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형 기판을 사용한 Package-on-Package용 상부 패키지와 하부 패키지의 Warpage 분석

        박동현,신수진,안석근,오태성,Park, D.H.,Shin, S.J.,Ahn, S.G.,Oh, T.S.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5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2 No.2

        박형 package-on-package의 상부 패키지와 하부 패키지에 대하여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EMC)에 따른 warpage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동일한 EMC로 몰딩한 패키지들의 warpage 편차를 측정하고 박형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자체의 warpage 편차를 측정함으로서, 박형 패키지에서 warpage 편차를 유발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박형 기판을 사용한 상부 및 하부 패키지에서는 기판 자체의 큰 warpage 편차에 기인하여 EMC의 물성이 패키지의 warpage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 어려웠다. EMC의 몰딩 면적이 $13mm{\times}13mm$로 기판($14mm{\times}14mm$)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부 패키지에서는 온도에 따른 warpage의 변화 거동이 유사하였다. 반면에 EMC의 몰딩 면적이 $8mm{\times}8mm$인 하부 패키지의 경우에는 (+) warpage와 (-) warpage가 한 시편에 모두 존재하는 복합적인 warpage 거동에 기인하여 동일한 EMC로 몰딩한 패키지들에서도 상이한 온도-warpage 거동이 측정되었다. Warpage analysis has been performed for top and bottom packages of thin package-on-packages processed with different epoxy molding compounds (EMCs). Warpage deviation was measured for packages molded with the same EMCs and also the warpage deviations of top and bottom substrates themselves were characterized in order to identify the major factor causing the package warpage. For the top and bottom packages processed with thin substrates, the warpage deviation of the substrates was large, which made it difficult to figure out the effect of EMC properties on the package warpage. Top packages, where the molding area of $13mm{\times}13mm$ covered the most of the substrate area ($14mm{\times}14mm$), exhibited similar warpage behavior with changing the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bottom packages, where the molding area was only $8mm{\times}8mm$, exhibited the complex warpage behavior due to simultaneous occurrence of (+) and (-) warpages on the same package. Accordingly, the bottom packages showed dissimilar temperature-warpage behavior even being processed with the same EMCs.

      • KCI등재

        온도/습도 시험, 온도 싸이클링 시험 및 고온유지 시험에 따른 Package-on-Package의 신뢰성

        박동현,오태성,Park, Donghyun,Oh, Tae Sung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6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3 No.3

        박형 package-on-package에 대해 T/H (temperature/humidity) 시험, TC (temperature cycling) 시험과 HTS(high temperature storage) 시험을 사용하여 신뢰성을 분석하였다. T/H 시험은 $85^{\circ}C/85%$의 조건으로 500시간, TC 시험은 $-40{\sim}100^{\circ}C$의 조건으로 1000회, HTS 시험은 $155^{\circ}C$의 조건으로 1,000시간 범위에서 평가하였다. 폴리이미드 써멀테이프를 사용하여 제작한 24개의 package-on-package (PoP) 시편에 대해 신뢰성 시험 전에 측정한 솔더접속 배선의 평균저항은 $0.56{\pm}0.05{\Omega}$이었으며, 24개 시편에서 모두 유사한 값이 측정되었다. 500시간까지의 T/H 시험, 1000회의 TC 시험 및 1,000시간까지의 HTS 시험후에도 솔더 접속부의 오픈 불량은 발생하지 않았다. Reliability characteristics of thin package-on-packages were evaluated using T/H (temperature/humidity) test at $85^{\circ}C/85%$ for 500 hours, TC (temperature cycling) test at $-40{\sim}100^{\circ}C$ for 1,000 cycles, and HTS (high temperature storage) test at $155^{\circ}C$ for 1,000 hours. The average resistance of the solder-bump circuitry between the top and bottom packages of 24 package-on-package (PoP) samples, which were processed using polyimide thermal tape, was $0.56{\pm}0.05{\Omega}$ and quite similar for all 24 samples. Open failure of solder joints did not occur after T/H test for 500 hours, TC test for 1,000 cycles, and HTS test for 1,000 hours, respectively.

