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日帝時代 京觀變化와 風水談論

        권선정(Seonjeong Kw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3 문화 역사 지리 Vol.15 No.3

        This paper is an interpretive approach of spatial the colonial andscape constructed on the various spatial scales(capital, city, town, village, and even physical environment, etc.)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m i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We can identify that such landscape as a signifying system has something to do with fengshui as a spatial discourse. So, I try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fengshui discourse and some kinds of meaning of the colonial landscape. For these goals, above all, I have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sis for interpreting landscape and retheorizing fengshui which has been treated the Korean traditional location as theory for that time. When we study the landscape and place related to fengshui, we can not help being exposed to the possibility of focusing on the mysterious and fundamental side of fengshui related to jigi which has been introduced to the West as the earth energy and the mysterious force. But I emphasized 'the social construction of fengshui discourses,' reflecting the social relation or power relation. Moreover it needed to be situated as a code for constructing the landscape as a signifying system or a geographical text. Generally, the dominating power could make use of the physical landscape for 'naturalizing' the power relation through constructing discourses(code) or narratives and landscapes(text). Especially, as such landscape could be easily experienced by people whoever maintain the ordinary senses(like seeing, hearing, smelling, touching, etc.), its effect could be expected wider and more strategically than any other mea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construction of landscape and fengshui discourse, I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Japanese Imperialism as the dominating power and the Korean as the resistant power. Then I could identify a distinctive feature of fengshui discourse, classified into 'fengshui for resistance.' As Michel Foucault points out about power, the domination power itself always contains the resistance against such domination in itself. After all, fengshui for resistance by the Korean could be just a sort of facing to the domination by the Japanese Imperialism. By my case study on the village scale, I can also identify this kind of fengshui discourse. In this case, it must not be important whether villagers believed in the mysterious effect of fengshui landscapes or not, I think. In other words, we have to focus on the context that they wanted to show their will for resisting to the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constructing their traditional landscapes and even the colonial landscapes as a signifying system with fengshui discourses. After all, I can identify the politics of landscape by villagers through the social construction of landscape and fengshui discourse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Key words: landscape, meaning, text-code, social construction, fengshui, power relation(social relation).

      • KCI등재

        지명 경관을 통한 장소 의미의 구성

        권선정(Seonjeong Kw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8 문화 역사 지리 Vol.20 No.3

        본고에서는 지명을 장소를 형성하는 의미 있는 경관 요소로 보고 그것이 장소 의미구성에서 어떤 위상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마을 단위에서 확인되는 지명 사례를 두 가지 이론적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먼저 금산의 ‘不二里’를 사례로 경관텍스트로서의 지명에 대한 解釋을 통해 장소를 지시하는 단일 지명이 그것을 매개로 형성되는 사회적 관계에서 어떤 의미를 구성하며 역할을 수행하는지 주목하였다. 다음으로 논산 병사리의 丙舍, 酉峰, 宗學 세 지명을 사례로 장소 의미 구성에서 장소를 형성하는 실제 현상들의 언어적 표현인 지명들 간의 이웃관계(배치)에 관심을 가졌다. 이를 통해 지명이 단순히 지표상의 자연, 인문현상이나 일정 경계에 의해 구분되는 지역 또는 장소를 지시하는 것으로 그 기능을 다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As elements of the meaningful landscape, place-names can play important roles for constructing the meaning of place. This paper, based on the study of two cases in Chungnam Province, addressed the relation between place-names and the meaning of place. For this purpose, firstly I focused on how a single place-name which indicates a village(called 'Buli') constructed the meaning of place and realized the intention of any social group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it as a landscape text. Secondly, it was needed to explore the linguistic disposition or vicinity among three place-names(called 'Byeongsa', 'Yubong', 'Jonghak'). For, from the approach of structuralism or post structuralism, this kind of spatial disposition constructs the meaning of place where those place-names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short, it could be important to interpret various meanings of place-names beyond the simple function as a linguistic indication, I think, to reveal any hidden interests and intentions of social groups.

