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양과 수원화성을 통해 본 조선시대 전·후기 풍수학에서의 主山과 明堂論에 관한 연구

        강우석 한국동방학회 2010 동방논집 Vol.3 No.1

        본 논문은 풍수이론 중에서 크게 논란이 되었던 主山 문제와 明堂 부분에 대하여 수원화성의 입지와 한양의 입지를 상호 비교하여 조선시대 전기(14~5세기)와 후기(18세기)의 풍수에 대한 접근방식에 대한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주산과 관련된 법칙이나 명당에 대한 법칙에 대한 고전의 해석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산과 관련하여 도읍에서도 주산의 역량이 크게 중요하며, 한양에서 白岳山을 주산으로 하는 것보다 인왕산을 주산으로 하는 것이 異論이 있으나 풍수지리적인 측면에서 볼 때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수원화성의 주산인 팔달산 은 주산으로서의 역량이 크다는 점에 대해서는 異論이 없으나 행궁터가 주산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지 않고 한 쪽 면으로 치우치고 있는 것은 龍의 餘氣가 만들어 놓은 숙지산이 뒷받침되어 문제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명당론과 관련하여 경복궁터를 승문원터로 옮겨야 한다는 논쟁에 대해서도 주산과 관련된 부분이 강조된 것으로 도읍에서는 명당 이 넓어야 되고 물이 環抱될 수 있어야 된다는 점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수원화성의 경우 주산이 높기 때문에 주산 아래를 명당으로 선정하는 경우 현재 행궁터보다 앞으로 많이 나와야 되는데 이럴 경우 앞에 흐르는 柳川을 만나게 되므로 명당을 넓게 사용하면서도 주산의 기를 받을 수 있도록 숙지산 뒤를 보호산으로 삼아 행궁터를 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하여 볼 때 수원화성터는 풍수지리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합당한 조건을 갖춘 吉地로 판단된다. 이로 미루어 보면, 조선 전기 때보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는 풍수지리에 대한 이해가 깊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풍수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풍수지리학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조선시대 읍치의 진산과 주산

        권선정(Seonjeong Kw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2

        본고에서는 현재 대전·충남 지역에 해당하는 조선시대 37개 군·현의 읍치를 사례로 지리지, 고지도, 현지답사 등을 병행하는 경험적 연구를 통해 鎭山과 主山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요한 읍치경관 중 하나인 진산·주산이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지 또 그것이 어떤 의미로 구성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부분 군·현 단위에서 진산과 주산은 따로 구분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진산과 주산이 서로 다른 산세를 지칭할 것이라고 전제하는 입장은 재고될 필요가 있으며, 오히려 동일한 산세를 두고도 진산 또는 주산이라는 상이한 개념으로 구분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관심 가질 필요가 있다. 고을의 수호신으로서 진산은 자연숭배신앙과 고려시대 국가적 차원의 비보풍수적 관점이, 그리고 근원의 상징물이자 자연-인간 간 매개체로서 주산은 조선 후기 일상화되는 명당풍수적 입장이 주요하게 반영된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따라서 풍수와의 관련성 여부를 가지고 진산과 주산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기보다는 그동안 전통적 공간인식체계로 이해되어 온 풍수가 진산과 주산 양 개념에 모두 관련되어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bout the meaningful mountains called Jinsan (a guardian mountain) and Jusan (a main mountain), located in the back of most Korean traditional villages and cities. For that time, these two mountains have been regarded as the same or the different things. First, I examined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Jinsan and Jusan of Eupchi (county seat) through the experiential investigations on the geographical archives and old maps, keeping pace with field surveys on Daejeon and Chungnam regions in the Joseon Dynasty. I identified that these two mountains are almost the same. So I propose to discriminate these two mountains from the viewpoint of the meanings rather than the geographical situations. Second, I tried to explore the meanings of Jinsan and Jusan, focusing on the relation between the real and the linguistic from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Jinsan had been normalized as the guardian of p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ombined with the national bibo fengshui of the Goryeo Dynasty. Jusan began to be shared culturally as the symbol of the origin of place and human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becoming popular of myeongdang fenshui. All these two mountains need to be considered the peculiar concepts of the mountains reflecting fengshui as the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from now on.

