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레티 러셀(Letty Russell)의 생애와 기독교교육 사상

        이규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0 기독교교육논총 Vol.24 No.-

        Letty Russell opened up a new horizon for the theory and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Since she suggested a fresh and persuasive vision for Christian education, Russell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hristian educators. Compared to the significance and originality of her Christian educational thought, however, Russell's thought and theory are not investigated enough in depth and wid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her thought and theory, we need to explore Russell’s life and theological background as well. Thus, in this study we will investigate the followings. First, Russell's life and theolgical background will be explored. Second, the essence and main tenets of Russell's theory of Christian education will be investigated in an analytical manner. As a result, Russell's theory will be named as Christian education for humanization and mission. Third, “partnership-koinonia” will be identified and investigated as Russell's method of Christian education for humanization and mission. Finally, the strengths and the weaknesses of Russell’s theory will be critically analyzed. When the weaknesses can be overcome, Russell's theory can be used as a pertinent foundation upon which a new model of for the effective educational ministry of today's Korean churches can be establish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ussell's theory of Christian education and clarify possibl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her theory through critical reflection. This investigation and clarification of Russell's theory of Christian education are very meaningful as it will throw significant insights and light for the creativ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educational ministry in the twenty first century as well as in the twentieth century. 러셀은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준 학자로서, 기독교교육사상의 변화와 흐름에 있어 러셀이 제시한 교육적 비전과 방향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그 사상의 독창성과 깊이에 비해 러셀의 교육사상에 대한 본격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볼 수 있다. 러셀의 기독교교육사상의 핵심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러셀의 삶과 신학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을 깊이 있게 성찰해 보고자 한다. 첫째, 러셀의 생애와 신학적 배경을 먼저 살펴보게 될 것이다. 둘째, 러셀의 기독교교육사상의 핵심과 본질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분석적으로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러셀의 기독교교육사상을 가리켜 “인간화 선교교육론”이라고 부를 수 있음을 밝히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러셀의 기독교교육 이론이, 목적론적으로는 ‘인간화’를, 실천론적으로는 ‘하나님 선교에의 참여’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목적론과 실천론을 함께 담지한 용어로서 러셀의 기독교교육론을 가리켜 “인간화 선교교육론”이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셋째, 인간화 선교교육론의 실천방안으로서의 파트너십-코이노니아 개념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해 고찰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러셀의 파트너십-코이노니아 개념은 러셀의 전체 노작과 사역을 통해 일관되게 유지되는 핵심 개념이기 때문이다. 넷째, 인간화 선교교육론이 가진 공헌 가능성 및 제한성에 대해 분석적, 비판적 성찰을 시도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비판적 성찰을 통해 러셀의 교육사상의 장점 및 가능성과 함께 단점 및 제한성을 명료화시키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단점 및 제한성에 대한 보완을 통해 한국교회 교육목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 인간화 선교교육론이 어떠한 함의와 통찰을 제시해주는가를 함께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특정한 교육의 장(場)이나 특정한 교육적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인간화 선교교육론을 창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학문적 노력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러셀의 탁월한 통찰력, 교육이론 및 실천에 있어서의 다양한 경험과 열정이 함축되어 있는 인간화 선교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은 20세기에 이어 21세기 교육목회 및 교육선교에도 많은 도움과 빛을 던져줄 수 있는 이론임에 틀림없다. 기독교교육학회 내 세부분과 중, ‘기초이론분과’(foundational theory division)를 둔 이유가, 다양한 교육이론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통해 그러한 이론의 활용과 적용을 위한 틀거리와 토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초이론분과에 해당하는 학문적 성찰과 분석적 평가라는 점에 논의의 초점을 기울였다. 이러한 학문적 노력의 후속연구로서 인간화 선교교육론의 적용 및 활용 방안들이 나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사회통합을 지향하는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김희영(Hee Young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3 No.-

