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쟁 전후 이헌구의 ‘문화’ 인식과 ‘반공’의 논리

        고봉준(Ko, Bong-Jun)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8

        이 글은 한국 전쟁 전후 이헌구의 비평을 ‘문화’와 ‘반공’의 논리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와세다 대학 불문과를 졸업한 이헌구는 1930년대 초 ‘해외문학파’의 일원으로 문단에 등장했다. 당시 ‘해외문학파’는 ‘해외문학의 조선적 수용’을 표방하면서 등장했으나, 정작 이헌구의 존재감이 부각된 계기는 ‘카프(KAPF)’와의 논쟁이었다. 이런 이유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해외문학파’ 활동이나 ‘카프’와의 논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이헌구는 해방 직후 이른바 우익 진영의 문학 · 문화단체를 주도적으로 결성하고, ‘민족’, ‘자유’, ‘개성’ 등의 가치를 강조하면서 민족문학과 반공주의를 표방한 강력한 이데올로그였다. 해방기 좌익문학인은 물론 김동리의 ‘민족문학론’과도 달리 이헌구가 주장한 ‘민족문학’에는 특별한 논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는 해방에서 한국전쟁에 이르는 시기의 문화를 ‘민족’의 이익을 중시하는 태도와 ‘민족’을 부정하는 태도(공산주의)로 양분함으로써 ‘공산주의’와 ‘민족’을 적대적 관계로 설정했다. 이것은 공산주의를 타자화하는 방법인 동시에 ‘민족’을 우익의 독점적 가치로 전유하는 방법이었다. 한편 이헌구는 ‘공산주의’를 문화에 적대적인 세력, 개인의 ‘자유’를 말살하는 굴종과 복종의 이데올로기, 심지어 ‘인간’을 부정하는 사상으로 폄하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반공주의의 정당성을 확인했다. 한국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발표한 글들에서 이헌구는 반공주의를 ‘민족’의 문화적 전통과 이익을 부정하는 반(反)민족인 이념, 인류가 성취한 ‘문화’와 ‘문명’을 멸절시키려는 반(反)문명 · 반(反)문화의 이데올로기로 규정한다. ‘민족’을 전유함으로써 ‘공산주의’를 ‘반(反)민족’이라는 평가에 묶어두었듯이, 동일한 방식으로 그는 공산주의를 ‘문명’, ‘문화’, ‘인간’을 부정하는 광적인 집단으로 폄하했다. 이 시기 이헌구의 비평에서 반복적으로 목격되는 것은 ‘문학’을 ‘행동’의 문제와 연결시키는 논리이다. 그는 ‘문학’을 ‘문화’의 하위범주로 규정함으로써 먼저 문학인을 문화인으로 환원하고, 나아가 문화인과 지성인을 ‘행동’하는 존재로 규정한다. 이 논리에 따르면 문학인은 문화인인 동시에 지성인이고, 지성인은 곧 행동하는 존재이다. 그리고 이때 행동의 동기는 개인, 민족, 인류를 위협하는 공산주의에 맞서는 것, 그리하여 스스로를 ‘문화전사’로 개조하는 것이다. This study is a literary criticism of Lee Heongu’s works written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focusing on the logics of “culture” and “anti-communism.” A graduate of French literature (Waseda University), Lee debuted in the literary circle as a member of the “Overseas Literary Group” in the early 1930s. At the time, the group advocated customized accommodation of foreign literature in a Korean way, but Lee’s presence stood out in debates with the KAPF members. For this reason, a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on Lee’s work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the “Overseas Literary Group” and his debates with the KAPF. Lee became the strongest ideologue that advocated national literature and anti-communism. He led initiatives to organize right-wing literary and cultural groups after the liberalization of the country, and emphasized the values of nationalism, freedom, and individuality. Compared to the ideology of national literature advocated by Kim Dongli and other right-wing literary figures during the period of liberalization, Lee advocated national literature without specific logics. He divided the national culture between the timing of liberalization and the Korean War. He considered that an approach that valued national interests was nationalist in nature and a communist approach was one that defied nationalism, establishing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communism” and “nationality.” It was an easy way of alienating communism, while making nationalism an exclusive right-wing value. Taking a step further, Lee disparaged communism as an anti-cultural force, considered it as an ideology of subservience and submission that annihilates individuals’ freedom, and even as an ideology that negates the intrinsic value of a human being. He used these reasons to justify the legitimacy of anti-communism. In his writing published around the time of the Korean War, Lee defined communism as an anti-national ideology that denies the cultural traditions and interests of a nation, as well as an anti-civilization and anti-cultural ideology that annihilates culture and civilization propagated by mankind. Just as he defined communism as an anti-national ideology by exclusively making nationalism a right-wing value, Lee derogated communism as a fanatical ideology that negates civilization, culture, and the intrinsic value of a human being. What is repeatedly observed in Lee’s criticism during this period is a logic that ties literature to action. He caused the reversion of considering literary men as cultured men by establishing literature as a subcategory of culture, and went on to define cultured men and intelligent men as men in “action.” According to this logic, a literary man is a cultured and an intelligent man at the same time, and an intelligent man is a man in action. The motive for action is to stand against communism that threatens individuals, nations, and humankind. With such an action, one turns oneself into a “cultural warrior.” This chain of logic seems quite odd now, but around the time of the Korean War, it was believed that defeating the invasion of communism was the only way to contribute to both nation and mankind.

