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야불교와 파사석탑

        조원영 ( Jo¸ One-young ) 부경역사연구소 2021 지역과 역사 Vol.- No.48

        본 논문은 가야불교의 전래 시기와 전래된 불교의 성격, 그리고 허왕후가 가지고 왔다고 전하는 파사석탑이 가야의 불교 전래와 관련이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작성되었다. 가야불교에 대한 자료로는 『삼국유사』에 전하는 단편적 내용뿐이며 그 외에는 대부분 김해지역에 전승되는 자료들에 한정된다. 그중에서 가야불교와 관련된 전승 자료를 살펴보면 대체로 가야에 불교가 전래될 당시의 사정을 알려주는 내용이라기보다는 가야인들에게 불교가 일반화되어 있던 시대를 반영하고 있어 가야불교 전래 시기를 증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가야에 전래된 불교의 성격에 대해서는 질지왕대 왕후사 창건을 통해 국가불교 또는 왕실불교로 보고 있다. 전래된 불교의 성격이 국가불교라고 한다면 가야 불교는 남방에서 전래된 것이 아니라 중국을 거쳐서 전래되었다는 점이 명확해진다. 가야불교 전래와 관련 짓는 아유타국과 허왕후의 정체는 단언할 수는 없으나 허왕후와 그 일행이 모두 중국식 이름이라는 것과 중국식 관직명을 갖고 있다는 점, 가지고 온 물건도 ‘중국 점포의 여러 물건’으로 표현한 점 등에서 인도와 관련 짓기는 어려운 듯하다. 아마도 아유타국과 허왕후 관련 설화는 후대의 불교적 윤색을 거쳐 불교를 전해준 인도의 어느 지역, 인물로 묘사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가야에 불교가 전래된 증거로 알려진 파사석탑과 관련된 내용이 실려있는 『삼국유사』 ‘금관성파사석탑’조를 살펴보면 수로왕대에는 가야에 창사·봉불하는 일이 없었는데 그 이유는 불교가 전래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가락국 초기에는 불교가 전래되지 않았다고 명확하게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가야에 불교가 공인된 시점은 왕후사가 창건된 질지왕 2년(452) 전후이며, 불교가 처음 전래된 시기는 그보다 좀 더 이른 백제와의 외교 교섭이 활발했던 시점으로 보는 것이 설득력이 있다고 본다. 허왕후가 가야로 올 때 가져왔다고 전하는 파사석탑은 그 시기에 제작된 인도의 불탑 양식이 아니므로 인도에서 전래된 탑은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탑 부재의 표면에 새겨진 문양이 많이 마멸되긴 했지만 다포형식의 공포를 표현하고 있다는 점은 이 탑이 우리나라에 다포형식의 공포가 전해진 원 간섭기 전후에 조성된 고려시대 석탑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examine the history of Gaya Buddhism, the nature of Buddhism that was introduced, and whether the Pasa Stone Stūpa, which was said to have been brought by Queen Heo, was related to Gaya's Buddhist tradition. The data on Gaya Buddhism is only a piece of material handed down to the "Samguk Yusa" and is limited to most other materials handed down to the Gimhae region. Among them, if you look at the historical data related to Gaya Buddhism,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period of Gaya Buddhism as it reflects the generalization of Buddhism to Gaya people rather than the fact that Buddhism was introduced to Gaya. As for the nature of Buddhism that was introduced to Gaya, it is regarded as national or royal Buddhism through the creation of the Royal Preceptor of the King Jiilji, the period when Gaya Buddhism was recognized. If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m are national Buddhism, it is clear that Gaya Buddhism was not introduced from the south, but from China. The identity of Ayuttha and Queen Heo, which are related to the tradition of Gaya Buddhism, cannot be asserted, but it seems difficult to build India in terms of the fact that Heo and her party both have Chinese names, Chinese government names, and the items they brought. Perhaps the tales related to Ayuttha and Queen Heo were depicted in some part of India, where Buddhism was transmitted through later Buddhist embellishments. According to the "Samguk Yusa" ‘GeumgwanSeong Pasa Stone Stūpa’, which contains evidence of Buddhism transfer in Gaya, King Suro clearly states that Buddhism was not introduced in Gaya at the beginning of the Garak Kingdom. Therefore, Buddhism was recognized in Gaya around the 2nd year of King Zilji (452), and it is convincing that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earlier than that of Baekje. The Pasa Stone Stūpa, which was said to have been brought by Queen Heo when she came to Gaya, was not a type of Indian stūpa produced at that time, so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from India. Although many of the remain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 stūpa are worn out, the fact that it expresses fear in the form of polymorphism suggests that this stūpa was built before and after the interference period.

