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힌두민족국가 개념의 구체화__사바르까르(V. D. Savarkar)의 ‘힌두 라슈뜨라’를 중심으로__

        이지은 인도철학회 2019 印度哲學 Vol.0 No.55

        This article inquires into the materialization of ‘Hindu Rashtra’, the crucial concept of Hindu nationalism in the writings of V. D. Savarkar. Hindu Rashtra is imperative in a sense that it is one of the three essential elements of Hindutva. Savarkar epitomized the essence of Hindutva as Rashtra, Jati, and Sanskrit, which are described further as unity, racial homogeneity, and common culture, respectively. Hindu Rashtra is the first element, which in this research was considered as a core part of Savarkar’s political ideology. The concept of Hindu Rahstra is materialized, in geographical sense, as a territory of a nation, and also has the symbolic meaning of fatherland (pitribhu) and holyland (punyabhu). It is originated from Ramayana, in the historical context, when Aryans and non-Aryans got together as one nation and have been formulated through the long-lasting process of struggle against the alien aggressions. Hindu Rashtra has been materialized and consolidated through spatial background and historical context, so that it is substantiated as the land of their abode and the experiences of their ancestors and themselves, and finally made into a article of faith. 본 연구는 힌두 라슈뜨라라는 힌두민족주의의 핵심 개념이 사바르까르의 글에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 고찰한다. 힌두 라슈뜨라는 사바르까르 사상의 핵심인 힌두뜨바를 이루는 세 가지 요소 중 하나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사바르까르는 힌두뜨바의 요소를 국가, 탄생, 문화라는 세 가지로 요약하고 있는 바, 이는 각각 지리적 통합성, 인종적 동일성, 공통의 문화라고 설명되었다. 여기서 첫 번째로 언급된 국가가 바로 라슈뜨라로서, 본 연구는 힌두 라슈뜨라를 민족주의라는 정치사상으로서의 사바르까르 사상의 핵심이라고 보았다. 힌두 라슈뜨라의 개념은 지리적으로는 국토라는 의미를 통하여 구체적인 실체로 이야기되며, 힌두 민족의 조국이자 성지로서의 상징성도 갖는다. 힌두 라슈뜨라는 역사적인 맥락에서는 라마야나로부터 시원하는데, 특히 아리아인과 비아리아인이 하나의 민족으로서 결속한 때를 기점으로 하여 이방인 특히 타종교를 신봉하는 외국 세력과의 지속적인 투쟁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다고 한다. 힌두 라슈뜨라는 공간적 배경과 역사적 맥락을 통하여 구체화되고 강화되어 힌두민족주의 사상의 핵심이며 힌두들과 공존하는 땅, 경험 그 자체로 실체화되었으며, 신앙의 대상으로까지 승화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힌두성(Hindutva)’의 개념 규정과 문화민족주의 간의 상관관계 연구

        정채성(Jeong, Chae-Seong) 한국인도학회 2013 印度硏究 Vol.18 No.1

        힌두와 힌두이즘의 성격을 규정하는 문제는 한편으로는 근대 국가로서 인도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문제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를 비롯해 다른 사회들과 구별되는 인도의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규정하는 문제이다. ‘힌두’ 정체성을 둘러싼 논쟁은 정치권과 학계, 각종 사회조직들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벌어지는데, 이렇게 대립되고 경쟁하는 이데올로기들은 다양한 대중매체들을 통해 일반대중에게 전달되어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며,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여론들은 선거라는 장을 통해 인도 사회의 발전방향과 성격을 규정하는 각종 정책들로 나타나게 된다. 한편 1980년대 이후 소위 문화민족주의로 불리는 현상이 인도 국내뿐 아니라 해외의 인도 교민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나고있다. 문화민족주의에는 쌍그 빠리바르가 주도하는 힌두 우익의 힌두뜨바 이념도 있지만, 이와는 별도로 국가로서의 인도, 혹은 역사적-문화적 실체로서의 인도에 초점을 맞춘 소위 세속적 문화민족주의도 뚜렷하다. 또한 신중간계급에서 쌍그 빠리바르가 주도하는 힌두 근본주의의 반(反) 이슬람적이고 전투적인 노선이 큰 지지를 못 받는 데 비해, 세속적이고 부드러운 문화민족주의는 광범위한 호응을 받는다. 이처럼 힌두-힌두이즘의 성격 및 힌두 정체성을 둘러싼 논쟁과 힌두 문화민족주의의 보급이라는 두 과정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진행되면서, 현대 인도 사회가 변화하는 방향과 성격을 규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인도 국내외 여러 지역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힌두 정체성 논쟁과 문화민족주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 KCI등재

