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쥐에서 마이봄샘의 빛간섭단층촬영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의 비교

        이승훈,엄영섭,송종석,나경선,김은철,김현승,김만수,황호식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8

        Purpose: To compar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and histological findings of Meibomian glands in ra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structures seen using OCT were clarified. Methods: En bloc excision was per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in two rats. The axis of the Meibomian gland was vertically scanned with three-dimensional (3D) OCT and reconstructed into 3D images. The samples were fixed in 10% formalin again and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The findings of the OCT and histological examinations were then compared to determine the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s observed in the OCT. Results: The surface of the acinus was well-delineated in the Meibomian glands of rats using OCT. However, no deep acini were observed in the central ducts. Conclusions: The structure of Meibomian glands imaged by OCT in rats was limited to the surface of the acinus. The structure of the reconstructed Meibomian gland ex vivo was similar to that of the human Meibomian gl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n in vivo meibography system was therefore confirmed in animals. 목적: 쥐에서 마이봄샘(meibomian gland)의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을 비교하여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보이는 구조물의 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쥐 2마리를 대상으로 위눈꺼풀 및 아래눈꺼풀에 대해 일괄절제술(en bloc excision)을 시행한 후 3차원 빛간섭단층촬영(three dimensional OCT, 3D OCT)으로 마이봄샘의 축에 대해 수직으로 스캔하여 3차원 이미지로 재구성하였다. 위 검체를 다시 10% 포르말린에 고정한 다음 H&E 염색을 시행하였다. 빛간섭단층촬영과 조직검사의 소견을 비교하여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보이는 구조물이 조직학적으로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결과: 빛간섭단층촬영으로 관찰한 쥐의 마이봄샘에서 세엽(acini)의 표면 쪽은 잘 관찰되었으나, 중심관(central duct) 및 중심관보다 깊은 세엽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쥐에서 빛간섭단층촬영으로 확인 가능한 마이봄샘의 구조물은 세엽의 표면으로 제한되었으나 체외(ex vivo) 상태에서 재구성한 마이봄샘의 구조는 사람의 마이봄샘과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며, 동물에서 생체내(in vivo) 상태의 마이봄샘촬영술(meibography) 시스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갑상샘눈병증에서 마이봄샘 구조 변화에 미치는 요인 분석