      • KCI등재후보

        ‘가야’(Gaya) 명칭의 어원(語源)과 가야불교의 시원(始原)

        고영섭 ( Ko Young-seop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7 한국불교사연구 Vol.12 No.-

        이 논문은 한국 고대사에서 삼국에 맞섰던 ‘가야’(Gaya)의 명칭과 가야불교의 시원에 대해 탐구한 글이다. 한반도 남부에 자리했던 가야는 고구려와 백제와 신라에 맞서며 왜국까지 경략하였던 제4의 제국이었다. 수로왕은 붓다의 성도지이자 우리의 영원한 고향인 ‘부다(보드)가야’를 의식하여 나라 이름을 불교식 국명인 ‘가야국’ 혹은 ‘대가락’(가락은 가야의 이명)으로 정하였다. 나아가 수로왕은 가야의 새로운 왕성터를 ‘십육 나한이 살만한 곳’이자 ‘일곱 성인이 살만한 곳’이라는 불교적 왕성 비정을 통해 국제적으로 앞선 선진문물인 불교의 이념에 의해 나라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수로왕이 대륙에서 서해를 건너온 서기 42년은 가야국의 건국 해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왕에 의해 법제적으로 공인된 가야불교의 시원년이기도 하다. 수로왕의 8대손인 질지왕은 수로왕의 뜻을 받들어 대왕사와 왕후사를 건립함으로써 불교 공인을 재천명 하였고 재확인 하였다. 이후 가야는 불교의 이념에 의해 나라를 통치하면서도 철기문화와 조선(造船)기술을 주축으로 대륙과 해양과 교역하여 고구려와 백제 및 신라에 필적하는 사국시대를 안착시켰다. 그리하여 전기의 금관가야 및 아라가야와 철기문화를 기반으로 반도와 대륙과 교역하였던 후기의 대가야는 고대의 한일 및 한중 관계사에서 매우 주요한 족적을 남겼다. 따라서 전기의 금관가야와 아라가야 및 후기의 대가야는 가야제국을 주도한 나라였다는 점에서 이들 나라에 대한 통합적 이해가 필요하며, 이들의 정신문화를 꽃피웠던 불교의 전래와 문화에 대한 종합적 이해도 요청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tymology of the name of the country Gaya and the origin of Gayan Buddhism. Gaya, a country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one of the Four Kingdoms, not only equally competitive with other three kingdoms but also strong enough to invade Japan. King Suro named the country “Gaya,” or “Great Gaya,” after Buddha Gaya where Buddha attained enlightenment, and thus became the spiritual home of Buddhists. King Suro called the new palace site of Gaya both “a place where 16 arhats will live” and “a place where 7 saints will live.” By presenting such a Buddhistic view of the name of the new palace site, he showed his intention to build a country that would be ruled based on Buddhist ideology, which was considered an advance in civilization from the international point of view. For this reason, the year AD 42, when King Suro arrived at Gaya by sailing the West Sea, was both the year of the founding of the country and the first year of Gayan Buddhism. King Suro’s eighth-generation descendant, King Jilji, reconfirmed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by founding the Daewang and Wanghu temples. After that, Gaya was ruled based on Buddhist ideology while focusing on advanced culture such as iron technology and shipbuilding, which led the country to expand its trade range overseas. As a result, Gaya opened the Period of the Four Kingdoms by becoming a country equally competent to the other three kingdoms, Koguryo, Baekje, and Shilla. Thus, Golden Crown Gaya as well as Ara Gaya of the early Gaya period and Great Gaya of the latter Gaya period, which carried on commerce with mainland China, left a very important imprint on the ancient history of Gaya in terms of relations amo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These were the major Gaya kingdoms. Therefor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se kingdoms is required as well as a more synthetic understanding of the reception and development of Buddhism, which was their spiritual culture.

