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99m}Tc$-HMPAO 표지효율에 대한 고찰

        현준호,임현진,김하균,조성욱,김진의,Hyeon, Jun Ho,Lim, Hyeon Jin,Kim, Ha Kyun,Cho, Seong Uk,Kim, Jin Eui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2 핵의학 기술 Vol.16 No.2

        핵의학검사에서 방사성의약품의 표지효율은 검사의 정확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중요하다. 보통 Brain SPECT검사에 사용되는 $^{99m}Tc$-HMPAO는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불순물의 발생이 많아 표지효율의 저하가 나타나기 쉽다. 이에 본 연구는 $^{99m}Tc$-HMPAO의 표지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실험을 통해 $^{99m}Tc$-HMPAO 표지 및 사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Brain SPECT에 사용되는 국산 동아제약의 HMPAO vial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삼영사의 generator 55.5 GBq (1,500 mCi)를 이용하였고, TLC 측정세트(ITLC-SG, butanone, saline, TLC chamber)와 Radio-TLC 스캐너(Bioscan, AR-2000)를 이용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generator에서 1, 8, 16, 24, 28시간 간격을 두고 용출한 $^{99m}Tc$-pertechnetate를 각각 HMPAO와 표지하여 표지효율을 측정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generator에서 용출한 $^{99m}Tc$-pertechnetate를 0, 1, 3, 6시간경과에 따라 1.85GBq (50mCi)/1 ml를 취하여 HMPAO와 표지하여 표지효율을 측정하였다. 세 번째는 $^{99m}Tc$-HMPAO를 표지 후 0, 30분, 3시간, 5시간, 7시간이 경과했을 때 표지효율을 측정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표지효율은 시간 순으로 95.05%, 94.64%, 94.94%, 95.64%, 96.76%로 나타났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94.38%, 94.23%, 93.26%, 91.03%로 나타났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95.76%, 94.17%, 88.19%, 83.6%, 76.86%로 나타났다. 첫 번째 실험에서 generator에서 24시간 후에용출한 $^{99m}Tc$-pertechnetate를 사용 한 표지효율은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다. 추가실험을 통하여 임상에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 실험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표지효율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6시간 이후에도 91% 이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보충실험을 통하여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실험에서 시간이 흐를수록 표지효율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정확한 검사를 위해 표지후 3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된다. Purpose : The labeling efficiency of radiopharmaceuticals in nuclear medicine is important in terms of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examination. Usually $^{99m}Tc$-HMPAO used for brain SPECT scan is chemically unstable since lots of impurities are existing. Therefore, occurrence of loss of labeling efficiency is easy to appear. In this paper, labeling and use of $^{99m}Tc$-HMPAO should be helpful through experiments on factors affecting the labeling efficiency of $^{99m}Tc$-HMPAO. Materials and Methods : Domestic HMPAO vials (Dong-A) used for brain SPECT scan were tested. Domestic Samyeong Generator 55.5 GBq (1,500 mCi), TLC measurement sets (ITLC-SG, butanone, saline, TLC chamber) and radio-TLC scanner (Advantest, Bioscan) were used. In the first experiment, after eluting generator at 1, 8, 16, 24, 28 hours apart, each eluted $^{99m}Tc$-pertechnetate were labeled with HMPAO and the labeling efficiency was measured. In the second experiment, after eluting $^{99m}Tc$-pertechnetate from a generator, $^{99m}Tc$-pertechnetate was drawn at 0, 1, 3, 6 hours. And each drawn $^{99m}Tc$-pertechnetate were labeled with HMPAO for measuring labeling efficiency. In the third experiment, labeling efficiency was measured at 0, 0.5, 3, 5, 7 hours after labeling $^{99m}Tc$-HMPAO. Results : In the first experiment, measured values were appeared 95.05, 94.64, 94.94, 95.64, 96.76% in passing order of time. In the second experiment, measured values were appeared 94.38, 94.23, 93.26, 91.03% in passing order of time. In the third experiment, measured values were appeared 95.76, 94.17, 88.19, 83.6, 76.86% in passing order of time. Conclusion : In the first experiment of this paper, labeling efficiency of $^{99m}Tc$-HMPAO labeled with $^{99m}Tc$-pertechnetate eluted after 24 hours from first elution. Additional experiments will be needed to discuss for usability.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labeling efficiency was slightly decreased in chronological order, but it was measured higher than 90%. Also, additional experiments will be needed to discuss for usability. In the third experiment, the labeling efficiency was decreased considerably. Especially, within 3 hours after the labeling is recommended to use $^{99m}Tc$-HMPAO