        김민재,양성원,박진환,이화,백세현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7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nical activity score (CAS)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autoantibody (TSHR autoantibody) on structural changes in Meibomian gland in patients with thyroid eye disease (TED). Methods: From March 2015 to February 2016, retrospective and cross-sectional studies were performed on patients diagnosed with TED. We investigated thyroid function, TSHR autoantibody (thyrotopin-binding inhibitor immunoglobulin [TBII] assay) status, duration of TED, CAS, and analyzed the Meibomian gland structure using a Lipiview inferometer® (TearScience Inc., Morrisville, NC, USA). We evaluated the degree of meibum expression (ME) and the tear film breakdown time by slit lamp microscopy. Results: A total of 37 patients (13 males and 24 females) with TED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 mean age was 43.8 ± 13.3 years. At the time of the study, 24 patients (64.9%) had hyperthyroidism, five patients (13.5%) had hypothyroidism, and eight patients (21.6%) had normal functioning. The mean CAS was 1.86 ± 1.74 (0-7), nine patients (24.3%) were in the active group with ≥3 points of CAS, and 28 patients (75.7%) were in the inactive group with <3 points of CAS. The meiboscore was 1.05 ± 0.82 in the upper eyelid, and 0.76 ± 0.76 in the lower eyelid, with a significantly higher upper eyelid (p = 0.001). The mean value of the TBII was 6.11 ± 11.35 IU/L. Sixteen patients (43.2%) had TBII above the normal 1.5 value, and 21 patients (56.8%) had a normal TBII. The meiboscore of the upper eyelid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TBII was higher than normal (p = 0.045). CAS (r = 0.356, p = 0.030), ME (r = 0.379, p = 0.021), and TBII (r = 0.334, p = 0.044)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meiboscore in the upper eyeli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CAS (p = 0.010) and TBII (p = 0.011) were factors affecting the upper eyelid meiboscore, and CAS (p = 0.015) and TBII (p = 0.038) were factors affecting the lower eyelid meiboscore. Conclusions: The structural loss of Meibomian glands in patients with TED was greater in the upper eyelid than lower eyelid, and CAS and TSHR autoantibody had an effect on the structural loss of the Meibomian gland. 목적: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질병활성도(clinical activity score, CAS)와 thyroid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autoantibody (TSHR autoantibody)가 마이봄샘 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본원에서 갑상눈병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단면조사 연구를 시행하였다. 갑상샘 기능과 TSHR autoantibody (thyrotropin-binding inhibitor immunoglobulin [TBII] assay) 상태, 갑상샘눈병증 유병 기간, CAS를 조사하였으며, Lipiview inferometer® (TearScience Inc., Morrisville, NC, USA)를 이용하여 마이봄샘 구조를 분석하였다. 세극등현미경검사를 통해 마이봄샘 발현(meibum expression, ME) 정도와 눈물막파괴 시간을 평가하였다. 결과: 총 37명(남: 13명, 여: 24명)의 갑상샘눈병증 환자들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평균 나이는 43.8 ± 13.3세였다. 연구 포함 당시갑상샘 기능은 항진 24명(64.9%), 저하 5명(13.5%), 정상 8명(21.6%)이었다. 평균 CAS는 1.86 ± 1.74 (0-7)였고, CAS 3점 이상의 활동군은 9명(24.3%), CAS 3점 미만의 비활동군은 28명(75.7%)이었다. 마이봄샘점수(meiboscore)는 위눈꺼풀 1.05 ± 0.82, 아래눈꺼풀 0.76 ± 0.76이었으며, 위눈꺼풀에서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p=0.001). TBII의 평균값은 6.11 ± 11.35 IU/L였고 TBII가 정상1.5보다 높은 경우는 16명(43.2%), 정상인 경우는 21명(56.8%)이었다. TBII가 정상보다 높은 군에서 정상인 군보다 위눈꺼풀의 마이봄샘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45). 위눈꺼풀의 마이봄점수와 유의한 연관성을 갖는 요인은 CAS (r=0.356, p=0.030), ME (r=0.379, p=0.021), TBII (r=0.334, p=0.044)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 위눈꺼풀 마이봄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CAS (p=0.010)와 TBII (p=0.011)였으며, 아래눈꺼풀 마이봄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또한 CAS (p=0.015), TBII (p=0.038)였다. 결론: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마이봄샘의 구조적 소실은 아래눈꺼풀보다 위눈꺼풀에서 큰 양상을 보였으며, CAS와 TSHR autoantibody가 마이봄샘 구조 소실에 영향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미용적 눈꺼풀테 문신술 후 발생한 마이봄샘 분비 장애 1예

        설보람,권지원,위원량,한영근,Bo Ram Seol,MD,Ji Won Kwon,MD,PhD,Won Ryang Wee,MD,PhD,Young Keun Han,MD,PhD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8

        Purpose: To report a case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s a chronic complication of eyelid tattooing and the corneal epithelial defect as an acute complication of eyelid tattooing well healed with proper treatment. Case summary: A 31-year-old woman presented with severe eye pain, irritation and epiphora in both eyes. The patient underwent an eyelid tattooing procedure 2 hours before and dark pigments were placed on the inner eyelid margin. Slit lamp examination showed conjunctival injection and inferior corneal epithelial defect in both eyes. After 2 months, dry eye symptom still remained although the cornea was completely epithelialized. After 1 year, the patient improved completely, but still showed decreased tear film breakup time (TBUT). Conclusions: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people who undergo cosmetic eyelid tattooing procedures, the number of reports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has increased and acute complications such as corneal epithelial defect can occur. Moreover, chronic discomfort associated with dry eye syndrome can occur when pigmentation is placed on the eyelid inner margin and lead to the destruction of meibomian glands. Thus, eyelid tattooing should be performed after careful consideration of possible complications.

