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설재배 상추에 대한 전과정평가 (LCA) 방법론 적용

        유종희(Jong-Hee Ryu),김계훈(Kye-Hoon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5

        기후변화협약과 탄소배출권문제 등 환경에 관한 관심과 규제 등이 국제적 주요 관심 사항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업생산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환경부에서 시행하는 탄소성적표지제도 도입에서 농업분야의 LCI (Life Cycle Invemtory) database 부재를 이유로 1차 농산물을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따라서 농산물 탄소성적표지제도 도입을 위한 농업분야 LCI database에 대한 연구와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업생산체계에 대한 LCA 적용을 위하여 시설상추를 대상으로 LCI 구축과 LICA 수행을 위한 방법론을 고찰하였다. LCA의 방법론은 ISO 14040 규격에 의거하여 연구목적 및 범위, LCI분석 (전과정 목록분석), LCIA(전과정 영향평가), 해석의 단계로 구성되었다. 연구 목적은 시설 상추재배체계에 대한 LCA 방법론 적용이며, 기능단위는 상추 1 kg 생산으로 하였다. LCI 구축을 위한 영농 투입물과 산출물에 대한 데이터 수집은 농진청의 농축산물 소득자료를 중심으로 관련 통계, 문헌자료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LCI 구축을 위한 자료 수집결과 상추를 재배할 때 투입되는 물질 중 유기질 비료와 무기질 비료의 시용과, 식물보호제의 투입이 주요배출인자로 분석되었다. 농업활동으로 배출되는 주요 환경부하물질은 비료가 시용된 토양으로부터 대기로 발생되는 N2O와 수계로 배출되는 NO₃?, PO₄?과 농약잔류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유기화학물질, 농기계에 쓰이는 화석연료 연소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등 이었다. LCIA는 해외의 LCA 방법론과 LCA 적용사례를 조사하여 농업분야 LCIA 방법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LCIA는 분류화, 특성화, 정규화(일반화), 가중화의 4단계로 이루어지며, 이 중 분류화와 특성화는 의무절차이고, 정규화와 가중화는 선택사항이다. 해석단계는 LCI 분석결과와 LCIA 결과에 대하여 검증하고, 결과로부터 도출된 환경적 문제점과 개선안 등을 제시한다. LCA 수행에 사용하는 국내 소프트웨어는 지경부와 환경부에서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는 ‘PASS’와 ‘TOTAL’이다. 그러나 국내 프로그램에 적용되고 있는 환경영향평가 모델은 국외에서 개발한 기존모델들이다. 그러므로 보다 정확한 농업분야 LCA 분석이 가능하도록 추후 국내 농업환경에 적합한 영향평가 모델 및 특성화, 일반화, 가중화 계수의 선정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doption of carbon foot print system is being activated mostly in the developed countries as one of the long-term response towards tightened up regulations and standards on carbon emiss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excluded the primary agricultural products from the carbon foot print system due to lack of LCI (life cycle inventory) database in agriculture. Therefore, the research on and establishment of LCI database in the agriculture for adoption of carbon foot print system is urgent. Development of LCA (life cycle assessment) methodology for application of LCA to agricultural environment in Korea is also very important. Application of LCA methodology to agricultural environment in Korea is an early stage.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 of lettuce cultivation on agricultural environment by establishing LCA methodology. Data collection of agricultural input and output for establishing LCI was carried out by collecting statistical data and documents on income from agro and livestock products prepared by RDA. LCA methodology for agriculture was reviewed by investigating LCA methodology and LCA applications of foreign countries. Results based on 1 kg of lettuce production showed that inputs including N, P, organic fertilizers, compound fertilizers and crop protectants were the main sources of major emission factor during lettuce cropping process. The amount of inputs considering the amount of active ingredients was required to estimate the actual quantity of the inputs used. Major emissions due to agricultural activities were N2O (emission to air) and NO3<SUP>-</SUP>/PO4<SUP>-</SUP> (emission to water) from fertilizers, organic compounds from pesticides and air pollutants from fossil fuel combustion in using agricultural machines. The softwares for LCIA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and LCA used in Korea are ‘PASS’and ‘TOTAL’ which have been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owever, the models used for the softwares are the ones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models and optimization of factors for characterization, normalization and weighting suitable to Korean agricultural environment need to be done for more precise LCA analysis in the agricultural area.