      • KCI등재

        증강현실(AR)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패키지디자인 사례 및 요소 분석

        라샹샹(Luo, Shuang Shuang),오용균(Oh, Yong K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1

        패키지에 대한 증강현실(AR)기술의 적용은 전통적인 패키지에 새로운 상호작용 모델 및 의미를 제공한다. 증강현실은 정보 집합, 정보지능화에 착안하여 전통적인 패키지의 한계를 뛰어넘는 데 도움이 되고 패키지의 개성화, 욕구충족,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가상공간의 향상으로 정적이고 단일한 시각의 패키지 정보를 동적이고 다양한 감각이 융합된 메시지 전달방식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범위로 이론적 배경에서 스마트 패키지 디자인의 개념 및 요소를 알아보고 상위개념으로써 지능형 패키지의 개요를 파악한 후 종속 변수로서 증강현실의 개념 및 특징과 기술을 파악하게 된다. 이를 토대로 증강현실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패키지 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고 스마트 패키지 디자인 요소로서 시각적 요소, 청각적 요소, 감성적 요소로 세분화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국내외 문헌 참고와 온오프라인의 사례분석을 외삽법적 추계의 방식으로 연역적으로 열거하고 이를 귀납적 접근으로 결론을 유추해 낸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상품에 대한 이해도와 기억도 향상, 패키지와 소비의 시너지를 높이는 상호작용성의 다양화, 지능화, 오락화 그리고 감성화를 크게 증가시켜 패키지의 기능을 한층 더 확장시켜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증강현실기술을 통해 스마트 패키지 정보를 보다 직관적이면서 생동감 있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편리하다는 장점을 인식하는 과정이 될 것이다. The application of AR technology to packages brings new interaction models and meanings to traditional packages. Augmented Reality help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packages by focusing on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formation intelligence, and improves the virtual space through which individualization of packages, needs, and interactions are used. This converged message delivery method is changing. In this context, the concept and elements of smart package design are analyz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overview of the intelligent package as a higher concept, and then the concept, features and technology of augmented reality as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case of smart package design apply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analyzed it by subdividing it into visual element, auditory element and emotional element as smart package design element. The method of deduction enumerates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ferences and on-offline case analysis in the form of extrapolation estimation, and infers the conclusion by inductive approach. As the result, the findings confirm the possibility of further expanding the functionality of the package by greatly improving the understanding and memory of consumers’ products, diversifying the interactivity, intelligence, entertainment, and emotion that increase the synergy between package and consumption. This will be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advantages of smart package information more intuitive, lively and accurate throug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 KCI등재

        담배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분석-중국 판매량 10위권 담배를 중심으로-

        왕산초,김희현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3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2 No.4

        Competition for each brand's cigarette sales is intensifying as China's tobacco market grows and annual spending per capita increases. Therefore, we would like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les of cigarette packages in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and the sales of cigarette packages without traditional patterns. To this end, we understood the types of various cigarette packages, selected the top 10 tobacco brands in the Chinese market, and analyzed the visual elements of each brand's package. Prior to deciding on the brand elements, prior research on the package design of cigarettes on differences summarized a 7-point scale focusing on color, image, logo, font, and layout, and analyzed consumer preferences in cigarette package desig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consumers prefer cigarettes with traditional patterns. In conclusion, in China's tobacco package design element, logos were found to be the most in need of improvement. Some cigarettes do not have a specific logo, so they need to streng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go and increase brand awareness. The layout is generally a combination of three parts: top, middle, and bottom. The color is often used as a warm tone. The handwriting was often centered on Chinese characters. The colors were usually used as warm tones. The handwriting was often centered on Chinese characters. In conclusion, cigarette packages with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in cigarette package design were found to be more helpful for sales than cigarette package designs that did not. Therefore, it is time to more actively introduce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in the design of Chinese tobacco packages. 중국의 담배 시장 규모가 커지고 1인당 연간 지출이 늘어나면서 각 브랜드의 담배 판매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전통 문양에 나타난 담배 패키지의 판매량과 전통 문양이 없는 담배 패키지의 판매량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담배 패키지의 유형을 이해하고 중국 시장 판매량 상위 10개 담배 브랜드를 선택하고 각 브랜드의 패키지에 대한 시각적 요소를 분석했다. 브랜드 요소를 결정하기 전, 차이점에 대해 담배의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색상, 이미지, 로고, 글자체 및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7점 척도를 정리했으며 이를 사용하여 담배 패키지 디자인의 소비자 선호도를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전통 문양이 있는 담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담배 패키지 디자인 요소에서 로고는 가장 개선이 필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일부 담배는 특정 로고가 없으므로 로고의 특성을 강화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야 한다. 레이아웃은 일반적으로 상, 중, 하의 세 부분을 조합하였다. 색상은 웜톤 계열로 많이 사용하였다. 글씨체는 한자 위주인 경우가 많았다. 색상은 보통 웜톤 계열로 많이 사용하였다. 글씨체는 한자 위주인 경우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담배 패키지 디자인에 중국의 전통 문양이 있는 담배 패키지는 그렇지 않은 담배 패키지 디자인보다 판매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담배 패키지 디자인에 중국 전통 문양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할 때다.