      • KCI등재

        마이봄샘촬영술을 이용한 콩다래끼절개술 전후의 마이봄샘 변화 관찰

        정세윤(Se Yoon Chung),황호식(Ho Sik Hwang),신민철(Min Chul Shin),조범주(Bum-Joo Cho),한소영(So Young Han)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2

        Purpose: To examine changes in meibomian glands by indirect meibography after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ibomian gland drop out and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ethods: We performed a prospective study of 16 patients, <5 years of age, who underwent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between March 2017 and June 2017. We performed indirect meibography before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and 1 week and 1 month after the procedure. Photographs of meibomian glands were rated according to their meiboscore, the break-up time (BUT) was measured, and Schirmer’s test was performed. Results: Sixteen eyes of 16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ifteen patients visited 1 week after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and eleven patients visited at 1 month after the procedure. The mean patient age was 32.9 ± 21.9 year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meiboscore (p = 0.092), BUT (p = 0.068), and Schirmer’s test results (p = 0.972) after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In meibography, there were inflammatory changes and partial meibomian gland drop outs at the chalazion lesion before its incision and curettage. At 1 month after the procedure, only scarring remained in the chalazion lesion, and normal surrounding meibomian glands were found near the old lesions. When comparing meibography of the baseline with meibography at 1 month after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the normal area of the meibomian gland significantly increased(p = 0.041).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chalazions, scarring was found after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lesions, and surrounding meibomian glands were well preserved when determined by indirect meibograph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ibomian gland changes after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and meibomian gland dysfunction.

      • KCI등재

        건성안 환자에서 마이봄샘 소실의 위험 요인 분석

        진연우,이종혁,김선웅 대한안과학회 2023 대한안과학회지 Vol.64 No.12

        목적: 건성안 환자에서 심한 마이봄샘 소실의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건성안으로 치료받은 환자 중 마이봄샘 촬영술을 시행한 2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마이봄샘소실 정도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어 안검연의 혈관확장, 불규칙성, 안구표면질환지수, 비침습적 눈물막파괴시간, 눈물막 지질층두께, 눈물띠높이를 비교하였다. 대상군의 나이, 성별, 아이라인 문신 여부,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항암 치료, 두경부의 방사선치료, 폐경기 호르몬 대체 치료, 자가면역 질환 등의 과거력을 조사하여 심한 마이봄샘 소실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막면적의 75% 이상 마이봄샘이 소실된 경우 심한 마이봄샘 소실로 정의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위험 요인을 평가하였다. 결과: 마이봄샘 소실 정도에 따라 나눈 4개의 군에서 마이봄샘 소실 정도가 심한 군에서 나이가 더 많고(p=0.001) 눈물 지질층 두께가낮았으며(p<0.001) 아이라인 문신 빈도가 높았다(p=<0.001). 고지혈증(p<0.001)과 항암 치료력(p=0.001)의 비율도 마이봄샘 소실이심한 군에서 높았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나이, 아이라인 문신, 고지혈증, 항암 치료의 과거력은 심한 마이봄샘 소실과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다(p<0.05). 결론: 건성안 환자에서 나이, 아이라인 문신, 고지혈증, 항암 치료의 과거력은 심한 마이봄샘 소실을 유발하는 유의한 변수이다. Purpose: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of meibomian gland loss in dry eye disease. Methods: The medical charts of 229 dry eye disease patients who had a meibograph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y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ibomian gland loss. Telangiectasia and irregularity of eyelid margin,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non invasive breakup time (NIBUT), lipid layer thickness (LLT) and tear meniscus height (TMH) were compared. Age, gender, history of eyeline tattoo, history of hypertension, diabetes, dyslipidemia, chemotherapy, radiation therapy, hormone therapy and autoimmune diseases were also investiga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he severe meibomian gland loss. Severe meibomian gland loss was defined as loss of more than 75% of the conjunctival area, and risk factors were evalu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omparing the four groups divid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ibomian gland loss, the group with severe meibomian gland loss was older (p = 0.001), had lower LLT (p < 0.001), had a higher frequency of eyeline tattoos. The ratio of hyperlipidemia (p < 0.001) and chemotherapy (p < 0.001) was also high in the group with severe meibomian gland loss. As a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ge, eyeline tattoo, hyperlipidemia, and chemotherapy wer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ver meibomian gland loss. (p < 0.05) Conclusions: Age and history of eyeline tattoo, hyperlipidemia, and chemotherapy a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cause severe meibomian gland loss in dry eye disease patients.