      • KCI등재

        가야불교 전래 관련 쟁점 재검토― 『삼국유사』에 언급된 불교용어와 음역어(音譯語)를 중심으로

        황정일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1 No.-

        Ever since it was mentioned in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Gaya, the name of an ancient Korean kingdom, has been the center of controversy over the issues of whether it actually existed or not, and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Korean peninsular.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Buddhism, the state name of Garak(駕洛), Ayuta(阿踰陀) from which region Buddhism was said to be imported to ancient Korea, and the connection time have been controversial. To explore these issu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transliter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to define the truth or falsehood of Gaya Buddhist mentioned in Samgukyus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below. First,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Gaya state name include 1) the Buddhist name place known as Buddha-Gayā in India, 2) Gaya's fish worship faith since Gaya means fish in South Indian Dravidian, and 3) Korean phonological change. However, this writer explored Samgukyusa's Eosanbulyeong(魚山佛影) tale and corresponding transliterations, finding that the word Gaya came from nagarahāra mentioned as Nageragal(那揭羅曷). In particular, this place was found to have been a trade hub connecting the West and East in ancient times, and part of Gandhara from which region Buddhist scriptures and images were brought to China. Second, with regard to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origin from which Buddhism was brought to Gaya, which include 1) Ayuta(阿踰陀) was an imaginary city created after Rāmāyana and 2) South India in relation to South India's fish worship faith, this writer complemented the existing theories and saw the area as an actual city in the middle and north region in ancient India. Third, with regard to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attention was paid to ‘Sanggyo(像敎)’ mentioned in Samgukyusa's PasaSeokdap(婆娑石塔). Apart from the general understanding or interpretation of ‘Sanggyo=Buddhism’, if the word Sanggyo is originally meant as Buddha image and Buddha teaching, it can be translated as being unable to build temples due to the absence of Buddha image and Buddhist scriptures. In other words, if this interpretation is allowed,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can be traced back to the early founding time of Gaya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of Sanggyo. 가야는 『삼국유사』에서 언급된 이후 그 역사성과 더불어 불교 전래와 관련해서 끊임없이 그 진위가 문제시되고 있다. 특히, 불교와 관련해서는 ‘가락(駕洛)’이라는 국명(國名)과 아유타(阿踰陀)라는 전래 지역, 그리고 그 전래 시기가 문제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문제들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불전(佛典)의 음역어(音譯語)를 추적함으로써 『삼국유사』에서의 가야불교와 관련한 진위를 논구했다. 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야의 국명과 관련한 기존의 주장은 1) 인도의 붓다-가야(Buddha-Gayā)라는 불교적 지명에 근거한 주장, 2) 남인도 드라비다어에서 ‘가야’가 물고기를 뜻하기 때문에 가야 지역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되었다는 주장, 3) 고대 한국어의 음운변화(音韻變化)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 등이 있었다. 그러나 『삼국유사』 「어산불영」의 내용과 그 음역어를 추적한 결과, 가야의 원어는 나게라갈(那揭羅曷)에 해당하는 nagarahāra에서 유래한 것으로 논구했다. 특히, 이곳은 과거 동서양을 잇는 교역지였으며, 불경과 불상이 중국으로 전해졌던 간다라(Gandhara) 지역의 일부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야불교의 전래 지역과 관련해서 1) 아유타(阿踰陀)는 『라마야나』 이후 만들어진 가상의 도시라는 허구설과, 2) 남인도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한 남인도 출자설 등에 대해서는 논자의 기존 연구를 보완해서 고대 인도 중북부 지역에 실존했던 도시로 보았다. 셋째, 가야불교 전래 시기와 관련해서는 『삼국유사』 「파사석탑」에서 언급된 ‘상교(像敎)’라는 말에 주목했다. ‘상교 = 불교’로 이해하는 일반적 해석이 아니라, 상교라는 단어의 본래 뜻인 불상과 교법으로 해석해 보면, ‘상교’가 나오는 구절을 ‘불상과 경전이 없어서 절을 짓지 못했다’로 번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해석이 가능하다면, 가야불교의 전래 시기는 가야 성립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

