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드라마의 게임화, 게임의 드라마화 — 중국 TV 드라마 <미미일소흔경성微微一笑很傾城>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송연옥,문현선 중국문화연구학회 2020 중국문화연구 Vol.0 No.47

        In the digital cultural environment of the current generation, the convergence between media is no longer strange.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mechanism of the crossover storytelling, its effect and its in-depth meaning, focusing on the interactive media associated with the game in the storytelling of the drama. This is because I think the mechanism and its medium of ga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ultural genres, will be a part of a new strategy in the expansion of drama storytelling. When considering the storytelling of the game with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drama, the two basically matched the hero’s narrative but showed a differentness in the second act. This is because storytelling elements, such as the setting of characters and events, showed self-selected and repeated characteristics by users in the game. When analyzing the story of the game in terms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drama, the back story is similar to the first and second episode of the drama, and the ideal story corresponds to the ending of the drama. However, the game’s random story is individual and nonlinear narrative, which is unique characteristic of game. As such, games and dramas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respectively, showing the potential for media crossing possibilities among the media. This paper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arrative of Chinese TV drama <Love O2O(微微一笑很倾城)> and that of the online role-playing game <A Chinese Ghost Story(新倩女幽魂)>. The drama uses the game-playing elements of “Tutorial, Ludus-type Competition” as a plot, turning the Playing Media into Showing Media. Meanwhile, in the game <A Chinese Ghost Story(新倩女幽魂)>, the simulations corresponding to the layers of random story portrays the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the drama and creates conflicts in the case. Game simulations advocate ‘dramas for games’ while actively engaging in the drama’s values and worldviews. The drama <Love O2O(微微一笑很倾城)> is the attempt of both the ‘game-style storytelling of dramas’ and the ‘drama-style storytelling of games’, and also it is the new experiment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It also proves that dramas and games can expand each other’s storytelling, form mutual marketing partnerships and reap huge value-added values. This will be a good example that will meet the demands of the era of digital storytelling and be applied to the inter-media crossing.

      • KCI등재

        멀티 플랫폼 환경의 웹드라마 스토리텔링 특성 - MBC 제작 웹드라마를 중심으로 -

        고선희 ( Ko Seon-h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9 No.-

        본고에서는 지상파의 멀티 플랫폼 전략에 의해 개발된 웹드라마의 스토리텔링 특성을 분석해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TV 시청률은 급속히 하락하고 있는 반면 웹 플랫폼의 영향력은 날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상파 방송사가 TV와 웹을 동시 공략하고자 내놓은 웹드라마는,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서사 유형인 드라마가 어떻게 변하고 있으며 어디로 향해가고 있는지 무엇보다 잘 보여줄 텍스트라고 판단했다. 주요 분석대상은 지상파 3사 중 가장 일관되게 드라마의 멀티 플랫폼 전략을 수행해 온 MBC의 웹드라마 5편이었다. 분석 결과 이들 드라마는, 통합체적 서사 완결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 웹드라마보다 기존의 TV드라마와 더 유사했고, 계열체적인 면에서는 일반적인 웹드라마들과 유사한 스토리텔링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5 편 모두 로맨스 드라마의 장르관습을 적극 동원하고 있으며, 거기에 판타지적 설정을 더해 일상의 판타지를 구현하고 있었다. 또한 만화·애니메이션적 캐릭터와 판타지적 설정을 통해 ‘유사 리얼리티’를 재현함으로써, 웹드라마의 주요 수용자인 청춘세대의 취향에 소구하고 있었다. 요컨대 지상파가 멀티 플랫폼 전략으로 개발한 웹드라마는 장르관습과 캐릭터 재현, 리얼리티 구현에 있어 기존의 TV드라마 보다는 웹드라마 다수의 스토리텔링 특성에 맞추는 방향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사실을 통해 웹드라마도 그 나름의 미학을 형성해가고 있을 가능성도 예측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기존 드라마의 클리셰를 적극 동원하고 있는 웹드라마들이, 비판의 대상이 되기보다 오히려 또 다른 즐거움의 요소로 소비되고 있는 문화 현상에 주목하여, 이를 디지털 세대 특유의 ‘데이터베이스 소비’ 현상으로 해석해 보았다. 웹드라마는 뻔한 스토리와 익숙한 드라마 클리셰로 단순히 소비되고만 있는 게 아니라, 그 나름의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대중과 만나고 있다고 본 것이다. 지상파가 개발한 멀티플랫폼 콘텐츠로서의 웹드라마는 이러한 현상을 보여주며 디지털 시대의 전개에 따른 우리의 이야기 문화가 어디로 향해가고 있는지 가늠케 해주는 유의미한 텍스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article, we analyzed the meaning and meaning of storytelling in web drama Developed by terrestrial TV broadcasters. Web dramas have been developed with their crisis response strategies. Web drama is part of a multi-flat forming strategy.while TV ratings are declining rapidly, the impact of the web platform is increasing day by day. The main subject of analysis was five web drama of MBC. MBC has been the most consistent the multi-platform strategy about drama among the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 As a result of analysis, these dramas are more similar to conventional TV dramas than general web drama in that they have integrated volumetric narrative completeness, and they have similar storytelling characteristics to general web dramas in terms of sequence. It is reproducing 'pseudo-reality' by fantasy setting and animated character, and the active mobilization of romance genre customs. In short, it was found that web drama developed by terrestrial multi - platform strategy wa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storytelling characteristics of many web dramas rather than existing TV dramas. Through this fact, it was also possible to predict the possibility that web dramas are forming their own aesthetics. In addi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ultural phenomenon in which the ‘clicher’ of web drama is consumed as another factor of pleasure rather than being criticized. It is interpreted as the 'database consumption' phenomenon unique to the digital generation. Web drama is meeting with the public through its own storytelling method.