      • KCI등재

        50 대 여성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지디자인의 체크리스트 제안

        김진경 ( Jin Kyung Kim ),남호정 ( Ho Jung Nam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8 No.-

        50 대 여성은 자녀의 독립과 양육의 역할이 축소되고 폐경이라는 극단적인 생리적 변화에서 갱년기를 접한다. 평균수명의 연장과 함께 폐경기 이후 여성은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극복하고 건강한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늘어나면서 특화된 건강기능식품을 찾게 된다. 소비영향력이 높아진 현대사회의 50 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건강기능식품 패키지에도 디자인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50 대 여성을 위한건강 기능식품 패키지디자인의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시각적, 감성적 뿐만 아니라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면서 소비자 의 내적 만족까지 고려될 수 있는 패키지디자인 개발 제 안점을 찾고자 하였다. 포털사이트 IPO 스토리(www.ipostory.com)에서 공개한 2013 년 건강기능식품 매출액 순위 1 위부터 20 위까지 중갱년기증상 완화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업체인 풀무원건강생활(주), 천호식품(주), (주)마임, 종근당건강(주), (주)함소아제약의 다섯 업체를 선정하였으며, 시각전달 매체인 패키지를 구성하고 있는 브랜드 로고, 컬러, 이미지, 타이포그래피,레이아웃, 구성품, 가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어떠한 표현방식으로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패키지디자인에서 대부분 여성을 상징할 수 있는 레드 컬러를 통하여 제품 특성을 나타냈으며 제품에 들어가는 성분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구성, 레이아웃은 간결하게 표현하였다. 고딕계열의 타이포그래피가 대부분이였으며 제품명의 표기는 면적의 작은부분에 배치, 표기되었다. 구성패키지는 수량에 따라 가격이 다르지만 기능식품인 만큼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50 대 여성을 위한 가치있는 패키지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며 체크리스트(Check-list) 를 제안하자면 여성의 정서를 반영한 감성적인 이미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하여야 한다. 또한 그 전략이 가격 대비를 고려하여 기능성이 추가된 멀티(Multi)의 개념을 도입하여야 한다. 예를 들자면 갱년기 여성에게 필요한 땀을 닦을 손수건을 패키지에 적용시킨다거나, 열을 식혀줄 수 있는 부채를 패키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간식을 담을 수 있는 케이스를 개발하거나 장바구니혹은 여행용 파우치로 활용 가능한 것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것은 상품만을 겨냥한 마케팅이 아닌 상품과 시장고객을 모두 고려하는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이다. 끝으로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50 대 여성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지디자인이 시각적, 감성적 표현요소의 활용과 함께 환경적 측면을 생각하는 업싸이클링(Recycle +Upgrade) 패키지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사람의 건강만을 생각하여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에게 사회와 환경을 생각할 수 있도록 해주며50 대 여성에게는 세상에 필요하지 않은 것은 없다라는 존재 가치를 스스로 자각시키고 의미부여를 줄수 있는 기회를 창출할수 있을것이다. Women age of 50s tend to go through decrease momentum of role in nurturing their children and menopause which could be one of extreme physical changes for them. This is the main reason why they are looking for health-functional food products to maintain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Nowadays, most health-functional food related businesses are competing formidably to go after this social change or trend. The purpose of this value-driven research is to target and pay close attention to women age of 50s who are bringing most revenue in Health-functional food market, and also is to present direction for package design of high value in scarcity. Health-functional food package designers should consider consumer’s life style when they try to set up strategies to target market. This research is investi -gating in structure of health-functional food package design, and it is focusing not only on visual and emotional element, but also on development of value-added products to fulfill customers’ needs. We chose Five products from Revenue ranking in 2013 of health-functional food products from top to 20 which are Pulmuone, Chunho-food, maim, Chongkundang Chongkundang pharm, hamsoa pharm (disclosed from IPO Story portal site), and analyzed their brand logos, colors, images, typography, layouts, prices, and package designs which were clitical elements of package.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package designers used red color to symbolize women to express their product characteristic, and it also make use of characteristic of the product to simplify the layout and the structure. The gothic typography was also commonly used, and product name marks occupied only small space on the packages. The prices of functionally organized packag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quantity, but they were more expensive because they were classified as healthfunctional foods. In accordance to this research result, it reveals that designers ought to set up proper strategy for package design. Here are some proposals. Firstly, we need to perform research using various emotional techniques that make people think that the products are value added as known as ‘multi’ performance products. For instance, you include handkerchief or fan in the package. Also, inventing new containable case which could substitute pouch or shopping basket could be one method. In this case, the strategy called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 marketing is proper to apply which is not only targeting market with their products only, but also being considerable to take account of both product and market price in general. If the package designing works up to become Up-Cycling Package(Recycle+Upgrade), it could motivate the customers who only think of getting healthy products to think over that their choices could make impact on society and environment. Also, it could possibly make people consider that there is no useless package, and it all has value inside.