      • KCI등재

        풍수 지명과 장소 의미

        권선정(Seonjeong Kw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1

        본고에서는 그동안 한국의 전통적 공간인식체계 또는 전통지리학으로 이해되어 온 풍수와 관련된 지명을 대상으로 그 유형을 보고 그것이 장소 의미 구성에서 어떤 위상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풍수 지명이 지시하고 있는 구체적 현상 그리고 그에 반영되어 있는 풍수의 인식론적 토대, 구성요소, 이론 등을 기준으로 풍수 지명을 분류해 보았다. 풍수 지명은 풍수의 주요 구성요소인 산, 수, 그리고 산수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인간의 정주공간인 마을에 균형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또한 방위보다는 형세중심의 풍수, 음택보다는 양택이나 양기풍수, 그리고 한국 풍수의 특징인 형국풍수가 마을공동체 차원에서 주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주체 중심적 사유 틀인 현상학적 입장과 구조의 역동성에 주목하는 후기구조주의적 인식론을 토대로 장소 의미 구성에서 풍수 지명이 갖는 위상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의 구체적 경험대상이 되는 풍수 지명이 장소 의미를 구성하는 의미 있는 경관요소이자 실제 물질적 현상을 지칭하는 언표적 배치물로서 서로 이웃관계를 맺으며 장소 의미 구성에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place name of Korean fengshui which has been understood as a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and spatial epistemology. First, I tried to classify place names of fengshui according to several theoretical bases with fengshui, keeping pace with experiential surveys on Geumsan district of Chungnam Province Then, based on phenomenological and post-structuralist perspectives, I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lace name of fengshui and the meaning of place. In conclusion, I identified that place names of fengshui mostly indicated three impOltant elements and units: mountains, water, and human settlements surrounded by mountains and water. And the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bases proposed that place names of fèngshui have played important roles for constructing the meaning of place as a meaningful landscape and a linguistic disposition or vicinity related to physical elements and human settlement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한국의 전통지리 풍수의 재현물로서 고지도

        권선정(Seonjeong Kwon) 韓國文化歷史地理學會 2011 문화 역사 지리 Vol.23 No.3

        본고에서는 그동안 군·현 단위로부터 전국 수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간 스케일로 제작되어 온 조선시대 고지도를 대상으로 그것이 한국의 전통지리 또는 공간인식체계로 이해되어 온 풍수의 재현물임을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재현의 문제 현상의 자의성 지도 읽기 등과 관련해 고지도라는 지리적 재현물에 담겨지는 내용들을 보면 일견 정확성의 잣대로만 평가될 수 없는 다양한 의미 특성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가령 순환·흐름의 생태중심적 인식을 반영하여 산이나 물의 흐름을 끊어짐 없이 표현한다든가 인간의 정주공간을 구성하는 중심이자 존재의 근원으로서 주산을 방위에 상관없이 보통 북쪽으로 인식되는 지도의 위쪽에 모신다든가 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의 고지도 읽기에 있어서 그것이 제작 통용되던 당시 공유되고 있던 풍수라는 문화적 코드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the Korean old map is just the geographic representation of fengshui which has been understood as the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The Korean old maps consist of various meanings in addition to many morphological features with reference to the geographic representation the arbitrary relation between form and meaning of map map reading. For example the mountains and streams(or rivers) on the old maps are expressed in the form of being connected without cutting all together. The reason is that the Korean old maps reflected the eco-centric perspective to man and nature. And we can also identify one distinguishing feature that most main mountains('Jusan') are placed just on the upside of the old maps regardless of their real locations. For such main mountains meant the center and the origin of the human settlements such as village town and city and even capital. Consequently we need to take fengshui into consideration as an important cultural code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old maps.

