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의 장거리미사일 개발과 한국의 대응

        김강녕 ( Kang-nyeong Kim ) 미래군사학회 2016 한국군사학논총 Vol.5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s long-range ballistic missiles and ROK``s countermeasures.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the concept of long-range ballistic missile and differences with space rocket, the current situation, intension, and capability of North Korea``s long-range ballistic missiles development, ROK``s countermeasures, and conclusion. North Korea has continuously developed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s etc. North Korea continues to pose a serious threat to the ROK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developing WMD such as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s. North Korea test-launched a Taepodong-1 missile in 1998 and Taepodong-2 in 2006. It is estimated that North Korea has the ability to threaten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with its missiles as shown with six launches of long-range missiles, including the ones in 2009, in April and December 2012. and in February 2014. Despite chronic economic crisis and food shortage, North Korea is relentlessly pursuing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while maintaining adversarial strategy towards the ROK. North Korea``s military have pursued national unification by use of armed forces as their top policy priority since North and South division. The Intension of North Korea``s long-range ballistic missiles development is not to go to nuclear war against the USA but eventually to pursue national unification under communism by use of armed forces. For over 60 years, the ROK-U.S. Alliance has been a firm foundation and driving force for the ROK to achieve a liberal democracy and economic prosperity in the face of persistent North Korean threats and provocations. The ROK military effectively should deter the use of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by North Korea based on the ROK-U.S.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TDS), and prepare against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threats by developing the Kill Chain and Korea Air and Missile Defense (KAMD) system stage by stage. The our government``s countermeasures on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s must include diplomatic and military means. The ROK and the United States should reinforce their collective defense endeavors and cope jointly with transnational security threats such as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s etc.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ROK -U.S. Mutual Defense Treaty, thereby contributing to world peace and stability

      • KCI등재

        문재인 정부의 국방·군사정책의 방향과 과제

        김강녕 한국통일전략학회 2017 통일전략 Vol.17 No.3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rection and tasks of Moon Jae-in’s administration's defense-military policy toward North Korea.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6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the security threat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North Korea; the development of defense and military policies in South Korea; the direction of defense and military policies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 future tasks of defense and military reforms of the administration; and conclusion. After the inauguration of Moon Jae-in, one of the five goals of governance is "Korean peninsula of peace and prosperity." The key tasks in the security, diplomacy and unification fields of the government are ‘self-defense’ and ‘inter-Korean reconciliation cooperation.’ The defense policy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is a strategy for ‘strong security and responsible defense’ in short, based on ‘self-defense.’ The three major tasks of the defense sector of the new administration are to push for ①fostering strong military, ②transformatio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nd ③eradicating defense industry corruption. etc.. While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s on the rise, interest in the defense reform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s gathering. To be successful in the defense reform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 following tasks should be complemented: ①establishment of principles and priorities; ② harmonization of self-defense and the ROK-US alliance; and ③strengthening of low-cost and high-efficiency defense forces, and strengthening jointness between ground forces, navies and air forces. The importance of strong security, thorough crisis management and a strong US-ROK alliance that does not tolerate any military provocation of North Korea can not be overstated. In the future,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n early Korean-style three-axis system that can deter and emasculate North Korea's nuclear attack, and reinforce the ROK-US combined defense posture, Based on clos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trategic approach with neighboring countries, we must continue to strive for the complete aboli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armament and further the democratization of North Korea. 본 논문은 문재인 정부의 국방·군사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변국과 북한의 안보위협, 한국의 국방·군사정책의 전개, 문재인 정부의 국방·군사정책의 방향, 문재인 정부의 국방·군사개혁의 향후과제를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문대통령 취임 후 5대 국정목표 중 하나로 제시한 것이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이다. 문재인 정부의 안보·외교·통일분야의 핵심과제는 ‘자주국방’과 ‘남북화해협력’이다. 문재인 정부의 국방정책은 ‘자주국방’ 기조가 뚜렷하며, ‘강한 안보와 책임국방’을 위한 전략이 핵심이다. 문재인 정부의 국방분야 3대과제는 ①강군육성, ②전작권 전환, ③방산비리 척결로 요약된다. 가중되는 북핵위기 속에서 문재인 정부의 국방개혁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성공적 국방개혁이 되기 위해서는 ①원칙․우선순위의 설정, ②자주국방과 한미동맹의 조화, ③‘저비용 고효율’ 국방력 건설과 군간 합동성의 강화 등이 보완되어야 한다. 북한의 어떤 군사도발도 용납하지 않는 강한 안보, 철저한 위기관리와 굳건한 한미동맹이 중요한 과제이다. 향후 우리정부는 북한핵을 억제·무력화시킬 수 있는 ‘한국형 3축체계’의 조기구축과 한미연합방위태세 보강은 물론, 주변국과의 긴밀한 국제공조와 전략적 접근을 바탕으로 북핵의 완전한 폐기, 더 나아가 북한의 민주화를 향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국 미사일방어(MD) 체계가 한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

        최종철 ( Jong Chul Choi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4 국방연구 Vol.47 No.2

        미국의 세계 정치-군사 전략의 중심적 수단으로서 2001년 5월 선언된 미국의 미사일 방어 (Missile Defense: MD)체계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미사일 방어체계는 새로운 전략의 틀-억지력이 공격 무기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공격 및 방어 무기가 결합하는 전략구조-의 형성이자 21세기 새로운 전략문화를 생성케 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미국 미사일방어체계에 대한 동북아 지역 국가들의 참여와 그에 따른 동북아 정세 변화는 한국 안보전략의 심각한 재검토를 요구한다. 본 연구는 향후 10년 동안 단계적으로 구축될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 특히 동북아 전역 미사일방어체계가 한국의 안보와 안보환경에 직간접으로 미칠 영향을 탐구하고 대응책을 모색하는데 목적으로 두고 있다. 한국의 대응전략은 MD 관련 기술개발 등 간접적인 참여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한국의 독자적 미사일방어체계를 개발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the US Missile Defense(MD) systems as a major instrument of its political and military strategies. It is largely due to the fact that the MD is both a newly emerging frame of US global strategy and probably serves as a vanguard of creating a new strategic culture. The introduction of US MD system into Northeast Asian region,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of Japan, Korea and Taiwan, and its Impact on the regional security situation would demand a fresh review of Korea`s security strategy. The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the MD on the security policy of Korea and its strategic response to it. A strategy of Korea to be sought for a longer period would be to make an indirect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and deployment of the MD and ultimately establish a Korean Missile Defense system of its own.