        가야불교 전래 관련 쟁점 재검토

        황정일(Hwang, Jung Il)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1 No.-

        가야는「삼국유사」에서 언급된 이후 그 역사성과 더불어 불교 전래와 관련해서 끊임없이 그 진위가 문제시되고 있다. 특히, 불교와 관련해서는 ‘가락(駕洛)’이라는 국명(國名)과 아유타(阿踰陀)라는 전래 지역, 그리고 그 전래 시기가 문제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문제들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불전(佛典)의 음역어(音譯語)를 추적함으로써「삼국유사」에서의 가야불교와 관련한 진위를 논구했다. 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야의 국명과 관련한 기존의 주장은 1) 인도의 붓다-가야 (Buddha-Gaya)라는 불교적 지명에 근거한 주장, 2) 남인도 드라비다어 에서 ‘가야’가 물고기를 뜻하기 때문에 가야 지역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되었다는 주장, 3) 고대 한국어의 음운변화(音韻變化)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 등이 있었다. 그러나 「삼국유사」「어산불영」의 내용과 그 음역어를 추적한 결과, 가야의 원어는 나게라갈(那揭羅曷)에 해당하는 nagarahara에서 유래한 것으로 논구했다. 특히, 이곳은 과거 동서양을 잇는 교역지였으며, 불경과 불상이 중국으로 전해졌던 간다라 (Gandhara) 지역의 일부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야불교의 전래 지역과 관련해서 1) 아유타(阿踰陀)는「라마야나」이후 만들어진 가상의 도시라는 허구설과, 2) 남인도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한 남인도 출자설 등에 대해서는 논자의 기존 연구를 보완해서 고대 인도 중북부 지역에 실존했던 도시로 보았다. 셋째, 가야불교 전래 시기와 관련해서는 「삼국유사」「파사석탑」에서 언급된 ‘상교(像敎)’라는 말에 주목했다. ‘상교=불교’로 이해하는 일반적 해석이 아니라, 상교라는 단어의 본래 뜻인 불상과 교법으로 해석해 보면, ‘상교’ 가 나오는 구절을 ‘불상과 경전이 없어서 절을 짓지 못했다’로 번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해석이 가능하다면, 가야불교의 전래 시기는 가야 성립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보았다. Ever since it was mentioned in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Gaya, the name of an ancient Korean kingdom, has been the center of controversy over the issues of whether it actually existed or not, and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Korean peninsular.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Buddhism, the state name of Garak(駕洛), Ayuta(阿踰陀) from which region Buddhism was said to be imported to ancient Korea, and the connection time have been controversial. To explore these issu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transliter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to define the truth or falsehood of Gaya Buddhist mentioned in Samgukyus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below. First,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Gaya state name include 1) the Buddhist name place known as Buddha-Gaya in India, 2) Gaya s fish worship faith since Gaya means fish in South Indian Dravidian, and 3) Korean phonological change. However, this writer explored Samgukyusa s Eosanbulyeong(魚山佛影) tale and corresponding transliterations, finding that the word Gaya came from nagarahara mentioned as Nageragal(那揭羅曷). In particular, this place was found to have been a trade hub connecting the West and East in ancient times, and part of Gandhara from which region Buddhist scriptures and images were brought to China. Second, with regard to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origin from which Buddhism was brought to Gaya, which include 1) Ayuta(阿踰陀) was an imaginary city created after Ramayana and 2) South India in relation to South India s fish worship faith, this writer complemented the existing theories and saw the area as an actual city in the middle and north region in ancient India. Third, with regard to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attention was paid to ‘Sanggyo(像敎)’ mentioned in Samgukyusa s PasaSeokdap(婆娑石塔). Apart from the general understanding or interpretation of ‘Sanggyo=Buddhism’, if the word Sanggyo is originally meant as Buddha image and Buddha teaching, it can be translated as being unable to build temples due to the absence of Buddha image and Buddhist scriptures. In other words, if this interpretation is allowed,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can be traced back to the early founding time of Gaya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of Sanggyo.

      • KCI등재

        가야(加耶) 각국(各國)의 불교 관련자료 검토

        백승옥 ( Beack Seoung-o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3

        한반도에 불교가 전래된 시기는 4세기 말 5세기 초로 볼 수 있다. 高句麗, 百濟, 新羅의 경우는 문헌기록 등을 통해 볼 때 확인된다. 삼국과 더불어 한반도 남쪽에 존재했던 가야의 경우도 『三國遺事』의 「駕洛國記」 등의 내용에 불교 전래의 모습이 있다. 기록을 그대로 신빙한다면 기원 후 48년에 南加羅에 불교가 전래된 것이 된다. 그러나 「가락국기」는 설화적 요소가 복잡하게 섞여 있어서 그대로 믿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가야 각국들 가운데 불교 관련 사료나 유물이 보이는 나라들을 중심으로 불교의 전래 시기와 전래 처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야불교는 각국별로 전래 시기와 전래 처가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야제국이 단일연맹이나 단일국가로 존재한 것이 아니었기에 이는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을 것이다. 남가라국의 불교 전래 시기는 질지왕 대 왕후사가 창건되는 452년 무렵으로 보았다. 그 전래 처는 현존하는 자료로는 알기가 어려웠다. 가라국의 경우, 각종 유물에 보이는 蓮花文으로 보아 5세기 대에는 이미 불교에 대한 이해가 있었다. 가라국에 불교를 전래한 곳은 백제 아니면 중국 남조의 어느 나라일 가능성이 높다. 안라국과 다라국의 경우도 5세기 대 불교 전래의 모습이 보인다. 그 수입처는 다양한 경로를 예상할 수 있지만 백제일 가능성이 높다. 경남 의령에서 발견된 銘文이 있는 금동여래불은 가야의 한 나라인 斯二岐國에 불교가 전래된 결과로 보았다. 그리고 사이기국이 541년과 544년 두 차례에 걸쳐 백제의 수도 사비에서 열린 국제회의에 참가했었던 사실로 보아 그 전래 처는 백제로 파악했다.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Korea peninsula is thought to have started in the late 4th and the early 5th B.C. It is verified by historical documents in case of Goguryeo(高句麗), Baekje(百濟), Silla(新羅). According to ‘Garakgukgi(駕洛國記)’, “Samgukyusa(三國遺事)”, the religion was also transmitted to Gaya, which ruled the southern part of Korea in the ancient. It is said Buddhism was introduced to Namgara(南加羅) in 48 B.C. However, it is difficult to trust the document because of its fictional aspects. This study reviews that when and from where Buddhism came to the countries of Gaya with artifacts and documents related to Buddhism. To the countries of Gaya the time and agent of propagation of the belief was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It stands to reason because Gaya was neither an unitary state nor a single union.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Namgaraguk would be about 452 B.C. when Wanghusa(王后寺) was founded by King JilJi(?知王). It is hard to find out that from where it was introduced because of the lack of resources. Considering lotus design(蓮花文) in various artifacts, Garaguk already knew about Buddhism a bit in the 5th century B.C.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country which brought the religion to Garaguk was either Baekje or a country of the south dynasty of China. Buddhism was also spread to Anraguk and Daraguk in the 5th century. It seems that Baekje was the agent of the propagation. A gilt bronze statue of the Buddha(金銅如來佛) with inscription which was found in Uiryeong, Gyeongsangnam-do, was the result of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to Saigiguk, one of Gaya. It appears Baekje was the kingdom which introduced the religion to the country considering Saigiguk attended the council held in Sabi, the capital of Baekje, in 541 and in 544.