      • KCI등재

        반공문학자 이헌구를 추동한 세 가지 힘

        김미영(Kim, Mee 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4

        지금까지 문예평론가 이헌구에 관한 논의는 해외문학파 논쟁에 집중되어 왔다. 하지만 그가 한국문학사에 끼친 중요한 영향력은 해방공간의 중앙문학협회로부터 6.25 이후 ‘문총’과 ‘예총’을 잇는 ‘반공문화전선’의 수장으로서 1950〜60년대 남한의 보수적 문화예술계 단체장을 두루 역임한 데 있다. 이 시기 그는 정론성이 짙은 문예비평보다 에세이를 주로 썼다. 따라서 온전한 이헌구론 구성에는 그의 수필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 글은 그의 수필들을 분석하여 일제강점기, 해방공간, 6.25와 분단체제에 이르는 이념의 시대를 산 교양주의자 이헌구가 정치적으로 급격히 보수 우경화되어가는 과정을 살폈다. 그 결과, 이헌구의 삶과 문학을 추동한 세 가지 힘은 3.1운동과 6.25 등, 직접체험의 세계에서 이월된 ‘반공’과 ‘자유’란 진영테제와 루소, 쏘로우, 로맹 롤랑 등의 독서체험에서 획득한 ‘자유’, ‘고독’, ‘자연’ 등의 보편가치, 그리고 문단초창기에 임화와 치른 해외문학파 논쟁이란 트라우마임이 밝혀졌다. 표면적인 정론적 활동들이 해외문학파 논쟁과 6.25 체험 등에서 획득되고 강화된 진영테제에 의해 추동된 반면, 내적 성찰에 가까운 에세이와 인물론 집필은 전공인 불문학에서 얻은 교양과 인문서적을 읽은 데서 획득한 보편가치에의 추구라는 정향에 의해 추동되었다. 외부활동과 내적지향 간의 이율배반적 공존은 말년에 루소적 ‘고독’과 쏘로우의 ‘자연’, 기독교적 ‘사랑’의 추구로 모아져, 결국 그는 낭만적 리버럴리스트로 생을 마감하였다. 수필에 나타난 그는 이념의 시대에 문화예술계의 보수적 이데올로그로 살았으되, 끝내 내면까지 그럴 수 없었던 태생적인 리버럴리스트의 면모를 보인다. 해외문학파 논쟁에서 체험한 환멸, 6.25 전쟁에서 맛본 ‘죽음’에의 공포, 교수로 임용되기 전까지 시달린 생활고, 실향민 출신으로 태평양 전쟁과 6.25전쟁에서 두 아들을 잃은 개인적 불행 등을 가져다준 가난하면서도 이념적이었던 그가 산 시대는 순문학적 지향을 가진 생래적 리버럴리스트인 그를 ‘자유’=‘반공’의 우파적 문화예술계 수장으로 둔갑시켰다. 문총과 예총의 리더로서 표면적으로 ‘반공’이란 정론적 기치를 주창했으나, 내심 그가 끝끝내 사랑했던 ‘고독’과 ‘자연’, ‘사랑’과 ‘진실’이라는 화두는 안타깝게도 탈이념의 시대에서야 빛을 발하는 가치들이었다. Until now discussions of the critic Lee Heongu focused on the debating as a member of the school of foreign literature in early 1930’s. But his influential part with Korean modern literature could find the leader of the anti-communist literature after Korean Wa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showed what’s his thoughts of literature & real life as the leader of the anti-communist literature by analyzing his essays. In conclusion, his literature & life as the leader of the anti-communist literature activist had been controled three things, the reading experiences in boyhood, the debating of with Lim Wha as a trauma & Korean War as the war of ideology. On the surfaces of his lives & activities were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anti-communist literature, but his major was French literature, and he did love so much Rousseau, Thoreau, Rolland. Actually he had pursued some universal values in his essays freedom, loneliness, environmentally friendly, love, truth, as a well-educated liberalist.