      • KCI등재

        한국의 전통도시 읍치(邑治)를 통해 본 세종시의 지역역사지리

        권선정(Seonjeong Kw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문화 역사 지리 Vol.29 No.4

        본고에서는 2012년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를 사례로 지역역사지리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지역역사지리는 지역 관련 제반 언표적, 물질적 공간텍스트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통해 현재적 입장에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 및 지역정체성 구성에 관심 갖는 공간과 시간이 통합된 지역연구의 한 방편이다. 이를 위해 특히 전통도시읍치에 주목하였는데, 읍치는 지역의 실제적·상징적 중심이자 교통의 결절지로서 지역의 전통적 모습 그리고 근대 이후 국토공간의 재편 과정에서 경험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 등을 엿볼 수 있게 하는 의미 있는 실마리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현 세종시 일대 행정구역의 역사적 변화, 조선시대 연기현과 전의현 읍치의 공간구성상 특징과 이들 읍치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 교통체계 및 중심지 변화, 그리고 지역정체성 구성과 관련해 주목되는 역사문화적 의미체로서 읍치의 진산·주산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This paper tried to construct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of Sejong City which was launched in 2012.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is an approach for regional studies that integrate space and time that are nterested in the process of regional historical change and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various spatial texts. With regard to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I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Eupchi’, the Korean traditional city. As a practical and symbolic center of region and a nodal point of traffic in the premodern society, ‘Eupchi’ could be a meaningful clue and a central indicator space at the same time that shows the traditional appearance of region and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in the region. In terms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 examined concretely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Yeongi and Jeonui Eupchi in the Joseon Dynasty, the changes of traditional transportation system, and ‘Jinsan’ㆍ ’Jusan’ of Eupchi related to fengshui, the Korean raditional geography, for constructing the regional identity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of the region.

      • KCI등재

        ‘차이나는’ 지리로서 풍수와 Geography의 정상화와 타자화

        권선정(Seonjeong Kw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문화 역사 지리 Vol.29 No.2

        현재 한국사회에는 각기 차이나는 두 종류의 지리 즉 근대 이전 정상 지리로 유지돼 왔던 ‘풍수’와 현재 지리 하면 일상적으로 떠올리는 ‘서구의 근·현대 지리(Geography)’가 공존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이들 서로 대비되는 두 종류의 지리는 그 관점이나 내용의 차이(‘존재의 층위’)에도 불구하고 현실적 차원에서 엄연한 위상 차이(‘사회적 층위’)를 갖고 있다. 이에 먼저 근대 이전 풍수의 위상을 탐색해 보았는데, 관련 문헌을 통해 확인된 내용은 공통적으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공유되었던 지리(또는 지리학)가 풍수와 다르지 않음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것은 결국 풍수가 현재의 Geography와 마찬가지로 근대 이전 정상 지리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다음으로 현재적 상황에서 확인되는 풍수와 Geography 간의 현실적 위상 차이의 형성 과정을 두 지리 간의 정상화·타자화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최초의 근대 신문인 『한성순보』(1883년 창간)에서 일단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이것은 19세기 말을 전후하여 그동안 정상 지리로 유지돼 온 풍수가 새로 등장한 Geography와 공존하며 점차 타자화되고 동시에 Geography가 풍수를 대신해 정상 지리로의 위상 변화를 시작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Currently, there are two types of geography in Korea: ‘fengshui’ which had been maintained as a normal geography before modern times, and ‘the modern geography’. As we all know, these two types of geography contrast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ir differences in perspective and content, but they have a status difference on a realistic level. First, I have searched for the status of fengshui before modern times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s. Almost all of literatures suggest that geography shared in the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was not different from fengshui. This means that fengshui, like current geography, occupied the status of the pre-modern normal geography. Next, I examined the formation of the actual status difference between fengshui and the modern geography, which is confirmed in the present situation, through normalization and otherization process between two geographies. In the first modern newspaper “Hanseongsoonbo” (published in 1883) I could find the interesting clues. This shows that fengshui coexisted with the newly introduced modern geography around the end of the 19th century, gradually becoming an alternative, and the modern geography started to change its status to normal geography instead of fengshui.