        인도 오릿사 기독교인 박해와 향후 선교적 과제 ―2008년 사건을 중심으로

        진기영 한국선교신학회 2009 선교신학 Vol.20 No.-

        In the end of August 2008, atrocities against Christians of Khandamal district of Orissa state in India occurred by Hindu mobs driven by Bajrang Dal, the youth wing of Hindu World Council: 59 people were killed, 18,000 were injured and 159 churches were damaged, along with 4,400 houses. Apparently, this communal violence was erupted from the antipathy of Hindu nationalists towards conversion movement of Christian missionaries. Yet, inwardly, the poor Khands tribe felt jealous of rich Panas tribe after being converted to Christianity. The Bajrang Dal attempted to take advantage of such communal tension for the political purpose of taking seats in the upcoming 2009 general election. Communal violence happens dime a dozen in India. Yet, recently, the target of Hindu nationalists was directed to Christians in the tribal areas of Orissa rather than to Muslims, previously the major enemy of Hindus. The reason was the steep increase of Christians in this district due to missionary activities. The leaders of Hindu nationalists were in the grip of fear and vented their anger over this issue.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Hindutva(Hinduness), Indian nation has to be necessarily a Hindu nation and the Hindus alone are the true sons of the soil. Moreover, the non-Hindus are a menace, the polluted to be purged, if they would not be assimilated to Hindu way of life. The feature of nationalism of K. Hedgewar of Rashtriya Swayamsevak Sangh was cultural nationalism which elevated India to the goddess of motherland. From the perspective of Hindutva, the conversion of Hindus to non-Hindu religion is an anti-national activity, thus, they should put it down by all possible means. Likewise, the communal ideology of the Hindu nationalism is exclusive, chronical, and subjected to violence. In this regional context, Christian missionaries should respect Hindu gods and goddesses and understand their faith and Hindu nationalism rather than villify them.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clash, it is recommendable for Christians to involve in inter-personal evangelism and establishing house churches rather than in building churches and institutions. Missionaries should encourage the local Christians to be financially independent so that Christianity can be presented as a genuine spiritual religion. Urban middle class Hindus should be the target of missionaries, moving from the previous lower strata of Hindu society.

      • KCI등재

        인도 근대 ‘힌두교’ 만들기와 인도식 세속주의의 맥락: 왜 인도에서는 반지성주의가 문제되지 않는지를 묻는다

        강성용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4

        In the analysis of growing anti-democratic Hindutva ideology in India, the conceptual frame of anti-intellectualism is seldom applied. An attempt is made in this paper to clarify factors that differentiate Indian social contexts from those of the United States. Since the British colonial period, Indian intellectuals have focused on reconstructing their religious traditions in accordance with the Western concept of ‘religion’ to create Hinduism. They could not, however, escape the traditional conceptual frame of ‘dharma.’ As a result, the dual-structured concept of ‘religion’ has appeared to dissimulate the danger of communalism. This leads to a peculiar ‘Indian secularism.’ The emergence of hindutva framed in the Mandir politics against Mandal politics could not be encountered by the hollowed secularism in India. The anti-intellectual stance does not seem to be required in the reconstructed Hinduism, since the validation of personal religious experience and its interpretation were not precluded. 인도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힌두교도들의 힌두국수주의와 반민주적 정치 행태의대두에 대해 반지성주의를 틀로 삼은 분석이 대두되지는 않고 있다. 미국에서 트럼프 집권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변화에 대한 논의와는 사뭇 다른 양상인데, 표면적인 정치적 현상들의 강한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인도의 정치지형에 대한 학문적 분석이 다르게 전개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다면적인 다층성을 지닌 인도 사회는 식민시기부터 서구의 “종교” 개념에 맞게 전통을 재구성하여 “힌두교”를 만들어 내는 일에 주력하였지만, 서구의 “종교”에 해당하는 사회적 규범체계를 가리키는 “dharma”로서의 종교의 틀을 벗어날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종교집단주의(communalism)의 위험을 도외시하는 허구적 이중구조의 종교관이 만들어졌고, 이는 허구적인 ‘인도식 세속주의’의 구축으로 이어지고 말았다. 독립시기 정치엘리트들의 경제적 실패와 세속국가 구축의 실패는 힌두국수주의(hindutva)의 흐름이 “만달 대 만디르”(Mandal vs. Mandir) 정치 구도 안에서만디르정치로 구심력을 얻는 것을 막지 못했고, 이제 힌두국수주의는 자유시장경제 이데올로기의 추동력을 얻어 강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인도의 반지성주의적 현상들은세속주의와 종교집단주의 간의 긴장관계 안에서 파악되어야 하는데, 근대에 재구성된힌두교가 채택한 종교관이 개인적인 체험과 해석의 궁극적 권위를 인정하는 방향을 향했다는 사실이, 미국의 최근 정치상황 분석에서 대두되는 핵심적 분석틀로서 ‘반지성주의’의 맥락과는 다른 인도의 현실을 만들고 있다고 필자는 판단한다.