      • KCI등재

        가야불교 전래시기의 사상적 경향성 연구

        황정일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본 연구는 가야불교 전래시기의 불교적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에 허왕후(許王后)가 도래한 시점인 1세기에 해로를 통해서 불교가 전래되었다면, 대승불교일 가능성이 크며, 반면에 육로를 통해서 전래되었다면, 소승 부파불교일 가능성이 있음은 논구하였다. 또한, 왕후사(王后寺) 건립 시기인 5세기에 불교가 전래되었다면, 당시 가야는 백제로부터 불교를 전해 받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당시의 백제는 동진(東晉)의 격의불교적(格義佛敎的) 경향성에 영향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지만, ‘격의불교=대승불교’라고는 할 수 없으므로 백제나 가야에 전래된 불교가 대승불교라고는 단정할 수 없음을 논구했다. 오히려 삼국에 불교가 전래될 당시의 사원건축이나 탑의 양식 등을 볼 때, 당시 전래된 불교가 소승 부파불교일 가능성이 있음을 논구했다. 더욱이 백제의 겸익(謙益)이 소승 부파불교의 5부율(五部律)을 가지고 와 새로운 율서[新律書]를 편찬했을 정도로 백제에는 소승 부파불교의 영향력이 컸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백제불교는 전래 초기부터 적어도 6세기까지 소승 부파불교의 경향성을 띠고 있었으며, 백제에서 전래된 가야불교 역시 그러한 경향성이 있었을 것으로 논구했다.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Buddhist tendencies during the period when Gaya Buddhism was introduced. Therefore, when Heo hwang hoo (許皇后) arrived in the first century, if Buddhism was passed down through sea, it was likely to be Mahāyāna Buddhism (大乘佛敎), whereas if it was passed down through land, it was discussed that it could be Hinayāna Buddhism (小乘佛敎). In addition, if Buddhism was introduced in the 5th century, when Wanghu temple (王后寺) was built, it is presumed that Gaya received Buddhism from Baekje at that time. And it is presumed that Baekje at that time was influenced by the tendency of Gyeogui Buddhism (格義佛敎) from Dongjin (東晉). However, since it cannot be said that “Gyeogui Buddhism = Mahāyāna Buddhism”, it was argued that the Buddhism introduced to Baekje or Gaya cannot be concluded to be Mahāyāna Buddhism. Rather, considering the temple architecture and the style of the pagoda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o the Three Kingdoms, it was discussed that Buddhism that was introduced at the time may be Hinayāna Buddhism. Moreover, it can be seen that the influence of Hinayāna Buddhism was so great in Baekje that Gyeomik (謙益) of Baekje brought the obuyul (五部律) of Hinayāna Buddhism and compiled a new Yulseo (新律書). Therefore, it was argued that Baekje Buddhism tended to be Hinayāna Buddhism from the beginning of the tradition until at least the 6th century, and Gaya Buddhism, which was introduced from Baekje, also likely showed the same tendency.