        이 글은 글로컬 시대에 나타나는 지역화와 보편화의 문제에서 발생하는 개인의 정체성과 사회통합의 문제를 레티 러셀(Letty M. Russell)의 성찰과 타자성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먼저 정체성의 개념을 정의하며 정체성에는 ‘내가 누구인가’에 대한 자기지식뿐 아니라 자기 가치감과 자존감이 포함되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와 에릭 에릭슨(Erik Erikson)의 이론을 통해서 한 개인의 정체성은 자신이 생각하는 자기지식인 자기 정체성과 더불어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보는 것에 대한 지식인 사회적 정체성이 있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에릭 에릭슨은 정체성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타인의 시선을 통해 느끼는 개인적인 정체성, 에고 정체성이 있다고 하였다. 윌리엄 제임스는 ‘자기’를 본능적인 Me, 사회적인 Me, 정신적인 Me로 나누어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자기정체성은 개인의 성찰을 통해 형성되는 ‘내가 보는 나’ 의식이 되며, 사회적 정체성은 타자성을 통해 ‘타인이 보는 나’ 의식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러셀에게 나타난 자기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을 성찰과 타자성을 중심으로, 중심인과 주변인의 범주로써 살펴보았다. 러셀은 백인 목회자이며, 예일대학의 창시자의 후손이며, 중산층의 배경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러나 이스트 할렘가에서 목회하며 주변에 속한 사람들의 파트너가 되어 하나님의 파트너십을 직접 실천하였다. 그녀는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을 끌어안고 하나님의 파트너십에 동참하게 하며, 그들로 중심에 오게 하여, 궁극적으로 중심과 주변의 구분이 없는 세상을 만들고자 하였다. 중심과 주변이 구분되지 않고 모두 자신의 소리를 내며 타인의 소리를 경청하여 파트너로서 정체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기 위해서 주변인에게는 절대타자인 예수 그리스도와의 만남 혹은 지지그룹(support group)을 통해 하나님의 파트너로서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하며, 중심인에게는 전통에 대하여 반성하고 사유하게 하고 힘이 공유되는 테이블의 담화를 통해 주변인의 파트너가 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기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이를 통해 하나님의 파트너십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통합을 지향하는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기독교교육은 한 개인과 집단의 경계선을 넘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학생들이 사유의 지평선과 중심과 주변의 경계선을 넘을 수 있도록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성찰과 타자성이 함께 있는 교육을 통해 개개인이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사회통합을 이루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가 하나님의 파트너십을 실천할 수 있도록 힘을 다해야겠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blems of individual identity and social integration that arise in the era of glocalization focusing on the reflection and otherness of Letty M. Russell. First, we define the concept of identity, and know that the term ‘identity’ includes not only self - knowledge of "who I am" but also self - worth and self - esteem. Erik Erikson explains that there are ego-identity and personal-identity that others feel through their eyes. William James described "self" as instinctive Me, social Me, mental Me.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selfidentity is the consciousness of ourselves through reflection of individual, and social identity is the "consciousness of others" through otherness. I expound the self-identity and social identity of Russell as a category of the center and the margin, focusing on reflection and otherness. Russell was a white pastor, a descendant of Yale"s founder, and a middle-class background. But she ministered at East Harlem, became a partner of the margin, and practiced God"s partnership personally. She embraced the margin in society, joined them in God"s partnership, and brought them to the center, ultimately creating a worl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margin and the center. To do so, she let the margin form identities as God"s partners through the encounter with The Other Jesus Christ or support groups. She made the center become partners of the margins by allowing them to reflect on tradition and prepare round-table discourse in which the power is shared. In this process, selfidentity and social identity are influenced by each other, and through this, God"s partnership is formed. Finally, I propose the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 to form an identity that aims for social integration. We should educate our students to cross the boundaries of the horizon of reason and the margin and the center. In addition, through education with reflection and otherness, individuals should maintain their identity and achieve social integration. We must do our best so that we can practice God"s partnership.

      • 레티 러셀과 마리아 해리스의 기독교교육론에서의 복지적 관점 비교

        장순애(Soon-Ae Chang) 영남신학대학교 2013 신학과 목회 Vol.39 No.-

        In the 21st century, I believe the mission of the church and Chirstian education will be defined by a new, more profound awareness of the welfare perspective. To do that, we need to ask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Christian welfare?”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merge Christian education and Christian welfare. With this purpose this paper sought welfare perspective from both Letty Russell’s Christian Education theory and Maria Harris’s theory. And I evaluated the strengths and weakness of their welfare perspective. Letty M. Russell designed a educational ministry of the church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welfare. It appears from her proposal to call the church ‘Witnessing Community" of pluralistic system in order to stress ‘church toward the world and the other people" and emphasizing that Salvation is humanization encompassing not only the redemption of the soul but also the liberation from the socially oppressing systems. On the other hand, Maria Harris considers five patterns of life demonstrated in the primitive Christian community described in Acts 2:42-47 -kerygma, didache, koinonia, leiturgia, diakonia- as a prototype of curriculum for church education. And she insists that a complete church curriculum can be established only when integrating these five forms of interrelated curricula. Thus she develops a church curriculum theory to integrate Diakonia with educational ministry of the church. In conclusion, Contemporary Church should be both ‘educational ministry of the church toward christian welfare" and ‘Diakonia from a standpoint educational ministry of the church". That’s exactly what it is called Holistic Educational Ministry in this age of Welfare.