      • KCI등재

        Chosen trauma and saffronization of India

        Ahmed Raja Qaiser,Tamoor Maryum,Saleem Muhammad Waqas,Iqbal Babar Summar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2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Vol.25 No.1

        The research undertakes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India by the ideology of Hindutva embodied by the contemporary government of the Bhartiya Janata Party. This study is a first of its kind as it attempts to decipher the genesis of this metamorphosis from a psychoanalytical perspective. India has been accredited as a stalwart of democracy and an uploader of an inclusive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society. The interplay of Hindu nationalist elements and reinvigoration of past experiences supplemented by historical myths and present ontological insecurities has consequently plagued the secular fabric of India. The study further explicates all the undercurrents and nuances that underscore the ideology of Hindutva, the proselytized culture of victimization and indigenization in society resultantly impacting the society and relations of state in the region.

      • KCI등재

        From ‘fire-brand’ to ‘water-brand’: The caste politics of Uma Bharati

        Tingting Liu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2017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Vol.23 No.4

        This paper uses a case study of Uma Bharati, a woman political leader, to argue that despite appropriating multiple-axis thinking to mask casteism inherent in their ideology, Hindutva politics essentially lays bare its brahmanical allegiance and lineage, with its larger agenda to redefine India as a Hindu rashtra or nation. Bharati, a 'fiery sanyasin’ (female ascetic) of Other Backward Classes (OBC) background, had been awarded a portfolio to clean the 'polluted' Ganga river in the Narendra Modi cabinet in 2014. This paper points out the significance of the ruling Bharatiya Janata Party (BJP) in granting this responsibility to a 'radical' who had strategically deployed her caste identity to gain power in Hindutva politics. Bharati had gone against the party to demand caste-based quotas in women's reservation in parliament, and succeeded in rupturing the monolithic identity of upper-caste womanhood in the BJP. While this resulted in the patriarchal upper-caste leadership of the party expelling the 'indisciplined' Bharati on more than one occasion, they have not been able to ignore her. Instead they have 'domesticated' the politically ambitious lower-caste Bharati by conferring her with ministerial power, and compelling her to change focus from the controversial issue of caste to that of cleaning the Ganga, which is a symbol of national and Hindu religious interest.

      • KCI등재

        인더스문명과 갠지스문명의 정체에 관한 논쟁: 힌두뜨와(Hindutva) 역사 서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이광수 숭실사학회 2023 숭실사학 Vol.- No.50