      • KCI등재

        범용화 요소를 적용한 포장디자인 개발

        인미애(In, Mi Ae),김예슬(Kim, Ye Seul)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1인가구의 증가에 따라 생활패턴에 따른 상품과 서비스를 소비하는 싱글슈머(Singlesumer)가 등장했다. 싱글슈머는 소포장단위 상품의 요구하면서 소비유통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택배시스템의 발달로 농식품 직거래가 활성되고 있다. 따라서 농식품 소비문화 변화에 따라 기존의 포장디자인의 개선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식품 포장디자인의 경제성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설계와 소비문화에 맞는 포장디자인으로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개념인 “농식품 포장디자인 범용화 요소”를 천혜향 포장박스 및 난좌에 적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범용화 요소를 적용한 천혜향 포장박스 및 난좌를 개발한 후 2단계의 실증연구(제주도 현장 실증평가, 선호도조사)로 진행하였다. 개발한 포장디자인은 현장실증평가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작업성을, 선호도조사를 통해서는 소비자의 구매성을 조사하였다. 현장실증평가는 천혜향의 주생산지인 제주도 서귀포시의 농장에서 농업인 대표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평가결과 선호도성·경제성·편의성 모두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으나 복잡한 조립단계에 의한 개선사항을 요구되었다. 선호도조사는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디자인선호도와 구매행태를 같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종이가 가장 친환경에 적합하다는 의견이 다수 나왔으며, 친환경 포장재·포장디자인에 대해 대체로 선택 해야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으나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였고 사용을 하고 싶어도 포장선택의 폭이 적다는 것에 문제점이 있었다. 수용가능한 가격대는 500원~1000원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가격이 동일하게 가정했을 때는 친환경적인 소재와 활용도 높은 소포장이 중요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디자인선호도는 기존 포장디자인에 비해 개발된 포장디자인이 더 높게 나왔다. 앞으로 농업인들의 고부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포장의 다양성을 현실화하고 개선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러한 일환으로 지속가능한 관점에서 농식품 포장디자인 범용화를 적용하여 검증하는 것에 의의를 가졌으며, 적용된 포장디자인이 경제성·사용성·환경성이 향상되었음이 검증되면서 현실적용 가능성이 높아졌다. 향후 포장디자인 분야는 소비문화의 변화와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 제시된 범용화 요소가 가치 있게 적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As the number of single households is increased, Singlesumer who consumes the goods and services by lifestyle patterns has been appeared. Singlesumer causes significant changes in the consumer retail market demanding the goods with small packages. In addition, direct trades of agricultural goods have been facilita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delivery service system.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package designs is urgent according to the changes of agricultural goods consumption patterns. Hence, this study aimed to apply and validate the suggested concept of “Wide Use factors for package design of the agricultural goods” in the previous study into the outer package and inner tray of Chunhyehyang, as the package design to enhance the economic efficiency and to fit in the eco-friendly design and consumption trend.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two stages of practical researches including site practical assessment in Jeju Island and preference survey, after developments of outer package and inner tray applying the Wide Use factors. Convenience and workability of the users were investigated by site practical assessment and the purchasing capability of the consumers was done by preference survey for the developed package design. Site practical assessment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s of farmers in the farms located in Seoguipo City, Jeju Province, where is the major production area of Chunhyehyang. Upon the results, they rated positively to all the aspects of preference, economic efficiency and convenience, while some improvement areas were found in the complicated assembly step. With respect to the preference survey, it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s of general consumers on the design preference and purchasing behaviors. Upon the survey results, multiple opinions were found that paper materials were the most appropriate in view of environmental aspect. Most of them perceived well to have to select environmental friendly packaging materials and design while they rated the importance level as low, with the problem of limitation on the packaging choices although they tried to use. The acceptable price ranged from 500 to 1000 won. Environmental friendly materials and small package to be practical were deducted as the important aspects considering the same price. The developed package design was rated higher than the existing package design in terms of design preference. It is necessary to try to realize and improve the package design to enhance the value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meaning to apply the Wide Use of agricultural goods package design and validate it in view of sustainability, providing high probability to realize the application practices upon the validation results of improvements on economic efficiency, usability, and environment. Further studies on the package design are required in view of changing consumption patterns and sustainable design, and the suggested Wide Use factors are anticipated to be applied well in this study.