      • SCOPUSKCI등재

        99mTc-HMPAO의 광학이성체 d-, l-Form의 합성과 뇌섭취율 비교

        강찬순(Chan Soon Kang),장영수(Young Soo Chang),정재민(Jae Min Jeong),이동수(Dong Soo Lee),정준기(June Key Chung),이강춘(Kang Choon Lee),이명철(Myung Chul Lee) 대한핵의학회 2001 핵의학 분자영상 Vol.35 No.1

        N/A Purpose: 99mTc-HMPAO is a radiopharmaceutical for imaging cerebral blood flow. HMPAO (RR, SS)-4,8- diaza-3,6,6,9-tetramethylundecan-2,10- dione bisoxime) has three stereoismers such as, meso-, d-, and l-HMPAO. Techentium complexes of meso-HMPAO and d,l-HMPAO are known to have different in vivo brain uptakes. In this study, enantiomers of HMPAO (d-HMPAO and l-HMPAO) were separated from d,l-HMPAO. These enantiomers were labeled with 99mTc and the biodistribution studies were performed in mice. Materials and Methods: An intermediate imine product was produced from 2,3-butanedione monooxime and 2,2-dimethyl- 1,3-propanediamine (54% yield) and was reduced into a mixture of three isomers (35% yield). The meso-isomer was separated from d,l-mixture by repeated fractional crystallization (11% yield). The d- and l-enantiomers were subsequently separated by co-crystallization with optical isomers of tartaric acid (25% and 5% yield, respectively). Each enantiomeric HMPAO was labeled with 99mTc by reacting with SnCl2·2H2O and 99mTc-pertechnetate. Biodistribution study was performed 1 hr after tail vein injection to ICR mice. Results: Radiochemical purities of each compound were over 80%. In biodistribution study, the brain uptakes of d,l- d- and l-form were 1.34, 1.12 and 1.67% ID/g, respectively. In case of l-Isomer the brain uptake was higher (1.5 fold) than d-isomer. Conclusion: We successfully purified each enantiomeric HMPAO. In biodistribution study of stereoismers of 99mTc-HMPAO in mice, l-HMPAO may show better brain image than d,l-HMPAO which was supplied in a commercial kit. (Korean J Nucl Med 2001;35:69-74)

      • 뇌혈류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 영상 품질 향상에 대한 연구

        길상형,임영현,박광열,조성묵,Kil, Sang-Hyeong,Lim, Yung-Hyun,Park, Gwang-Yeol,Cho, Seong-Mook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9 핵의학 기술 Vol.23 No.2