      • KCI등재후보

        가야불교와 신라불교의 특성과 차이

        김복순 ( Kim Bok-soon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7 한국불교사연구 Vol.12 No.-

        본고는 가야불교와 신라불교의 특성과 차이를 구명해 보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양국 불교에 대한 사서의 기록이나 전해지는 유물·유적의 양적 질적 불균형 때문에 그렇게 용이한 일이 아니다. 따라서 필자는 양국불교의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 낼 수 있는 3가지 점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하나는 양국의 불교 수용이 미친 문화적 영향, 둘은 양국 불교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나는 불국토설의 비교, 셋은 양국불교계가 배출한 인물들을 검토해 보는 것이다. 먼저 허황후의 도래에 따른 불교문화의 영향력에 주목해 본 것이다. 1년2배력을 일본 고유력으로 보아온 기존의 주장에 대하여 본고에서는 해양을 통한 인도 범력의 금관국 전래라는 관점을 천착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흑월과 백월로 구성된 범력이 1년2배력일 가능성과 신라와 백제 왜 등 주변국으로 그 영향력이 확대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다음은 신라와 가야의 불국토설이 정착된 시기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신라 전불시대의 칠처가람설은 신문왕대 달구벌로의 천도를 막고자 하였던 구귀족들에 의해 주창되어 정착되어진 것으로 보았고, 가야의 16나한설은 가야의 역사가 개황력과 개황록으로 기록되어지고 금관소경이 설치되어지는 신라 문무왕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비정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신라불교가 수많은 고승을 배출하였다면 가야불교는 인물부재인 점을 들어 설명하였다. 신라에 선진문물들을 수용하고 적용한 원광과 자장, 원효 등의 활약은 신라 발전의 밑거름이 되었다. 가야불교의 대표적 인물로 전해지는 장유화상은 후대 전설 속에 존재하고 있어 역사적으로 규명하기에 사료가 부족한 점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Gaya Buddhism and Silla Buddhism. The focus of this study will be o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to explore and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nation’s Buddhism: First, cultural influence related to acceptance of Buddhism,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Buddha-land theory of the two countries appearing in the process of Buddhist development, Third, the comparison of important figures of Buddhism in both countries. The point of the first aspect is to pay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Buddhist culture after the emergence of the Heo Empress(Gaya Empire). Unlike previews claim that there was Chunchu calendar (one year double calendar) unique to Japan, this reconsidered the view that the Indian Sanskrit calendar, which was passed on to the “Geumgwankguk” by Heo Empress, extend its influence to neighboring contries. So the Indian Sanskrit calendar was delivered to Japan through the sea route.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views. In order to compare the narratives of Silla and Gaya's Buddhist countr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ime when these stories were born. The legend about seven Buddhist temples that existed before Buddhism was considered to have been defended and settled by the old nobles who opposed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the Dalgubal in the period of the King SHinmus, and the story on Gaya's 16 Arahat It is based on the < Garakgukki > in Samguksagi,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time of King Silla Munmu established the western Capitl in the Gimhae province. Finally, although Silla had produced many high priests, Gaya had a different situation. The monks including Wonkwang, Jajang and Wonhyo imported the advanced culture into Silla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illa. However, a brief record of the Jangyu prist, known a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Gaya Buddhism, has been devised in later generations. So it is not easy to identify his role. Therefore, research on Gaya Buddhism can not help but suffer from a lack of records.

      • KCI등재

        가야불교 전래시기의 사상적 경향성 연구

        황정일 ( Hwang Jung-il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본 연구는 가야불교 전래시기의 불교적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에 허왕후(許王后)가 도래한 시점인 1세기에 해로를 통해서 불교가 전래되었다면, 대승불교일 가능성이 크며, 반면에 육로를 통해서 전래되었다면, 소승 부파불교일 가능성이 있음은 논구하였다. 또한, 왕후사(王后寺) 건립 시기인 5세기에 불교가 전래되었다면, 당시 가야는 백제로부터 불교를 전해 받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당시의 백제는 동진(東晉)의 격의불교적(格義佛敎的) 경향성에 영향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지만, ‘격의불교=대승불교’라고는 할 수 없으므로 백제나 가야에 전래된 불교가 대승불교라고는 단정할 수 없음을 논구했다. 오히려 삼국에 불교가 전래될 당시의 사원건축이나 탑의 양식 등을 볼 때, 당시 전래된 불교가 소승 부파불교일 가능성이 있음을 논구했다. 더욱이 백제의 겸익(謙益)이 소승 부파불교의 5부율(五部律)을 가지고 와 새로운 율서[新律書]를 편찬했을 정도로 백제에는 소승 부파불교의 영향력이 컸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백제불교는 전래 초기부터 적어도 6세기까지 소승 부파불교의 경향성을 띠고 있었으며, 백제에서 전래된 가야불교 역시 그러한 경향성이 있었을 것으로 논구했다.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Buddhist tendencies during the period when Gaya Buddhism was introduced. Therefore, when Heo hwang hoo (許皇后) arrived in the first century, if Buddhism was passed down through sea, it was likely to be Mahāyāna Buddhism (大乘佛敎), whereas if it was passed down through land, it was discussed that it could be Hinayāna Buddhism (小乘佛敎). In addition, if Buddhism was introduced in the 5th century, when Wanghu temple (王后寺) was built, it is presumed that Gaya received Buddhism from Baekje at that time. And it is presumed that Baekje at that time was influenced by the tendency of Gyeogui Buddhism (格義佛敎) from Dongjin (東晉). However, since it cannot be said that “Gyeogui Buddhism = Mahāyāna Buddhism”, it was argued that the Buddhism introduced to Baekje or Gaya cannot be concluded to be Mahāyāna Buddhism. Rather, considering the temple architecture and the style of the pagoda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o the Three Kingdoms, it was discussed that Buddhism that was introduced at the time may be Hinayāna Buddhism. Moreover, it can be seen that the influence of Hinayāna Buddhism was so great in Baekje that Gyeomik (謙益) of Baekje brought the obuyul (五部律) of Hinayāna Buddhism and compiled a new Yulseo (新律書). Therefore, it was argued that Baekje Buddhism tended to be Hinayāna Buddhism from the beginning of the tradition until at least the 6th century, and Gaya Buddhism, which was introduced from Baekje, also likely showed the same tendency.

