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미문학작품을 활용한 Graphic Organizer 수업 연구

        이현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5

        Purpose: Given that the affective side of language learning contributes in a significant way to enriching learners’ language learning, this study aimed to integrate English literature into graphic organiz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nd investigate how incorporating graphic organizers affected the students. Methods: An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based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Using Graphic Organizers was mainly focused on the English story The Gift of the Magi. Different kinds of graphic organizers as major materials were applied. There were seven graphic organizers in a study on Literature based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Using Graphic Organizers. The first step was the formation of a Cluster diagram, the second was a Vocabulary graphic organizer, the third was a Star diagram,the fourth was a Problem-solving organizer, the fifth was a Sequence chart, the sixth was a Story map and the last step was creating a graphic organizer. Results: This study was based on students' self-evaluations, teacher's observations including such factors as students' attitudes, self-confidence in English and the development of English competency. Graphic organizers such as Literature based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are efficient and interesting materials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literary elements. Conclusion: It is useful to understand the theme of the story, various characters, the setting, and the plot of the story.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using graphic organizers can be highly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to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and to lead to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 KCI등재

        전시주최자의 형태에 따른 전시서비스품질이 참가업체 성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이내,김봉석 한국무역전시학회 2019 무역전시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hibit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organizer types on exhibitor’s satisfaction. The exhibition organizer is divided into two types as a private organizer and an association/organization organizer. Exhibition service quality consisted of five factors which are tangibles, reliability, empathy, assurance, and responsiveness. Participant performance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ales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165 people to the exhibition held in KINTEX.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exhibition service quality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sales activities among the participant companies' performance, reliability, tangibility and empath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nd the influence on the communication activity performance was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empathy was significant. Second, the empathy was found to be a factor in the quality of the exhibit service provided by the private organizer as a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the exhibitors' sales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hibitors' service qua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sales activities given by the association/organization organizer’s performance.In other words, empathy among the exhibit service quality factors provided by the exhibitors of the private and association/organization organizer has a common effect on the sales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among the exhibitors' performances. 본 연구는 전시주최자의 형태에 따른 전시서비스품질이 참가업체 성과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시주최자 유형은 전시장을 소유하지 않은 민간 전시주최자와 협/단체 전시주최자, 총 2가지 형태로 나누었으며, 전시서비스품질 요인은 서비스품질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 응답성, 확신성, 총 5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참가업체 성과만족도 역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판매 활동과 커뮤니케이션 활동, 총 2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검증은 SPSS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시서비스품질요인이 참가업체 성과 중 판매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뢰성, 유형성, 공감성이,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감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민간 전시주최자가 제공하는 전시서비스품질 요인 중 참가업체 성과 중 판매 활동과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통적으로 공감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단체 전시주최자가 제공하는 전시서비스품질 요인 중 참가업체 성과 중 판매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형성과 공감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민간과 협/단체 주최자 공통적으로 제공하는 전시서비스품질 요인 중 참가업체 성과 중 판매 활동과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성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시주최자는 참가업체와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전시회에서의 성공을 이루기 위해 상호 간의 구체적인 비전을 나눌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주최측은 참가업체의 이익추구(특히 판매 활동)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그들이 필요로 하는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 연구가 전시주최자와 참가업체 간의 성공적인 발전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전시회 주최자 서비스와 참관객 체험과의 관계 연구

        김흥렬 ( Kim Heung Ryel ) (사)한국마이스관광학회(구 한국컨벤션학회) 2014 MICE관광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tries to examin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exhibition organizer services and Visitor``s Experience. Among 250 questionnaires, 226 respondence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for the exhibition organizer service, ``human service``, ``operating service``, ``organizing servic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four dimensions were derived, and visitor``s experiences were found to be 3 dimensions(education, entertainment and aesthetics, novelty). Second, as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exhibition services from organizer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visitor``s experiences. Among the organizer services, ``organizing service``,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service`` factor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education factor and entertainment and aesthetics factor of visitor``s experiences, but ``organizing service`` factors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factor of ``novelty``. Third, the exhibition services from organizer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Especially, ``human service``, ``organizing service``, and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but ``operating service`` and ``convenience`` factors were found to be not significant.