      • KCI등재

        마이봄샘 기능 이상 환자에서 자동 온열 압박 치료기기의 임상적 효과 및 예후 분석

        남승완(Seung Wan Nam),임동희(Dong Hui Lim),현주(Joo Hyun),정태영(Tae Young Chung)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5

        목적: 마이봄샘 기능 이상 환자에서 자동 온열 압박 치료기기(KCL 1100??, Korea KCL, Bucheon, Korea)의 효과 및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고, 자동 온열 압박 치료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마이봄샘 기능 이상으로 진단된 환자 24명 48안을 대상으로 1달간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는 매일 하루 2회, 15분씩 자동 온열 압박 치료기기(KCL 1100??)를 사용하였고, 치료 전, 치료 2주 후 및 1달 후 내원하여 나안시력, 안압, Standard Patient Evaluation for Eye Dryness (SPEED),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Lipid Layer Thickness (LLT), Meibomian Gland Secretion score (MGS),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MGE), 눈물막 파괴 시간(tear break-up time, BUT), 플루오레신 각막 염색 점수(Oxford scale)를 측정하였다. 자동 온열 압박 치료의 효과 및 안전성 분석 시 내원 시마다 측정한 각각의 지표를 짝지은 t 검정을 시행하였다. 자동 온열 압박 치료 효과에 영향을 주는 초기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이 지표들의 치료 전과 치료 1달간 변화량에 대해 단일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자동 온열 압박 치료에 따른 마이봄샘 기능 변화와 증상 호전 및 안구표면 변화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치료 1달간 마이봄샘 기능의 변화량과 치료 1달간 건조증 증상 및 안구 표면 지표들의 변화량에 대해 단일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들은 중등도 이하의 마이봄샘 기능 이상 환자로 치료 전 MGE의 평균은 3.08 ± 1.77, MGS의 평균은 4.11 ± 3.05였다. 자동 온열 압박 치료 이후 안구 건조 증상(SPEED, OSDI)과 안구 표면 지표(BUT, Oxford scale), 마이봄샘 기능 지표(MGE, MGS)는 치료 2주 후와 1달 후에 치료 전에 비해 모두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p<0.05). 또한 치료 전 증상이 심했던 군과 치료 전 마이봄샘기능 이상 정도가 심했던 군에서 치료 후 개선 정도가 컸다(p<0.05). 치료 후 마이봄샘의 기능 개선 정도(MGE 변화량)는 안구 표면상태의 호전(BUT, Oxford scale 변화량)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지만, 건조 증상의 개선(SPEED, OSDI 변화량)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치료기간 동안 임상적으로 유의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마이봄샘 기능 이상 환자에서 자동 온열 압박 치료 기기는 안전성 있게 마이봄샘 기능 이상 및 안구 건조증을 호전시켰으며, 특히 중등도 이하의 마이봄샘 기능 이상에서는 안구 건조 증상과 마이봄샘 기능 이상 정도가 심한 경우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and prognostic factors of automated thermodynamic treatment (thermal compression therapy device [KCL 1100??]) for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Methods: Patients (48 eyes of 24 subjects) with MGD were recruited for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Patients received 15-minute treatments twice a day using the KCL 1100??. Severity of dry eye symptoms were evaluated using the Standard Patient Evaluation for Eye Dryness (SPEED) and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and severity of Meibomian gland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the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MGE), Meibomian gland secretion (MGS) score and lipid layer thickness measured by LipiView??. To evaluate ocular surface, we measured tear break-up time (BUT) and fluorescein corneal staining score (Oxford scale). Data were presented for baseline and at 2 weeks and 1 month post-treatment. Results: Dry eye symptom (SPEED, OSDI), Meibomian gland function (MGE, MGS), and ocular surface index (BUT, Oxford scale) of pati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from baseline to 2 weeks (p < 0.05) and 1 month post-treatment (p < 0.05). In addition, patients with more severe dry eye symptom and Meibomian gland index at baseline examination achieved improvement in mild to moderate MGD (p < 0.05). Improvement of Meibomian gland function (MGE) wa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ocular surface index (BUT, Oxford scale) (p < 0.05), but not with improvement of dry eye symptom (SPEED, OSDI)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adverse events during the treatment. Conclusions: KCL 1100?? automated thermodynamic treatment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MGD. Additionally, KCL 1100?? is more effective in patients with moderate dry eye symptom and MGD.

