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기종망 환경에서의 지상파 UHD 방송을 위한 MMT 기반 서비스 시그널링 구조 설계

        서민재,백종호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2

        UHD(Ultra High Definition) 방송은 초고선명 비디오와 다채널 오디오 재현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UHD 방송 서비 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상파 현재 방송 시스템으로는 대역폭, 인코딩 등 해결해야할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MMT(MPEG Media Transport)가 제안되었다. MMT는 UHD와 같은 초고화질의 대용량 멀티미디어를 방송할 수 있는 표준으로, IP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여러 망을 동시에 사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MMT를 기반으로 미디어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분리하여 이기종망을 통해 전송하면 현재 방송 시스템으로도 UHD 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다. 그러나 MMT를 이용하여 계층화된 UHD 미디어 데이터가 서비스되기 위해서는 이기종망을 통해 들어오는 데 이터들이 시그널링을 통해 관리되어야 하고, 수신기가 계층구조에 대한 정보를 빨리 전달받을 수 있어야 빠른 화면 구성 및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정보가 시그널링 내에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MMT 내에 정의되지 않은 이기종망에 대한 정보를 적절하게 제공하는 시그널링 테이블 구조 설계를 제안한다. UHD(Ultra High Definition) Broadcasting is the focus of attention recent days. However, current broadcasting system faces with difficulty of bandwidth, encoding and so on. To solve this problem, MMT was suggested as the one of solutions. MMT is designed to be based on IP network and it has characteristics that can deliver multimedia through many networks at the same time. UHD Media service can be available with the current broadcasting system that divides media data into hierarchical data based on MMT. To provide this service, information about heterogeneous network should be delivered and signalling should be given to perceive it. For UHD media data service, the information about data from heterogeneous networks should be transported for providing presentation information and service for the receiver models. The present MMT signalling has not much information about heterogeneous services with hierarchical media data.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design of service signaling structure based on MMT for UHD broadcasting systems.

      • KCI등재

        Organo-Clay를 이용한 NR/MMT 나노복합체의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오우택 ( Woo Taek Oh ),이은경 ( Eun Kyoung Lee ),최세영 ( Sei Young Choi ) 한국고무학회 2009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44 No.4

        본 연구에서는 층상실리케이트에 Octylamine(OA), Dodecylamine(DA), Dimethyldodecylamine(DDA), Octadecylamine(ODA)와 같은 아민류을 사용하여 Organo-montmorillonite(MMT)를 합성한 후 Natural Rubber(NR)와 혼합하여 NR/MMT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Organo-MMT 및 NR/MMT 나노복합체의 층간거리는 XR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NR/MMT 나노복합체의 모폴로지는 SEM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Organo-MMT의 구조분석은 FT-IR을 사용하였다. NR/MMT 나노복합체의 표면 자유에너지, 가황특성, 인장강도, 모듈러스 및 경도는 Contact angle meter, ODR, UTM 및 경도계로 관찰하였다. FT-IR 구조분석으로 MMT 층간에 알킬암모늄 이온의 도입을 확인하였다. 스코치 시간과 적정 가황 시간은 Organo-MMT를 사용한 경우에 단축되었다. NR/DDA-MMT 나노복합체의 표면 자유에너지와 인장강도가 가장 컸다. NR/ODA-MMT 나노복합체의 경도는 가장 컸다. In this study, Organo-montmorillonite(MMT) was synthesized by intercalation of various amine(Octylamine, Dodecylamine, Dimethyldodecylamine, Octadecylamine) compounds into layered silicate. Natural Rubber(NR)/MMT nanocomposites were prepared by reinforcement of Organo-MMT. X-ray diffraction(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were employed to characterize the layer distance of Organo-MMT and the morphology of the NR/MMT nanocomposites. The structures of the synthesized Organo-MMTs were analyzed by the measurement of FT-IR. Cure characteristics, surface free energy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modulus and hardness of NR/MMT nanocomposites were carefully studied by contact angle meter, ODR, UTM, and hardness tester. FT-IR analysis showed a insertion of the alkyl and amine chains into the interlayers of the MMT. It was shown that the cure time of the organo-MMT was more decreased than that of Na+-MMT. Surface free energy and tensile strength of the NR/DDA-MMT nanocomposite were the highest. NR/ODA-MMT nanocomposite was the highest in hardness.