        뇌혈류 영상용 방사성의약품 Tc-99m HMPAO는 방사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중간산물 때문에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불순물 생성이 많아 표지효율 저하가 나타나기 쉽다. 과산화테크네슘(free pertechnetate)은 뇌혈류장벽을 통과하지 못하고 침샘과 구강 점막에 집적되며, 불순물이 제거되지 않으면 영상 품질이 저하되어 시각적 평가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Tc-99m HMPAO를 이용한 뇌혈류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brain perfusion SPECT)에서 타액분비촉진제(sialogogues) 투여가 침샘 및 구강 점막에 집적된 불순물을 줄여 영상 품질 향상에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혈류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을 시행한 환자 중 연구에 동의한 30명을 대상으로 침샘 섭취계수(uptake coefficient)와 뇌혈류 영상을 비교 분석 하였다. 방사성의약품 Tc-99m HMPAO 555 MBq을 투여 후 기저(basal) 두 경부 전면 영상과 뇌혈류 투사상(projection view)을 획득하였다. 타액분비촉진제 구연산(citric acid)을 사용하여 침샘을 자극시킨 후 기저영상 획득 방법과 동일하게 침샘 자극 후 영상(post-citric acid image)을 얻었다. Siemens사의 영상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좌 우 침샘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한 다음 타액분비촉진제 투여 전 후 침샘 섭취계수의 평균차이를 분석(paired t-test)하였으며, 뇌혈류 영상 비교는 획득한 투사상을 반복적재구성(iterative reconstruction) 방법으로 영상을 재구성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두 경부 전면 영상의 침샘 섭취계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구연산 투여 전 섭취계수의 평균값은 $12900{\pm}3101$, 투여 후 섭취계수의 평균값은 $10677{\pm}2742$였다. 타액분비촉진제 투여 후 불순물이 많이 감소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t = 10.78, P < 0.05). 뇌혈류 영상을 비교 한 결과 침샘과 구강점막에 집적되었던 불순물이 제거되어 이미지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다. 타액분비촉진제를 투여하면 침샘 및 구강 점막에 집적된 불필요한 불순물이 제거되어, 생리적 섭취에 따른 영상 품질저하를 줄일 수 있어 정확한 뇌혈류 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Tc-99m HMPAO is widely used radiopharmaceutical for brain perfusion SPECT. Tc-99m HMPAO is chemically unstable and is liable to show deterioration of labeling efficiency due to high incidence of secondary Tc-99m HMPAO complex, free pertechnetate and reduced-hydrolyzed Tc-99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sialogogues administration could reduce the impurities of Tc-99m HMPAO. Materials and Methods In thirty subjects(20 male and 10 female, age range 19~89 years, mean age $60.7{\pm}14.5years$), brain perfusion SPECT were performed at basal and citric acid stimulation states consecutively after injection of 555 MBq of Tc-99m HMPAO. In the salivary glands, the uptake coefficient was calculated using Siemens processing program. Statistical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itric acid stimulation performed paired t-test. P value less than 0.05 was regard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alivary glands uptake was $12900{\pm}3101$ counts in basal and $10677{\pm}2742$ counts in citric acid stimulation states. Unnecessary impurities in the body is much decreased after citric acid administration(t=10.78, P<0.05). The image quality was much improved after administration of citric acid and the regional cerebral perfusion was clearly from demarcated the background. Conclusion The impurity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body particularly in the salivary glands and nasal mucosa when Tc-99m HMPAO brain perfusion SPECT is performed. If this impurities is not removed, the quality of the image may deteriorate, resulting in errors in visual evaluation. The use of sialogogues could be helpful for decreasing unnecessary impurities in the body.