      • KCI등재

        다양한 실험동물에서의 마이봄샘 촬영 및 면역조직화학적 구조 관찰

        이현규,우인호,강보람,엄영섭,강수연,황호식,김효명,송종석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1

        Purpose: We evaluated differences in the meibographic findings and immunohistochemical structures of mice, rats, and rabbits (commonly used in animal experiments). Methods: Meibomian gland images were taken using an animal meibograph in mice, rats, and black and white rabbits (five of each animal).The size ratios of the upper and lower Meibomian glands were calculated. Afterm meibographic imaging, the eyes were cut sagittally or transversely and the histological structures were compared using hematoxylin-and-eosin (H&E)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addition, the diameters of the central ducts and the areas of ducted glands and the acini were compared using image analysis software. Results: The meibographic findings were clearer in black rabbits than in the other animals. The upper to lower length ratio of the gland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three species. Histologically, no central duct epithelial cells were apparent in mice. The diameters of the central ducts and the areas of ducted glands and acini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mouse, rat, and rabbit. However, the Meibomian gland area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mice and rats. 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central ductal epithelium and the Meibomian gland acini were stained for cytokeratin 5 (CK 5) but only the central ductal epithelium was stained for cytokeratin 6 (CK 6). Conclusions: The larger the experimental animal, the greater the sizes of the Meibomian gland ducts and acini. In addition, black rabbits yielded better gland images because contrast was enhanced. Compared with sagittal sections of Meibomian glands, transverse sections facilitat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s of the central ducts and surrounding Meibomian gland acini. 목적: 동물실험에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생쥐, 쥐, 토끼의 마이봄샘 촬영 소견 및 면역조직화학적 구조를 비교하여 동물별 결과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대상과 방법: 각각 다섯 마리의, 검은색 및 흰색으로 구분한 생쥐, 쥐, 토끼의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의 마이봄샘을 촬영하였으며, 마이봄샘의 촬영은 동물실험용 마이봄샘촬영장비를 이용하였다. 촬영한 결과를 토대로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의 마이봄샘길이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이후 눈꺼풀조직을 적출하여 눈꺼풀의 정중앙부분을 가로면과 시상면으로 잘라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 및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하여 조직학적 구조를 비교하였다. 또한 마이봄샘 중심관의 직경과 중심관과 주변 세엽세포를 포함한 면적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동물 간의 마이봄샘촬영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검은색 토끼가 가장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의 마이봄샘길이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 동물 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마이봄샘의 조직학적 구조는 세 동물 모두 관찰이 가능하였으나 생쥐에서 중심관의 상피세포가 분명히 관찰되지 않았다. 마이봄샘을 시상면으로 자르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로면으로 잘랐을 때 중심관의 크기와 주변의 세엽세포의 관계를 더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 중심관의 직경을 측정한 결과 토끼, 쥐, 생쥐 순으로 크게 측정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중심관 및 주변 세엽세포를 포함하여 측정한 면적은 토끼가 가장 크게 측정되었고, 쥐, 생쥐순으로 크게 측정되었지만 쥐와 생쥐와의 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한 결과는 세 동물 모두에서 Cytokeratin 5 (CK 5)에서는 중심관의 상피세포와 주변 세엽세포, Cytokeratin 6 (CK 6)에서는 중심관의 상피세포만을 염색하는 특징이 있었다. 결론: 실험동물이 클수록 마이봄샘의 크기가 크고 실험동물의 색이 검은 경우 대조효과로 흰색 동물보다 마이봄샘의 관찰이 용이하여 마이봄샘의 정확한 촬영에는 검은색 토끼가 가장 적합하였다. 마이봄샘을 시상면으로 자르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로면으로 잘랐을 때 중심관의 크기와 주변의 세엽세포의 관계를 더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각막굴절교정렌즈와 산소투과성 하드콘택트렌즈 착용 후 안구표면상태 변화 비교

        이강원(Kang Won Lee),정지원(Ji Won Jung)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4