      • KCI등재

        극초음속활강체의 특성과 군사적 함의: 한반도 내에서 활용될 경우를 중심으로

        조홍일 한국국방연구원 2022 국방정책연구 Vol.38 No.2

        In this study, a computational model of trajectory of hypersonic glide vehicle(HGV) is presented. Using the model, performance of short range HGV applicable to korean theater of operation is analyz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hort range HGV could break or evade anti-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 due to its maneuverability and low gliding altitude. However, HGV is not utterly immune to intercept because its speed is comparable with ballistic missiles. Characteristics of short-range HGV and North Korea’s traditional strategies on ballistic missiles imply that North Korea could exploit HGV to threat or attack Republic of Korea in the future. To build response capabilities against HGV threat, Republic of Korea needs to enhance its WMD Response System capabilities such as space-based missile detection. 본 논문은 한반도 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단거리 극초음속활강체의 다양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북한 극초음속활강체의 개발의도 및 활용전략을 고찰하고 우리군의 대응개념과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단거리 극초음속활강체는 낮은 활강고도 및 기동성으로 미사일대응체계를 돌파·회피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속력적 측면에서 대응이 원천적으로 제한되는 수준은 아닐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군은 4D전략을 근간으로 우주기반 미사일감시능력을 확보하는 등 핵·WMD대응체계의 능력을 확충하여 극초음속활강체 위협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드”문제와 한중관계의 구조적 문제점

        왕샤오커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7 북한학연구 Vol.13 No.2

        Looking back o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the “THAAD” issue, we can see that South Korea’s decision to deploy THAAD not only because of North Korea’s missile threat and the United States’ strong pressure but also its disappointment and counterbalance to China.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lie in the fact that South Korea believes that THAAD can protect the national security and safeguard the interests of the ROK-U.S. alliance. China believes that THAAD is not a necessity for South Korean national security but weakens China’s strategic deterrence capability. More importantly, China believes that South Korea chose to support the United States in the Sino-American competition and opened the door for the United States to deploy missile defense system in its East Asian allies. This disagreement reflects the inevitable contradic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under the two structural constraints of “Sino-U.S. competition” and “ROK-U.S. alliance.” Under such structural constraints and the interference of North Korea’s nuclear test, It is difficult for both countries to reach a consensus on the “THAAD” issue at the policy level. In response, China and South Korea should redirect their bilateral relations, reduce their expectations of each other, strengthen control over conflicts and differences, and seek for the gradual development of bilateral relations on the basis of their existing common interests. 사드문제가 발생한 과정에서 살펴보면, 한국이 사드배치를 결정한 원인은 단순히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미국의 강한 압박 때문만이 아니라 중국에 대한 실망, 중국과 상호 견제하여 균형을 꾀하려는 이유 때문이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은 사드가 한국의 안보와 한미동맹유지에 이익이 된다고 인식하고, 중국은 사드가 한국안보의 필수품이 아니며, 중국의 전략적 위협능력을 떨어뜨린다고 생각한다. 이렇듯 양측의 상반된 인식차이로 인해 갈등이 생겨났다. 더 중요한 점은, 중국은 한국이 중미관계에서 미국을 선택했으며, 미국이 동아시아동맹국과 미사일방어체제를 구축하는 포문을 열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한중양국이 중미경쟁과 한미동맹 두개의 구조적 제약에서 구조적으로 일어나는 필연적 모순을 나타내며, 이러한 구조적 한계와 북한 핵실험 등 원인으로 사드문제는 정책적 측면에서 합의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에 대해 한중 양국은 양국관계를 재정비하고, 견제의 모순과 갈등을 줄이고, 공동이익 기반의 관계를 발전시켜나가도록 노력해야 한다.

      • KCI등재

        북한 핵실험 및 미사일 도발에 대한 한국군의 대응 방향

        김민호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2

        북한은 6.25 전쟁 이후 핵무기 개발을 시도하여 여섯 차례의 핵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김정은 정권에서는 네 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2018년 핵 무력 국가를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또한, 핵무기 투발 수단인 미사일 성능은 미국 본토까지 위협할 수 있는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 하였으며, 2022년에도 현재까지 11차례의 미사일 도발을 자행하였다. 하지만 북한의 핵 위협 및 미사일 도발에 대한 한국의 억제 및 대응전략은 지나치게 수세적이며 희망적 사고에 젖어 있다. 따라서 북핵 위협에 거부적 억제를 위한 군사적 측면에서의 ‘Soft-kill 개념’과 명백한 핵 도발 징후 임박 시에는 자위권 차원의 선제타격을 할 수 있는 ‘Hard-kill 개념’을 동시에 적용하여 상호 보완하는 대응능력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북한의 핵무기 사용 억제를 위해 한반도에 전술핵무기 재배치를 신중히 검토해야한다. 그럼에도 북한이 핵미사일을 발사한다면 목표물에 도달하기 전에 종말단계에서 상층-중층-하층 방어가 가능한 다중요격체계의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