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마모토 국권당(熊本國權黨)의 『한성신보(漢城新報)』창간과 그 의도

        문일웅 역사문제연구소 2020 역사문제연구 Vol.24 No.2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Kumamoto Kokkento and their views of Korea, trying to figure out their intention reflected on Hanseongsinbo newspaper. It was Kumamoto Kokkento that took the lead in the publication of Hanseongsinbo newspaper. Kumamoto Kokkento was a political party formed by the School Party(學校黨) force, which was the political power of Higo Province(肥後藩) in Kyushu, Japan during the early modern days, by bringing in the High Royal Party(尊王黨), another local political force. They kept the moral theory based on Zhu Xi studies each and had a world view based on the traditional national study of Japan(國學). They formed Kumamoto Kokkento to react to the westernization policy by the Japanese government after the Meiji Restoration. Kumamoto Kokkento was in an ultimate pursuit of keeping Japan in its independent state amidst of Western threats. They took the position that Japan should be the center of “Asia”, while setting “Asia” as the object of Western threats. Here, the status of Joseon(朝鮮) became a topic. Japan had a tradition of “contempt for Japan” since the early modern days, and Kumamoto Kokkento tried to “advance” into Korea as an extension of the theory. Kumamoto Kokkento perceived Joseon as a place to obtain economic gains from and an object to be assimilated to Japan some day. 본 논문은 구마모토 국권당의 결성 과정과 조선관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이 『한성신보』를 창간한 목적을 규명하고자 했다. 구마모토 국권당은 전근대 시기 일본 규슈 지역 히고번(肥後藩)의 학교당(學校黨)이 존왕당(尊王黨)을 끌어들여 조직한 정당이었다. 이들은 각각 주자학적 도덕론과 국학적 세계관을 지니고 있었다. 일본의 세이난전쟁(西南戰爭) 이후 학교당은 존왕당을 끌어들여 자명회(紫溟會)라는 단체를 결성하는데, 이 자명회가 바로 구마모토 국권당의 전신이었다. 구마모토 국권당은 동시기 일본의 여느 정치 세력과 마찬가지로 서구의 위협 속에서 어떻게 일본의 독립을 유지시킬 것인지를 모색했다. 이들은 서구의 위협 대상으로서 ‘아시아’를 설정하되, 일본이 ‘아시아’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이러한 입장을 표상하는 것이 바로 이들의 인식 속 조선의 위상이었다. 구마모토 국권당은 전근대 시기 일본에 만연했던 ‘조선멸시론’을 답습하고 있었다. 이들은 조선에 대해 경제적 이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자 언젠가는 일본에 동화시켜야 할 대상으로 인식했다. 『한성신보』의 창간 역시 구마모토 국권당의 조선 ‘진출’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비록 『한성신보』는 주한일본공사관 측의 재정적 원조에 크게 의존했지만 그럼에도 이를 일본의 ‘관변’으로 규정할 수는 없다. 『한성신보』의 창간과 그 운영은 어디까지나 구마모토 국권당의 필요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초기 『한성신보』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병용했다. 『한성신보』 지면의 한국어와 일본어 병용은, 일본인에게는 조선에서의 원활한 사업을 추진을 위한 한국어의 교습을, 이 신문을 구독하는 조선인에게는 일본에 동화를 위한 일본어 습득을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신문 지면에는 미담 기사를 비롯하여 각종 서사형 기사가 게재되었다. 이는 일본 유학의 전통 하에 조선의 정신문화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구마모토 국권당의 의도 하에 기획된 것이었다. 이를 통해 구마모토 국권당은 조선의 반일감정을 불식시키고, 조선인으로 하여금 서서히 일본에 동화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했다.