        목적: 같은 재질의 각막굴절교정렌즈와 rigid gas permeable (RGP) 렌즈를 착용 후 안구표면상태 변화를 비교하여 렌즈 종류에 따른 건성안과 마이봄선기능장애 발생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 12안과 RGP 렌즈 착용 16안을 대상으로 렌즈 착용 전, 1개월, 3개월 시점에서 안구표면상태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안구표면상태 지표는 안구표면 질환지수(ocular surfacedisease index, OSDI), 기본 눈물 분비, 눈물막 파괴시간(tear break up time, TBUT), 안구표면 염색 점수로, 마이봄선기능장애 지표는 마이봄선기능장애 등급, 눈꺼풀테의 이상, 마이봄선의 표출 정도 및 마이봄 분비물 양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각막굴절교정렌즈군의 TBUT, 안구표면염색 점수와 RGP 렌즈군의 OSDI, TBUT, 안구표면 염색 점수는 착용 전, 1개월, 3개월 후 유의하게 악화되었다(p=0.004, p<0.001, p<0.001, p<0.001, p<0.001). 마이봄선기능장애 지표는 착용 전, 1개월, 3개월 후에 모두 각막굴절교정렌즈군(p<0.001, p<0.001, p<0.001, p=0.002)과 RGP 렌즈군에서 악화되었으며(all p<0.001), RGP 렌즈군에서 유의하게 더 악화되었다(p<0.001, p<0.001, p=0.001, p<0.001). 결론: RGP 렌즈 및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 시 안구표면 상태에 영향을 주며 RGP 렌즈에서 마이봄선기능장애 및 안구표면상태 지표의 변화가 각막굴절교정렌즈보다 더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dry eye and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by comparing ocular surface status before and after wearing an orthokeratologic (OK) lens and rigid gas permeable (RGP) lens made of the same material. Methods: The ocular surface and meibomian gland statuses of 12 eyes of 12 OK lens wearers (OK lens group) and 16 eyes of 16 RGP wearers (RGP lens group) were evaluated before and 1 and 3 months after lens wearing.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tear film break-up time (TBUT), Schirmer’s test I, and ocular surface staining score were evaluated for ocular surface parameters. Meibomian gland function was evaluated by assessing lid margin abnormality,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and meibum quality. Results: TBUT and ocular surface staining score after 1 and 3 months of wearing an OK lens were significantly aggravated (p = 0.004, p < 0.001). The MGD grade, lid margin abnormality,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and meibum quality were aggravated after 1 and 3 months of wearing an OK lens (p < 0.001, p < 0.001, p < 0.001, p = 0.002). After 1 and 3 months of wearing an RGP lens, OSDI, TBUT, and ocular surface staining score were aggravated (all p < 0.001). The MGD grade, lid margin abnormality,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and meibum quality were aggravated after 1 and 3 months of wearing an RGP lens (all p < 0.001). MGD grade, lid margin abnormality,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and meibum quality were significantly more aggravated in the RGP lens group than in the OK lens group after 3 months (p < 0.001, p < 0.001, p = 0.001, p < 0.001). Conclusions: Use of OK and RGP lenses affects ocular surface status. Especially, meibomian gland parameters and OSDI showed greater changes in RGP lens wearers than OK lens wearers.