      • KCI등재

        칩 실장공정에 따른 Package on Package(PoP)용 하부 패키지의 Warpage 특성

        정동명,김민영,오태성,Jung, D.M.,Kim, M.Y.,Oh, T.S.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3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0 No.3

        Package on Package(PoP)용 하부 패키지에 대해 플립칩 본딩으로 칩을 기판에 실장한 패키지와 die attach film(DAF)을 사용하여 칩을 기판에 접착한 패키지의 warpage 특성을 비교하였다. 플립칩 본딩으로 칩을 기판에 실장한 패키지와 DAF를 사용하여 칩을 기판에 실장한 패키지는 솔더 리플로우 온도인 $260^{\circ}C$에서 각기 $57{\mu}m$와 $-102{\mu}m$의 warpage를 나타내었다. 상온에서 $260^{\circ}C$ 사이의 온도 범위에서 플립칩 실장한 패키지는 $-27{\sim}60{\mu}m$ 범위의 warpage를 나타내는 반면에, DAF 실장한 패키지는 $-50{\sim}-153{\mu}m$ 범위의 warpage를 나타내었다. The warpage of a bottom package of Package on Package(PoP) where a chip was mounted to a substrate by flip chip process was compared to that of a bottom package for which a chip was bonded to a substrate using die attach film(DAF). At the solder reflow temperature of $260^{\circ}C$, the packages processed with flip chip bonding and DAF bonding exhibited warpages of $57{\mu}m$ and $-102{\mu}m$, respectively. At the temperature range between room temperature and $260^{\circ}C$, the packages processed with flip chip bonding and DAF bonding exhibited warpage values ranging from $-27{\mu}m$ to $60{\mu}m$ and from $-50{\mu}m$ to $-15{\mu}m$, respectively.

      • KCI등재

        메인 비주얼 변경 패키지 리뉴얼에서 패키지태도와 브랜드태도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전윤희 ( Jun Yun Hee ),김진희 ( Kim Jin Hee ),이철영 ( Lee Chull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6