      • KCI등재

        레티 러셀의 교회론

        최유진(CHOI Yoo-Ji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1

        본고는 다음세대를 위한 교회론으로 여성주의 신학자 레티 러셀의 교회론을 제안한다. 러셀의 여성주의 교회론인 정의와 환대의 공동체는 기성교회에서 소외되고 자신의 존재감을 찾지 못했던 여성들을 위한 대안적인 교회, 대안적인 리더십 등을 제안하고 있지만, 그녀의 제안들은 포스트모던과 세속화, 탈제도화 시대에 신앙을 유지해야 하는 현 한국교회의 다음세대들에게 실마리를 던져주고 있다. 러셀은 기독교인들이 선민의식에 사로잡혀 다양성을 희생하고 일치를 이루기 원한다고 비판하며 일치 대신 ‘환대’라는 개념으로 자신의 교회론을 전개한다. 그녀는 시대마다 성서와 기독교전통이 ‘선택’교리를 어떻게 변주했는지를 추적하면서 박해시절 정체성을 고민하던 시대와는 달리 기독교가 권력과 결탁해있는 시대인 지금은 철저히 ‘환대’를 위한 선택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교회는 철저하게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그리스도의 메시아적 사역에 그 정체성이 있음을 분명히 밝히며, 교회는 ‘정의’를 위해 투쟁하는 공동체임을 역설한다. 이런 맥락에서 그녀는 전통적으로 이해한 교회의 네 가지 표징 ‘일치성’, ‘거룩성’, ‘보편성’, ‘사도성’에 ‘정의’(justice)를 첨가한다. 본고에서는 다음세대를 위한 교회론을 제언하기 위하여 그녀가 여성주의적 관점으로 전통적인 선택교리와 교회의 표지들을 어떻게 재해석했는지에 집중할 것이다. 이를 위해, 그녀의 원탁의 교회론을 기초로 하는 ‘원탁의 은유’와 여성주의 교회론의 원칙인 ‘식탁의 원리’와 ‘나선형의 여성주의 해석방법론’을 기술하고 선택교리와 교회의 표지를 차례로 다루고 난 후, 다음세대 교회론을 위한 제언으로 연구를 마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feminist theologian Letty Russell’s ecclesiology as ecclesiology for the next generation. Her ecclesiology as community of justice and hospitality not only offers an alternative community for women who are marginalized existing churches but also throws some light on the next generation of the Korean Church who is struggling with to keep its faith in the age of postmodernity, secularization, post-institutionalization. Utilizing the critique that Christians too often want to get unity at the expense of diversity, being accustomed to be chosen people, she develops her doctrine of the church through hospitality instead of unity. She also reinterprets the signs and marks of the church from the perspective of justice. She argues that the community of the church is a struggling community for justice that radically remembers and succeeds Jesus’ ministry as the Messiah for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In this respect, she adds justice to unity, holiness, catholicity, apostolicity as signs of the church. Of many benefits of her ecclesiology, this study focuses on the ecclesiology for next generation by exploring how she reinterprets traditional understandings of the doctrine of election and signs and marks of the church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owards that end, Russell describes the ‘metaphor of the round table’ and then deals with ‘table principle’ as principle of ecclesiology, and ‘spiral connection’ as the feminist interpretative method. Next she addresses the doctrine of election and signs and marks of the church. Finally Russell makes suggestions for the faith of next generation.