      • KCI등재

        문예비평가 이헌구의 번역가와 교육자로서의 면모

        김미영(Kim Mee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8 외국문학연구 Vol.- No.70

        그동안 문학인 이헌구에 관한 논의는 임화 등과 벌인 해외문학파 논쟁에 집중되어 왔다. 간혹 불문학을 전공한 그의 번역관을 김억 등의 그것과 비교한 연구도 있었고, 극예술연구회와 관련된 논의도 더러 있었다. 하지만 소천 이헌구의 진면목은 한국전쟁 이후 1960년대 중반까지 그가 이승만 정권의 반공문화전선 수장으로서 우편향의 문화논리를 이끈 데 있다. 이 핵심적 활동에 관한 연구가 그간 이헌구 론에서 소홀히 여겨져 왔다. 한국전 이후 그는 문학평론가보다 문화활동가, 수필가, 번역가, 교육자로 활동했다. 온전한 이헌구 론을 위해서 한국전쟁 이후 출간한 그의 수필집과 번역작들, 교육자로서의 활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거기에 투영된 문화관과 현실인식이 우파 정치문학의 탄생을 가능케 했기 때문이다. 결론을 약술하면, 그의 많지 않은 번역문은 프랑스 상징주의 시와 릴케의 시, 청소년을 독자로 한 성장소설과 연애소설류의 소품들로, ‘탈(脫)정치적’이라는 공통점 외에 그의 문학적 취향이 ‘무색무취’하다 할 수 있다. 여대에 27년간 봉직한 여성교육자로서 그는 성별화된 전근대적 성인식을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수적인 그의 성향은 문총에서 예총으로 이어지는 1950~60년대 남한 문화예술계의 리더로서 ‘반공문학’을 주창한 사실과 일맥상통한다. 수필들에서 그는 일제강점기에 조선과 조선문단의 빈약함에 절망하였고, 전공인 불문학에 기초해 프랑스 혁명의 바탕인 ‘자유’의 추구를 지향하였으나, 죽음의 공포와 아들을 잃은 6.25체험을 계기로 그의 모토인 ‘자유’는 저항적 맥락은 상실한 채 ‘반공’이란 단성적 진영테제로 변질되어 갔다. 이런 이헌구의 사례는 탈정치와 정치의 길항관계 속에서 이념의 시대를 산 보수적 지식인의 행로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Lee Heongu was a critic, essayist, translator and educator. But most of the studies on his works had focused on his criticism of ‘the debating of Hewyumoonhakpa’. His prestige was built on his official post as the head of the anti-communist cultural arts associations in south Korea after 6.25. His thoughts of arts in 1950~1960’s could be found in his essays and activities as a translator or an enlightenment educator. All of his works are revealed to be of conservative nautre. After 6.25, the meaning of liberty from the French Revolution in 18th~19thcentury had been changed to mean ‘anti-communism’, so he could be elected as a head of the conservative right wing in political literature. The life and arts of Lee can be seen as a showcase of the rivalry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al literature and the anti-political literature because he had insisted on anti- political literature against KAPF in the 19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