      • KCI등재

        `허왕후와 가야불교` 연구에 대한 분석과 방향모색

        장재진 ( Jang Jae-j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허왕후에 대한 기록은 『三國遺事』 「駕洛國記」와 「金官城 婆娑石塔」 조에서 언급된다. `허왕후`에 대한 존재성 그리고 가야문화와 함께 언급되는 가야 불교에 대한 내용은 역사와 설화 또는 신화의 영역을 오가며 가치의 문제와 함께 진실공방으로 대두었다. 『三國遺事』에 기록된 허왕후에 대한 실존의 문제는 가야의 성립과 배경,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의 기원 그리고 인도불교의 남방전래설 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하겠다. 대부분의 설화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해서 성립되며 이것이 전승되는 과정에서 각색 및 윤색이 될 수 있다는 가정은, 항상 설화의 원형이 무엇일까에 대한 의문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학문의 방법이 다른 것에서 야기되는 문제는 또 다른 논란을 도출시킨다. 그래서 끊임없는 담론의 장에 대두 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학문적 배경과 다른 논리적 정당성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연구와 함께 허왕후와 가야불교에 대한 관심의 표출이 반영된 단행본과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본고는 허왕후와 가야불교에 대한 여러 종류의 연구를 분류하고 이때까지 진행되어 온 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앞으로 전개되어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역사에 대한 논증과 고증을 통해서 사실과 진실을 규명하고자 하는 방법은 중요하다. 하지만 사실이라고 여겨지는 것과 사실은 확연히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허왕후 도래 그리고 불교의 전래`와 같은 역사적인 사실이라고 여겨지거나 아니라고 부정할 수 있는 논쟁에 직면했을 때 역사주의자들의 담론에 갇혀버린 결과를 야기하기도 한다. 허왕후 출신지에 대해서는 기원전 3세기 인도의 갠지스강 중류지대에 있었다고 알려진 불교왕조 아요디아에서 왔다는 설이 있다. 이 내용은 『三國遺事』의 阿踰陀國의 허왕후 도래설과 일치한다. 그리고 허황옥과 불교 혹은 가락국 성립 초기의 불교전래 문화와 관련된 견해는 기원 1세기 초 인도에서 동남아시아를 거쳐 가락국 불교가 전래 및 유포되었다는 설, 허황옥의 불교 전래에도 불구하고 가락국에는 불교가 수용되지 않았다는 설, 허황옥의 도래와 불교 전래는 전혀 상관성이 없으며, 불교의 가락국 전래가 5세기경 인도 방면이나 백제 또는 남중국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허왕후`에 대한 연구는 `학술 및 학위논문`, `동향 연구보고서 및 정기간행물`, `역사적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 `신화나 설화적 관점의 자료`, `소설류`, `학생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저서`, `답사·취재·연재 및 수필 종류의 자료`, `여성학의 관점`, `언어적 고찰`, `성(性)의 역사`, `차 문화`, `철기문명` 등 다양한 층위에서 이루어졌다. 허왕후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다양한 방식과 종류의 결과물을 도출했다. 이러한 관심과 노력이 있었지만 더 완성에 가까운 연구물이 나오려면 융·복합적인 연구방향과 방법론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역사적 사실을 밝혀내고자 함에 있어서 특정 문헌에 대한 연구자의 연구방법론이나 입장만으로는 다른 견해와 방법론을 가진 연구자를 설득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신화와 설화 그리고 역사의 경계가 모호하게 넘나든다고 여겨지는 `허왕후`와 `가야불교`에 있어서는 융·복합적인 연구방법을 통해서 부족했던 부분을 상호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records of Hwanghue-heo were mentioned in the “Samguk-yusa”. The existence of `Hwanghue-heo` and the contents of Gaya Buddhism mentioned together with Gaya culture have been argued with their values through the history, fables or myths. The problem of the existence of `Hwanghue-heo` recorded in the “Samguk-yusa”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and background of Gaya, the origins of Gimhae Kim and Gimhae Heo, and the southern civilization of Buddhism in India. Most of fables are based on historical facts and the assumption that they has been transformed and embellishe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can always lead to questions about what the prototype of fables is. There have been also various books and studies based on different academic backgrounds and different logical justifications, as well as monographs and research on `Hwanghue-heo` and `Gaya Buddhism`. The problems that arise from the way in which academic methods are different, lead to another controversy, which motivates us form a place of continuous discourse. In this article, we attempt to provide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various kinds of previous studies on `Hwanghue-heo` and `Gaya Buddhism` and propose a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It is important to try to identify facts and truths through demonstration and confirmation of history. But the facts and facts that are treated as facts are different. Nonetheless, we are confined to the discourse of historians when confronted with a debate that can deny or consider historical facts such as “the coming of imperialism and the coming of Buddhism”. The current study on `Hwanghue-heo` is based on `scholarship and thesis`, `trend research report and periodicals`, `research approach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materials from myths or narrative viewpoints`, `novels`, `History of Women`, `History of Sex`, `Tea Culture`, and `Iron Civilization`. This interests in `Hwanghue-heo` have brought into various ways and kinds of results so far, however, the research direction and the methodology could not be combined in order to investigate it in a comprehensive way.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persuade a researcher with a different point of view and methodology on a specific document in attempting to reveal historical facts. The analysis and proposal a direction of the research on `Hwanghue-heo and Gaya Buddhism` will make it possible to complement such deficiencies through `fusion` and `complex` research methods on `Hwangwanghui` and `Gaya Buddhism`, which are considered to be blurred by the boundaries between myth, narrative and history.

