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언간의 현대어 풀이 비교 연구

        조용림(Joe, Yonglim),백낙천(Baek, Nakcheon) 국제언어문학회 2015 國際言語文學 Vol.- No.32

        본고는 2007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국어 교과서 수록 언간의 현대어 풀이를 비교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학계에 보고된 언간 중에서 9편만이 국어 교과서에 소개되고 있는 실정에서 각 교과서에 제시된 판독문, 현대어 풀이의 비교 검토를 통해 궁극적으로 언간의 실제적 모습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과서에 수록된 언간은 ‘이응태 부인 언간’, ‘인선왕후 언간’, ‘정조 언간’, ‘선조 언간’, ‘현풍 곽씨 언간’, ‘완산 이씨 언간’, ‘추사 언간’, ‘순원왕후 언간’, ‘숙종 언간’이다. 이 9편의 언간은 13종의 교과서(공통교과, 선택교과 포함)에 수록되어 있는데, 사전 조사 결과 판독문의 차이는 적지만 현대어 풀이는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 ‘언간 용례 사전’, ‘고어사전’에 언간 어휘의 표제어 등재와 뜻풀이 반영 및 언간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purpose to compare Eongan in the textbook(high school) revised in 2007. There were 9 Eongans introduced in textbooks that was reported to academy. Through comparing decipher the letters, and moder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each textbooks will provide its practical figure. These are contained in the textbooks, "Yieungtae wife Eongan", "Queen Inseon Eongan", "King Jeongjo Eongan", "King Seonjo Eongan", "Hyeonpung Gwak-ssi Eongan", "Wansan Lee-ssi Eongan", "Chusa Eongan", "Queen Sunwon Eongan", the "King Sukjong Eongan". These were recorded in 13 textbooks(including common curriculum, selection curriculum). In the future, "Eongan usage dictionary" and "dictionary of old korean vocabulary" will expected to register entries, reflect meanings and activate database of Eongan.

      • KCI등재

        조선 시대 언간을 활용한 언어변화 연구-「현풍곽씨언간」과 달성지역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안주현 한국방언학회 2022 방언학 Vol.- No.3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ocumentary dialects and on-site dialects and to examine linguistic changes in the Dalseong region’s sub-dialect by using the Korean linguistic history’s literary material “Hyeonphung Gwak’s Eongan” and on-site dialect material “Korean Dialect Material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is “Hyeonphung Gwak’s Eongan” a documentary material in Korean linguistic history that reflects the Dalseong region sub-dialect among the Eongan(letter)s of the Joseon Dynasty. A corpus was constructed by using 167 pieces of “Hyeonphung Gwak's Eongan” in order to figure out the quantitative linguistic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Hyeonphung Gwak's Eongan”. The scale of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about 14,000 words, and research was conducted by adding lemmatization, POS-tagged corpus, and phonological phenomenon annotation. Through the POS tagged corpus and phonological phenomenon annotation constructed in this way, it was possible to quantitatively examin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Hyeonphung Gwak’s Eonga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urvey results of the “Korean Dialect Materials”, which reflected the on-site dialect of the Dalseong regional language and the diachronic change of the Dalseong sub-dialect was examined. As a result, among the grammatical forms of “Hyeonphung Gwak’s Eongan,” such as particle ‘-deoreo’ and ‘-(eu)ran’ were found with high frequency in the survey, which could be related to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Eongan. Moreover, the text structure of the Eongan genre could be examined through the aspect of using the sentence ending of “Hyeonphung Gwak’s Eonga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xpressions of “Korean Dialect Materials” and the expressions used in “Hyeonphung Gwak’s Eongan,” it was challenging to find a meaningful correlation. Only 47 dialect-related expressions were identified in “Hyeonphung Gwak’s Eongan,” which is significantly less, and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the fact that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Hyeonphung Gwak’s Eongan” and “Korean Dialect Materials” are different. 이 연구는 문헌 방언과 현장 방언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국어사 문헌 자료인 「현풍곽씨언간」과 현장 방언 자료인 한국방언자료집 을 활용하여 달성지역어의 언어변화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주요 대상은 조선시대 언간 중 달성지역어가 반영된 국어사 문헌 자료인 「현풍곽씨언간」이다. 「현풍곽씨언간」에 반영된 언어적 특징을 계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167편의 「현풍곽씨언간」을 대상으로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규모는 약 14,000어절 정도로 대표화 및 형태 분석, 음운현상 주석을 진행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형태 분석 말뭉치와 음운현상 주석을 통해 「현풍곽씨언간」의 언어적 특징을 계량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고, 그 결과를 달성 지역어의 현장 방언이 반영된 한국방언자료집 의 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달성지역어의 통시적 변화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현풍곽씨언간」의 문법 형태 중 조사에서는 ‘-ᄃᆞ려(더러)’와 ‘-(으)란’ 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언간이 가지는 내용적 특징과 연결할 수 있다. 또 「현풍곽씨언간」의 어미 사용 양상을 통해서는 언간 장르의 텍스트 구조를 살펴볼 수 있었다. 「현풍곽씨언간」에 사용된 어휘와 한국방언자료집 의 조사 어휘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는 「현풍곽씨언간」에 47개 정도의 방언 관련 어휘를 확인할 수 있지만 그 수가 많지 않고, 「현풍곽씨언간」과 한국방언자료집 의 자료적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생긴 결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언간에 나타난 관용적 표현 양상