      • Tc-99m HMPAO Brain SPECT for ischemic strokes

        Yum, Ha Yong 고신대학교 의학부 1991 高神大學校 醫學部 論文集 Vol.7 No.1

        Tc-99m HMPAO Brain SPECT의 장점은 핵의약품인 HMPAO을 항시 보관하고 있으면 모든 핵의학 laboratory에서 필요시 언제든지 labelling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또 Tc-99m의 favorable physical character 때문에 high quality, high resolution imaging을 얻을 수 있다는데 있다. Control group으로서 8명의 nonischemic neurologic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와 15명의 neurosis환자를 택했으며 ischemic stroke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Tc-99m HMPAO Brain SPECT slice image에서 양측을 비교하여 얼마만큼의 activity count의 저하(decrease % of activity : DPA)가 ischemic stroke을 진단하는데 필수적인가를 관찰하였다. Control group 중에서 nonischemic neurologic symptoms을 호소하는 환자군에서는 DPA가 5.7±4.14%(mena±s.d.)였고 neurosis 환자에서는 DPA가 10.3±2.3%(mean±s.d.)였다. 이상과 같이 DPA 15% 이상에서는 abnormal DPA(정상 DPA±2 s.d. 이상)로 간주하였다. 모든 ischemic stroke환자는 DPA 15% 이상을 나타내어 ischemic stroke의 진단율은 100%이다. DPA 20% 이상을 ischemic stroke을 진단하는 기준 DPA로 간주하는 것이 적당한 것을 발견하였으며 TIA인 경우에는 임상적인 정보와 종합하여 DPA 15% 이상인 것을 진단의 기준으로 삼는 것이 좋지만 nonischemic disorder인 dehydration, cerebral atrophy, neuropsychiatric disorder 및 subarachnoid hemorrhage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vascular spasm 등의 가능성도 생각해야만 할 것이다. Complete stroke인 경우에는 대부분 DPA 30% 이상을 나타내며 DPA 30% 이상일 때는 진단된 ischemic stroke는 complete stroke인 것을 발견하였다. (예건을 90%) 그래서 DPA 30% 이상은 ischemic stroke 환자의 예후판단에 임계점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Complete stroke이 Brain atrophy와 동반되어 있을 때 특히 Brain atrophy가 오래전부터 계속 반복되는 ischemic strokes에 의해서 나타낼 때는 ischemic stroke에 의한 hypoperfusion이 뚜렷하지 않고 낮은 DPA을 나타내었다. 그 이유는 반대쪽 혹은 주위 뇌조직의 atrophy때문에 뇌혈류의 저하와 atrophy된 뇌조직의 glutatione의 양의 감소 때문에 HMPAO의 분포저하를 나타내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Tc-99m HMPAO Brain SPECT는 뇌의 허혈성 혈관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다른 진단 방법인 X선 전산단층촬영술(X-raya CT)와 뇌혈관조영술(invasive digital angiography)과 비교하여 훨씬 우수한 것을 발견하였으며 X-ray CT의 진단율은 46.4%였고 invasive digital angiography의 진단율은 58.8%였다. Major advantage of Tc-99m HMPAO SPECT was easy availability at every Nuclear Medicine laboratories and high quality of images by many favorable character of Tc-99m labeled agent. 8 patients of non ischemic neurologic disorders and 15 patients of neurosis as controls and 38 patients of ischemic strokes were studied for how much decrease % of activity (DPA) is abnormal for ischemic strokes. Mean DPA of neurologic control compared to contralateral side was 5.7±4.14% and mean DPA of neurotic control patients was 10.3±2.3% . Higher than DPA 15% was counted as abnormal ( above mean value+2 s.d.) Detection sensitivity of ischemic strokes was 100%. DPA more than 20% was adequate for prediction of ischemic strokes with acceptable false negative rate and DPA more than 15% for TIA with expected higher false positive rate. DPA more than 30% was prone to be complete strokes (prediction 90%) and would be critical level for prospect of prognosis. The complete strokes with cerebral atrophy and/or by old infarcts were prone to show the hypoperfusion less contrast to have DPA less than 20%. Tc-99m HMPAO SPECT was found to have much superiority in detection of ischemic strokes, compared to XCT ( detection rate : 46.4%) and invasive digital angiography ( detection rate : 58.8%).

      • SCOPUSKCI등재

        99mTc DTPA와 99mTc HMPAO를 이용한 뇌사결정

        박석희(Seog Hee Park),박용휘(Yong Whee Bahk),김춘열(Choon Yul Kim),정수교(Soo Kyo Chung),신경섭(Kyung Sub Shinn),이성용(Sung Yong Lee),김성훈(Sung Hoon Kim),양우진(Woo Jin Yang),손형선(Hyung Sun Sohn),김종규(Jong Kyu Kim) 대한핵의학회 1995 핵의학 분자영상 Vol.29 No.1