      • KCI등재후보

        한국 일상극의 글쓰기와 공연방식

        김성희 ( Sung Hee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09 드라마연구 Vol.- No.31

        One of major trends appeared in Korean plays of 2000s is rising of an everyday drama. However, performances named an everyday drama in our country have a difference from ``everyday drama`` constructed in an aesthetic form`s concept. The dramas often named an everyday drama in our country are close to a materialism concept. By the way, if we prescribe a drama form by taking this standpoint, we get to fall in an error neglecting a style or aesthetics of arts. The present research aims for a materialism standpoint, and tried to clarify that the everyday drama is a drama form having new world recognition, drama aesthetics and the avant-garde-like writing.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on characteristics and major trends of Korean everyday drama while referring to aesthetics of an everyday drama established as a unique drama form after appearing in Western Europe of 1970s with a conceptual framework. Also, the present research selected〈Glory of Youth〉 of Keun-hyung Park,〈Birthday party day for one-year old baby〉 of Myeong-hwa Kim and〈Travel〉 of Young-seon Yoon as representative works and analyzed writing and performance aesthetics of these three works. As the everyday drama keeps a horizontal viewpoint and an approaching attitude viewing closely, it has a unique content and form. This is a drama that tries to put aspects and all conflicts, various viewpoints and chaos of various lives included in usual life in the stage, while approaching usual life in a position of ``an observer as a participant``.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an everyday drama is to induce the spectators to introspect on usual life by newly suggesting peripheral figures and multifaceted meanings of usual life being underestimated in a drama stage in the meanwhile. The everyday drama suggests ordinary and stale life to spectators instead of grand discourse like an ideology or history, makes spectators fill a gap of the meaning and compose a meaning of text according to one`s own world recognition through segmented scenes or split figures, time-space mixed with revenging voice and viewpoints, an open conclusion and others, namely, is ``a drama of spectators`` inducing active meaning analysis of spectators. 2000년대 한국연극에 나타난 주요 경향 중의 하나는 일상극의 부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일상극으로 지칭되는 공연들은 프랑스나 독일 등에서 하나의 미학적 양식 개념으로 구축된 ``일상극``과는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일상극으로 지칭하는 연극들은 소재주의적 개념에 가깝다. 그런데, 이 입장을 취해 연극양식을 규정한다면 예술의 스타일이나 미학을 경시하는 오류에 빠지게 된다. 본 연구는 소재주의적 입장을 지양하고, 일상극이 새로운 세계인식과 연극미학 및 아방가르드적 글쓰기를 가진 연극 양식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1970년대 서구에서 등장하여 특유의 연극양식으로 정립된 일상극의 미학을 개념틀로 참조하면서 한국 일상극의 특성과 주요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 일상극의 대표작으로 박근형의〈청춘예찬〉, 김명화의〈돐날〉, 윤영선의〈여행〉을 선정하고, 이들 세 작품의 글쓰기와 공연미학을 분석해 보았다. 일상극은 일상에 대한 수평적 관점과 가까이서 조망하는 접근 태도를 견지하기 때문에 독특한 내용과 형식을 갖는다. 일상극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는 그동안 연극무대에서 폄하되어 왔던 주변부 인물과 일상의 다면적 의미를 새롭게 제기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일상에 대한 성찰을 유도한다는 점이다. 일상극은 이념이나 역사 같은 거대담론 대신 평범하고 진부한 일상을 관객 앞에 제시하면서 파편화된 장면이나 분열된 인물들, 복수의 목소리와 관점이 혼재하는 시공간, 열린 결말 등을 통해 관객이 그 의미의 틈새를 메우고 자신의 세계인식에 따라 스스로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하게 만드는, 다시 말해 관객의 능동적인 의미해석을 유도하는 ``관객의 연극``이다.