        조용림(Joe, Yong-Lim),백낙천(Baek, Nak-Cheon)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3

        본고는 조선시대 한글 간찰(이하 언간)을 대상으로 관용적 표현의 양상을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언간에는 나름의 일정한 규식을 갖추고 있으며, 이른바 관용적 표현들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규식과 관용적 표현은 언간의 사용 범위가 확대되면서 관습화되고 보편화되었다. 언간 사용의 확대는 19-20세기에 이르러 방각본(坊刻本) 형태를 띤 이른바 ‘언간독(諺簡牘)’의 간행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다양한 책명의 ‘언간독’이 유통되어 언간 형식의 규범화와 격식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관용적 표현은 언간이 구어를 반영하고 편지가 갖는 형식상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부분이다. 특히, 언간에 나타나는 반복성, 생략성, 상투성들이 언간의 관용적 투식을 보여주는 주요한 특성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이들을 유형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언간의 형식적 특징의 일면을 제시하였다. 앞으로는 본고에서 논의한 언간의 관용적 투식 외에도 빅데이터, 데이터마이닝, 텍스트마이닝을 방식을 이용하여 언간에 자주 드러나는 용례에 대하여 출현 빈도를 바탕으로 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characters of idiomatic expressions in the Korean old Hangul Letters(henceforth Eongan). Eongan has not formal format in the text. However, it has a certain format. In addition, there are often expressed in one form to idiomatic expressions. It became customized and universalized as the use of expressions became widespread on format and idiom of Eongan.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Eongan’s using can be confirmed in the form of an publishing "Eongandok".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paper, the development of typography, and the spread of Hangul, a variety of "Eongandok" has been circulated and standardization and formalization have been done. For example, spoken expressions are revealed in Eongan, and many patterns of repetition, ellipsis, and conventional expression appear in the formality characteristics of Eongan. Idiomatic expressions of Eongan reflects the spoken language, it is interesting in that it reflect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Eongan. First, the repetition expressions repeatedly in Eongan is more pronounced with a marked aspect of the double-point. Second, the ellipsis is evidence that Eongan has a colloquial characteristics. Third, why the conventional expressions appearing in Eongan because it is a formal characteristics of letters reflects news of everyday and safety. In the future, Eongan research should be aimed at examining example frequency based on new big data, data mining, text mining.

      • 교과서 수록 언간의 원본과 해제

        "백낙천", "조용림"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15 人文論叢 Vol.32 No.-