        The first serious debate about ‘Indus Civilization’ began in 1977, when India experienced its first, albeit short-lived, regime change. After defeating the socialist-leaning governments of Jawahar Lal Nehru and Indira Gandhi in elections, the Hindu nationalists who came to power claimed that the ‘lost Saraswati River,’ which lies within Indian territory and predates the Indus Civilization, which lies within Pakistan, was the birthplace of that civilization. The Saraswati River is at the center of the controversy, as it is associated with the drying up and disappearance of rivers in the Rigveda, which was written by the Aryans, who migrated after the decline of the civilization due to climate change. Hindu nationalists argue that the Aryans were already migrating before 1900 BCE, when the Saraswati dried up, and that some of them entered the Indian subcontinent and developed the Vedic civilization. However, it is only speculated that the Saraswati in the Rigveda was a real river somewhere in what is now Afghanistan, Pakistan, and northwestern India, but its exact location is currently unknown. The claim that the Aryans originated in India, built the Indus Civilization, and migrated outward is not archaeologically verifiable. Since the 1980s, Hindu nationalist forces have become very influential in Indian politics. In their critique of the Marxists, they had to deny that iron played an absolute role in shaping civilization in the middle Ganges basin, and to do so they had to deny the existence of deep forests in the region. With the growing influence of Hindu nationalism since the 1980s, the mythology of the Ganges Civilization in Hindu cosmic time has gained a lot of traction as actual history, and this, coupled with the Aryan theory of Indian origins, has led to the claim that Hindu mythology was already a concrete historical event before the widespread use of iron tools. ‘인더스문명’에 관한 본격적인 논쟁은 1977년, 인도에서 처음으로,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정권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시작된다. 네루(Jawahar Lal Nehru)부터 인디라 간디(Indira Gandhi)의 사회주의적 성격이 강한 정권을 선거에서 물리치고, 정권을 잡은 힌두민족주의자들은 파키스탄 영토 안에 위치하는 인더스문명 이전에 인도 영토 안에 위치하는 ‘메말라 사라져 버린 사라스와띠(Saraswati)강’이 그 문명의 발상지라는 주장을 폈다. 기후 변화로 인해 문명이 쇠퇴한 후 이주해 들어온 아리야인이 남긴 ≪리그베다≫에 나타나는 강이 말라 사라져버리는 모습과 연계되면서 사라스와띠 강은 논쟁의 중심에 선다. 힌두 민족주의자들은 사라스와띠 강이 마르게 된 기원전 1900년경 이전에 아리야인이 이미이동을 시작하였는데, 그 가운데 일부가 인도아대륙으로 들어가 베다 문명을 발전시켰다고주장하는 것이다. 그런데 ≪리그베다≫에 나오는 사라스와띠는 지금의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인도 서북부 어딘가에서 실제 존재한 강일 것으로 추측만 할 뿐, 그 정확한 위치는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아리야인이 인도에서 기원하여 인더스문명을 건설하고, 외부로 이주해나갔다는 주장은 고고학적으로 확인 불가다. 1980년대 이후 힌두 민족주의 세력이 인도 정치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마르크스주의자들에 대한 비판에서 철기가 갠지스 중류 유역의 문명을 형성하는 데 절대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사실을 부인해야 했고,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그 지역에 펼쳐진 깊은 삼림의 존재 자체를 부인해야 했다. 1980년대 이후 힌두 민족주의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면서, 갠지스문명 시기에 형성된힌두교의 우주적 시간 안에서의 신화가 실제 하는 역사로 큰 주목을 받게 되었고, 그것이아리야인 인도 기원설과 만나 철제 도구가 널리 사용되기 이전에 이미 힌두 신화가 구체적역사적 사건이라고 주장하게 된 것일 뿐이다. 사이비 역사학의 전형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 KCI등재

        인도 ‘요가’(Yoga)의 정치화와 국가 정체성

        김경학(Kim, Kyunghak)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21 남아시아연구 Vol.27 No.2