      • KCI등재

        전시주최자 운영능력에 따른 참가업체의 전시회 만족도에 관한 연구: 2008 국제자동화정밀기기전을 중심으로

        안은정 ( Eun Jung Ahn ),황희곤 ( Hee Kon Hwang ) (사)한국마이스관광학회(구 한국컨벤션학회) 2009 MICE관광연구 Vol.9 No.2

        Though trade show have emerged as an increasingly significant component in companies` international tools,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this activity and previous findings on this theme are few and mostly foreign. This research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er`s operation and exhibitors` satisfaction about trade show.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hibitors` satisfaction about trade show and organizer`s operation so that organizer can set up effective strategies for planning, marketing and operation. Results are as follows: 1. High satisfaction with organizer`s operation correlate with exhibitors` satisfaction about trade show significantly. 2. High satisfaction with organizer`s marketing ability correlate with exhibitors` satisfaction about trade show significantly. This results suggest that organizer should make an effort in order to enhance trade show performance. Also suggest efficient management of trade show may increase it`s performance.

      • KCI등재

        웹 기반 학습에서 전자 텍스트 설계를 위한 시각적 조직자의 사용 편의성 효과

        한안나(Han Ahn-na)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전자 텍스트 문서 공간의 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인지적인 도구인 시각적 조직자(visual organizer)의 사용 편의성(usability)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자 텍스트 문서 공간을 시각화한 5가지 유형의 시각적 조직자를 개발하고, 대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을 포함한 총 여섯 개의 집단에 대해 시각적 조직자의 유형별로 만족도 및 시각적 조직자 활용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검사 결과, 전반적인 활용의 용이성과 만족도(F=4.19, p=.00), 주제별 텍스트 분량 및 분포 파악(F=4.16, p=.00), 전체 구조 및 흐름 파악(F=4.07, p=.00), 내용 이해의 용이성(F=5.42, p=.00), 기억의 용이성(F=2.42, p=.04) 측면에서는 모두 전자 텍스트문서의 이미지를 상징적 추상화 형태로 제공하면서 언어적인 개요 및 구조적 단서를 제공한 시각적 조직자 유형이, 텍스트의 분량 및 분포 파악에는 전자 텍스트 문서 이미지의 단순 축소 형태를 제시하는 시각적 조직자 유형이(F=11.20, p=.00), 네비게이션의 용이성은 단순 축소 이미지 제공과 함께 언어적인 개요를 보여주는 시각적 조직자 유형이(F=2.77, p=.02) 가장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자 텍스트 설계를 위한 전략이 제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design principles and utilization strategies of the visual organizers, which enables learners to comprehend the text and to understand text structure better in the electronic document space. In order to verify quantitatively the usability of newly developed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the visual organizers,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study, 12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in order to verify the usability of the developed visual organizers.<BR>  Findings were as follows; In the usability test, the presentation of Type 5 organizer (abstraction+overview+structure) was most efficient in ease of utility and satisfaction (F=4.19, p=.00), quantity and distribution of texts per topics(F=4.16, p=.00), comprehension of structure and overview(F=4.07, p=.00), ease of content understanding(F=5.42, p=.00), ease of remember(F=2.42, p=.04). And the presentation of Type 1 organizer (reduction) was most efficient in recognizing quantity and distribution of texts in advance(F=11.20, p=.00). And the presentation of Type 2 organizer (reduction+overview) was most efficient in ease of navigation (F=2.77, p=.02).<BR>  The results of this study seemed to demonstrate the positive potential of visual organizers in designing electronic text. By reflecting structural attributes, by arranging text structures, and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location, form and length the visual organizers seemed to provide vital information to the learners in e-learning situation.

      • KCI등재

        Estimation of trade exhibitions by foreign organizers in Bangladesh and lessons for Korean organizers’ business expansion