      • LCA2Value(TM)를 이용한 제품환경전략 수립 방안

        강명휘,이수열,정정만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04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LCA2Value^(TM)를 이용하여 제품환경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이루어졌다. LCA2Value^(TM)은 전형적인 LCA 평가 수행에서 벗어나 한 단계 발전한 것으로 4단계를 거쳐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는 제품의 친환경성을 진단하는 제품환경경쟁력 진단, 두 번째 단계는 LCA 수행을 위한 기반 구축, 세 번째 단계는 제품의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제품환경전략 마스터플랜 수립이고 마지막 단계는 환경경영 및 LCA 교육단계이다. 제품을 중심으로 환경전략을 수립하고 적용하여야 경쟁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각 기업에서는 이러한 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고, 제품환경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진단과 향후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LCA2Value^(TM)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LCA2Value^(TM)를 이용하게 되면 기업의 제품환경전략 수립이 용이하고, 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This research tries to suggest a way to set up product-focused environmental strategy using LCA2Value^(TM). LCA2Value^(TM) is an advanced version of the typical LCA. It is structured to produce the result through 4 steps. The first step is to diagnose if the product is environment-friendly. The second step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LCA performance. The third step is to set up a master plan for product-focused environmental strategy to embody the value of product. The last step is the environment management and LCA education. It should set up and apply environment strategy of a product to have competitiveness. So each company should set up this strategy They can use LCA2Value^(TM) to set up product-focused environmental strategy, examine it and have a future plan. Using LCA2Value^(TM) makes it easy for a company to set up product-focused environmental strategy and do the job systematically.

      • KCI등재

        시간 개념을 고려한 전과정평가 방법

        H. Phungrassami,박정건(Jeoung Gun Park),이건모(Kun Mo Lee) 大韓環境工學會 200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29 No.6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는 전과정에 걸친 투입과 산출을 정량화하고,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평가하는 도구이다. 기존 LCA 방법은 시간을 명확하게 고려하지 않는다는 결함이 있다. 또한 정규화(normalization)단계에서도 시간 경계에 관한 문제가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이 고려된 새로운 LCA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LCA 방법론인 ``시간 부하 LCA``는 각각의 전과정단계에서 발생하는 환경 부하를 해당 전과정단계에서 소요되는 시간으로 나누는 것이다. 전과정평가에서 시간 고려를 명확히 함으로써 제품 시스템의 환경 영향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규화 단계의 시간 단위 불일치를 보완할 수 있다. 시간-부하 LCA의 기본 전제는 같은 양의 환경 부하라 하더라도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는 환경부하가 긴 시간 동안 발생하는 환경 영향보다 더 튼 환경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목록 파라미터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때 시간 당 부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Life Cycle Assessment(LCA) is a tool that quantifies the inputs and outputs, and evaluates the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s during the entire life cycle of a product, material and/or service. Inputs and outputs encompass the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emission of pollutants to the environment. One of the deficiencies of the conventional LCA methodology is that it does not consider time explicitly. In addition, there ar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temporal boundary in the normalization step of LC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life cycle assessment method that considers time in LCA as called ``Time Load LCA``. Basically Time Load LCA is a method that divides environmental load in each life cycle stage by time duration in each life cycle stage. Time consideration in the proposed method indicated that the new LCA method not only renders new perspective on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a product system but also rectifies inconsistency in temporal dimension of the normalization step. Basic premise of the time load LCA method is that same amount of load over a shorter time period would affect more seriously on the environment than over a longer time period. therefore, load per time is necessary for the assessment of an impact of the inventory parameters on the environment.

      • KCI등재

        BIM을 활용한 VE/LCC/LCA 평가 모형 개발

        최형래,김현승,강인석,김창학 한국도로학회 2020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22 No.6

        PURPOSES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method for linking VE/LCC/LCA and BIM and to develop a system for BIM-based VE/LCC/ LCA evaluation. METHODS :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we propose bridge hierarchies for sharing and integrating VE/LCC/LCA and BIM information and standard unit price and equipment workloads for LCC and LCA analysis. We further developed a BIM library to visualize various ideas and alternative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proposed system demonstrate that the VE can be systemized and the original draft and alternatives can be visually provided via the BIM library. In addition, the LCC cost can be calculated by the automatic volume calculation of the bridge BIM library and the LCA can be calculated using the materials and equipment (these are BIM attribute information). CONCLUSIONS : The developed method can be more reliable and productive of VE, LCC, and LCA work owing to the partial automation and visualization of the developed system.