        패키지는 소비자에게 구매동기를 부여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에 따라 마케팅믹스의 전략적인 변화 차원에서 소비자의 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패키지 리뉴얼이 중요한 마케팅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패키지와 리뉴얼 패키지를 비교함으로써 메인 비주얼 변화에 따른 패키지 리뉴얼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리뉴얼패키지와 기존 패키지를 유사실험 방법으로 응답자들에게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각된 정보 유용성은 기존 패키지가 리뉴얼 패키지보다 패키지 태도 및 브랜드 태도와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심미성과 패키지에 대한 평가는 리뉴얼 패키지가 패키지 태도 및 브랜드 태도와의 상관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키지에 대한 평가는 지각된 정보 유용성보다 지각된 심미성과 상관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 패키지에서는 브랜드 태도가 패키지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뉴얼 패키지에서는 패키지에 대한 평가와 브랜드 태도가 패키지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브랜드 친숙도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존 패키지에서는 지각된 정보 유용성과 패키지 태도가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뉴얼 패키지에서는 지각된 정보 유용성, 패키지에 대한 평가, 패키지 태도가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그동안 개념적, 사례분석적 차원에서 연구되어 왔던 패키지 리뉴얼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함으로써 관련 이론들을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ackage has been an important marketing communication tool for both brand image building and buying motivation. Package renewal, therefore, takes a role of an essential marketing task these days. The paper delves into the package renewal effects with a particular reference to how consumers respond to the differences in the main visual in the package. Quasi-experimental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spon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s for perceived usefulness of information, the existing package has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package attitudes and brand attitudes than the renewed one. Whereas, the renewed package showed higher relationships than the existing one for both perceived esthetics and package evaluations by the respondents. Second, brand attitudes exert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s toward the package in the case of the existing package, whereas, the renewal package brought in positive influences of the package evaluations and the brand attitudes on the package attitudes. Thir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information and package attitudes both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the brand attitudes, while perceived usefulness if information, package attitudes and package attitudes make positive influences on the brand attitudes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This paper is purposed to shed a light into how the relevant variables or factors relate each other and into better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the consumer`s perceptions and evaluations of product packages.

      • KCI등재

        취업성공패키지 참여자들의 단계별 통합적 취업지원 프로그램 경험과정에 대한 연구

        이미림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1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 of Vocational Training und experience of getting a Job of women who have participated in Employment Success Package. The subject of interview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What made you participate in Employment Success Package? 2) What experience do you have in Employment Success Package? 3) What has changed after Employment Success Package? 4) What was the trouble while finding a job? 5) What should be improved for Employment Success Pack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ther understanding of difficulties and needs of women while participating in Employment Success Package.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women who have participated in Employment Success Package in Daejeon,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obtained from the depth-interview. Data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As a result,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have participated in Employment Success Package were comprised of 6 theme clusters and 29 themes. The 6 theme clusters were as follows: ‘My Image before participating in Employment Success Package’, ‘Motive of participating in Employment Success Package’, ‘Choice of Vocational Training in a state of confusion’, ‘Employment Success Package was a turning point in my Life’, ‘The unemployment problem is still serious’, ‘Employment Success Package will have to be improved’.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service for improving job referral of Disadvantaged in employment group.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에서 주최하는 일자리 지원사업인 취업성공패키지에 참여한 여성 대상자를 상대로 직업훈련과정 경험과 훈련 후 일자리 찾기까지의 경험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취업성공패키지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 2) 취업성공패키지 경험과정에서 무엇을 얻고 느끼게 되었는가?, 3) 취업성공패키지 이후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 4) 취업성공패키지 이후 노동시장 진입과정 중 어려움이 무엇인가?, 5) 취업성공패키지 경험을 통해 제시할 수 있는 사업정책의 개선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에 대해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여성들의 취업성공패키지의 경험에 대한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여성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취업성공패키지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실제로 일자리를 구하는 과정에서의 경험 등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취업성공패키지 사업개선을 위한 대책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여성 6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취업성공패키지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경험은 6개의 상위범주와 29개의 하위범주로 구조화되었다. 6개의 상위범주는 ‘취업성공패키지 참여 전 나의 모습’, ‘취업성공패키지에 참여하게 된 동기’, ‘오리무중인 직업훈련 선택’, ‘터닝 포인트가 된 취업성공패키지’, ‘여전히 하늘에 별 따기인 취업난’, ‘개선되어야 하는 할 시스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층을 비롯해 청년, 중·장년, 경력단절여성 등이 더 확실하고 신속하게 취업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취업지원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패키지의 투명도와 사이즈가 악한 음식의 소비에 미치는 효과

        박세훈,오유진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8 마케팅관리연구 Vol.23 No.1