      • KCI등재

        『한성신보』의 한국 민권운동에 대한 인식

        김종준(Kim JongJun)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6

        『漢城新報』는 1895년 일본 낭인들이 한국의 수도에서 발간한 일본측 관변 언론이다. 『한성신보』는 한국의 정치 현실과 세력들에 대해 일정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고, 경우에 따라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피력하였다. 물론 이 때 『한성신보』가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관찰자라고 말할 수는 없다. 일본인으로서의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고, 일본 정부의 지원을 받고있는 처지에 일본의 외교 정책 틀에서 벗어나지 않으려는 정치적 편향도 분명 존재했다. 그러나 『한성신보』가 한국의 개화 지식인들을 발화의 대상으로 삼고 있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본에서의 민권운동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의 정치 현실을 해석함으로써 정당성을 확보하고, 그런 가운데 개화 지식인들에게 영향을 끼치려고 했었던 것이다. 먼저 군주권과 민권의 관계에 대한 인식에서 그러한 점을 볼 수 있다. 고종의 치적은 높게 평가하면서도 군주권이 강고해지는 것은 견제하였다. 이를 부패한 신하들의 불충과 연결시키고, 나아가 충군과 애국은 다른 개념이라며, 진정한 애국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라고 조언하였다. 애국적 인민은 시민으로 격상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독립협회가 바로 그러한 시민 운동의 장이라고 여겼다. 『독립신문』이 일본인들에게 부정적인 기사를 게재할 때는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지만,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정부 간 갈등이 고조되었을 때는 간신들을 배제하고 군주와 민이 직접 연결되는 것에서 민권운동의 의의를 찾았다. 한편 『한성신보』는 일진회 활동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보였다. 해당사안에 황실, 정부, 지배 세력과 마찰을 빚는 민인들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한성신보』는 문명·개혁·민권·지역·계층 등의 측면에서 일진회를 관찰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독특했다. 일진회에 대해 시종일관 우호적이지 않았다는 점도 주목해야 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일본 공사관의 시선이기도 했다. 다만 정부 탄압의 부당성을 음모론에 입각해 지속적으로 보도하였다. 일진회를 민권운동으로 바라보는 『한성신보』의 입장은 1904년 10월말의 기사에서 잘 드러난다. 특히 진보회와의 결합에 주목하며 인민의 생명 재산 보호 구호를 높게 평가하였다. 이를 문명의 상징으로 해석하고, 정부의 시정개선을 요구하기도 했다. 기존 질서에 대한 도전이 ‘작폐’로 여겨지는 과정에 음모가 숨어 있다고 의심을 품고 있었던점도 당대 다른 한국 언론과 구별되는 것이었다. Hanseongsinbo was a government source-based newspaper published in the capital of Korea by Japanese Ronins in 1895. The newspaper had its own opinions about the political reality and force of Korea and was active to express its opinions for some cases. There is no saying that it was a neutral and objective observer in such cases. It reflected the Japanese people’s prejudices and showed a clear political bias, trying not to deviate from the diplomatic policy framework of Japan because it was fund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ere is, however, a need to focus on the fact that the newspaper took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of Korea as the objects of its speech. It secured its legitimacy by interpreting the political reality of Korea based on the experiences with the civil rights movement of Japan, thus trying to influence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of Korea in the process. It can be observed in its perceptions of relations between the royal power and the civil rights. The newspaper spoke highly of King Gojong’s achievements and, at the same time, kept the strengthening power of the king in check. It connected him to the disloyalty of corrupt subjects and further advised the Korean people to think about what true patriotism meant by pointing out that being loyal was different from being patriotic. Arguing that patriotic people could be raised to the status of citizens, it considered the Independence Club as the venue of such civic movements. When The Independent issued a negative article about the Japanese people, it would express how uncomfortable it felt about it. When the conflicts escalated between the Independence Club and the government of Daehan Empire, it found the significance of civil rights movements in excluding disloyal subjects and connecting the monarch directly to the people. Hanseongsinbo also showed huge interest in the activities of Ilchinhoe as there were people in conflicts over the concerned subject with the royal family, the government, and the ruling power. It was unique in that it observed Ilchinhoe in the aspects of civilization, reform, civil rights, regions, and social classes. It is also noteworthy that it maintained an unfavorable view of Ilchinhoe by reflecting the viewpoint of Japanese legation basically. It consistently reported the injustice of the government’s oppression based on a conspiracy theory. It saw Ilchinhoe as part of civil rights movement, which position was well revealed in its articles issued in late October, 1904. Paying special attention to its combination with Chinbohoe, it spoke highly of its efforts to protect and save the life and property of people. Interpreting its efforts as a symbol of civilization, the newspaper demand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rectify and improve its policies. The newspaper also raised a doubt about a conspiracy hidden in the process of challenges to the established order being considered as “trouble,” thus distinguishing itself from other Korean media those days.