      • KCI등재

        역사문화 경관 및 장소를 통한 지역역사지리의 구성 - 충남 부여군을 사례로 -

        권선정(Seonjeong Kw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2

        지역지리(regional geography)는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지리학의 오랜 전통으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자연ㆍ인문현상이나 그들 사이의 관계를 함께 관심 갖는 분야이다. 본고에서는 현재 수행되고 있는 지역지리의 구성을 비판적으로 고민하면서 지역의 차이나는 모습 즉 지역민이나 외부인 들에게 해당 지역의 생김새를 어느 정도 그려볼 수 있게 하는 실제적인 지역 지리의 구성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지역이 경험해 온 역사적 변천에 대한 관심인데, 이는 현재적 시점 중심의 지역지리 구성에 대해 시간 요소를 접목시키는 역사지리적(historical geography) 접근을 말한다. 다음으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특징적인 경관이나 장소에 대한 관심인데,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파편 중에서 지역의 차이나는 모양새 소위 지역정체성 (지역성) 구성을 위한 ‘역사문화 경관이나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지리 구성이다. 여기서 ‘역사문화 경관 및 장소’는 역사적 사건이 관련되어 있거나 지역민에게 의미 있는 경험대상으로 유지돼 온 물질적, 언표적 공간텍스트로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파편 조각들 즉 수많은 시간 지층을 머금고 있는 역사지리적 접근대상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관심과 관련해 구성되는 지역지리를 본고에서는 지역역사 지리(regional historical geography)로 규정하고, 충청남도 부여군을 사례로 지역의 전통적 모습이나 주요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시간단면 상의 지리적 재현물 즉 ‘역사문화 경관이나 장소’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사례 지역인 충남 부여군은 흔히 ‘백제의 고도(古都)’, ‘백제문화 권’으로 알려져 있고 지역민이나 지자체에서도 백제 또는 백제시대를 빼놓고 부여를 생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정도이다. 이러한 현재적 입장에서의 부여 지역의 장소 의미 구성은 부여군 소재 대표적인 역사문화 경관으로서 국가지정문화재를 비롯한 국가등록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도문화재자료, 향토유적 등의 시기별, 지역별 분포 상황을 통해 충분히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의 부여군은 ‘백제의 고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현재의 부여읍 일대를 포함한 부여현(扶餘縣)만이 아닌 석성현(石城縣), 홍산현 (鴻山縣), 임천군(林川郡) 등 조선시대 네 개 군ㆍ현이 함께 유지되어 온 지역이다. 이에 ‘백제의 고도’로서 부여의 장소정체성과 관련된 역사문화 경관 외에 조선시대 부여 지역 각 군ㆍ현의 행정중심지였던 읍치(邑治)에 주목하여 부여 지역의 전통 중심지 및 공간구성, 길 체계 그리고 근대 이후 국토공 간의 재편 과정에서 경험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함께 탐색해 보았다. 특히 전통도시 읍치가 갖는 역사적 장소성과 관련해 읍치 진산과 주산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Regional geography is a long tradition of modern geography that has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 region. It is an approach that has studied both natural and human phenomena of the reg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m. In this paper, while critically considering the current regional geography, I tried to propose an different approach of constructing regional geography which is able to draw a picture of the regional difference, regional approximate appearance to the regional people or outsiders. The first is the interest in the historical transition that the region has experienced, which refers to a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hat incorporates the time factor into the geograph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time. The next is the interest in the characteristic landscape or place that constitutes the region. They may be a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and place that could construct the regional identities and localities. Her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nd places are spatial fragments that constitute the region as material and linguistic texts that have been associated with historical events or have been meaningful experiences for regional people. Such landscapes and places are the meaningful objects of historical geography for constructing regional geography. In this paper, I d like to defin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as an approach with regard to these problematic considerations. And then I tried to construct th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of Buyeo County, Chungnam Province through the geographical representations,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nd places , on the cross-section of time which can identify the traditional appearances and major historical changes of the region. Buyeo County is often known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or Baekje cultural area . It is almost impossible for regional people and local governments to think about Buyeo County without Baekje Kingdom or Baekje era. In this present position, it could be possible enough to construct the regional identity of Buyeo County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or Baekje cultural area through some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in Buyeo County such as the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and the regional remains, etc. However, we should not forget that the current Buyeo County includes the current Buyeo-eup area directly related to Baekje, but also other prefectures such as Seokseong-hyeon, Hongsan-hyeon, Imcheon-gun in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it is an area where four counties and prefectures have been kept together for a long time. So, in addition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related to the regional identity of Baekje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 I had to focus on Eupchi which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and the regional transportation node of each county and prefecture in the Joseon Dynasty. I think that Eupchi could be a clue and passage to explore the traditional appearances and the historical process of region. It shows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region experienced in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the traditional center and space composition, the road system, etc. In particular, I have also paid attention to Jusan and Jusan of fengshui, the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in connection with the historical place mean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city Eupchi.