        익발 뷰얀,윤기관 한국무역전시학회 2016 무역전시연구 Vol.11 No.2

        최근들어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은 급성장하였다. 현재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의 발 전은 비록 초기 단계에 놓여 있지만 비약적인 발전 가능성 측면에서는 큰 잠재력을 보 여주고 있다. 전시산업은 관광 및 오락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국 민경제의 발전에 있어서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국내외 무역전 시주최자들이 방글라데시에서 많은 무역전시를 개최하였다. 무역전시회 관련 다른 무 역 기관이나 협회들도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의 발전을 위해 무역전시주최자로서 역할 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는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의 전반적인 상황 을 분석하고, 국내외 전시주최자들의 무역전시회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며, 둘째는 한국 의 무역전시주최자들이 방글라데시에서 성공적인 무역전시회를 론칭하기 위하여 필요 한 몇가지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전시주최자들이 방글라 데시에서 이루어 놓은 무역전시 활동에서의 커다란 기여를 제시하였다. 역사적으로 한 국은 방글라데시의 좋은 무역파트너이고, 방글라데시의 기성복 의류산업의 초기단계 발전에 있어서 독보적으로 기여하였다. 따라서 한국 무역전시주최자들이 방글라데시에 서 무역전시회를 개최함으로써 방글라데시에서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많은 한국 기업 들이 혜택을 입어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 발전에 있어서 인상적인 발자국을 남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방글라데시 정부가 방글라데시 무역전시 산업의 발전잠재력과 성장가능성을 현실화시켜 방글라데시 무역전시산업이 더욱 선진 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원조직과 프로그램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Bangladesh’s exhibition industry has witnessed tremendous development in the recent years. Although the industry is currently at a nascent stage in terms of developmental typology, it has huge potential to develop. Having the direct impact on the tourism and hospitality sector, the industry was already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he national economy. Throughout the years, a significant number of trade exhibitions are organized by both local and foreign organizers. Different trade bodies and associations are also working as exhibition organizers to develop this important industr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raw out an overview of Bangladesh’s exhibition industry, analyze trade exhibition activities of local and foreign organizers, explore the conditions for launching successful trade exhibition opening in Bangladesh, and provide suggestions for Korean organizers to expand their organizing business in this market. The paper finds out that foreign exhibition organizers have a great role in the recent development of exhibition activities in Bangladesh. Historically Korea is a good trading partner of Bangladesh and contributed solely in the first phase development of ready-made garments (RMG) industry of Bangladesh. Thus, Korean exhibition organizers have also great opportunities to make a strong foot print in Bangladesh’s exhibition industry realizing the benefits from the presence of a large number of Korean companies in Bangladesh. In particular, the analysis suggests that Bangladesh Government should develop a variety of supporting systems and programs for making the country’s trade exhibition industry more advanced through realizing its own potential and growth feasibility.

      • 전자 텍스트 설계에서 시각지능 이론을 적용한 시각적 조직자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나일주,한안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6 평생학습사회 Vol.2 No.2

        전자 텍스트의 양적 증가에 따라 인간이 보유하고 있는 능력에 최대한 접근시킴으 로써 효율적 정보처리를 가능케 하는 새로운 전자 텍스트 표현 방법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방법은 또한 웹이 제공하는 풍부한 표현 가능성을 충분 히 살리는 것이어야 한다. 인간의 시각 지능에 기초한 시각적 정보 처리 능력을 반영 한 설계는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도로 웹 기반 학습에서 전자 텍 스트 문서로부터 구조적 지식 획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각적 조직자(Visual Organizer)를 대상으로 그 설계원리 및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세 개의 단계를 거쳐 수행되었다. 첫째, 문헌 연구로서 조직자 전략에 대한 심층적 고찰, 둘째 시각 지능 및 시각적 추상화 논의에 기반한 시각적 조직자의 설계 원리 체계화, 셋째 전자 텍스트 설계에 시각적 조직자를 적용한 구체적 프로토 타입을 구안하는 것이 그것이었다. 이때, 프로토타입은 정보의 표상 양식, 정보의 추 상화 및 압축 정도, 시각-언어의 관계, 시각 지능의 차원 등 네 가지의 설계 요소를 준거로 다섯 가지가 개발되었고 그 조직자로서의 가능성이 판단되었다. 시각적 조직자의 프로토타입 개발 결과, 시각적 조직자는 전자 텍스트의 구조적인 속성을 반영하는 시각적 단서를 제시함으로써 텍스트 문서 집합을 공간적인 속성으 로 인식할 수 있게 하여 텍스트의 구조파악에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또, 시각적 추상화 형태의 그래픽은 전자 텍스트 문서를 공간적인 구조로 정렬함으로써 텍스트 를 전체 형태(gestalt)로 지각하게 하고 텍스트의 위치, 형태나 길이, 분량, 단락 구 분, 응집성 등 거시 구조에 대한 단서를 획득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 다. 끝으로 시각조직자에 대한 이론 및 프로토타입을 개발한 본 연구의 후속연구를 위 해 몇 가지 경험적 연구의 주제들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t of prototypes of the web visual organizer, which enable learners to comprehend the web text better and to understand the web text structure better in the electronic document space. For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designing visual organizers for the electronic text, a variety of principles and strategies, techniques were examined. At the same time, the arguments on the human visual intelligence were carefully reviewed. As a result of these reviews, a set of principles on designing web visual organizers were suggested; visual abstraction principle, compatibility principle, and navigatability principle. Based on the developed principles, a set of prototypes were developed. In developing the Prototypes of the Visual Organizer, 1) information representation styles(pictorial or verbal), 2) degree of abstraction(concrete or abstract), 3) visual verbal relationships(visual dominated or verbal dominated), 4) dimension of visual intelligence(interpretation or operation) were used as the identification dimensions of the potential prototypes. Among the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protypes, 5 typical and viable combinations were actually developed as protypes of the web visual organiz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eemed to demonstrate the positive potential of new style visual organizers in designing electronic text. By reflecting human visual intelligence principles, structural attributes, text structures, and the information of location, form and length of the web text were provided in the concrete visual form, in other words, in the visual organizer. The visual organizers seemed to provide vital information to the learners in e-learning situation. The research discusses the potentials of the visual organizers and the new research areas. Four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교수-학습에서 선행조직자 활용의 뇌과학적 해석과 교육적 시사점