      • KCI우수등재

        BIM을 활용한 LCA기반 환경부하평가에 관한 연구 - NATM 터널 사례 중심으로 -

        이양규,한중근,권석현 대한토목학회 201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8 No.3

        To control manage environmental load during construction work, it is required to ascertain an accurate quantity for materials those areusing during the construction. In construction industrial nowadays, especially on design part, there are lots of mistakes occurred onquantity take-off between plan documents and actual work. That mistakes are caused by omission of design items, overcount because of interference each materials or simple calculate error. Besides, in case of a construction project, engineers are impossible to design perfectly due to a lot of invalid variable in a construction site. Thus, design errors and changes occur frequently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work or design due to such unclear elements. And in case of LCA assessment based on 2D design, there is difficult for an engineer who is in charge to calculate the volume of materials manually using drawings and relevant specifications. This study is aimed for examining and verifying a high reliable method of evaluating environmental load which is useful in construction process through comparing LCA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volume of materials and LCA assessment in working on the basis of 2D design, using the specifications which is used for LCA evaluation, and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LCA assessment by introducing BIM design technic to improve the former problem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vious method with 3D-based evaluation process. 건설공사시 발생하는 환경부하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시 실제 투입되는 물량을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현재 건설공사에서는 2D도면을 활용한 설계의 경우에는 실제 설계 도서간 물량산출 값의 오차, 설계항목의 누락이 발생하고 있으며 건설 공사의 경우 불확실한 요소들로 인하여 시공 중에도 빈번히 설계변경 및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2D 설계를 바탕으로 하는 LCA평가의 경우 도면, 내역서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기로 작업공종에 투입되는 자재를 산출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D 설계를 바탕으로한 물량산출과 BIM기반의 물량산출을 바탕으로 LCA 분석을 비교하여 시공과정에서 활용 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환경부하평가 방법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설계도서를 활용한 내역기반의 2D설계의 물량산출 및 LCA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3D 기반의 평가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여 BIM 설계기법 도입에 따른 LCA 평가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환경보고서내 전과정평가 정보 공개 현황

        정수영,임대웅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01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기업 환경보고서가 포함하고 있는 전과정평가(LCA) 정보의 표현 방법과 정보의 수준에 따른 평가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전세계적으로 개발된 대부분의 환경보고서 작성 가이드라인(GRI, UNEP/SustainAbility, DTTI, SAM)들은 환경보고서가 LCA와 관련된 기업의 활동을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가이드라인들은 기업의 LCA 활동정도에 따라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LCA를 수행한 제품의 비율에 따라 평가점수가 결정된다. 따라서 기업들은 이러한 평가기준들을 파악하여 LCA 정보를 공개하여 자신들의 활동을 적절하게 알리고, 적절한 표현 방법에 대해 연구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deal with LCA information's expression method and evaluation standards following on information's degree in the corporate environmental report. the most of environmental report guideline(GRI, UNEP/SustainAbility, DTTI, SAM) indicate that the corporate environmental report include the activity of the enterprise which relates with LCA. Also In accordance with LCA activity degree of the corporate, these guidelines accomplish an evaluation of the corporate environmental report's LCA criteria. In accordance with ratio of the product which generally accomplishes the LCA, the evaluation standard comes to decide. Consequently, corporate need to perceive the evaluation standards and must adequately open the LCA information and study about the expression method.

      •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제품 설계 단계별 전과정 평가 방법론

        정면규(Jeong, Myeon-Gyu),제임스 모리슨(James R. Morrison),서효원(Suh, Hyo-Won) (사)한국CDE학회 2010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0 No.1

        Life Cycle Assessment is systematic methodology for an analysis of environmental load during entire product life cycle and evaluation of potential environmental effects. It can be useful to eco-design and dealing with environmental regulation. However, general LCA process requires a lot of money and times to collect related data and information. Although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streamlined LCA to overcome above limits, they still cannot be applied into early stage of product design. For this reason, existing method are not able to carry out active eco-design from the early design stage. Therefore, we will propose the approximated LCA methodology which can be applicable to early stage of product design and systematic selective-LCA methodology after detail design stage. For an approximated LCA, Environmental Character Evaluation Matrix (ECEM) and Case-based Reasoning system using FBSe expression was developed. This CBR system can be applied to each design stage for referring the LCA result of product or part/module. Also, the concept of relative importance was introduced to select import parts/modules considered in selective LCA. A case study using mobile phone shows the proposed SLCA methodology can be applicable to eco-product design effectively.