        2014년 모디(Modi)가 인도 수상이 되면서 요가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인도의 대표적 문화적 상징이 되는 과정에 들어선다. 유엔 총회에서 ‘국제요가의 날’(International Day of Yoga) 지정을 위한 성공적 로비로 모디 수상은 요가를 세계무대에 본격 등장시켰다. 인도 정부가 2014년에 국제요가의 날을 제정하고 2016년에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요가를 등재하고자 한 노력은 요가가 경제와 외교 및 정치적 맥락에서 놓칠 수 없는 매력적인 전략 자원이었기 때문이었다. 인도의 요가는 힌두 우익세력의 ‘요가 정치화’를 통해 무슬림과 같은 종교적 소수집단을 국가 범주 밖에 위치 지우면서 인도를 힌두화하고자 하는 프로젝트 진행에 이용되고 있다. 이 글은 요가를 둘러싼 인도 국내외적인 일련의 성과와 이에 맞물린 정치적 양상을 ‘소프트 힌두뜨와 문화 민족주의’ 담론 내에 ‘맥락화하고’ 이를 분석하고 있다. 이 글은 2014년 힌두 우익 정치인 모디의 인도 수상 등극 이후 진행되어 온 일련의 반무슬림적 힌두 우경화라는 정치적 맥락에서, 요가가 힌두 민족주의 의제를 위해 전유되는 사회·정치적 과정과 국가정체성 강화에 동원되는 요가의 정치화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이 글은 철저한 기획과 연출 하에 수행된 2015년 ‘제1회 국제요가의 날’처럼 요가가 동원된 일련의 문화 정치적 이벤트들과 요가 수행과 관련된 정치적 담론들 그리고 요가와 힌두뜨와 부흥 간의 밀접한 관계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 통해 힌두 민족주의 정치 세력에 의한 요가의 정치적 전유가 반무슬림적이고 국가의 힌두화를 위한 문화 민족주의적 정치 행위임을 밝히고 있다. After being elected as Prime Minister of Inida in 2014, the first official and diplomatic act of Narendra Modi was to urge the United Nations member states to declare June 21st ‘International Day of Yoga’. The Modi government"s efforts to establish International Yoga Day in 2014 and inscribe yoga on the Representative List of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16 were due to the fact that yoga has been an attractive strategic resource that cannot be missed in economic, diplomatic and political contexts. Since the early days of the Modi regime, yoga has been used in India to solidify the supreme ideology of Hindu culture called ‘Hindutva’. In India, yoga is being used in a project to make India a Hindu State by locating religious minorities such as Muslims outside the national boundary through the ‘politicization of yoga’ by the Hindu right wing. This article attempts to ‘contextualize’ and analyze the series of achievements in India and abroad surrounding yoga and the political aspects associated with yoga within the discourse of ‘soft Hindutva cultural nationalis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oliticization of yoga in the socio-political process and reinforcement process for national identity in which yoga is appropriated for the Hindu nationalist agenda in the political context of a series of anti-Muslim right-wing movements that have been mobilized since Modi, a right-wing Hindu politician, became Prime Minister of India in 2014. To be specific,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ries of cultural and political events in which yoga was mobilized, such as the 1st International Yoga Day in 2015, conducted under thorough planning and directing, and the political discourse related to yoga practice. This study is also interested in elucidat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yoga and Hinduism and revival. This study explores that the political appropriation of yoga by Hindu nationalist political forces is characterized as anti-Muslim and cultural nationalist political act for the Hinduization of the country.

      • KCI등재

        2008년 인도 오릿사 기독교인 박해와 향후 선교적 과제

        진기영 한국선교신학회 2009 선교신학 Vol.20 No.-

        In the end of August 2008, atrocities against Christians of Khandamal district of Orissa state in India occurred by Hindu mobs driven by Bajrang Dal, the youth wing of Hindu World Council: 59 people were killed, 18,000 were injured and 159 churches were damaged, along with 4,400 houses. Apparently, this communal violence was erupted from the antipathy of Hindu nationalists towards conversion movement of Christian missionaries. Yet, inwardly, the poor Khands tribe felt jealous of rich Panas tribe after being converted to Christianity. The Bajrang Dal attempted to take advantage of such communal tension for the political purpose of taking seats in the upcoming 2009 general election. Communal violence happens dime a dozen in India. Yet, recently, the target of Hindu nationalists was directed to Christians in the tribal areas of Orissa rather than to Muslims, previously the major enemy of Hindus. The reason was the steep increase of Christians in this district due to missionary activities. The leaders of Hindu nationalists were in the grip of fear and vented their anger over this issue.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Hindutva(Hinduness), Indian nation has to be necessarily a Hindu nation and the Hindus alone are the true sons of the soil. Moreover, the non-Hindus are a menace, the polluted to be purged, if they would not be assimilated to Hindu way of life. The feature of nationalism of K. Hedgewar of Rashtriya Swayamsevak Sangh was cultural nationalism which elevated India to the goddess of motherland. From the perspective of Hindutva, the conversion of Hindus to non-Hindu religion is an anti-national activity, thus, they should put it down by all possible means. Likewise, the communal ideology of the Hindu nationalism is exclusive, chronical, and subjected to violence. In this regional context, Christian missionaries should respect Hindu gods and goddesses and understand their faith and Hindu nationalism rather than villify them.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clash, it is recommendable for Christians to involve in inter-personal evangelism and establishing house churches rather than in building churches and institutions. Missionaries should encourage the local Christians to be financially independent so that Christianity can be presented as a genuine spiritual religion. Urban middle class Hindus should be the target of missionaries, moving from the previous lower strata of Hindu society.