        N/A To evaluate availability of cerebral radionuclide imaging for diagnosis of brain death, we examined 25 patients with a suspected clinical diagnosis of brain death. 8 patients were studied by Tc-99m-DTPA and 15 patients were by Tc-99m-HMPAO (Hexamethyl propyleneamine oxime). Seven patients with Tc-99M-DTPA studies revealed absence of cerebral blood flow and sagittal sinus activity. All of 15 patients with Tc-99m-HMPAO studies revealed complete absence of cerebral perfusion. The results of the cerebral radionuclide studies of brain death correlated with other clinical conditions, such as intracranial pressure(ICP), EEG, transcranial doppler sono- graphy(TCDS), and neurologic examination. The ICP of 8 patients, who are confirmed by brain death with Tc-99m-HMPAO study are elevated in all cases. In conclusion, cerebral radionuclide imaging for diagnosis of brain death is available. Tc-99m-HMPAO imaging is unequivocal, easily interpreted, well reflect the physiologic state of increased ICP, and provides adequate assessment of posterior fossa activity. In addition, the SPECT imaging with Tc-99m-HMPAO produces more accurate results due to it's superiority of image contrast and proper localization of radiopharmaceutical distribution than conventional planar imaging.

      • KCI등재

        Optimization of Correction Factor for Linearization with Tc-99m HM PAO and Tc-99m ECD Brain SPECT

        Won, Kyu Chang,Watabe, Hiroshi,Kume, Norihiko,Lee, Hyoung Woo,Hayashida, Kohei,Cho, Ihn Ho,Uyama, Chikao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9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6 No.2

        연구목적: ^(99m)Tc d,l-hexamethylpropyleneamine oxime(HMPAO)와 ^99mTc ethyl cysteinate dimer(ECD)의 뇌세포에 의한 섭취는 뇌혈류량에 비례를 한다. 그러나 뇌혈류량이 아주 높은 경우에는 뇌세포에 의한 섭취가 그 만큼 증가를 하지 않기 때문에 뇌혈류량이 과소평가 될 수 있다. 이를 보안하기 위하여 Lassen이 linearization algorithm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 방정식은 뇌의 상태에 따라 사용되는 알파값으로 표현되는 변수가 변할 수 있다. 저자들은 뇌경색이 있는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가장 적절한 α값을 구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0명의 환자들은 모두 0.1에서 10까지의 알파값을 이용하여 교정한 ^99mTc-HMPAO와 ^(99m)Tc ECD 뇌관류 단일광자방출 단층촬영(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영상을 구하고,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로 뇌혈류영상을 구하였다. 그리고 상호정보의 최대화에 의한 multi-modal volume registration을 이용하는 컴퓨터프로그램으로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로 구한 뇌혈류와 SPECT 영상에서 다양한 알파값을 대입하여 Lassen의 linearization algorithm으로 구한 뇌혈류값을 픽셀단위로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Lassen의 linearization algorithm을 이용하여 구한 ^(99m)TC-HMPAO와 ^99mTC-ECD 뇌관류 SPECT의 국소 뇌혈류량은 알파값이 각각 1.4와 2.1일때 양전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술로 구한 뇌혈류량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결론: Lassen의 linearization algorithm을 이용하여 뇌혈류량을 정량화하는 경우에는 ^99mTC-HMPAO의 경우는 1.4, ^(99m)TC-ECD의 경우는 2.1을 사용할 때 뇌혈류량을 가장 잘 반영할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Different Uptake of Tc-99m ECD and Tc-99m HMPAO in the Normal Brains : Analysis by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통계적 파라미터 지도를 사용한 분석

        Kim, Euy Neyng,Jung, Yong An,Sohn, Hyung Sun,Kim, Sung Hoon,Yoo, Ie Ryung,Chung, Soo Kyo 대한핵의학회 2002 핵의학 분자영상 Vol.36 No.4

