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와 언론NGO, 양자간 상호관계에 대한 시론적 고찰 : Advocacy型 NGO 사례를 중심으로

        김호균(Kim, Hou-Gyun) 한국NGO학회 2005 NGO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정부와 언론NGO 양자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분석대상 시기는 전두환 정부부터 노태우 정부 김영삼 정부 김대중 정부까지 20년 동안이며 이 시기 동안 정부가 추구하는 언론정책과 언론개혁을 주창하는 advocacy NGO의 언론개혁 방향과는 어떠한 상호관계가 존재하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자료수집방식은 주로 문헌조사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외의 각종 저널과 단행본 등이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특히 정부와 언론NGO와의 관계분석을 위해 방법론으로 사례연구(case study)방식을 채택하였다. advocacy NGO의 사례로 민주언론운동협의회(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가 선정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두환 노태우 정부의 경우 언론정책은 통제적 수단을 활용하였고 언론NGO의 언론의 방향성에 대한 시각은 두 정부의 언론을 바라보는 입장과 전연 별개의 양태를 노정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두 정부와 언론NGO와의 관계는 대립적 관계(Confrontation)에 서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민간인 출신 정부인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의 경우도 언론NGO 와의 관계는 대립적 관계(confrontation)로 해석되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이 설정한 〈정부와 언론NGO 간의 관계는 정치체제의 속성차이로 인해 차별성을 가질 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은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군 출신 정부의 경우 언론정책은 기본적으로 언론통제적 요소가 강했다. 반면 민간인 출신 정부의 경우 언론개혁이라는 총론적 시각에서는 언론 NGO 와 별다른 시각차가 없었다고 해석할 수 있으나 정부가 선택한 전략적 수단(preferred strategy)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언론통제 의혹을 받았다는 점이 서로 다르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정부와 언론NGO 관계에서 앞으로 정부의 언론정책이 어떠한 방향으로 승화 발전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여러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how government and media NGO relationships changes in turn-over of political power in Republic of Korea-focused on media policy and media reform. Time horizon that It analyses government-media NGO relationships is during some more than 20 years from 1980 to 2003. It studies relationships between government and media NGO by virtue of four-C framework grounded on institutional interests and preferences for policy ends and means-cooperation in the case of similar ends and similar means, confrontation in the case of dissimilar ends and dissimilar means, complementarity in the case of similar ends but dissimilar means, and co-optation in the case of dissimilar ends but similar means. It is found out that in Chun, Doo-Huan and Row, Tae-Woo political powers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media NGO is respectively suitable to confrontation model. And also it indicates in Kim, Young-Sam and Kim, Dae-Jung political powers relationships between government-media NGO is chiefly fitted for confrontation model.

      • KCI등재

        NGO리더의 서번트리더십과 리더신뢰,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최주근(崔周根),유근환(劉根煥),박지은(朴志恩) 한국정부학회 2018 한국행정논집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NGO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NGO의 리더신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변화되는 지역NGO의 기능과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기는 시점에서 대구·경북소재 NGO 중 12개 NGO를 대상으로 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NGO 중 매우 유용한 리더십임이 확인 되었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리더신뢰는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조절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시사점으로는 NGO 조직성장과 공동체 전체를 하나로 결속시키는 공동체 육성의 지휘철학이 요구되며, NGO 활동을 위한 인적자원의 체계적관리가 필요하다. 조직구성원들에게 자신의 관련 직무의 환경개선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협력적 네트워크구축, 조직의 자발적인 활동 및 투명성, 도덕성 등의 확립하고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NGO가 스스로 끊임없이 자각하며 올바른 역할 모색을 통하여 성장하고 발전 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GO leader "s servant leadership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NGO leader" s trust. As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changing local NGOs became more important, we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12 NGO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bunt leadership is a very useful leadership among NGOs and it is an important variable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der trust can partially confirm the adjustmen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NGOs in the community, and it is confirmed that they are generated not in separate areas but in interconnected political processes. Therefore, local NGOs should constantly be aware of themselves and strive to grow and develop through the search for the right role.