        언간은 판본 위주의 국어사 연구를 보완하여 필사본 자료의 국어사적 가치가 새롭게 하는 자료이다. 그런 점에서 최근 언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학계의 상황을 반영하듯 13종의 국어교과서에 총 9편의 언간이 수록되어 교육 현장에 활용되고 있는 것은 언간의 자료적 가치가 반영된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다. 본고는 교과서에 소개된 이들 언간들은 판독문과 현대어 풀이가 되어 있는데 소개된 교과서마다 상이한 부분들이 있어 이들에 대한 상호 비교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본고는 조용림・백낙천(2015)에서 시도한 연구의 후속 작업으로 교과서 수록 언간의 원본을 보여주고 판독문의 내용과 함께 서지적 사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앞으로 언간에 대한 국어사적 또는 국어생활사적 연구의 폭과 깊이가 더해지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purpose to present Eongan in the textbook(high school) revised in 2009. There were 9 Eongans introduced in textbooks that was reported to academy. Through comparing decipher the letters, and moder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each textbooks will provide its practical figure. These are contained in the textbooks, 'Yieungtae wife Eongan', 'Queen Inseon Eongan', 'King Jeongjo Eongan', 'King Seonjo Eongan', 'Hyeonpung Gwak-ssi Eongan', 'Wansan Lee-ssi Eongan', 'Chusa Eongan', 'Queen Sunwon Eongan', the 'King Sukjong Eongan'. These were recorded in 13 textbooks(including common curriculum, selection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어휘적 특징 -언간 자료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어휘를 중심으로-

        배영환 ( Bae Young Hwan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5 No.-

        이 논문은 언간 자료의 어휘적 특징 가운데 `방언형의 사용`과 `언간 특이형`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언간 자료에 나타나는 독특한 형태와 용법 등을 살펴본 것이다. 언간의 어휘 가운데 `방언형의 사용`은 특정 지역 편지에서만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형태를 우선 살펴 보았고, `언간 특이형`은 여느 국어사 자료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형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현재까지 확인된 언간 자료는 지역적으로 서울·경기,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로 나눌 수 있고, 계층적으로 왕실과 사대부 언간으로 나눌 수 있었다. 특히 언간 자료의 성격을 구어적 문어보다는 좀 더 문어에 가까운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경향은 초기 자료보다는 19세기 자료에 좀 더 심화되는데, 이는 언간의 투식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언간 자료에서 확인되는 방언형에는 `□-, 알시롭-, 속그라□-, 언잔, 읏-, 으른, 읎-`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언간 특이형 중에는 용언 가운데 `느긋□다/누긋□다, 속다, □모솝다/□모습다, □모□다, 흐운□다` 등의 출현 양상과 의미 등을 살펴보았다. 명사 중에는 `복모, 빛, 슬□지, 심, 타모, 보/부, 낫, 구, □, 직`등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부사 중에는 `브경이/브경히, □심도, 훌텨` 등을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언간 자료의 국어사적 가치가 좀 더 부각되고 국어 어휘사 연구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Regarding the lexical features of Eongan (vernacular letters) materials as the `use of dialect type` and `Eongan specific type`, this paper examined the unique forms and usage appearing in Eongan materials. First, we examined `use of dialect type` among Eongan`s vocabulary focusing on a form that appears intensively only in certain local letters and discussed `Eongan specific type` with a focus on a form that does not appear well in any Korean history materials. The Eongan materials that have been found so far could be divided into Seoul, Gyeonggi, Chungcheong-do, Gyeongsang-do, Jeolla-do regionally and into royal family and Ebonan hierarchically. Especially, the nature of Eongan materials was considered to be a little closer to written language than spoken written language. This tendency is more severe in the nineteenth century than in the early period, and it was identified to be related to Eongan`s standardization. We examined dialect types identified in the Eongan data materials with a focus on `□ -, 알시롭-, 속그라□-, 언잔, 읏-, 으른, 읎-` etc. Of predicate among Eongan specific types, we examined the appearance patterns and meaning of `느긋□다/누긋□다, 속다, □모솝다/□모 습다, □모□다, 흐운□다`. Among nouns, we reviewed `복모, 빛, 슬□지, 심, 타모, 보/부, 낫, 구, □, 직`. In addition, we discussed 브경이/브경히, □심도, 훌텨 among the adverbs.