      • KCI등재

        현대화폐이론(MMT)과 재정적자에 관한 비판적 논의

        염명배 ( Myung-bae Yeom ) 한국재정정책학회 2021 財政政策論集 Vol.23 No.3

        현대화폐이론(MMT)은 주류경제학을 대체하는 새로운 이론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문재인 정부에서도 MMT를 추종하는 듯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MMT의 주장 자체가 과연 논리적으로 타당한지, 문제점이나 한계는 없는지, 또 이 이론을 과연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는 있는지 등에 대해 탐구하고 추론해보고자 한다. MMT는 ① 화폐를 교환 수단이 아닌 조세납부 수단으로 보고, ② 화폐와 국채를 구별하지 않으며, ③ 조세를 재정지출을 위한 자금원이 아닌 인플레이션 억제 수단으로 보고, ④ 국채를 차입 수딘이 아닌 금리조절 수단으로 보며, ⑤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융합하면서 통화정책을 재정정책의 하위 수단으로 보는 등 주류경제학과는 상당히 차별되는 독특한 주장을 하고 있다. 특히 MMT의 재정관(재정철학)은 균형재정을 강조하는 주류경제학에 정면으로 맞서 “과도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는 한 화폐주권을 가진 나라는 ‘균형재정론’에 얽매일 필요 없이 정부가 아무리 빚을 져도 파산하지 않으며, 재정정책의 목표는 균형재정이 아니라 완전고용”이라는 입장이다. 이처럼 MMT가 주류경제학에 대한 도전적ㆍ도발적 특성들을 보이기는 하지만 반면에 적지 않은 문제점과 한계를 드러낸다. MMT의 문제점(한계)은 ① 인과관계 규명에 엄밀한 논리적 추론 과정 미흡, ② 공급제약을 무시한 수요 측면만의 시각, ③ 실물자원의 이동을 간과한 채 재정을 화폐의 이동으로만 보는 금융장부 상 시각, ④ 논리의 보편성 부족 및 가정의 특수성, ⑤ 조세와 국채의 역할에 대한 특이한 시각, ⑥ 미래 경제패러다임의 전환 파악 미흡, ⑦ 포퓰리즘 및 윤리적 문제, ⑧ 국부(國富)의 해외 유츨 가능성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MMT는 이처럼 그 자체만으로도 논리적 흠결이 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가 화폐주권이 강한 나라(화폐발행자)가 아니라는 점에서 MMT를 국내에 바로 도입하려는 시도는 무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더욱이 앞으로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경우 MMT 자체가 무력화될 가능성마저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우리가 섣불리 MMT의 주장을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극도로 신중하게 타당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우선 그에 앞서 현 정부 들어 급속하게 악화된 재정건전성을 회복하고 강화하는 일에 노력을 집중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판단된다. MMT(Modern Monetary Theory) challenges the main stream of economic theories.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whether MMT is logically reasonable and whether Korea can adopt this theory or not. After reasoning, this paper concludes that MMT itself has several defects and limitations on its own so as to be a sound hypothesis on one hand, and Korea is not in the proper economic situation to adopt MMT on the other hand. The limitations(defects) of MMT are as follows ; ① weak logical causality, ② only from demand side, ③ only from nominal point of view, ④ lacking logical universality ⑤ too specific view of tax and bond, ⑥ not properly anticipating economic paradigm shift in the future, ⑦ not free from populism and moral issues, and ⑧ ignoring the possibility of national wealth drain. Moreover, Korea, which is a small-open country, has neither key currency nor strong monetary sovereignty in the world such as U.S. and Japan, then Korea cannot be the country which can apply MMT. Therefore, it may not be the right time to introduce MMT into Korea, but the balanced-budget and fiscal soundness is still important.