      • KCI등재

        『한성신보』 소재 전계(傳系) 서사물의 역사적 성격

        김찬기(Kim Chanki)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39

        이 연구에서는 친일 기관지 ?한성신보?에 실린 네 편의 서사 작품들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분석한다. 잘 알려진 대로 ?한성신보?에서는 최초로 연재소설이 게재된다. 연재된 소설의 대부분은 고소설의 형태를 그대로 간직한 작품이거나 야담이나 전(傳)과 같은 전대의 서사 양식이 대부분이었다. 연재된 서사 작품들은 대개가 유가 이데올로기를 전형적으로 드러내거나 매우 뒤틀린 여성 인식을 보여주는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 편의 서사 작품(「이소저전」, 「김씨전」, 「이씨전」, 「이정언전」)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탐구하려는 이유는 다른 데 있지 않다. 이들 작품들이 1920년대 이후의 근대 단편 소설의 ‘내면’과 관련하는 측면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요컨대 「趙婦人傳 (조부인젼)」과「郭御史傳」이 군국주의 일본이 1890년대 침략의 논리로 차용한 ‘양처현모주의’를 인위적으로 주조한 서사물물이라면, 「李小姐傳」, 「李正言傳」, 「金氏傳」, 「李氏傳」은 ‘성애화, 혹은 관음의 대상’으로만 형상된 식민지의 ‘이지러진 여성(몸)’과 그것을 ‘소비하고, 통제하고, 관리하는’ 남성 가부장주의를 왜곡되게 그려낸 서사물이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처럼 성애화된 여성을 소비하고, 관리하고, 평가하는 ‘술어적 주체(남성)’의 이지러진 내면이나, 또 그러한 대상으로서의 ‘일탈의 여성 인물 형상’이 이 시기 공간된 민족지 계열의 신문 잡지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기에 1920년대의 근대 단편들(횡보의 초기 삼부작이거나 김동인과 이광수 일부 작품에서 드러나는 신여성)에서 뜬금없이 만들어 지는 신여성의 황량한 ‘내면’이 썩 이질적인 것이 아니라면, 그것은 ?한성신보? 소재 전계 서사물이 이러한 내면과 결코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 This paper analyzes four narrative works printed in Hanseongsinbo, a pro japanese newspaper, in the light of the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As it was well known, this paper printed the first serial novels. Most of them were the works to take after old novel forms in Joseon period as it was or the works to take descriptive forms like the historical romance or the personal history (Jeon). Most of them typically showed Confucian ideology or twisted recognition on woman a lot. Non the less, the reason this paper attempts to look into the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for 4 naractive works (Leesojeojeon「이소저전」, 「Kimssijeon 김씨전」, Leessinjeon 「이씨전」, Leejeongeonjeon 「이정언전」) is that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forming modern short story. In this respect, this paper is going to research the viewpoint of these works on description and woman, and survey how they could be involved in forming modern short novel based on these researches

      • KCI등재

        나폴레옹의 국내수용사 검토(I)