      • KCI등재후보

        조선 후기 한글 간찰의 형식과 내용

        백낙천 한말연구학회 2006 한말연구 Vol.- No.18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purposes to explain form and content of characteristics in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of the Joseon Period(henceforth Eongan). Especially, through this article, I could explain clearly the double point(jaejeom) of characteristics and orthographic, morphological and lexical characteristics in the Eongan materials In fact, Eongan have not been made the best use for research due to the difficulties in deciphering and interpreting them. However, books of translations with notes on the Eongan have sprung up since the 1990s. As a result, we saw great strides have made both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ranslation. This articles main purpose was to clarify the Korean language historical signification of the Eongan. I believed that Eongan supplement vernacular Korean translation documents and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We should positively promote the discovery of new Eongan and push for further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근대국어 유음화와 ‘ㄹ’ 비음화 연구 –<조선시대 언간 말뭉치>를 대상으로–

        안주현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atterns of lateralization and “ㄹ” nasalization using a corpus of Eongan in the Joseon Dynasty. Lateralization and “ㄹ” nasalization can occur in environments wherein “ㄴ” and “ㄹ” are in sequence; thus, they can be considered phonological phenomena in a competitive relationship. This study contemplates the realization patterns of lateralization and “ㄹ” nasalization in modern Korean during the Joseon Dynasty by examining the corpus of Eongan from that period. Eongan is one of the most valuable resources among handwritten materials. The research data include 1,196 letters written over a period of about 300 years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cluding “Suncheon Kim’s Eongan,” “Hyeonpung Kwak’s Eongan,” “Euiseong Kim’s Eongan,” and “Eunjin Song’s Eongan.” This corpus was analyzed to trace the phonological changes in modern Korean from their inception to completion. The annotation work and interpretation of the annotated results of the Eongan corpus conducted herein will provide a rational basis for explaining the progression of phonological changes.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언간 말뭉치를 활용하여 유음화와 ‘ㄹ’ 비음화가 진행되는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유음화와 ‘ㄹ’ 비음화는 ‘ㄴ’과 ‘ㄹ’이 연쇄하는 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경쟁적인 관계에 있는 음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언간을 대상으로 근대국어 시기의 ‘ㄹ’ 비음화와 유음화의 실현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ㄴ’과 ‘ㄹ’의 연쇄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언간은 필사본 자료 중에서도 가장 활용 가치가 높은 자료라 할 수 있다. 연구 대상 자료는 「순천김씨언간」, 「현풍곽씨언간」, 「의성김씨 학봉 김성일가 언간」, 「은진송씨 송병필가 언간」 등 16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약 300년 이상의 기간 동안 작성된 언간 1,316건을 말뭉치로 구축한 것이며, 이 말뭉치를 분석하여 근대국어 시기의 음운 현상을 발생 단계에서부터 완성 단계까지 추적해보았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언간 말뭉치의 주석 작업과 주석한 결과에 대한 해석은 음운변화의 진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합리적 근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순조비 순원왕후(1789~1857) 언간을 통해 본 수렴청정과 세도정치