      • KCI등재

        『동여비고』를 통해 본 전통적 산 인식체계의 변화

        권선정(Kwon, Seonjeong)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1 한국고지도연구 Vol.13 No.2

        『동여비고』는 1700년 전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도집이다. 본고에서는 『동여비고』의 도별지도를 중심으로 지도상에 재현된 산세 표현이나 주요 산 개념에 주목하여 전통적 산 인식체계의 특징을 탐색해 보았다. 먼저 『동여비고』에서 확인되는 각 군·현의 ‘진산’ 표기와 관련해 조선 전기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진산 상황이 『동여비고』에 거의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진산 개념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공유되던 ‘국가적 차원의 비보풍수’와 관련해 조선후기 명당풍수가 일상화되기 전까지 주종을 이루었던 것이다. 다음으로 『동여비고』에 재현된 특징적인 산세 표현으로 조선후기 지리지나 고지도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連脈 형태의 산 흐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산세 표현은 조선후기 정상화되는 명당풍수적 인식의 지도적 재현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결국 풍수 텍스트로서 『동여비고』의 지도상 진산 표기와 연맥 형태의 산세 표현은 ‘차이나는 풍수들’, 서로 다른 산 인식체계가 공존하는 전환기적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한다. Focusing on the map of provinces in 『Dongyeobigo』 produced around 1700, this paper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mountain perception system by paying attention to the expression of mountains and the traditional concept of mountains represented on the map. First, regarding Jinsan(guard mountain) for each county confirmed in 『Dongyeobigo』, it was considered that Jinsan situation of regional geograph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almost maintained in 『Dongyeobigo』. Nex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mountain flow in the form of a connected mountains, which can be easily confirmed in regional geography and old map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 of mountains represented in 『Dongyeobigo』. In the end, as a fengshui text and a interesting old map, it seems that the geographical representation of 『Dongyeobigo』 represent a transitional situation in which ‘differentiation of fengshui’ and different mountain perception systems coexist.

      • KCI등재

        풍수 진산·주산의 정상화와 타자화

        권선정(Seonjeong Kw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2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전국 8도에 속하는 총 335개 군·현 읍치를 대상으로 지역별, 시기별로 진산, 주산 상황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전통적 공간인식체계인 풍수의 차이와 관련된 진산, 주산 개념의 정상화와 타자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조선 전기부터 중기까지는 진산 개념이, 그리고 조선후기에는 주요한 산 개념으로 주산이 기존의 진산과 혼재돼 있거나 주산이 주종을 이루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 경향을 정상화, 타자화 과정과 관련해 살펴보면 조선 전기에서 중기까지는 고려시대 ‘국가적 차원의 비보풍수’와 관련된 진산 관념이 정상적 위치를 유지했고 조선후기에는 조선 전기 국도나 왕릉 또는 중앙 권력층이나 지식엘리트들에 한정돼 있던 ‘명당풍수’가 정상화 과정을 통해 대중적, 지역적으로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조선 후기 접어들면서 주산 개념으로 대변되는 명당풍수가 진산 개념 그리고 기존의 국가적 차원의 비보풍수를 대체하는 정상화 과정이 수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huiwhich has been understood as a Korean traditional geographical thought, each villages and cities had been located under the holy back-mountains called ‘Jinsan’(guardian mountain) or ‘Jusan’(main mountain). On this paper, I try to explore the more general inclinations of the changes of ‘Jinsan’ or ‘Jusan’ in the eight provinces of Joseon Dynasty. Consequently, I could identify that almost all of regions in eight provinces showed the similar inclination that ‘Jinsan’ concept was prevalent from the beginning to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nd ‘Jusan’ came to be very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 think that this kind of change from ‘Jinsan’ to ‘Jusan’ would be caused by the normalization of ‘Jusan’ concept in the late Joseon Dynasty. Originally ‘Jinsan’ concept was related to ‘Bibofengshui’ of the previous Dynasty Goryeo and the traditional folk beliefs to the holy mountains. And ‘Jusan’ was the very representative concept of Myeongdangfengshui which had been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change from ‘Jinsan’ to ‘Jusan’, I think, means that Myeongdangfengshui would replace the previous ‘Bibofengshui’ or traditional folk beliefs and its process might be related to the normalization of Myeongdangfengshui or ‘Jusan’ concept