        목적: 이번 연구는 두 명의 경험 있는 핵의학과 의사에 의하여 정상이라고 판독된 뇌 혈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사용한 방사성의약품에 따라 혈류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 파라미터 지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정상이라고 판독된 뇌 혈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53 증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중 32증례는 Tc-99m ECD를 방사성의약품으로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21 증례는 Tc-99cm HMPAO를 방사성의약품으로 사용하여 획득한 영상이었다. 모든 뇌 혈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은 통계적 파라미터 지도 분석에 적합하도록 미리 표준화 시킨 후 분석을 시행하였고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두 그룹간에 corrected P value가 0.05 이하인 경우에 서로 의미 있는 차이라고 해석하였다. 결과: 정상으로 판독된 뇌 혈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중에서도 방사성의약품을 어느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분명한 혈류 분포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Tc-99m ECD를 사용한 뇌 혈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에서는 Tc-99m HMPAO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 전두엽, 측두엽, 후두엽, 기저핵, 시상 및 소뇌의 상부 등 광범위한 부위에서 높은 혈류분포를 보였으며 반대로 Tc-99m HMPAO를 방사성의약품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Tc-99m ECD를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전두엽의 피질하 부위, 측두엽 일부 및 소뇌의 하부 등 국소적인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증가된 혈류분포가 관찰되었다. 결론: 통계적 파라미터 지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본 결과 정상으로 판독된 뇌 혈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에서 사용된 방사성의약품에 따라 유의한 혈류분포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뇌 혈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어떠한 방사성 의약품을 사용하였는가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대한핵의학회지 2002;36;244-54)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지능 저하를 동반한 두부외상 환자에서 뇌혈류 및 혈류예비능의 변화

        송호천(Ho Chun Song),범희승(Hee Seung Rom) 대한핵의학회 2000 핵의학 분자영상 Vol.34 No.3

        N/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lteration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CBF) and cerebrovascular reserve (CVR), and correlation between these alternations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traumatic brain injury (TRI) and normal brain MRI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TBI patients and 19 healthy volunteers underwen1 rest/acerazolamide brain SPECT using Tc-99m HMPAO.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test was also performed in the patient group.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oftware (SPM97), Results: CBF was diminished in the left hemisphere including Wernicke's area in all patients with lower verbal scale scores. In addition, a reduction in CBF in the right frontal, temporal and parietal cortices was related with depressed scores in information, digital span, arithmetic and similarities, In patients with lower performance scale scores. CBF was mainly diminished in the right hemisphere including superior temporal and supramarginal gyri, premotor, primary somatomotor and a port of prefrontal cortices, left frontal lobe and supramarginal gyrus. CVR was diminished in sixty-four Brodmann's areas compared to control. A reduction in CVR was demonstrated bilaterally in the frontal and temporal Iobes in patients with lower scores in both verbal and performance tests, and in addition, both inferior parietal and occipital lobes in information subset. Conclusion: Alterations of CBF and CVR were demonstrated in the symptomatic TBI patients with normal MRI finding. These alterations were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intelligence, of which the complex functions are subserved by multiple interconnected cortical structures. (Korean J Nucl Med 2000;34:183-98)

      • $^{99m}Tc$-HMPAO 뇌혈류 SPECT 검사 시 환자에 따른 뇌조직 추출률에 대한 고찰

        김화산,이동호,안병필,김현기,정진영,이형남,김정호,Kim, Hwa-San,Lee, Dong-Ho,Ahn, Byeong-Pil,Kim, Hyun-Ki,Jung, Jin-Yung,Lee, Hyung-Nam,Kim, Jung-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2 핵의학 기술 Vol.16 No.1

