당충성도와 결합되어 전통적인 영남과 호남의 지역구도가 지속될 수 있음을 예측한다. How does a lawmaker's loyalty to a party affect the next election? Existing research analyzing the U.S. Congress suggests that party loyalty of legislators may unfavorably influence their electoral prospects. However, studies focusing on the South Korean National Assembly are scarce. This study aims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influence of party loyalty of National Assembly members on their re-election prospects and changes in vote shares in subsequent elections. The analysis focuses on election results from the 18th to the 21st General Elec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y loyalty of legisla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re-election and changes in vote shares in the subsequent election. However, this effect was only seen in the lawmaker's party loyalty in the second half of the National Assembly. Second, electoral rewards for party loyalty were particularly pronounced in the Yeongnam and Honam regions, indicating that voters in regions with strong regionalism demand loyalty to the supporting party from incumbent legislators. These results are linked to the ongoing affective polarization among voters and predict that regionalism may persist, at least in terms of electoral politics, as it combines with party loyal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