      • KCI등재

        풍수 진산·주산의 정상화와 타자화

        권선정(Seonjeong Kw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2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전국 8도에 속하는 총 335개 군·현 읍치를 대상으로 지역별, 시기별로 진산, 주산 상황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전통적 공간인식체계인 풍수의 차이와 관련된 진산, 주산 개념의 정상화와 타자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조선 전기부터 중기까지는 진산 개념이, 그리고 조선후기에는 주요한 산 개념으로 주산이 기존의 진산과 혼재돼 있거나 주산이 주종을 이루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 경향을 정상화, 타자화 과정과 관련해 살펴보면 조선 전기에서 중기까지는 고려시대 ‘국가적 차원의 비보풍수’와 관련된 진산 관념이 정상적 위치를 유지했고 조선후기에는 조선 전기 국도나 왕릉 또는 중앙 권력층이나 지식엘리트들에 한정돼 있던 ‘명당풍수’가 정상화 과정을 통해 대중적, 지역적으로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조선 후기 접어들면서 주산 개념으로 대변되는 명당풍수가 진산 개념 그리고 기존의 국가적 차원의 비보풍수를 대체하는 정상화 과정이 수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huiwhich has been understood as a Korean traditional geographical thought, each villages and cities had been located under the holy back-mountains called ‘Jinsan’(guardian mountain) or ‘Jusan’(main mountain). On this paper, I try to explore the more general inclinations of the changes of ‘Jinsan’ or ‘Jusan’ in the eight provinces of Joseon Dynasty. Consequently, I could identify that almost all of regions in eight provinces showed the similar inclination that ‘Jinsan’ concept was prevalent from the beginning to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nd ‘Jusan’ came to be very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 think that this kind of change from ‘Jinsan’ to ‘Jusan’ would be caused by the normalization of ‘Jusan’ concept in the late Joseon Dynasty. Originally ‘Jinsan’ concept was related to ‘Bibofengshui’ of the previous Dynasty Goryeo and the traditional folk beliefs to the holy mountains. And ‘Jusan’ was the very representative concept of Myeongdangfengshui which had been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change from ‘Jinsan’ to ‘Jusan’, I think, means that Myeongdangfengshui would replace the previous ‘Bibofengshui’ or traditional folk beliefs and its process might be related to the normalization of Myeongdangfengshui or ‘Jusan’ concept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도서지역 민속신앙 비교 연구

        이경엽(Lee Kyung-Yeop) 비교민속학회 2008 비교민속학 Vol.0 No.35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universalit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islets area through the comparison of folklore belief. We attempt to examine in detai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wo regions by contrasting the transmission contexts and ecological transmission foundation, rather than primarily focusing on local similarities. In addition, on the basis of objective comparison we als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folklore belief Jusan Archipelago and Southwestern region have similar history in terms of residents' settlement. Shrines in Jusan Archipelago are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settlement and immigration of population to the region which became regularized in 18th century. In the Southwestern region, immigration of people which began in the vicinity of 17th century is reflected on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Dangje”, a town ritual to wish for good health, prosperity, and well-fare of the town. Looking at the ritual calendar, it is significant that we can find folklore belief all concentrated in a specific time in both of the two regions. Folklore belief is concentrated at the end of December in Jusan Archipelago and Southwestern region from the 31st of December to 1st of January in the lunar calendar. In Korea, there are distinctive ceremonies of islets and there is a ritual calendar which is distinctive from that of the mainland. In China, there also is a distinctive islet ceremony which is similar to ‘boat sacrifice’ of ours. Jusan Archipelago and Southwestern region identify the natural time with the ritual time. This can be due to the faact that the similar conception of fisher whose livelihood depended on sea is reflected on rituals. In case of Southwester region, ritual time adheres more closely to ecological time, and this is the result of the differences in ecological environment such as the difference of the flux and reflux and the development of foreshore fishery that are reflected in more detail on the folklore belief of the region. There are a lot of similar yet different aspects in terms of oceanic belief. In case of “Dangje”, in Southwestern region, there are structured rituals in which supplications are made. The purposes for rituals become more explicit in case of ‘big catch ritual’, ‘the Sea God ritual’, and ‘Gatje’, a ritual to wish for big catch and safety. While Chinese rituals are faith that are space-centered, Korean rituals express the wishes in oceanic belief in a more colorful way through the structuralization and ramification of ceremonies. The characteristics of folklore belief in Korean islets regions are the continuity of religion traditions, community-oriented, festivity, diversification of ceremonies, and the meaningfulness of ecological environment. In town faith of Korean Southwester region is the Dangsan faith firmly on the foundatio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unique religion tradition. There are many kinds of ceremonies and actual field-like situation settings and performance are noticeable. There are many kinds of ceremonies in units of individual and community and these ceremonies are performed in “Dang”, towns, seashores, and fisheries, bringing out more actuality and festive vitality.