      • KCI등재후보

        하이브리드 망 환경에서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Mobile MMT 기반 데이터 송수신 구조 설계

        송슬기,류영수,박경원,백종호,권기원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2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망 환경에서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Mobile MMT를 기반으로 하는 송수신 구조를 설계한다. Mobile MMT는 차세대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인 MMT의 확장된 표준이다. MMT는 IP를 기반으로 방송 통신이 융합된방송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며,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전송 및 양방향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들을 정의한다. Mobile MMT는 기존 MMT 기술을 기반으로 모바일 망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확장된 기능을 추가로 정의한다. 이를이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방송망을 통해 전달받은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데이터와 단말정보와 관련된 교통, 날씨, 여행자정보 등의부가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는 부가데이터 서비스 시나리오와 부가데이터의 송수신 구조를 설계하고 제안한다 In this paper, we design a transmission / receiver structure to provide additional data service based on Mobile MMT in hybrid network environment. Mobile MMT is an extended standard of MMT, the next generation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MT defines technologie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multimedia and supporting various types of data transmission and bidirectional services over heterogeneous networks based on IP. The Mobile MMT further defines the extended functions to provide functions specific to the mobile network based on the existing MMT technology. In this paper, we design and propose a additional data service scenario and additional data transmission / receiver structure that can receive additional data related to contents delivered through broadcasting network and additional data such as traffic, weather, traveler information related to user information.

      • KCI등재

        나노 MMT-폴리머 복합체를 이용한 폴리머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조병완(Jo Byung-Wan),문린곤(Moon Rin-Gon),박승국(Park Seung-Kook)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6 No.4A

        Polymer composite are increasingly considered as structural components for use in civil engineering, on account of their enhanced strength-to-weight ratios. Unsaturated polyester (UP) resin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matrix of composites such as FRP and polymer composite, due to its excellent adhesive. Polymer nanocomposites are new class of composites derived from the nano scale inorganic particles with dimensions typically in the range of 1 to 1000 nm that are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homogeneously. Owing to the high aspect ratio of the fillers, mechanical, thermal, flame, retardant and barrier properties are enhanced without significant loss of clarity, toughness or impact strength. To prepare the MMT (Montmorillonite)-UP exfoliated nanocomposites, UP was mixed with MMT at 60℃ for 3 hours by using pan mixer. XRD (X-ray diffraction) pattern of the composites and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s) showed that the interlayer spacing of the modified MMT were exfoliated in polymer matrix. The mechanical properties also supported these findings, since in general, tensile strength, modulus with modified MM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osites with unmodified MMT. The thermal stability of MMT-UP nanocomposite is better than that of pure UP, and it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at of pure UP. The polymer concrete made with MMT-UP nanocomposite has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than of pure UP.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of polymer concrete was found to be positively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modulus of the MMT-UP nanocomposites. 폴리머 복합체는 우수한 강도와 내구성으로 건설현장에서 프리캐스트 부재 및 보수, 보강재로서 널리 쓰이고 있어 폴리머 복합체의 경제성 및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폴리머 나노 복합체는 나노미터 수준의 크기를 가진 Clay 등의 무기 물질을 나노분산 상으로 폴리머에 균일 혼합시킨 것으로 산업적 응용기능성 변에서 뿐만 아니라 재료 및 공학 분야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존의 복합체 보다 1/10 혹은 그 이상의 낮은 함량의 분산상만으로도 더 우수한 강도와 역학적 특성 및 열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실험에서는 폴리머 복합체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MMT)와 유기화 되지 않은 몬모릴로나이트(MMT)를 사용하여 박리된 MMT-UP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XRD와 TEM실험결과, Cloisite 30B-UP 나노 복합체에서 층과 층 사이가 100Å 이상 떨어져 단일층으로 분산되었기 때문에 박리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역학적 특성은 기존복합체보다 인장강도와 인장탄성계수을 비교하였을 때 매우 향상됨을 알 수 있었고 열적 특성도 기존복합체보다 우수한 함을 나타내었다. 박리정도가 우수한 MMT-UP 복합체로 제조한 폴리머 콘크리트에서도 순수한 UP를 사용한 것보다 역학적 특성이 두드러졌다. 또한 폴리머 콘크리트의 강도와 탄성계수는 MMT-UP 복합체의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계수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Comparison of Na^+-MMT and Ca^2+-MMT for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ethylene-co-acrylic acid) Ionomer/MMT Nanocomposites

