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구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계부문 에너지 소비행태 분석 - 1인 가구 및 고령가구를 중심으로-

        홍종호 ( Jong Ho Hong ),오형나 ( Hyungna Oh ),이성재 ( Sungjae Lee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8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7 No.3

        우리나라의 인구구조는 1인 가구 및 고령가구가 점차 증가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에너지 수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1인 및 고령가구의 에너지 소비패턴이 일반 가구의 에너지 소비패턴과 구별되는 특징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에너지 소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역고정효과 모형과 에너지 경제연구원의 가구상설표본조사 패널 자료(2013-2015년)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1인 가구는 다른 가구 형태에 비해 모든 에너지원에서 소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인 가구 중 4060대의 소비가 가장 많았다. 고령화 효과는 에너지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고령가구의 전력 소비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대체로 많거나 비슷하였으나, 등유는 고령가구의 소비가 가장 적었다. 반면, 가스 및 총에너지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는 정부가 1인 가구 및 고령화로 인해 증가하는 전력 혹은 에너지 소비 추이를 면밀히 관찰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s the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 changes with the increase of single households and elderly households, this may have effect on domestic energy consumption pattern. Our study analyzes whether the energy consumption of single and elderly households are distinguishable from those of general households. For empirical analysis, Household Energy Standing Survey panel data and regional fixed effect model are employed. The result strongly shows that single households consume more energy than other households. The consumption of single households from 40s to 60s wa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aging was different from energy sources. Electricity consumption of elderly household was more than other age groups, while oil consumption of elderly household was less than others. Gas and total energy consumptions turned out to be not much different among different age groups.

      • KCI우수등재

        전수조사를 통한 초‧중‧고 학교시설의 신재생에너지 적용 현황 및 에너지소비구조 분석

        장승민,박병용,이태인,최율,조진균 대한설비공학회 2022 설비공학 논문집 Vol.34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nergy consumption structur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here energy consumption occurs on a quantitative scale.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pplication of a renewable energy system by regional group and system type. By analyzing the installation ratio of renewable energy system by remodeling educational facilities, whether an appropriate and effective system was applied and operated in old schools was investigated. The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renewable energy system was carried out as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targeting a total of 11,819 schools nationwide. The ratio of installed schools in 17 regions and installation items by renewable energy system type (n = 5) were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ratio of renewable energy installation between public schools and private schools was about 20%, which could further lead to an imbalance in educational conditions. In the case of energy independence of educational facilities, it is meaningful to increase the installation rat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an energy saving program that combines educational elements that student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본 연구는 양적인 규모에 의한 에너지 다소비가 발생하는 초․중․고 학교의 건물 에너지소비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별, 유형별 신재생에너지 적용현황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교육시설의 리모델링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설치현황을 분석하여 지역별, 유형별 노후 학교에 적절하고 효과적인 시스템 적용과 운영 여부를 조사하였다. 신재생에너지의 적용현황 분석은 전국 11,819개 초․중․고 학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로 수행되었다. 총 17개 지역별 설치된 학교의 비율과 5가지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종류별 설치사항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학교시설의 현황은 국․공립 초등학교 6,186개교, 사립 초등학교 73개교, 국․공립 중학교 2,588개교, 사립 중학교 635개교, 국․공립 고등학교 1,391개교 및 사립 고등학교 946개교로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준공년도 20년 이상 경과한 건축물은 조사시점 기준으로 약 7,528개교로 전체의 약 64%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당수 에너지효율 개선과 리모델링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국․공립학교 10,165개 중 신재생에너지 설치 비율은 28%(2,513개교)인 반면에 사립학교는 1,654개교 중 약 7%(110개교)만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적용되어 있다. 이것은 국․공립과 사립 학교시설의 신재생 에너지 설치 비율이 20% 이상 차이나는 것이다. ⦁지역별 학교시설의 신재생에너지 설치 비율은 세종 60%, 제주 40%, 강원 34%, 인천 29%, 울산 27%, 부산 25%, 충남 25%, 전북 24%, 서울 23%, 경기 22%, 대전 21%, 충북 20%, 경남 20%, 광주 19%, 대구, 18%, 전남 15% 및 경북이 11% 순서로 분석되었다. ⦁전국 학교시설에 설치된 신재생에너지 설비 중 약 60% 이상이 태양광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고 세종특별자치시만 지열과 태양광 설비의 설치 비율이 동일하였다. 2개 이상의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적용된 사례에는 태양광과 지열 시스템이 복합적으로 설치된 학교가 가장 많았다. ⦁에너지절감을 위한 리모델링이 기 수행된 Y-중학교와 J-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상세분석을 한 결과, 에너지사용량은 교육․연구시설의 평균 에너지사용량(96 kWh/m2) 대비 약 10~15%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 적용 비율은 약 2% 전후로 매우 낮았다. 국․공립학교와 사립학교의 신재생에너지 적용 비율의 차이가 약 20%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나아가서 교육 여건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공공건축물을 통해 빠르게 진행되어 가는 에너지자립화는 교육시설의 경우, 그 주된 목적이 교육의 관점에 있으므로 신재생에너지 설치비율을 높이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 가능한 교육적 요소가 접합된 에너지절약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도 절실하게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전국의 학교건물 현황을 전수 조사한 것으로 큰 의미를 갖고 있으며,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교육시설의 에너지효율 정책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다.