      • KCI등재

        부안 주산면의 형성과 마을 지명의 변화 검토

        김병남 ( Kim Byung-nam ) 호남사학회 2024 역사학연구 Vol.93 No.-

        본 글은 부안 지역의 기초 마을 지명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통 마을 지명은 『호구총수』(1789), 「1872년 지방지도」,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과 『신구대조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1917)을 연결하여 파악한다. 그러나 부안 지역은 『호구총수』와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의 내용을 연결하여 지명 연원을 파악하는 실정이다. 이렇게 된 데에는 부안의 「1872년 지방지도」가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마을의 유래와 연원에 부정확한 추측과 오류가 일부 발생하였다. 그런데 최근에 『홍재일기』(1866~1911)가 발견됨으로써 많은 지명 기록을 확보함으로서 그 동안의 오류나 오해를 바로잡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 중의 주산면 관련 지명 기록을 살펴서 지역사의 복원에 일조를 하고자 한다. 지명의 변화는 일제 강점기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제 강점기에 명명되거나 개명된 지명이라는 일방적인 비판과 오해를 불식시키고, 부안 지명의 고유한 전통성을 재발견하는 방향으로 시각을 확대해야 한다. 비록 여타 지방자치단체에 비해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부안군의 역사·문화적 지향도 郡誌 편찬 단계를 벗어나 面誌 발간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이럴 경우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각 면의 기초 마을에 대한 연원과 유래를 파악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names of basic villages in the Buan region. Typically, the name of a traditional village is identified by linking the 『hoguchongsu』(1789), 「the 1872 Local Map」, 『Catalogue of Administrative Names of Korean Empire』(1912) and 『Catalogue of New and Ancient Village Nam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1917). However, in the Buan area,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is identified by linking the contents of the 『hoguchongsu』 and 『Catalogue of Administrative Names of Korean Empire』. This is because there is no 「1872 local map」 of Buan. As a result, some inaccurate guesses and errors occurred regarding the origin and origin of the village. However, the recent discovery of 『HongjaeIlgi』(1866-1911)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rrect previous errors and misunderstandings by securing many records of place names. Among them, we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local history by examining the records of place names related to Jusan-myeon. Changes in place names continued even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fore, we must dispel the one-sided criticism and misunderstanding that the place names were named or renam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expand our perspective to rediscover the unique tradition of Buan place names. Although it is a bit late compared to other local governments, Buan-gun’s historical and cultural orientation also appears to be moving away from the stage of publishing county history and shifting to publishing history of towns and villages. In this case, the most important part is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origin of each town’s basic village.

      • KCI등재

        『홍재일기』를 통해 본 마을 지명의 양상 – 부안 주산면을 중심으로 –

        김병남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2024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Vol.7 No.1

        본 연구는 『홍재일기』(1966~1911)에 실려 있는 부안 지역의 마을 지명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살펴보려는 목적이다. 기초 마을에 대한 이해는 지명의 원형 추적과 함께 어떤 과정을 거쳐 변화하였는가를 알아보는 것에서 시작된다. 우리가 알고 있는 기초 지명은 조선 시기의 『호구총수』(1789)와 「1872년 지방지도」의 내용에 의지하는 경향이 있다. 여기에 더하여 일제시기의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과 『신구대조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1917)을 연결하면 좀 더 선명함을 얻게 된다. 그런데 부안 지역은 「1872년 지방지도」가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지명 추적이 『호구총수』와 함께 일제 시기의 자료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것은 부안 지역의 마을 유래를 부정확하게 인식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다행히 최근에 『홍재일기』가 발견됨으로써 지명 유래를 파악하는데 적지 않은 도움을 받게 되었다. 『홍재일기』는 부안 홍해 마을에 거주하던 奇幸鉉이 45년간의 일상과 見聞을 기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인물의 정보와 함께 다수의 기초 지명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1,512명의 이름과 함께나타나는 지명은 마을사를 파악하는 시금석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안의 기초 지명 연구를 위해 『홍재일기』 속의 관련 지명을 살펴서 현재의 주산면에 대한 변화 상황을 파악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village name in the Buan area contained in the 『Hongjaeilgi』(1966-1911). The understanding of the basic village begins with tracing the original place names and finding out what process has changed. The basic place names we know tend to rely on the contents of 『Hoguchongsu』(1789) and 「Local Map of 1872」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more clarity can be obtained by linking 『Catalogue of Administrative Names of Korean Empire』(1912) and 『 Catalogue of New and Ancient Village Nam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1917)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the Buan area does not have a 「Local Map of 1872」. Therefore, tracing place names has no choice but to rely on the 『Hoguchongsu』 and data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inaccurately recognize the origin of villages in Buan. Fortunately, the recent discovery of 『Hongjaeilgi』 has provided considerable help in understanding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Hongjaeilgi』 is a record of 45 years of daily life and experiences by Ki Haeng-hyeon, who lived in Honghae Village in Buan.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heck a number of basic place names along with person information. Place names that appear along with the names of 1,512 people are a touchstone for understanding village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evant place names in the 『Hongjaeilgi』 for the study of the basic place names of Buan and helps to understand the current changes in Jusan-myeon.