      • KCI등재

        NGO 활동가의 대북 인도적 지원 경험의 본질과 의미 : 눈 감을 줄 모르는 마음으로 ‘경계, 그 너머를 향해’

        박지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4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lues of NGO activists who gav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the problems and obstacles NGO activist face, relationships among the stakeholders in both Koreas, and NGO activists’ response to North Korea(N.K.), focusing on th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K. of NGO in South Korea(S.K.).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ve NGO activists providing humanitarian assistance to N.K.. This study applied a phenomenological method of analysis derived from Giorgi(1997). NGO activist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K. had essence of practical experience, for instance, common structure of《a boarder, between and beyond with unstoppable mind》. The first subject of [communication at boundary place] described experiences NGO activists met North Korean officials. The second subject of [overcoming obstacl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K.] described obstacles of assistance to N.K.. The third subject of [a border, between & beyond] described NGO activists' challenges not only in N.K. but also in the society in S.K. and attitudes, strategies and roles of counteraction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several points that require in-depth understating in actual field have been stressed in the conclusion, considering relevant social issues and theories. 본 연구는 적대적인 남북관계 속에서 극심한 경제난으로 북한 주민들이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삶이 위협받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북한 주민을 돕기위한 한국 개발 NGO의 대북 인도적 지원에 주목하고, 향후 대북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방북 횟수 평균 60회 이상, 사업경력 4년 이상의 한국 개발NGO 활동가 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활동가 경험의 본질은《눈 감을 줄 모르는 마음으로 ‘경계, 그 너머(Between & Beyond)를 향해’》이며, 중심의미는 ‘경계적 위치에서의 소통’, ‘대북 인도적 지원의 장애물 넘기’, ‘경계, 그 너머를 향해’로 도출되었다. 대북 인도적 지원 현장 활동가가 표방하는 가치, 문제와 장애물, 한국과 북한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 활동가의 대응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대북지원 사업을 위해 정부 정책적 차원, 조직적 차원, 활동가 교육훈련 차원의 개입과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NGO 최고책임자의 역할 및 역량 인식 연구- 여성의전화를 중심으로-

        강은숙,이기성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1 평생교육 · HRD연구 Vol.7 No.1

        As NGO's role has grown in modern society, academic researches of NGO have been increasing. But there are a little researches of NGO's human resource, especially competences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of the roles and competences of NGO's chief executive officers. For this study, I used the basic & generic qualitative research and I intentionally selected CEOs of Korea Women's Hotline. The result of this study, NGO's chief executive officers recognized self-developers, managers, leaders as their roles. Also they thought they need knowledge of feminist science, finance and sociology. They recognized they need computer use skill, self-management skill, communication skill and conflict management skill. They need abilities of learning, human relationship, human resource management, team-building, organization management and to, promote social change.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NGO leaders was shown differently in comparison with other organization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NGO organizations is unique. NGO is to seek out the social changes and the importance of democratic principles within the organization. And the members of NGO are interested in focusing on the growth of people. 현대사회에서 NGO의 역할이 커지면서 NGO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NGO의 인력자원, 특히 이들의 역량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라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NGO 최고책임자가 자신이 최고책임자로서 역할 및 역량을 무엇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기본적 해석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연구참여자는 한국여성의전화 최고책임자 중에서 의도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NGO 최고책임자가 인식한 역할의 내용은 자기개발자, 관리자, 리더였다. 필요역량은 지식으로는 여성학, 회계, 사회과학이, 기술로는 컴퓨터 활용, 자기관리, 의사소통, 갈등관리기술이었다. 능력은 학습능력, 대인관계능력, 인력관리능력, 팀 빌딩 능력, 조직운영 능력, 사회변화촉진 능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 차원에서는 사람에 대한 믿음, 자기확신, 인내심, 사명감, 민감성, 통찰력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NGO 최고책임자가 인식한 역할과 역량은 다른 조직의 책임자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NGO 조직의 특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NGO는 사회 변화를 추구하고 조직 내 민주주의 원리를 중요시하며, 사람을 중시하고 사람의 성장에 관심이 많다는 점 등 다른 조직과 다른 특징이 있다.