        이남희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4 No.1

        Currently, 91 cases of the Eongans of Queen Sunwon(1789-1857), the Queen of King Sunjo, the 23rd King of Joseon, have been passed down. This is the second-largest number of Eongans after Empress Myeongseong (144 cases). Her Eongans can be divided into 1) those in the Gyujanggak and 2) other letters. 1)In the case of Gyujanggak collection, most of the Eongans were sent to her relative younger brother Kim Heung-geun, his son Kim Byung-deok and nephew Kim Byung-joo (son of Kim Hong-geun), and 2) other Eongans were mostly sent to his daughter Princess Deok-on and son-in-law Yoon Eui-sun.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amine the Eongans sent to the Andong Kim family, which are housed in Gyujanggak, from the political perspective of 'Regency by the Queen mother' and 'Power Politics'. This is because I thought that I could see a side of Regency by the Queen mother and Andong Kim's Power Politics through the Eongans. Queen Sunwon is the only case of Regency by the Queen mother twic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Heonjong and Cheoljong Period. As a woman, she could not handle practically every political issue. Through Queen Sunwon's Eongans(personal letters), I could look into her political actions, status, power politics. and inner feelings. Queen Sunwon trusted Kim Heung-geun, her relative younger brother, the most among the Andong Kim family, and had sent the most letters. Along with her younger brother Kim Jwa-geun, she thought of Kim Heung-geun as two pillars supporting the Andong Kim family. In addition, Queen Sunwon had a firm family consciousness about the Andong Kim family, and as such, the Andong Kim family members should show caution and vigilance in all aspects. On the other hand, contrary to what is already known, Queen Sunwon expressed her personal opinion that if the Court chose Andong Kim clan in the process of choosing Queen of Cheoljong, it would be too much concentration of power by the Andong Kim family. However, her opinion was not carried out, and eventually the daughter of Kim Moon-geun of Andong Kim clan was decided as the Queen of Cheoljong. The Queen Cheol-In is her. 조선의 제23대 국왕 순조의 비, 순원왕후의 언간은 현재 91건이 전해지고 있다. 이는 역대 왕후들 중에서 명성황후 다음으로 많은 것이다. 언간은 1)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것들과 2)그 외의 기타 편지들로 나누어볼 수 있다. 1)규장각 소장본의 경우, 대부분 재종동생 김흥근, 그의 아들 김병덕과 김홍근의 아들 김병주에게 보낸 것들이며, 2)그 외의 편지는 딸 덕온공주와 사위 윤의선에게 보낸 것들이다. 이 글에서는 순원왕후 언간들 중에서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안동김씨 가문에 보낸 언간에 대해서 수렴정치와 세도정치라는 정치적 각도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언간을 통해 수렴청정과 안동김씨 세도정치의 한 단면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순원왕후는 헌종과 철종대에 걸쳐서 수렴청정을 한 유일한 사례이다. 왕후로서의 그녀가 정치적 사안을 실질적으로 다 처리할 수는 없었다. 사적인 언간을 통해 그녀의 정치적 행위와 위상, 세도정치, 그리고 깊숙한 내면세계를 들여다 볼 수 있었다. 순원왕후는 안동김씨 친족 중에서도 재종동생 김흥근을 가장 신임했으며, 가장 많은 언간을 보내고 있다. 그녀는 자신의 친동생 김좌근과 더불어 김흥근을 안동김씨 가문을 떠받쳐 주는 두 개의 축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안동김씨 가문에 대한 확고한 가문 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안동김씨 구성원들이 모든 측면에서 조심하고 경계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했다. 순원왕후는 철종 비를 간택하는 과정에서 또 안동김씨를 택하게 되면 너무 과도하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우려해, 소론 측에서 간택되더라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 의견은 관철되지 못했으며, 철종 안동김씨 김문근의 딸로 결정되었다. 철인왕후가 그녀이다.

      • KCI등재

        언간 자료의 직물명(織物名)에 대한 연구

        조정아 ( Jeong-a Jo ) 영주어문학회 2016 영주어문 Vol.33 No.-

        이 연구의 목적은 직물명에 해당하는 ‘무명’, ‘명주’, ‘비단’, ‘모시’ 등이 언간 자료에서 어떤 형태와 의미로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언간 자 료에 나타나는 직물명이 다른 문헌 자료에 나타나는 직물명과 어떠한 차이가 있고, 언간 자료가 물명 연구에 있어서 어떠한 가치가 있는지도 점검할 수 있었다. 직물명은 대체로 차용어나 고유어가 한자어와 대응을 이루고 있다. 국어사 문헌 자료에서 ‘무면, 무명’의 차용어 계열과 ‘목면, 면포, 목면포’의 한자어 계열이 나 타나는데, 언간 자료에서는 ‘무명’만 나타난다. 또 언간 자료에는 무명의 다양한 하위어들이 발견되는데, 이들 하위어에는 ‘무명’ 대신 ‘목(木)’이 나타난다는 점도 흥미롭다. 고유어 ‘깁’은 언간 자료에서 ‘누에고치’의 의미로 쓰이는 예가 확인되며, ‘비단’의 한자어 표기와 의미도 살펴보았다. 언간 자료에서 ‘명디, 명지’ 계열 과 ‘명쥬, 명주’ 계열이 나타나지만, 다른 문헌 자료에는 문어적 표현인 ‘면듀, 면 쥬’ 계열도 나타난다. ‘모시’는 언간 자료에 나타나는 방언형 ‘모슈’의 예도 보이 고, 삼베는 ‘삼뵈’와 ‘마포’로 나타난다. 언간 자료는 언간 이외의 문헌자료에 비 하여 직물명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 관련 물명과 구어가 많이 나타나고, 언간 의 문맥과 발수신자의 관계를 통해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좋은 물 명 연구의 자료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has as an objective to examine in what forms and meanings the names of fabric, such as “mumyeong (cotton),” “myeongju (silk fabric),” “bidan (silk satin)” and “mosi (ramie fabric),” are expressed in the eongan, or Hangeul letters from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process, the names of fabric appearing in the eongan data had oral characteristics, comparing with the names of fabric appearing in other literatures. The names of fabric are usually made from borrowed or unique words which correspond to Chinese characters. Literatures of Korean history include the borrowed words type, such as “mumyeon” and “mumyeong,” and the Chinese words type, such as “mokmyeon,” “myeonpo,” and “mokmyeongpo,” while in the eongan, only “mumyeong” appeared. Moreover in the eongan, various sub-category words referring to “mumyeong” were found, and among them were “mok” in place of “mumyeong” is interesting. The eongan also included the “myeongdi” and “myeongji” type and the “myeongjyu” and “myeongju” type, but in other literatures, more literary expressions “myeongdyu” and “myunjyu” were used. The word “gip” was first found in the eongan to mean “silkworm.” This study examines the Chinese transcription and meanings of the word “bidan.” The dialect version of “mosi” was found in the eongan. Since the eongan as data included not only names of fabric but also many names and their oral expressions of other various daily goods, it can be utilized . not only as an important source of great information but also a good material for researches on names of objects through in-depth studies on the context of lett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nder and recipient.