        김준현(Kim, Jun-Hy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1

        개화기에서 1920년대에 이르는 기간 동안, 나폴레옹이 어떤 모습으로 한국에 소개되었으며, 어떤 표상으로 자리잡게 되는지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연구자의 궁극적인 지향점이 있다. 본고는 근대 한국에 소개 및 수용되었던 나폴레옹의 초상이 어떤 모습이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준비작업이며, 차후의 후속 연구를 개진하기 위한 사전 검토에 해당한다. 나폴레옹에 대한 전기가 단편적인 언급을 벗어나 최초로 자세히 소개되는 첫계기인 『한성신보』 수록 연재물 『나파륜전(拿破崙傳)』과 10여년 뒤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던 유민상 번역의『나파륜전사상(拿破崙戰史上)』에 대한 기존 연구를 되짚어봄으로써, 그 안에서 우리가 어떤 것을 어느 정도까지 이야기해왔으며, 현재 연구되지 못했거나 보완해야 할 사안들로는 무엇이 있는지를 본고를 통해 점검해보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번역 저본에 대한 문제, 연재 의도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금까지 구체적인 비교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두 번역의 일부분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각 번역의 특징을 대별할 수 있었다. 요컨대 일면 단순해보일 수도 있는 원작의 서문에 대한 논의, 새로 추가된 역자 후기의 역할,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또 다른 번역본인 『拿破崙史全』 관련 연구의 필요성 등을 차후 과제로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나폴레옹의 국내수용사를 종합하는 동시에 당대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서의 궤적을 함께 고려할 필요성 또한 절감할 수 있었다. Our ultimate objective is to draw up a comprehensive review of Napoleon’s Korean reception betwee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and the 1920s : consider in what circumstances, by whom, for what purpose he was introduced to Korea and take account of his portraits, fruits of this introduction, in relation to his reception in East Asia. This present study is a preparatory step to achieve this objective and we conducted our research two first Korean publications on Napoleon : The biography of Napoleon, serialized in the Hanseongsinbo (1895.11.7∼1896.1.26) and The History of the Napoleonic War I (1908), translated by Yu Min-Sang. We have carefully examined previous studies of both publications and compared some of these translations to examin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each translation. The difference of these two translations are more in para-texts : the first removes not only the preface to the basic text may still add the postface; the second reproduced the preface to the basic text and removes only the last sentence. On these two publications, much is certainly studied, but it still remains to illuminate the basic text of the translation and to reconsider intentions of translator in theirs deletions and additions. Reflect on these questions will be our next research step.

      • KCI등재

        『한성신보』 소재 전계(傳系) 서사물의 역사적 성격

        한국비평문학회 2011 批評文學 Vol.- No.39

        <P>이 연구에서는 친일 기관지 한성신보에 실린 네 편의 서사 작품들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분석한다. 잘 알려진 대로 한성신보에서는 최초로 연재소설이 게재된다. 연재된 소설의 대부분은 고소설의 형태를 그대로 간직한 작품이거나 야담이나 전(傳)과 같은 전대의 서사 양식이 대부분이었다. 연재된 서사 작품들은 대개가 유가 이데올로기를 전형적으로 드러내거나 매우 뒤틀린 여성 인식을 보여주는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 편의 서사 작품(「이소저전」, 「김씨전」, 「이씨전」, 「이정언전」)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탐구하려는 이유는 다른 데 있지 않다. 이들 작품들이 1920년대 이후의 근대 단편 소설의 ‘내면’과 관련하는 측면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P><P> 요컨대 「趙婦人傳 (조부인젼)」과「郭御史傳」이 군국주의 일본이 1890년대 침략의 논리로 차용한 ‘양처현모주의’를 인위적으로 주조한 서사물물이라면, 「李小姐傳」, 「李正言傳」, 「金氏傳」, 「李氏傳」은 ‘성애화, 혹은 관음의 대상’으로만 형상된 식민지의 ‘이지러진 여성(몸)’과 그것을 ‘소비하고, 통제하고, 관리하는’ 남성 가부장주의를 왜곡되게 그려낸 서사물이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처럼 성애화된 여성을 소비하고, 관리하고, 평가하는 ‘술어적 주체(남성)’의 이지러진 내면이나, 또 그러한 대상으로서의 ‘일탈의 여성 인물 형상’이 이 시기 공간된 민족지 계열의 신문 잡지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기에 1920년대의 근대 단편들(횡보의 초기 삼부작이거나 김동인과 이광수 일부 작품에서 드러나는 신여성)에서 뜬금없이 만들어 지는 신여성의 황량한 ‘내면’이 썩 이질적인 것이 아니라면, 그것은 한성신보 소재 전계 서사물이 이러한 내면과 결코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P>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