      • KCI등재

        정부-NGO 관계와 NGO의 역할 : NGO 사업공모 사례 A case of NGO project competition

        주성수 韓國行政硏究院 2001 韓國行政硏究 Vol.10 No.4

        정부와 NGO의 관계는 대립과 갈등에서 공조와 파트너십으로 발전되는 것이 세계적인 동향이며, 그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정부의 NGO 지원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에서도 세계화와 분권화의 강력한 추세에서 정부가 NGO의 존재와 역할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갖고 새로운 법을 제정해서 NGO 지원사업을 제도화하였다. 한국 정부의 NGO 지원사업은 과거의 정부주도적인 지원방식에서 크게 벗어나 새로운 공모방식으로 NGO의 자율성을 훼손하지 않는 원칙을 추구하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남아 있다. 정부-NGO 관계가 다분히 비대칭적인 관계에 머물러 있는 일종의 '용역형'에 해당된다. NGO의 열악한 재정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NGO가 정부재정에 의존함으로써 자율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지만, 하나의 대안으로 현행 공모방식을 정부의 재정지원과 NGO 사업주관으로 분담하는 '공동의 거버넌스'(co-governance) 방식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지원정책을 제시해볼 수 있다. It is a global trend that the government-NGO relationship is developing from conflict and confrontation toward cooperation and partnership, and its practical example can be found in the governmental funding for NGO activities. In Korea, the government under the pressure of glob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has recently acknowledged the existence and roles of NGOs and last year enacted a new law which institutionalizes the governmental funding for NGO activities. The governmental funding for NGOs has been shifted from the old government-dominant model toward an open project competition model. The hot potato issue is how to find an alternative which solves both the financial problem NGOs face and the dependency problem caused by the increasing dependence of NGOs on governmental funding for their activities. This article suggests a co-governance strategy: the government plays a role of funding and transfers its role of managing the NGO project competition to an independent coalition of NGOs.

      • KCI등재

        복합리조트 기업의 CSR : 관광개발과 NGO의 역할

        안소영(Soyoung An),이동화(Donghwa Lee) 한국NGO학회 2020 NGO연구 Vol.15 No.3

        최근에 환경문제는 인류 생존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해지고 있다. 기업의 영리추구 활동이 환경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산업 중의 하나는 관광산업이다. 관광산업에서는 여행객들을 유치하기 위해 지역의 대규모 개발을 진행하며, 이 과정에서 환경훼손의 문제를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관광기업의 개발과정은 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정부가 규제해야 하지만, 법제도의 틈을 타서 난개발이 진행되는 것 또한 현실이다. NGO는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NGO는 해당 지역이 처한 상황과 문제점에 대해 이해하며, 개발을 진행하는 주체와 시민들의 의사를 조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곶자왈이라는 지역과 관련된 사례연구를 통해 NGO 단체의 역할에 대해 분석하였다. 곶자왈은 제주도에 널리 분포한 지형으로, 람사르 협약을 통해 보존 필요성을 인정받은 귀중한 생태학적 자원이다. 그러나, 법 제도의 맹점을 이용한 다수의 기업에 의해 난개발이 자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의 NGO 단체인 곶자왈 공유화재단의 활동 중 관광기업의 자발적 CSR을 끌어낸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NGO 단체로서의 활동방안에 대한 제언을 수행하였다. The recent environmental problems are serious enough to threaten human survival. One of the industries in which corporate profit-seeking activities greatly affect the environment is tourism. This is because the tourism industry conducts a large-scale development of a region to attract tourists, and in this process, a problem of causing environmental damage cannot be avoid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ourism companies must be regulated by the government on the basis of legal grounds, but it is also a reality that reckless development proceeds due to gaps in the legal system. NGOs could be an alternative solution for such situation. This is because a region-based NGO understands the situation and problems faced by the region, and can play a role in resolving the opinions of the developer and citizens of the conflicted region. In this study, the role of NGOs was analyzed through case studies related to the Gotjawal area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Gotjawal is a widely distributed terrain in Jeju Island and is a valuable ecological resource recognized for the need for conservation through the Ramsar Convention. However, it is being destroyed by a number of companies that have taken advantage of the blind spots of the legal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cases that led to voluntary CSR of tourism companies among the activities of the Gotjawal Public Relations Foundation, an NGO organization in Jeju, and presented implications, and suggested plans for future NGO activities.