        Purpose: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patients treated with chemically stable radiopharmaceutical product $^{99m}Tc$-HMPAO (d,l-hexamethylpropylene amine oxime) which yielded reduced image quality due to a decreased brain extraction rate. $^{99m}Tc$-HMPAO will be examined further to determine whether this product may be accounted as a factor for this cause. Material and Methods: From January 2010 until December 2010, out of 272 patients who were all subjected to $^{99m}Tc$-HMPAO brain blood flow SPECT scans resulting from Cerebral Infarction; 23 patients(ages $55.3{\pm}9$, 21 males, 3 females) with decreased tissue extraction rate were examined in detail. The radiopharmaceutical product $^{99m}Tc$-HMPAO was used on patients with normal brain tissue exchange rate as well as those with reduced rate in order to prove its' chemical stability. The patients' age, sex, blood pressure, existence of diabetes, drug use, current health status, known side effects from CT/MRI, examination of the patients' past SPECT before/after images were accounted to determine the factors and correlations affecting the rate of blood tissue extractions. Result: After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no unusual correlations between the 6 factors excluding sex, and before/after examination images. Male subjects showed reduced brain tissue extraction rate than the females ($p$ > 0.05) 91.3% male, 8.7% female.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was used on the before/after images which yielded a value of 0.06, which did not indicate a significant amount of difference on the 2 tests ($p$ > 0.05). As a result, the before/after images indicated similar brain tissue extraction rates, and there were variation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patient. Conclusion: The effects of the chemically stable radiopharmaceutical product $^{99m}Tc$-HMPAO depended on the pati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tatus, therefore was considered to be a factor in reducing brain tissue extraction rate. The related articles of $^{99m}Tc$-HMPAO cerebral blood flow SPECT speculates a cerebrovascular disease and factors resulting from portal veins, and it was not possible to pin point the exact cause of decreasing brain tissue extraction rate. However, the $^{99m}Tc$-HMPAO cerebral blood flow SPECT scan proved to be extremely useful in tracking and inspecting brain diseases, as well as offering accurate results from patients suffering from reduced brain tissue extraction rates. [목적] 본 연구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99m}Tc$-HMPAO (d, l-hexamethylpropylene amine oxime) 방사성 의약품을 사용한 환자 가운데 뇌조직 추출률이 떨어져 영상의 질이 저하되었던 환자를 대상으로 $^{99m}Tc$-HMPAO 방사성 의약품 외의 요인으로 뇌조직 추출률에 변화가 일어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대뇌경색(Cerebral infarction, CI)에 의한 $^{99m}Tc$-HMPAO 뇌혈류 SPE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272명 가운데 뇌조직 추출률이 떨어졌던 환자 23명(연령 $55.3{\pm}9$세, 남 21명, 여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정상 뇌조직 추출률을 보인 환자와 검사를 동시에 진행하여 같은 $^{99m}Tc$-HMPAO 방사성의약품을 사용함으로써 화학적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대상환자의 연령, 성별, 혈압, 당뇨 수치, 검사 시 사용 약물, 검사시 환자상태, 과거 검사 시 CT/MRI 조영제 부작용 이력, 과거 SPECT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전과 후 검사 영상을 비교하여 뇌조직 추출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의 결과, 성별 및 전, 후 검사 영상을 제외한 6가지 사항에서는 특이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p$>0.05). 남성 91.3%, 여성 8.7%로 남성이 여성보다 뇌조직 추출률이 떨어졌다고 보인다. 비모수 검증을 이용한 전과 후 검사 영상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결과적으로 전과 후 검사 영상에서 비슷한 뇌조직 추출률을 나타냈으며 환자 개인에 따라 뇌조직 추출률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화학적으로 안정된 $^{99m}Tc$-HMPAO 방사성 의약품의 사용도 환자의 개인적인 특성 및 체질에 따라서 뇌조직 추출률이 떨어지는 유의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앞선 $^{99m}Tc$-HMPAO 뇌혈류 SPECT 관련 논문을 참고할 때 뇌혈관 질환 중 측부 순환로에 의한 요인이 추측되지만, 환자에 따라 뇌조직 추출률이 떨어지는 정확한 요인은 알 수 없었다. 그러나 $^{99m}Tc$-HMPAO SPECT 검사가 뇌질환에 따른 경과 추적에 유용한 검사이며 추적 검사 시 뇌조직 추출률이 떨어지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검사에 반영하여 정확한 검사와 판독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