      • KCI등재

        역사문화 경관 및 장소를 통한 지역역사지리의 구성 - 충남 부여군을 사례로 -

        권선정(Seonjeong Kw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2

        지역지리(regional geography)는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지리학의 오랜 전통으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자연ㆍ인문현상이나 그들 사이의 관계를 함께 관심 갖는 분야이다. 본고에서는 현재 수행되고 있는 지역지리의 구성을 비판적으로 고민하면서 지역의 차이나는 모습 즉 지역민이나 외부인 들에게 해당 지역의 생김새를 어느 정도 그려볼 수 있게 하는 실제적인 지역 지리의 구성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지역이 경험해 온 역사적 변천에 대한 관심인데, 이는 현재적 시점 중심의 지역지리 구성에 대해 시간 요소를 접목시키는 역사지리적(historical geography) 접근을 말한다. 다음으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특징적인 경관이나 장소에 대한 관심인데,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파편 중에서 지역의 차이나는 모양새 소위 지역정체성 (지역성) 구성을 위한 ‘역사문화 경관이나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지리 구성이다. 여기서 ‘역사문화 경관 및 장소’는 역사적 사건이 관련되어 있거나 지역민에게 의미 있는 경험대상으로 유지돼 온 물질적, 언표적 공간텍스트로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파편 조각들 즉 수많은 시간 지층을 머금고 있는 역사지리적 접근대상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관심과 관련해 구성되는 지역지리를 본고에서는 지역역사 지리(regional historical geography)로 규정하고, 충청남도 부여군을 사례로 지역의 전통적 모습이나 주요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시간단면 상의 지리적 재현물 즉 ‘역사문화 경관이나 장소’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사례 지역인 충남 부여군은 흔히 ‘백제의 고도(古都)’, ‘백제문화 권’으로 알려져 있고 지역민이나 지자체에서도 백제 또는 백제시대를 빼놓고 부여를 생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정도이다. 이러한 현재적 입장에서의 부여 지역의 장소 의미 구성은 부여군 소재 대표적인 역사문화 경관으로서 국가지정문화재를 비롯한 국가등록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도문화재자료, 향토유적 등의 시기별, 지역별 분포 상황을 통해 충분히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의 부여군은 ‘백제의 고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현재의 부여읍 일대를 포함한 부여현(扶餘縣)만이 아닌 석성현(石城縣), 홍산현 (鴻山縣), 임천군(林川郡) 등 조선시대 네 개 군ㆍ현이 함께 유지되어 온 지역이다. 이에 ‘백제의 고도’로서 부여의 장소정체성과 관련된 역사문화 경관 외에 조선시대 부여 지역 각 군ㆍ현의 행정중심지였던 읍치(邑治)에 주목하여 부여 지역의 전통 중심지 및 공간구성, 길 체계 그리고 근대 이후 국토공 간의 재편 과정에서 경험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함께 탐색해 보았다. 특히 전통도시 읍치가 갖는 역사적 장소성과 관련해 읍치 진산과 주산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Regional geography is a long tradition of modern geography that has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 region. It is an approach that has studied both natural and human phenomena of the reg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m. In this paper, while critically considering the current regional geography, I tried to propose an different approach of constructing regional geography which is able to draw a picture of the regional difference, regional approximate appearance to the regional people or outsiders. The first is the interest in the historical transition that the region has experienced, which refers to a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hat incorporates the time factor into the geograph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time. The next is the interest in the characteristic landscape or place that constitutes the region. They may be a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and place that could construct the regional identities and localities. Her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nd places are spatial fragments that constitute the region as material and linguistic texts that have been associated with historical events or have been meaningful experiences for regional people. Such landscapes and places are the meaningful objects of historical geography for constructing regional geography. In this paper, I d like to defin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as an approach with regard to these problematic considerations. And then I tried to construct th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of Buyeo County, Chungnam Province through the geographical representations,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nd places , on the cross-section of time which can identify the traditional appearances and major historical changes of the region. Buyeo County is often known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or Baekje cultural area . It is almost impossible for regional people and local governments to think about Buyeo County without Baekje Kingdom or Baekje era. In this present position, it could be possible enough to construct the regional identity of Buyeo County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or Baekje cultural area through some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in Buyeo County such as the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and the regional remains, etc. However, we should not forget that the current Buyeo County includes the current Buyeo-eup area directly related to Baekje, but also other prefectures such as Seokseong-hyeon, Hongsan-hyeon, Imcheon-gun in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it is an area where four counties and prefectures have been kept together for a long time. So, in addition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related to the regional identity of Baekje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 I had to focus on Eupchi which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and the regional transportation node of each county and prefecture in the Joseon Dynasty. I think that Eupchi could be a clue and passage to explore the traditional appearances and the historical process of region. It shows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region experienced in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the traditional center and space composition, the road system, etc. In particular, I have also paid attention to Jusan and Jusan of fengshui, the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in connection with the historical place mean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city Eupchi.