      • KCI등재

        NGO-지방정부간 파트너십 인식에 관한 실증연구

        이자성(李子成)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지방정부연구 Vol.16 No.1

        지방분권 및 지방화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지방정부와 NGO간 파트너십 구축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현실에서는 NGO 활동에 제약이 많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NGO참여 관련 제도 및 정책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NGO 및 공무원은 파트너십 형성 및 구축에 대한 부정적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NGO와 지방정부간 파트너십을 활성화시기 위해서는 두 집단간의 파트너십에 관한 인식과 운영의 양 측면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NGO와 지방정부간 파트너십에 대해 상호간에 어떻게 인식하고 실제 운영하는지를 분석하고 파트너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인식관점에서 파트너십형성, 지역NGO 종합지원, 정보제공 및 획득을 보고, 운영관점에서 정책참여, 협력ㆍ연계, NGO 지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NGO와 경상남도공무원 5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분석내용은 SPSS 15.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t-test,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파트너십 인식 분야는 NGO와 지방정부간 파트너십 형성에 있어 두 집단 모두 인식이 낮고, NGO종합기관 필요성에 대해 공무원은 불필요하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정보제공 및 획득 용이성은 모두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파트너십 운영 분야는 두 집단 모두 현재 참여형태는 의제형성과정에 간담회ㆍ공청회ㆍ토론회 등의 의견제시 등의 참여방식이 많고, 협력ㆍ연계분야는 상담ㆍ교육ㆍ홍보ㆍ캠페인에 집중되어 있고, NGO 지원형태는 금전적ㆍ재정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정책적 함의는 첫째, 다양한 정책참여 통로 확보 및 참여단계 확산이다. 둘째, NGO가 정책 및 시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공개 확대와 커뮤니케이션 통로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산뿐만 아니라 교육, 운영, 활동에 대한 종합적인 NGO중간지원기구 설치가 필요하다. 넷째, NGO 유형별 파트너십 인식격차 완화, 협력기회 및 분야의 확대가 필요하다.

      • KCI등재

        NGO의 역할과 정체성비교: 고령자취업정책을 중심으로

        김찬동,윤형호 한국NGO학회 2006 NGO연구 Vol.4 No.1

        공공정책과정에서 NGO들의 역할이 중요하고, 이들은 정부관료제와 어떤 역할관계를 가지는가에 따라 의존형NGO가 되기도 하고 자립형NGO가 되기도 한다. NGO는 시민사회의 자발성, 공공성을 가지고 활동하고 비영 리성을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NGO의 특성이 정부부문을 견제하기도 하고, 감시할 수 있는 권위를 부여해주게 된다. 그런데, 공공정책과정에 나타나는 NGO는 공공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주는 재원과 사업계획 들에 의존적이 되어 NGO로서의 기본성격을 잃어버리기도 한다. 공공정책 과정에 나타나는 NGO의 역할과 행태에 대하여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비교하여 분석한 것으로, 구체적인 사례로서는 최근 고령화사회가 됨에 따라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고령자취업정책에 관련된 NGO들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시니어클럽과 고령자취업알선센터를 일본에서는 고령자고용개발협회와 실버인재센터를 비교분석하여, 한국NGO의 중앙정 부의존성과 일본NGO의 민간주도형의 자립성을 지적하였다. 또 이러한 공공사업들이 추진되는 시스템에서 한국에서는 지방정부의 형식적인 역할, Top-down형의 업무추진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지적하였고, 일본의 경우 지방정부가 사업성격에 따라 직접참여하면서, 지역유관기관과의 수평적 연계를 통하여 지역별 분산추진을 하고 있는 점이 대별된다는 것을 지적하 였다. 한국 NGO의 공공정책과정에서의 자립성과 자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 KCI등재