        조주연 ( Joo Yun Cho ),강문선 ( Moon Sun Ka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Ausubel의 선행조직자 개념을 살펴보고 최근의 뇌과학적 성과에 비추어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뇌과학적 관점에서 선행조직자를 활용한 교수-학습은 (1) 학습내용에 기초를 두기 때문에 학습자의 인지구조가 경제적으로 형성되며 (2) 중요한 개념과 그렇지 않은 개념의 위계관계가 뚜렷하여 신경망이 효율적으로 구성되고 (3) 학습자로 하여금 내적 주의집중을 형성하고 유지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보다 효과적인 선행조직자 활용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은 교사 자신의 이해에 기초한 선행조직자의 조직, 학습자 인지구조에 적합한 선행조직자 제시, 인지구조의 정리단계 제공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usubel`s theory of ‘advanced organizer’ based on the recent brain-scientific research results and draw out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teaching/learning. The advanced organizer teaching/learning interpreted in the brain scientific viewpoint has meanings as follows: (1) When the educational content is the based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the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is formed in more qualitative way. (2) The advanced organizer teaching/learning hierarchically divide important concepts and unimportant ones from the beginning of teaching/learning. This division helps the brain`s neural networks develop to function more efficiently. (3) Teaching/learning using advanced organizer could lead students to pay and maintain more attention to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content. Also, it could help students become to have more positive affection on the learning content. Thre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view. First, in order to use advanced organizer successfully, teachers must identify the core concept of th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contents. Second, before presenting the advanced organizer, teachers must grasp the learner`s prior cognitive structure, because the meaning of educational contents could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Third, teachers must present the stages in which students can adjust their own cognitive structures.

      • KCI등재

        국내 전시주최자로서 업종별 사업자단체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독일 전시주최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박창원,김봉석 한국무역전시학회 2017 무역전시연구 Vol.12 No.1