      • KCI등재

        자기초월과 자기정체성을 통섭하는 여성 영성 형성 연구

        김희영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5 No.-

        그동안 기독교 영성에서 자기 자신을 비우는 것과 정화에 초점을 두었다. 영성에는 다양한 특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를 초월하고 자기에게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독교 영성은 자기 자신을 초월하는 특성뿐 아니라 인간의 삶을 통합하는 차원이 있다. 이는 자기감각과 자기가치감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점에서 삶의 통합은 개인에게 정체성을 형성해 준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영성형성 형성에서 상대적으로 자기정체성이 약화되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마이클 다우니에 의하면 이전 시대의 영성은 사제와 수도자들을 중심으로 한 엘리트적이었다. 엘리트요, 정통적인 공식적인 기독교를 이끌어왔던 대다수의 남성들에게는 자기가치를 존중하고 자기지식을 갖는 것보다 자기에게서 벗어나 자기를 비우는 것이 주요한 과제가 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의 영성에 관하여 논할 때에는 기존의 자기초월뿐 아니라 자기정체성을 통섭하는 영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글은 여성기독교교육학자로서 학자적인 식견과 영성의 풍부한 경험과 유산을 가지고 있는 레티 러셀(Letty Mandeville Russell),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 앤 윔벌리(Anne E. Streaty Wimberly)의 영성교육을 통해 자기정체성과 자기초월을 통섭하는 여성영성형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레티 러셀에게 자기초월은 타자를 향한 삶이며, 자기정체성은 자립성과 독립성을 갖고 타인의 해방을 위해 파트너와 청지기가 되는 것이다. 마리아 해리스에게 자기초월은 신적 현존에게로의 초월이며, 자기정체성은 주체자로서 세계 재창조의 주역이 되는 것이다. 앤 윔벌리에게 자기초월은 상황에 분리하여 자기를 긍정하는 것과 영적, 윤리적, 물질적, 사회정치적, 심리사회적, 교육적, 공동체적으로 해방하는 것이며, 자기정체성은 해방하는 지혜를 얻어 자기 자신도 자유하며 타인의 해방을 위해 나아가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학자들의 이해와 여성의 관계지향적인 측면은 각 위격이 있으시지만 삼위일체 하나님이 한 분이신 것처럼, 여성이 자율성과 독립성을 가지고 이웃과 상호성, 평등성, 상호관계에 바탕을 두고 영성을 형성하는 것에서 볼 수 있다. 그리하여 기독교여성영성교육의 목적을 “여성이 삼위일체 하나님 안에서 삶의 목적과 의미를 발견하고, 성령 안에서 자율성과 독립성을 가진 주체로 살아가도록 안내되어,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고, 하나님과 이웃의 파트너가 되어 하나님 나라를 구현해 나가는 것이다.”고 제안하며 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나의 이야기, 다른 여성들의 이야기, 복음의 이야기로 보며 교육의 장을 지지와 환대가 있는 공동체로 보았다. So far, Christian spirituality has focused on emptying and purifying the self. This is because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spirituality involves transcending the self. However, Christian spirituality has a dimension that integrates human life as well as characteristically developing beyond the self. This also affects the sense of self and self-worth, and the integration of life allows individuals to form identities. However, what is the reason that spiritual formation has overlooked and weakened self-identity until now? According to Michael Downey, the spirituality of the previous era was elite, centered on priests and religious leaders. For the elite men who had been leading orthodox formal Christianity, it was a major task to transcend themselves rather than develop self-identity Therefore, when we talk about women’s spirituality, it is necessary to study not only the existence of self-transcendence but also self-identity. This essay will discuss the spiritual education of Letty Mandeville Russell, Maria Harris and Anne E. Streaty Wimberly, respectively. All of them possessed a wealth of experience and spiritual insight as Christian scholars. Letty Mandeville Russell saw “ self-transcendence” as life orientated toward the other, and “self-identity” as self-reliance and independence, becoming a partner and steward in the liberation of others. Maria Harris saw “self-transcendence” as transcendence to the divine presence, and “self–identity” as the subject and re-creator of the world. Anne Wimberly viewed “self-transcendence” as having different views on circumstances beyond those that affirm the self, and also as spiritual, ethical, material, socio-political, psychosocial, educational, and communal liberation. She saw “self-identity” as being liberated and freeing herself to move forward and assist in the liberation of others. These scholar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oriented aspects of women’s lives is manifested in the Trinity God.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women form spirituality through reciprocity, equality, and a mutual relationship with their neighbors, as well as autonomy and independence. Thus, the purpose of Christian women’s spiritual education is to “guide women to discover the purpose and meaning of life in the Trinity God, to live as a subject with autonomy and independence in the Holy Spirit, to restore God's image, and to be a partner of God and to realize the kingdom of God.” We suggested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as our stories, other women’s stories, the gospel’s stories, and the field of education as a community of support and hospit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