      • KCI등재

        가야불교(伽倻佛敎)에서 가야산(伽倻山)이 지니는 의미에 관한 고찰

        정명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4

        본 논문은 고대 한반도 남쪽에 건국된 가야지역의 불교전래를 검토하는 연구논문이다. 한반도 남쪽에 위치하는 가야는 한국사에 있어서 고대 국가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한반도의 역사가 삼국을 중심으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삼국을 중심으로 역사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한반도 불교전래도 중국을 통해 삼국에 전래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이다. 중국을 통한 한반도 불교전래와는 달리 가야의 불교는 중국을 통한 전래가 아닌, 인도에서 불교가 직접 전래된 것으로 추정한다. 가야역사는 일연의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으며, 가야불교 전래도 아유타국에서 가야로 시집온 허황옥을 통해 인도의 불교가 가야로 바로 전래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가야불교의 전래를 가야지역에 남아 있는 불교유적지 중에서 가야산을 중심으로 가야불교를 살펴보겠다. 가야산은 『삼국유사』에 의하면, 가야가 건국될 당시 북동쪽의 국경지역이다. 『삼국유사』에 의해서 가야산의 명칭은 가야의 건국과 함께 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석이정전」에 의하면, 순응·이정 두 스님이 해인사를 창건할 당시 가야산은 우두산으로 불렸다. 가야산이 우두산으로 불린 이유는 가야의 원어를 통해 알 수 있다. 가야는 범어로 ‘gayā’이다. ‘gayā’는 소(牛)를 의미한다. ‘gayā’는 코끼리(象)로 한역되기도 한다. 그 이유는 ‘gayā’가 코끼리를 의미하는 범어 ‘gaja’와 서로 음이 통하기 때문에 소와 코끼리로 번역된다. ‘gayā’의 원어와 한역 과정을 통해 가야산은 우두산, 상왕산으로 불리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가야를 의미하는 소와 코끼리는 불교와 관련이 있는 동물이다. 우두산과 상왕산을 통해서 가야산은 불교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산명이라 생각할 수 있다. 결국 가야의 국경지역인 가야산은 가야불교를 바탕으로 하는 산명이라 생각된다. 가야산의 산명뿐만 아니라 가야산내의 유적지에도 가야와 관련한 설화가 남아있다. 가야산 정상인 칠불봉은 허황옥의 7아들과 허황옥의 오빠인 장유화상이 수행한 곳이고, 가야산내 해인사의 영지는 수행하는 7왕자를 보기 위해 허황옥이 다녀간 곳이다. 가야산의 설화에 나오는 허황옥과 7왕자 그리고 장유화상은 가야건국에서 언급되는 인물들이다. 이렇듯 가야산은 가야불교의 전래시기를 추정할 수 있고, 가야인의 수행흔적이 남아 있는 유적지인 것이다. 가야산은 가야의 의미를 통해서 불교와 관련이 있는 산명이며, 가야산내의 유적을 통해 가야불교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가야산을 통해 가야의 불교전래는 가야 건국 당시 가야에 시집온 허황옥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