        이돈,서길수 한국고분자학회 2011 Macromolecular Research Vol.19 No.10

        Polymer/clay based composite films were prepared by incorporating sodium montmorillonite (Na^+-MMT) and calcium montmorillonite (Ca^2+-MMT) clay into poly(ethylene-co-acrylic acid) (PEAA). The dispersion of the MMT particles in the PEAA/MMT nanocomposites was exa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X-ray diffraction (XRD). TEM indicated that the mean lateral dimensions of MMT particles in the PEAA/MMT nanocomposites was approximately 300 nm and their thickness was < 20 nm. The PEAA chains were intercalated into the interlayers of MMT. The NH_4^+ ions on the PEAA chains were replaced by Na^+ or Ca^2+ ions in the interlayer of MMT. The mechanical behavior of the PEAA/MMT nanocomposites with different MMT contents was examined using an Instron.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d with increasing MMT content. Since PEAA forms a network by Ca^2+ ions, the tensile stress of the PEAA/Ca^2+-MMT nanocomposites is larger than that of the PEAA/Na^+-MMT nanocomposites with the same MMT content.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 PEAA/MMT nanocomposites were also discussed with reference to the TGA and DTA curves. TGA and DTA confirmed that the presence of Ca^2+ ions allowed the PEAA to form a network.

      • KCI등재

        SWCNT/에폭시 복합체의 기계적 전기적 성질에 미치는 Clay의 상승효과

        최원석 ( Won Seok Choi ),류승훈 ( Sung Hun Ryu ) 한국고무학회 2014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49 No.3

        단일벽 카본나노튜브 (SWCNT)/에폭시 복합체에 sodium-montmorillonite (Na+-MMT)을 첨가하여 MMT크기와 MMT/SWCNT 비율이 복합체의 기계적 전기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른 크기를 갖는 3종류의 MMT를 사용하였으며, 모두 SWCNT의 분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MMT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SWCNT/에폭시 복합체의 기계적인 성질은 증가하였으며, 임계함량에 도달한 후에는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표면전기저항은 MMT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임계함량에 도달한 후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최대 기계적 성질과 최소전기특성은 임계 MMT/SWCNT 비율은 MMT 크기에 크게 의존하였으며, 이는 MMT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Sodium-montmorillonite (Na+-MMT) was introduced into single wall carbon nanotube (SWCNT)/epoxy composit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MT size and MMT/SWCNT ratio on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omposite. Three different sizes of MMTs were used and all were found to function as effective dispersion aids for SWCNTs. Mechanical properties of SWCNT/epoxy composite increased with MMT content; tending to decrease once the MMT content reached a critical level. However,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decreased with increasing MMT content and tended to increase after the critical content was reached. Critical MMT/SWCNT ratio for maximum mechanical properties and minimum electrical resistivity was strongly dependent on the MMT size. Critical MMT/SWCNT ratio was decreased with MMT size.

      • Effect of clay surface modification and concentration on the tensile performance of clay/epoxy nanocomposites

        Ha, S.R.,Ryu, S.H.,Park, S.J.,Rhee, K.Y. Elsevier Sequoia 2007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properties, micro Vol.448 No.1

        In this study, the effect of montmorillonite (MMT) clay modification and concentration on the tensile behavior of MMT/epoxy nanocomposite was investigated. MMT was surface-modified using 3-aminopropyltriethoxysilane. MMT/epoxy nanocomposite samples were fabricated by mixing the unmodified and the surface-modified MMT of 2, 6, and 10wt%, respectively, with epoxy resin. XRD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crease of spacing between layers, after the modification. Tensile tests were performed on the MMT/epoxy nanocomposite specimens with and without the MMT modif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spacing between layers increased by more than 55% with the 3-aminopropyltriethoxysilane modification of MMT. For unmodified MMT/epoxy nanocomposite, as the concentration of clay increased the elastic modulus increased, but the tensile strength was not affected significantly. For surface-modified MMT/epoxy nanocomposite, both the elastic modulus and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clay increased. Tensil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of surface-modified MMT/epoxy nanocomposite were larger than those of unmodified MMT/epoxy nanocomposite, and the modification effect increased with clay concentration. This occurred due to the increased exfoliation of clays along with the improved interfacial strength by the surface modification.