        무역전시회의 주요 3요소 중 전시주최자는 전시회를 기획하고, 참가업체를 유치하며, 전시회를 운영하는 등 전시회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 최자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참관객과 참가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 족한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시주최자를 중심으로, 그 중에서도 국내에 서 독특한 형태로 발전해온 전시주최자로서 업종별 사업자단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독일 전시주최자의 경우 전시장을 보유한 메세의 전시회 개최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 국내 전시회의 경우 민간전시사업자의 전시개최 비율 못지않게 일 반 산업을 대표하는 기관인 업종별 사업자단체의 비중 또한 높은 편이다. 이러한 국내 전시주최자로서 업종별 사업자 단체에 관한 연구는 이들 기관의 공공적 성격과 해당 산업의 대표기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은 충분하다. 우리나라 사업자단체의 전시회 개최는 70년대 정부주도의 제조업 육성정책에 힘입어 수출 진흥 및 해외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전시회가 전무하던 우리나 라에 전시산업의 터전을 마련하였을 뿐 아니라, 제조업 중심의 무역 확대를 통하여 우 리나라 경제성장의 일부분을 담당해 왔다. 이러한 전시주최자로서 사업자단체는 민간전시사업자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실제 개최되는 전시회를 대상으로 한 통계자료에 따르더라도 사 업자단체의 전시 개최 비율은 전체 전시회의 약 20%에 이를 정도로 전시산업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자단체의 전시회 개최 또한 수익구조 및 조직구성 등 일정부분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사업자단체의 전시회 운용능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독 일의 유수 전시 주최기관처럼 새로운 마케팅 전략과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역량은 전시회 개최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새로운 시도를 통해서 가능하며, 세 방향으 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첫째, 전시주최자로서 국내 사업자단체의 ‘특수성’을 활용해야 하며, 둘째로 전시회 ‘참관객 프로모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마지막 으로 사업자단체들이 주최하는 전시회의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Of the three main elements of the trade show, the organizer is a key element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trade show, such as planning & operating it and attracting exhibitors.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se organizers, it is still relatively inadequate compared to researches of the visitors and exhibito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hibition organizers, especially "Business Associations by industry(B.A.)" as an organizer developed into a unique form in Korea. In case of trade show organizer in Germany, Messe which is a venue owner has a fairly high ratio of holding trade show.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Korean trade shows, the proportion of holding trade show of B.A. that represent the general industry is as high as that of private-exhibition-companies.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the study on B.A. as a trade show organizer are sufficient given the public nature of them and the fact that they are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of the relevant industries. Holding a trade show of B.A. in Korea started as a part of export promotion and overseas marketing activities in response to manufacturing promotion policy driven by the government in 1970s. These B.A. have not only laid the foundation of trade show industry in Korea, but also played a part of the economic growth through the expansion of manufacturing-oriented trade. B.A. as the organizer of the trade show account for the second largest share followed by private-exhibition-companies. And even if following the statistical data for actual trade shows held each year, the exhibition holding ratio of them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ade show industry to about 20% of the total trade show. However, in terms of holding trade show, these B.A. also have limitations such as profit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organization. Therefore, new marketing strategies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like the organizers of leading trade show in Germany in order to enhance the exhibition management capabilities. These competencies are possible through aggressive investment and new attempts, and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m in three ways. First,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uniqueness' of the B.A. as the organizer of the trade show in Korea.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cognition from exhibitor promo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visitor promotion. Lastly, understanding of the industry in the trade show hosted by B.A. should be preceded.

      • 비정규 노동자 조직화를 위한 조직활동가 양성 사업 연구

        임진희(Lim Jin-Hee)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09 노동연구 Vol.18 No.-

        IMF 외환위기부터 비정규직이 양산되면서 사회적 빈곤이 증대되는 한편 노동조합 조직률이 저하되어 갔다. 이런 상황에서 민주노총은 미조직 비정규 노동자 조직화를 위한 ‘조직활동가 양성 사업’을 시도하였다. 한국사회에서 지금까지 노동조합 총연맹 차원에서 진행한 ‘조직활동가 양성 사업’은 2006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진행한 사업이 최초이며, 이에 대한 연구도 처음 시도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직활동가 양성 사업의 실태와 문제점을 민주노총 전사업담당자들과 조직활동가들의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그것을 1) 인력구성, 2) 교육훈련 과정, 3) 활동 구조 및 과정의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또한 조직활동가들의 활동상의 어려움을 검토하여, 이를 1) 조직적 차원, 2) 개인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런 실태와 문제점으로부터 ‘조직활동가 양성 사업’의 개선방향을 세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내용적 측면으로 1) 전략조직화 사업의 구체성, 2) 집중과 선택의 효율성, 3) 조직화매뉴얼의 필요성, 4) 교육훈련 내용의 개발로 정리하였고, 두 번째는 구조적 측면으로 1) 전담기구의 구축, 2) 조직화 지원시스템의 구축, 3) 재교육(훈련) 시스템 구축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인사정책적 측면으로 1) 명확한 선발기준, 2) 평등한 처우, 3) 조직활동가를 보는 시각의 변화로 정리하였다. KCTU launched a training project of strategic organizers for unorganized and precarious workers so as to tackle with the explosion of precarious employment which had caused the intensification of social poverty and decrease of union density since the IMF crisis. The KCTU 'training project of organizers' which was conducted from 2006 to 2009 is the first case on the national center level in Korean society and the research on the training project of organizers is also the first. This paper analyses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training project of organizers through interviews with former responsible persons and organizers, focusing on 1) composition of personnel, 2) proc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3) activities structure and process. And the difficulties which organizers faced are also examined by two aspects, personal and organizational ones. This paper proposes three aspects of reform measures for 'training project of organizers' based on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Firstly, on the contents level, the followings are proposed, 1) to make strategic organizer training program more concrete, 2)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3) to make a manual for organizing, 4) to develop the program of education and training. Secondly, on the structural level, the followings are proposed, 1) to build responsible organization, 2) to build a supporting system for organizing, 3) to build re-education(training) system. Lastly, on the level of personnel management, the followings are proposed, 1) to create the clear selection criteria, 2) to provide equal treatment, 3) to change the viewpoint on organiz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