      • LCA 를 통한 가전제품 폐기단계의 환경부하 및 주요 환경영향 규명

        박필주,노재성,이건모 한국전과정평가학회 1999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1 No.1

        전과정평가는 원료취득 및 가공, 제품제조, 사용 및 폐기단계에서 발생되는 환경부하를 정량화하고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LCA 결과의 신뢰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제조단계나 사용단계와 마찬가지로 폐기단계도 중요한 공정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여기서는 노동-자본 결합형 재활용 기술을 적용한 폐가전제품 처리방법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재활용공정과 소각공정을 중심으로 국내 상황을 고려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냉장고의 폐기단계 LCA를 수행하여 주요이슈를 규명하였다. 주요이슈 규명은 각 영향범주별 주요이슈 규명과 전체 시스템의 주요이슈 규명의 두가지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수행결과 분해공정, Cabinet foam, 단열재공정이 주요 이슈로 규명되었으며, 냉매제의 대기 방출, PCB 소각 등으로 인한 환경부하가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구온난화, 인간독성(대기), 산성화 등의 영향범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fe Cycle Assessment(LCA) is a procedure evaluating environmental burdens associated with a product, process, or activity from raw material aquisition to disposal. Disposal phase as well as manufacturing or use phase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process in order to evaluate confidence in the LCA resul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pplication of management method involved with manpower-capital conbined recycling technique on home appliances in disposal phase. Database, considered as national specific situation, recycling processes and incineration has been established. Also, we carried out the LCA on a refrigerator in the disposal phase and identified the key issues. Two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key issues were studied, one for impact category and the other for whole system. As a result, Identified key issues are disassembly, cabinet foam, urethane. So are coolant, PCB incineration. These are more than 50% of whole environmental burdens. Also, The value of global warming, human toxicity of air emission, and acidification are high.

      • KCI우수등재

        LCA를 이용한 교량용 포트받침 환경영향 및 물발자국 분석

        박지형,위대형,고광훈,황용우 대한토목학회 201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8 No.6

        In this research, LCA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ot bearing for fixed, movable in all directions, movable in one direction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load using the LCA methodology. Especially, the water footprint that has been and issue in recent year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LCA, it was analyzed that the contribution of the plate was more than 64.2% in all of the six impact categories in the case of fixed pot bearing base, and more than 94% in the category of resource depletion and photochemical oxidant creation. In the case of all direction pot bearing and one direction pot bearing, the contribution of PTFE was the highest in the global warming and stratospheric ozone depletion, and the contribution by the plate was higher in the other impact categories. The water footprint of each type of pot bearing was analyzed as 22.4m3 H2O eq/kg for one direction pot bearing, 17.1m3 H2O eq/kg for fixed pot bearing, and 14.1m3 H2O eq/kg for all direction pot bearing. As a result of life cycle analysis, the contribution of water use inmanufacturing was more than 65% in all three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cision making inconstruction method and material selection of bridges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전과정평가 방법론을 활용하여 고정단, 일방향, 양방향 교량용 포트받침의 제조 공정에 대한 LCA분석을 수행하여 각각의 대한 환경부하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최근 국내외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물발자국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LCA 분석 결과 고정단 포트받침의 경우 6대 영향범주 모두에서 후판에 의한 기여도가 64.2% 이상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자원고갈 및 광화학적산화물생성 영향범주에서는 94%이상의 기여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방향 및 양방향 포트받침의 경우 지구온난화 및 오존층 영향범주에서는 PTFE의 기여도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그 외의 영향범주에서는 후판에 의한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포트받침 1개 제조시 형식별 물 이용가능 발자국 분석결과 일방향 22.4m3 H2O eq/ea, 고정단 17.1m3 H2O eq/ea, 양방향 14.1m3 H2O eq/ea 으로 분석되었다. life cycle 단계별 기여도 분석결과 3가지 유형 모두 제조단계의 용수 사용으로 인한 기여도가 65%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교량 설계 및 시공단계의 공법 및 자재 선택시 의사결정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The Soft LCA overruled by the Prosodic Constraints

        Rhanghyeyun Kim 한국생성문법학회 2009 생성문법연구 Vol.19 No.3

        The most admitted value of Wilder's (1999, 2008) analysis of the RNR constructions within the Multidominance (MD) framework is that the analysis captures 'the right edge condition' of the constructions: All the MD structures violate Kayne's (1994) LCA, and thus the shared element in the first conjunct of the RNR construction must appear in the rightmost position not to violate the asymmetry condition of the LCA. However, there is lots of evidence that shows that the Heavy NP Shift, which is assumed to be responsible for the right edge condition, involves the rightward movement, violating the LCA's ban on the rightward movement. Wilder's analysis is thus in a dilemma - either to violate the ban on the rightward movement or to violate the asymmetry condition. In this paper, I propose that Wilder's dilemma can be solved along the line of López's (2009) proposal based on clitic right-dislocation in the Romance languages that the LCA is a soft constraint and can be overruled by prosodic constra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