      • KCI등재

        생활행위 구분을 고려한 가정부문 에너지소비조사기법의 적용방안

        임기추 통계청 2016 통계연구 Vol.21 No.2

        There was a dire need to compile data about energy consumption data by use to analyze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patterns relating to changes in lifestyles, or changes in life behavior. Accordingly, a survey techniques for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by use was developed by life behavior classification in an attempt to analyze energy consumption. The energy consumption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efficiency and each appliance’s running times by each appliance by life behavior. This paper recommend a survey techniques to determine the energy consumption of each household. The uses according to life behavior were categorized by lighting, heating, cooling, entertainment, information, hygiene, and cooking. 생활행위의 변화를 고려한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패턴 분석이나 가정부문 에너지절약 정책의 시행효과 분석 등을 위해서 생활행위별 에너지소비 조사자료 작성이 절실히 요청되어 왔다. 이에따라, 생활행위의 분류에 의한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조사기법을 개발하고 집계방안을 강구하였다. 즉, 본고에서는 주택부위(방)별 에너지 사용기기의 소비효율에 생활행위별 기기마다 가동시간을 곱해서 가구당 에너지 소비량이 산출될 수 있도록 조사기법과 조사결과에 대한 집계방안을제시하였다. 생활행위 분류는 조명용, 난방용, 냉방용, 오락용, 정보용, 위생용, 취사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사례연구 설문조사에 의한 주택에서의 에너지소비 실태조사와 개선방안 연구

        이철구(Lee, Chul-goo)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 2013 한국지열에너지학회논문집 Vol.9 No.1

        With the architectural energy saving technique such as building insulation, airtightness etc., chang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shortening the air conditioning time etc. are the good methods to practice energy saving in our lives. This study aims to seek a way to realize energy saving under investigatio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energy consumption condition and energy saving perception. 93%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energy saving, and 67% said more energy saving would possible in homes. Viable energy saving way was questioned by five steps method. More than 50% responded "possible" or "seems possible" at most of the items. Whereas less than 50% responded "possible" or "seems possible" at the items of "lessening the cooling time" and "lessening the shower time". Ages of 50s who responded "possible" or "seems possible" was relatively less compared to 30s and 40s.

      • KCI우수등재SCOPUS
      • 건물에너지 소비조사DB를 활용한 표준비주거용건물모델 정의용 프레임워크 제안

        김혜진(Kim, Hye-Jin),서동현(Seo, Dong-Hyun) 대한건축학회 201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7 No.1

        Reference building represents typical energy usage characteristics of a certain usage of building stock based on various existing building information. Until now, non-residential reference buildings are defined arbitrary in terms of used DB, definition procedure, purpose, etc, which makes difficult to use for other research purpose. As a result, the definition study of a Non-residential reference building has been repeated continuously. In this study, reference building definition procedures of the U.S. and Europe are reviewed, and a framework for the definition of non-residential reference building of Korea is proposed for detailed building energy analysis program. Since the framework use KEEI’s permanent commercial building energy survey results with supplemental DBs, it could provide consistent reference building definition results regardless of researchers and research purposes.

      • 학교 건물의 GHP 실태조사 및 유지관리 방안 연구

        이상혁(Sang-Hyeok Lee),박효순(Hyo-Soon Park) 대한설비공학회 2016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6

        In this study, through the heating and cooling system installation survey of school buildings, analyzed energy consumption and suggested effective GHP system maintenance method. And to contribute to the dissemination activated to respond to the government policy level. Systems installed in the elementary·middle·high school of the cities and province educational office, EHP and GHP installations are 77.4% and 5.3%, respectively. It is expected to increase GHP system installation ratio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and the needs of replacement. Daejeon area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survey the installed system energy consumption classified into three types, EHP, GHP, EHP+GHP based on main system. GHP system is lowest energy consumption compared to other systems and the average contract demand of electricity 24.8% less than EHP system. Efficient and proactive preventive maintenance is required by energy/system monitoring which utilizing ICT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