      • 전통도시 읍치(邑治)를 통해 본 지역역사지리의 구성

        권선정(Seon jeong Kw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1

        In the space where the concrete trajectory of human life is merged, the various events and meanings, the material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constructed in history are thickly piled up. This is why the time factor can not be ruled out in the geographical approach as the main research element.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s th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of Yesan County in Chungnam Province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through the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geographical representations and texts on the cross-section of time. Here,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is based on the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linguistic and material spatial texts related to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place names, maps (old map and modern map), regional geographies, landscapes and places. This is a way of integrating time and space factors to explore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in the region and the composition of regional identity. This study focuses not on the way of developing the argument based on a specific research theme but on the preparation of a case study of regional geography that reflects various time strata compressed in the region.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ore the traditional appearance of the pre-modern region and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region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national territory after the modern period, centering on the Korean traditional city Eupchi . This is because the city is the main place that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terms of population and functions, and it is the central indicator space that measures regional change.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in recent years, various local governments throughout the country have been paying attention to basic research and restoration of traditional city Eupchi in relation to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region, the composition of place identity, and the secur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erms of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 examined concretely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conditions and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Yesan, Deoksan and Daeheung Eupchi in the Joseon Dynasty, the changes of traditional transportation system, and Jinsan , Jusan of Eupchi related to the traditional geographical perceptions for constructing the regional identity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of the region. In this study, I identified tha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various literatures related to the regional geography, place names, and the old map and to observe various cultural historical landscapes and places, which are very limited. 인간의 구체적 삶의 궤적이 녹아 있는 공간에는 역사상 전개되어 온 다양한 사건 및 의미 그리고 물질적인 역사문화경관들이 촘촘히 충전되어 있다. 공간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는 지리학적 접근에서 시간 요소를 배제할 수 없는 이유이다. 이와 관련해 본고에서는 충청남도 예산군을 사례로 지역의 전통적 모습이나 주요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시간단면 상의 지리적 재현물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통해 현재적 입장에서 예산 지역의 지역역사지리(regional historical geography)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지역역사지리의 구성은 지역의 자연환경 및 행정구역, 지명, 지도(고지도, 근·현대지도), 지리지, 경관, 장소 등 제반 지역관련 언표적, 물질적 공간텍스트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통해 현재적 입장에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 및 지역정체성 구성에 관심 갖는 공간과 시간이 통합된 지역연구의 한 방편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특정한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논지를 전개하는 방식이 아닌, 지역에 압축되어 있는 다양한 시간 층위를 반영한 지역지리 구성의 한 연구 사례를 마련하는 것에 관심을 두었다. 이에 근대 이전 지방 행정의 중심지이자 교통의 결절지로서 현재의 도시 기능을 담당했던 ‘전통도시’ 읍치를 중심으로 근대 이전 지역의 전통적 모습 그리고 근대 이후 국토공간의 재편 과정에서 경험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 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예나 지금이나 도시는 인구 및 여러 기능 측면에서 지역의 특성을 형성하는 주요한 장소이자 지역 변화를 가늠케 하는 중심적인 지표공간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전국의 여러 지자체에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 및 장소정체성 구성 그리고 역사문화적 자원 확보 등과 관련해 전통도시 읍치에 대한 기초조사와 복원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연구목적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예산 일대의 지리적 환경조건 및 행정구역의 역사적 변화, 현 예산 관내에서 유지돼 온 조선시대 예산·덕산·대흥 읍치의 공간구성상 특징과 이들 읍치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 교통체계 및 변화, 그리고 지역정체성 구성과 관련해 주목되는 역사문화적 자원으로서 읍치의 진산·주산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업 수행과 관련해 근대 이전 제작된 지리지와 고지도, 지명지 등의 문헌조사 그리고 극히 제한되기는 하지만 다양한 문화역사 경관 및 장소에 대한 현장답사가 지역역사지리 구성을 위해 병행되어야 하는 필수 작업임을 경험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풍수를 통해 본 읍치(邑治) 사직단의 입지와 배치 : 부평 사직단을 매개로