      • KCI등재

        백내장수술 후 마이봄샘 기능부전과 눈물 지질층 분석

        오주현,박창현,황웅주,나경선,김현승 대한안과학회 2019 대한안과학회지 Vol.60 No.6

        Purpose: We report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dry eye syndrome after cataract surgery involving meibomian gland structure, meibomian gland function, and tear lipid layer analysis. Methods: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dry eye syndrome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in 34 eyes of 31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7.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tear break-up time (tBUT), Oxford stain score, presence or absence of blepharitis, and meibomian gland expression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and at 1 week, 1 month, and 2 months postoperatively. Lipid layer thickness (LLT), partial blinks, and meibomian gland images were measured using LipiView® (TearScience, Morrisville, NC, USA), an interferometric eye surface measuring device. Results: The postoperative OSD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operative OSDI (17.09 ± 1.81): 22.76 ± 1.99 at 1 week, 23.12 ± 1.91 at 1 month, and 22.68 ± 1.92 at 2 months (p < 0.05). The postoperative tBU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preoperative tBUT (5.07 ± 0.39): 3.99 ± 0.31 at 1 week, 3.49 ± 0.27 at 1 month, and 4.72 ± 0.39 at 2 months (p < 0.05). The Oxford staining score increased after surger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toperative meibomian gland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preoperative values (4.9 ± 2.8): 4.4 ± 2.8 at 1 month, and 3.9 ± 2.8 at 2 months (p < 0.05). The LLT decreased at 1 month postoperatively and increased at 2 months postoperatively,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Cataract surgery resulted in a short-term meibomian gland dysfunction, leading to deterioration of dry eye after cataract surgery. However, we could not confirm structural changes in the meibomian gland, so it will be necessary to observe the clinical features of dry eye syndrome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목적: 마이봄샘의 구조, 기능 및 눈물 지질층 분석을 통해 백내장수술 후 발생하는 안구건조증의 임상양상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백내장수술을 받은 34안(3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안구건조증의 임상양상을 분석하였다. 수술 전, 수술 후 1주, 1개월, 2개월에 안구표면질환지수, 눈물막파괴시간, 안구표면염색점수, 안검염, 마이봄샘 배출 평가를 시행하였다. 간섭을 이용한 안구표면측정장치로 눈물 지질층 두께, 부분 눈꺼풀 깜빡임, 마이봄샘을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안구표면질환지수는 수술 전 17.09 ± 1.81, 1주 22.76 ± 1.99, 1개월 23.12 ± 1.91, 2개월 22.68 ± 1.92로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눈물막파괴시간검사는 수술 전 5.07 ± 0.39, 1주 3.99 ± 0.31, 1개월 3.49 ± 0.27, 2개월 4.72 ± 0.39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안구표면염색점수는 수술 후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마이봄샘 배출력은 수술 전 4.9 ± 2.8, 1개월 4.4 ± 2.8, 2개월 3.9 ± 2.8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눈물 지질층 두께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이 연구는 백내장수술이 단기적으로 마이봄샘 기능 저하를 일으켜 백내장수술 후 안구건조증이 악화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유의한 마이봄샘의 구조적인 변화 양상은 확인할 수 없어 안구건조증의 임상양상에 대한 장기적 경과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마이봄샘 기능부전을 동반한 안구건조증 환자에 대한 펄스광선 치료의 임상효과

        김보윤(Boyun Kim),권형구(Hyunggoo Kwon),최아영(Ayoung Choi),김주혜(Juhye Kim),전소희(Sohee Jeo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3

        목적: 마이봄샘 기능부전을 포함한 안구건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펄스광선 치료(intense pulsed light;IPL)를 시행한 후 안구건조증에 대한 임상적 분석을 통해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마이봄샘 기능부전으로 진단된 환자 62명 124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는 3주 간격으로 3차례의 IPL을 치료받았으며;치료 전과 3주 간격의 시간에 따른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MGE);Meibomian gland secretion score (MGS);눈물띠검사(TMH);비침습적 눈물막파괴시간(noninvasive break-time;NIBUT);플루오레신 각막염색 점수(Oxford scale);환자의 증상(Ocular Surface Diseases Index [OSDI];주관적인 증상 개선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IPL 치료 후 마이봄샘 기능관련 지표(MGE;MGS);안구 표면 관련 지표(NIBUT;Oxford scale);안구건조 증상(OSDI score;주관적인 증상 개선 정도)은 치료 전과 비교하여 IPL 1차 후;IPL 3차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모두 p<0.05). 하지만 눈물띠검사는 IPL 치료 전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마이봄샘 기능부전을 가진 안구건조증 환자에게 IPL 치료는 눈물막을 안정시키고;마이봄샘 기능 이상 및 주관적인 증상을 개선시키므로 안구건조증의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intense pulsed light (IPL)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with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for 124 eyes of 62 patients with dry eye with MGD who underwent 3 IPL sessions at 3 week intervals. All patients underwent clinical examination before and during treatment as well as 3 weeks after the last treatment. Measured parameters include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MGE);Meibomian gland secretion (MGS) score;tear meniscus height (TMH);noninvasive break-time (NIBUT);corneal staining score (Oxford scale);Ocular Surface Diseases Index (OSDI);and subjective ocular discomfort improvement. Results: Meibomian gland function (MGE;MGS);ocular surface parameters (NIBUT;Oxford scale) and dry eye symptom (OSDI;subjective ocular discomfort improvement) of pati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from baseline to after the 1st IPL;and the 3rd IPL weeks (p < 0.05 for all). However;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MH was observed.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IPL was a useful and effective treatment in patients of dry eye with MGD to stabilizes the tear film and improve meibomian gland function and ocular symp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