        Consumers often have difficulty with controling their intakes of vice food such as Oreo cookies. This research examines whether the effects of package transparency on vice food consumption is moderated by food size, package size, and consumers' level of dietary restraint. First, in case of manipulating package transparency and only food size, we predict that the consumption of vice food in transparent(vs. opaque) package will be increased when food size is small and when consumers' dietary restraint level is low. On the other hand, we also predict that this effect will be disappeared when food size is larger and when consumers' dietary restraint level is high. Second, in case of manipulating package transparency and manipulating both package size and food size correspon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consumption of vice food in transparent (vs. opaque) package will be increased when package and food size is small and this effect will be mediated by food salience, whereas the consumption of vice food in transparent(vs. opaque) package will be rather decreased when package and food size is larger and this effect will be mediated by consumption monitoring. To test our hypotheses,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The results of experiment 1, achieved by using a 2 (package transparency: transparent vs. opaque) × 2 (food size: small-size vs. large-size) between-subjects design, did not support the prediction of the moderating role of food size but supported our prediction of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s' level of dietary restraint in the effect of package transparency on vice food consumption. In experiment 2, we used a 2 (package transparency: transparent vs. opaque) × 2 (package and food size: small-size vs. large-size) between-subjects design by corresponding package size with food size, and it was confirmed that small-size(large-size) package and food can increase(decrease) the consumption of vice food from transparent(vs. opaque) package. Moreover, our hypothesis that food salience mediates the transparency effect of small-size package and food was significantly supported and the prediction that consumption monitoring mediates the transparency effect of large-size package and food was marginally significantly supported.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provide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소비자들은 종종 오레오 쿠키와 같은 맛은 좋지만 건강에는 좋지 않은 악한 음식의 섭취를 스스로 통제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곤 한다. 본 연구는 악한 음식의 소비에 미치는 패키지 투명도의 영향을 음식 사이즈, 패키지 사이즈, 그리고 소비자의 섭식절제 수준이 조절할 수 있는지를 조사했다. 먼저 패키지 투명도와 음식 사이즈만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음식 사이즈가 작을 때 그리고 소비자의 섭식절제 수준이 낮을 때 투명(vs. 불투명)한 패키지에서 악한 음식의 소비량은 증가하리라 예상하였다. 반면 이러한 효과는 음식 사이즈가 클수록 그리고 소비자의 섭식 절제 수준이 높을수록 사라질 것이라 예상하였다. 다음으로 패키지 투명도를 조작하고 패키지와 음식 사이즈를 같은 방향으로 함께 조작하는 경우에는, 패키지와 음식 사이즈가 함께 작을 때 투명(vs. 불투명)한 패키지에서 악한 음식의 소비량은 증가하고, 이러한 증가 효과는 현저성에 의해서 매개되리라 예상하였다. 반면, 이러한 효과는 패키지와 음식 사이즈가 함께 클수록 투명(vs. 불투명)한 패키지에서 악한 음식의 소비량은 오히려 감소하여서 사라질 것이라 예상하였고, 이러한 감소 효과는 감시에 의해서 매개되리라 예상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두 차례의 실험을 실시했다. 2 (패키지 투명도: 투명 vs. 불투명) × 2 (음식 사이즈: 작은 사이즈 vs. 큰 사이즈) 집단 간 요인 설계를 활용한 실험 1을 통해, 패키지 투명도가 악한 음식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음식 사이즈의 조절적 역할은 지지되지 않았지만, 소비자의 섭식절제 수준의 조절적 역할은 지지되었다. 패키지 사이즈와 음식 사이즈를 같은 방향으로 함께 조작하여 2 (패키지 투명도: 투명 vs. 불투명) × 2 (패키지와 음식 사이즈: 작은 사이즈 vs. 큰 사이즈)의 집단 간 요인 설계로 진행한 실험 2에서는, 패키지 투명도가 악한 음식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패키지와 음식 사이즈의 조절적 역할은 지지되었다. 뿐만 아니라, 패키지와 음식 사이즈가 함께 작을 때 현저성의 매개 효과는 유의하게 지지되었고, 패키지와 음식 사이즈가 함께 클 때 감시의 매개 효과는 한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밝히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