        NGO의 기업에 대한 영향력 연구 : 그린피스의 쿨IT 캠페인을 중심으로

        황세정,이태동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8 동서연구 Vol.30 No.4

        Why and how do NGOs influence business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mechanism of NGO's influence on business. We argue that ranking evaluation as a mechanism of information politics affects business behavior.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f NGO-business relations and information politics,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Greenpeace Cool IT Campaign in Korea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Greenpeace urged IT companies including Naver and Samsung SDS to use renewable energy. In the renewable energy adoption ranking report by Greenpeace, Naver, which joined the campaign, was ranked high, while Samsung SDS was ranked low as it refused to campaign and information disclosure. However, years later, Greenpeace ranked Naver low due to no additional action, while ranked Samsung SDS high due to behavioral change such as additional renewable energy adoption and information disclosure. This analysis shows that ranking evaluation is an information politics strategy to affect business behavior change. This study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contributes to the studies of NGO politics by analyzing empirical cases of NGO influence in NGO-business relations. 왜 그리고 어떻게 NGO는 기업의 활동에 영향을 끼치는가? 본 연구는 NGO의 기업에 대한 영향력―NGO의 주장과 활동에 따라 기업의 행동이 변하고 이후 파급효과로 지속되는 것―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은 NGO의 정보 정치 전략 메커니즘인 순위 평가가 기업의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NGO-기업 관계의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그린피스의 쿨IT 캠페인 사례를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한다. 그린피스(Greenpeace)는 IT (information technology) 기업의 재생가능에너지 사용을 촉구하며, 주요 타겟으로 네이버와 삼성 SDS를 선정했다. 그린피스가 조사 발표한 보고서에서 네이버는 캠페인 동참으로 상위권이었지만 삼성 SDS는 응답거부로 하위권이었다. 이후 네이버는 목표 실천을 위한 추가 조치가 없는 등 행동 변화가 없었지만, 삼성 SDS는 재생가능에너지 사용을 사칙에 넣는 등 행동 변화가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그린피스의 순위 평가가 기업의 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논증하였다. 본 연구는 NGO-기업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NGO영향력의 경험적 사례 분석을 통해 NGO의 역할에 대한 정치학 연구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 지역 시민단체의 활동역량에 관한 비교연구: 대전, 대구, 광주지역 주창형 NGO의 활동차이를 중심으로

        금홍섭(Hong-Seoup Keum),이은구(Eun-Ku Lee) 한국NGO학회 2016 NGO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NGO의 성장과 활동역량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탐구 해보는 것이다. 특히 대전, 대구, 광주지역의 NGO의 성장과 활동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조망해보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 지역NGO의 성장과 활동과 관련한 역량은 지역사회 전반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지역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결과로 나타나고 있음도 확인했다. 특히 지역NGO활동 역량에 대한 범주화된 각 변수에 대한 검증 결과, 전체적으로 지역NGO활동 역량에도 적지 않은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를테면 대전과 대구, 그리고 광주지역NGO의 경우 사례연구에서 뿐만이 아니라, 지역 NGO의 성장과 활동에 적지않은 차이가 확인이 되었다. 다만 대구지역의 경우 지역전체 NGO가 아닌 대구참여연대로 국한했을때는 대구지역 전체의 NGO의 성장과 역량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아울러 이들 세 지역NGO에 대한 변수검증 결과 에서도 대전, 대구, 광주지역 간에 지역NGO의 형성과 성장에 확연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지역사회의 재구조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더불어 지역NGO 스스로 끊임없이 자각하고 바람직한 역할 모색을 통해 성장・ 발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and activities of local NGOs. For the purpose, the study examines the case studies focusing the advocacy NGOs in Daejeon, Daegu, and Gwangju. The study finds out that the growth and activities of NGOs of the concerned are influenced in common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societies. The study also finds out differences in the growth and activities of the concerned local NGOs.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variables(internal capacity, governance capacity, institutional capacity) are able to confirm a clear difference in the growth and formation of NGOs. The study suggests that it should be recognized local NGOs coupling with the local society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local NGO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