      • KCI등재

        인선왕후(1619∼1674)가 숙명공주에게 보낸 시가(媤家) 관련 언간의 생활사적 특성과 의미

        이남희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3 No.-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analysis and communication details of the Eongans sent by Queen Inseon (1619-1674) of King Hyojong of the 17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to her daughter Princess Sukmyung(1640-1699), especially those related to “Shiga”[媤家, husband’s family] after her marriage. First of all, we tried to estimate the timing of writing the Eongans independently by critically referring to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for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ir Eongans. In order to efficiently analyze the 53 Eongans, we tried to examine them by dividing them into the Eongans related to “Shiga”[媤家, husband’s family] and the Eongans related to “Chinjeong”[親庭, married woman’s parents’ home] Through a detailed review, we could get a glimpse of 1)the request and teaching of Princess Sukmyung as a mother right after her m arriage, 2)her thoughts on Shim Ick-hyun, 3)her grandchildren GaSang and WonSang [Shim Jeong-bo and Shim Jeong-hyeop], and 4)her father-in-law Shim Ji-won’s funeral and family affairs. In particular, around the funeral of Shim Ji-won, she was concerned that Princess Sukmyung and Shim Ick-hyun will be injured after fully expressing their condolences. She also asked them to eat a lot of meat from now on. Through Queen Inseon’s Eongans, we can not only get a glimpse of the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married daughter (Princess Sukmyung) and her mother (Queen Inseon), but also get vivid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marriage and living world at that time. 이 글에서는 조선 제17대 국왕 효종의 비 인선왕후가 딸 숙명공주에게 보낸 53건의 언간들, 그 중에서도 혼인한 이후 시가(媤家)와 관련된 언간들에 대한 분석과 소통내역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그들 언간의 구성 내역 전반에 대해서, 기존 연구 성과를 참조하면서 각 언간의 작성 시기를 추정해보았다. 이어 구체적인 검토를 통해서 1)숙명공주가 혼인한 직후의 신혼시절에 보낸 어머니로서의 당부와 가르침, 2)부마 심익현에 대한 마음씀씀이, 3)손자 가상과 원상[심정보와 심정협]에 대한 할머니로서의 관심과 사랑, 4)숙명공주 시가 심지원의 장례와 집안사정에 대한 관심과 우려 등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심지원의 장례에 즈음해서는애도의 뜻을 충분히 전한 다음, 숙명공주와 부마 심익현의 몸이 상할까 우려하고 있다. 이제부터라도 고기를 많이 먹으라는 솔직한 부탁을 하기도 했다. 인선왕후 언간을 통해서 시집간 딸[숙명공주]과 친정어머니[인선왕후] 사이에 오고간 대화와 소통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시가와 관련된 생활과 생활세계에 관한 생생한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