        권선정(Seonjeong Kw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1 기전문화연구 Vol.42 No.2

        본고에서는 전통지리 풍수의 관점에서 조선시대 읍치 사직단의 입지 및 배치관계 그리고 그것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지역의 행정중심지였던 군ㆍ현 읍치의 공간구성을 보면 동헌ㆍ객사와 같은 행정시설과 사직단을 포함한 문묘(향교)ㆍ성황사(단)ㆍ여단(여제단) 등의 제의시설은 그것의 실제적, 상징적 기능 외에 읍치를 풍수 명당 국면으로 구성하는 역할을 하였다. 읍치의 공간구성에서 사직단의 입지적 특성 및 의미는 여타의 읍치경관과의 ‘공간적 배치’ 즉 공간관계 속에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사직단은문묘가 배향된 향교와 보통 좌묘우사(左廟右社) 원리에 의해 배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조선후기 고지도를 중심으로 전국 333개 군ㆍ 현 읍치의 행정 및 제의시설의 배치관계를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읍치의 배후산세인 주산으로부터 동헌으로 이어지는 읍치공간의 중심축을 기준 방향으로 하였을 때 문묘(향교)와 사직단은 『1872년 지방지도』 상 확인이 가능한전체 253개 사례 중 209개(83%)에서 좌묘우사의 배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직단과 문묘(향교)를 비롯한 이들 제의시설의 입지는 읍치를 풍수 상 중심적 장소 소위 명당 국면으로 경계 짓는 사신사(四神砂) 자락에 주로 자리하고 있었다. 따라서 사직단을 포함한 제의시설들의 입지는 자연적경계로서 사신사와 함께 풍수 명당국면으로서 읍치공간을 외부세계와 구분짓는 인위적 경계로서 역할 하였다고 할 수 있다. Sajikdan was one of the major ritual facilities that constituted the capital Hanyang and the regional administrative center Eupchi in th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ore the location and assemblage of the Sajikdan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hui as the Korean traditional geographical thought. If you look at the spatial composition of Eupchi in the Joseon Dynasty, administrative facilities such as Dongheon and Gaeksa and ritual facilities such as Hyanggyo(Munmyo), Seonghwangsa(dan), and Yeodan including Sajikdan played important roles in composing Eupchi as a good place( myeongdang ) of fengshui, in addition to the practical and symbolic functions.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Eupchi,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Sajikdan can be constructed through the spatial assemblages with other Eupchi landscapes. In particular, it has been known that the Sajikdan was arranged according to the particular relationship with Hyanggyo called jwamyowoosa . In this regard, I tried to summarize the spatial relationship of administrative facilities(Dongheon, Gaeksa) and ritual facilities(hyanggyomunmyo, Sajikdan, Seonghwangsa, and Yeodan) based on the old map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based on the central axi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upchi space from Jusan(main mountain) behind Eupchi to Dongheon, a common assemblage between Hyanggyo and Sajikdan was found in 209 (83%) of 253 cases that can be confirmed in 『Local Map of 1872』. In addition, the locations of these ritual facilities, including Sajikdan and Hyanggyo, were mainly located at the foot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called Sasinsa that bordered Eupchi as the central place of fengshui.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location of the ritual facilities including Sajikdan served as an artificial boundary that separates the Eupchi space from the outside world as a natural boundary with Sasins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