      • KCI등재

        인도 전통 의학(AYUSH)의 세계화와 힌두화

        양영순(Yang, Young-s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아시아문화연구 Vol.60 No.-

        인도의 전통 의학으로는 아유르베다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외에도 인도 남부의 싯다 의학, 이슬람의 유나니 의학, 티베트 의학인 소와릭파 등 다양한 전통 의학들이 공존해 왔다. 인도정부는 이 다양한 전통 의학을 통합하여 아유쉬(AYUSH)로 명명하고, 2014년부터 아유쉬부처(The Ministry of Ayush)를 통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인도전통 의학史의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변혁의 국면인 아유쉬 정책을 통해 인도 전통 의학의 현대화와 세계화가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전통 의학의 세계화는 현대적 전문화를 거치지 않고서는 성공적일 수 없을 것이다. 본고의 Ⅱ장에서 7가지 전통 의학인 아유쉬의 개념과 아유쉬부에 관해 소개하고, Ⅲ장과 Ⅳ장에서 아유쉬 정책을 전반적으로 파악하여 정리하였다. 이 아유쉬 정책의 소개는 아유쉬부의 공식 사이트에서 공개된 정보와 정책 자료 및 연간 보고서등을 기반으로 하였다. 정책 분석은 경제산업, 연구개발, 보건의료, 문화교육의 분야로 고찰하였다. 인도 정부는 아유쉬부의 다양한 정책을 통해 다양한 전통 의학을 연구 개발하고, 의료보건정책을 통해 자국민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며, 적극적인 해외 홍보 및 협력 연구를 장려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은 분명, 인도전통 의학의 현대적 세계화를 적극적으로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Ⅴ장에서 아유쉬 정책이 지향해야할 현대적 세계화라는 과제가 과연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서 아유쉬 정책의 힌두민족주의 요소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성공적인 세계화의 선제조건으로서 우선 전통의약의 철저한 과학적 검증을 통해 약제화와 표준화가 이뤄져야 한다. 이에 기반한 체계적 교육으로 양성된 전문가의 활동이 세계화의 근간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정책에 있어서 방향성과 질을 좌우하는 힌두 문화민족주의 노선의 과도한 개입에 대한 근본적 반성이 쇄신이 가장 필수적 과제로 보인다. Ayurveda is widely known as the traditional medicine of India. However, other traditional medicines such as Siddha, Unani and Sowarigpa etc. have coexisted. The Indian government has integrated these various traditional medicines and named them AYUSH, and has been promoting various policies through the Ministry of Ayush since 2014. The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of Indian traditional medicine are actively progressing through the Ayush policy, which is a notable change in the history of traditional medicine in India. However,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medicine will not be successful without modern specialization. Chapter II of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Ayush and the Ministry of Ayush, and chapters III and IV summarize the Ayush policy as a whole. This study of Ayush policy was based on the policy data and annual report published on the official website of the Ministry of Ayush. Polici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e economic industry, research and development, health care, and cultural education. The Indian government researches and develops various traditional medicines through various policies of Ayush provides medical services to its citizens through medical health policy(Ayushman Bharat) and encourages active overseas publicity and cooperative research. These policies are promoting the modern globalization of Indian traditional medicine. However, in Chapter V, I critically considered the element of Hindutva in the Ayush policy to evaluate whether the task of modern globalization that the Ayush policy should aim for is being successfully progressed. To achieve successful globalization, pharmaceutic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must first be achieved through thorough scientific verification of traditional medicines. And the activities of experts nurtured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based on this will become the basis of globalization. However, fundamental reflection on Hinduization and Hindutva, which determines the direction and quality of all these policies, seems to be the most ess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