      • KCI등재후보

        ‘왕실본향’으로서 전주의 장소성과 풍수적 배치

        권선정(Seonjeong Kw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0 기전문화연구 Vol.41 No.1

        최근 들어 지역의 역사적 장소성이나 생태환경 등 차이나는 공간적 특성에 주목하는 인문학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왕실본향으로서 전주의 장소이미지 구성과 관련된 다양한 풍수적 배치를 살펴보고 그것이 현재적 입장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색해 보았다. 장소의미 구성 차원에서 볼 때 전주는 조선시대 접어들어 기존에 유지되던 부정적인 장소이미지를 대체하여 조선을 개국한 전주이씨의 왕실본향이자 성역으로 장소화, 탈장소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풍수도 전주의 부정적인 장소이미지를 탈장소화하고 동시에 왕실본향이라는 국가적 차원의 명당국면으로 장소화하기 위한 의미 있는 장치였다고 할 수 있다. 지역인문학적 차원에서 전주의 장소이미지 구성과 관련된 풍수적 배치를 두 가지 공간수준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국가적 차원의 왕실본향으로서 전주 그리고 지역의 행정중심지 읍치로서의 전주가 그것이다. 그사이 전주의 진산, 주산 논쟁을 비롯하여 여러 풍수 관련 경관이나 서사에 대한 입장 차이도 어찌 보면 이러한 공간 수준의 혼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풍수상 국가적 차원의 장소로 전주를 전제할 때 국도 한양으로 대변되는 교과서 같은 풍수 명당국면을 기대할 수 있는데 전주부의 풍수적 공간구성은 지극히 흔치 않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와 같이 현재적 입장에서 전통지리풍수를 통해 지역의 역사적 장소성을 접근하는 것은 그동안 정상적으로 공유돼 온 공간, 환경, 땅에 대한 작금의 인식이나 풍수의 의미, 위상에 대한 자기성찰과 실천적 태도를 요구한다. In recent years, the humanistic interest in differences in spat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historical location of the region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has increased. In this study, I examined various fengshui assemblag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Jeonju s place image as the royal origin of the Joseon Dynasty and explored what it means in the present position.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place meaning, it can be said that Jeonju entered the Joseon Dynasty and replaced the negative place image that was retained before the Joseon Dynasty. It can be said that fengshui also noticed in this study was a meaningful device to de-locate the negative place image of Jeonju and at the same time to place it at the national level of Myeongdang. At the regional humanities level, the fengshui assemblag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place image of Jeonju was divided into two spatial levels. It is Jeonju as the royal origin on the national level and Jeonju as the administrative center on the regional level. In the meantime, the differences in the meanings of various landscapes and narratives related to fengshui, including the debate of Jinsan and Jusan in Jeonju, can be considered to be attributable to the mixture of these spatial levels. When premise Jeonju as a place on the national level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hui, you can expect fengshui Myeongdang, such as a textbook represented by the capital of the Joseon Dynasty, Hanyang. As in this study, approaching the historical place images of the region through traditional geography fengshui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requires self-reflection and practical attitude toward the meaning of fengshui or the problem of the current perception of space, environment, and land that has been shared norm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