      • KCI등재

        반응압출 공정으로 개질된 PLA 나노복합체의 유변학적 및 열적 물성

        강경수(Gyeoung Soo Kang),김봉식(Bong Shik Kim),신부영(Boo Young Shin) 한국청정기술학회 2009 청정기술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폴리락틱산(PLA)의 용융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몬모릴로나이트(MMT), 기능성 단량체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MA) 와 반응개시제를 함유한 PLA를 이축압출기로 개질한 후 열적 특성과 및 유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X선 회절장치(XRD) 및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을 이용하여 MMT의 분산도를 측정하였다. 이 나노복합체의 T?는 GMA 함량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MMT의 양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표면분석에 의해 MMT의 양이 증가할수록 박리형(exfoliation) 보다는 삽입형(intercalation) 에 가까운 나노복합체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점도 및 저장탄성률은 MMT의 첨가에 의해 크게 증가되었다. In this study, poly(lactic acid) (PLA) was modified by reactive extrusion with a functional monomer GMA(glycidyl methacrylate), MMT(montmorillonite), and initiator to enhance the melt strength. Each modified PLA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MA and MMT and was characterized by measuring thermal- and melt-viscoelastic properties. The degree of dispersion of MMT was measured by X-ray diffraction(XRD)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 of modified PLA-GMA-MMT nanocomposite decreased with increasing GMA content, but was a little affected by the amount of MMT. Surface analysis showed that the nanocomposite became more intercalated than exfoliated as the amount of MMT increases. The complex viscosity and storage modulus of the nano-composite were greatly increased by addition of MMT.

      • KCI등재

        실란화 몬모릴로나이트 캡슐과 기능성 소재를 충전한 하이브리드 고분자개질 방수아스팔트

        이은주(Eun Ju Lee),윤용근(Yong Keun Yoon),임광희(Kwang-Hee Lim) 한국고분자학회 2020 폴리머 Vol.44 No.5

        본 연구에서는 Na+로 양이온 교환시킨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MMT)를 응집시키고, 이러한 응집체의 표면을 고분자개질 아스팔트와 상용성이 있도록 실란커플링제인 3-aminopropyltriethoxysilane(APS)로 표면을 개질시킨 실란화 MMT 캡슐을 기능성 소재로서 제조하였다. 또한 실란화 MMT 캡슐 내부에서 캡슐 외부표면보다 실란화가 적게 수행되는 실란화 MMT 캡슐 효과를 원소분석, FTIR, SEM, XRD 및 TGA 분석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탄소섬유(2.5%)와 스테아릭산-코팅 탄산칼슘(2.5%)의 적정조성비를 가진 하이브리드 충전재가 첨가된 하이브리드 방수개질아스팔트(a), 및 탄소섬유(2.5%)와 실란화 MMT 캡슐(2.5%)의 하이브리드 충전재가 첨가된 하이브리드 방수개질아스팔트(b)의 경우에 모두, 기존 방수개질아스팔트와 다르게, 규격 KS F 3211의 인장강도, 파단신장률 및 인열강도의 요구조건을 모두 만족하였다. 한편, 하이브리드 방수개질아스팔트(b) 시편의 경우에는 투수저항의 한계수압은 0.5N/mm² 이상으로, 기존 방수개질아스팔트와 반대로 KS F 4935의 투수저항성 요구기준(i.e., 0.3 N/mm² 이상)을 만족시켰을 뿐 아니라, 0.4 N/mm²의 수압에서 투수가 된 하이브리드 방수개질아스팔트(a) 시편보다 우수한 자가보수(self-repair) 능력을 보였다. In this study, Na+-exchanged montmorillonite (MMT) was aggregated and subsequently the surface of the aggregates was modified by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S) in order to be compatible with a polymer-modified asphalt. Thus, the modified MMT-aggregates were prepared, and silanized to be silanized MMT capsule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by elementary analysis, FTIR, SEM, XRD, and TGA that the degree of silanization inside the prepared silanized MMT capsules turned out to be remarkably less than that on the surface of the silanized MMT capsules. Both of hybrid waterproofing polymer-modified asphalt (a) filled with carbon fiber (2.5%) and stearic acid-coated CaCO₃ (2.5%) and hybrid waterproofing polymer-modified asphalt (b) filled with carbon fiber (2.5%) and the silanized MMT capsules (2.5%), satisfied all the requirements of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t break and tearing strength of KS F 3211 unlike a conventional waterproofing polymer-modified asphalt. In addition, in case of the specimen of hybrid waterproofing polymer-modified asphalt (b), its limiting water pressure of water penetration resistance was more than 0.5 N/mm² to show a very superb self-repairing ability and to satisfy the requirement of water pressure of water penetration resistance (i.e., 0.3 N/mm²) according to KS F 4935 unlike the conventional waterproofing polymer-modified asphalt, compared to that of hybrid waterproofing polymer-modified asphalt (a) which water penetrates even at the water pressure of 0.4 N/mm².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