      • KCI등재

        <한뼘 드라마>의 양식 실험과 드라마 플랫폼 환경 변화

        윤석진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2

        본 연구에서는 MBC <한뼘 드라마>의 서사 구성과 영상 연출의 특징을 드라마 플랫폼 환경 변화와의 연관성 하에서 분석하였다. <한뼘 드라마>는 텔레비전드라마 연출 분야에서 독보적인 영상미학을 구축한 것으로 평가받는 황인뢰 감독이 기획하고 제작하면서 대부분을 연출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웹드라마가 본격적으로 태동하기 이전에 분절과 결합의 모듈화를 시도한 양식 실험이 돋보이는 텔레비전드라마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분야의 예술 텍스트를 패러디하는 방식으로 예술적 재순환을 시도한 것이나, 비유적 이미지가 돋보이는 영상 연출에서 <한뼘 드라마>의 양식적 실험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인터넷 기반의 웹 환경이 구축되면서 예고된 텔레비전드라마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한뼘 드라마>의 서사 구성이 분절과 결합의 모듈화를 기반으로 하는 웹드라마의 서사 구성과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한뼘 드라마>가 2013년에 본격적으로 공유의 장이 형성된 이후 봇물 터지듯 제작되고 있는 웹드라마의 뿌리였다고 평가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웹드라마의 레거시콘텐츠로서 가치가 돋보인다는 점에서 <한뼘 드라마>의 드라마사적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composition and video production of MBC’s <Hanbbeom Drama>. <Hanbbeom Drama> is a modularized drama designed and produced mostly by director Hwang In-roei, who is considered to have developed a unique visual art in the field of television drama production. The art recycling attempts by parodying the text of various fields of art can be seen as a formative experiment of the <Hanbbeom Drama> in a video production that highlights figurative images. In this study, I have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lyrics of the <Hanbbeom Drama>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a web drama based on modularization of divisions and combination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Hanbbeom Drama> is the foundation of a web drama that has been in full swing since its opening in 2013. At this point, I was able to evaluate the historical value of the drama as a legacy content of web dramas.

      • KCI등재

        OTT 드라마 <킹덤> 서사 전략 연구 - 재매개 이론을 중심으로 -

        윤복실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3

        The drama that started as a play was reborn as a movie, television drama, and OTT drama. Dramas rebor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etain the nature of storytelling, but have the characteristic of remodeling form and content according to media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e narrative strategy of the drama of the OTT service through the remediation theory. The theory of remediation is that the new media makes its form and content by using the properties of the existing media as its own. Therefore, this study set the TV drama as the existing media of the OTT drama and derived the differences between OTT dramas and television dramas. At this time, the TV drama is characterized by distributed concentration, immersion, continuity, and everydaynes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rama “Kingdom” maximized the suspense by borrowing the structure of mystery narrative, raising the immersion to the maximum. The maximization of suspense was also achieved through violence and sensibility, such as the appearance of zombies and pursuit of pedagogy. In addition, the continuity of narrative was secured through the movement of narrative background through mystery narrative and the appearance of new character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drama “Kingdom” deviated from the everydayness of a television drama in terms of discourse. This is because zombies are the subject of drama, and they are violent and sensationa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Kingdom” does not borrow conventional television imaging techniques, such as past summoning using flashback or not using the ending cut of still image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narrative strategy of “Kingdom” borrowed the narrative strategy of the existing television drama at the story level, but changed at the discourse level. 연극으로 출발한 드라마는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 그리고 웹드라마와 OTT 드라마로 재탄생하였다. 기술의 발달로 거듭난 드라마는 이야기하기라는 본연의 성질을 유지하지만, 미디어 특성에 따라 형식과 내용을 개조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재매개 이론을 통해 OTT 서비스의 드라마의 서사 전략을 확인하였다. 재매개 이론은 뉴미디어가 기존 미디어의 속성을 자기의 것으로 해서 그 형식과 내용을 만든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텔레비전 드라마를 OTT 드라마의 기존 미디어로 설정하고 어떠한 차이점을 지니는지 도출하였다. 이때 텔레비전 드라마는 매체의 특성상 분산몰입성과 연속성 그리고 일상성을 특징으로 한다. 연구 결과, 드라마 <킹덤>은 기존 텔레비전 드라마의 영웅 서사 구조와 추리 서사 구조를 결합하여 서스펜스를 극대화함으로써 몰입성을 최대치로 끌어올렸다. 또 서스펜스의 극대화는 좀비 출현, 조학주의 추격 등 폭력성과 선정성을 통해서도 이루어졌다. 또 서사의 연속성은 추리 서사를 통한 서사 배경의 이동과 새로운 인물 출현을 통해서 확보되었다. 그리고 드라마 <킹덤>은 담화적인 측면에서 텔레비전 드라마의 일상성에서 벗어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좀비를 드라마의 소재로 하고 있고, 폭력적이고 선정적이란 것에서 그러하다. 더불어 <킹덤>은 플래시백을 이용한 과거 소환이나 정지화면의 엔딩 컷을 사용하지 않는 등 관습적인 텔레비전의 영상기법을 차용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서 <킹덤>의 서사 전략은 이야기 차원에서는 기존의 텔레비전 드라마의 서사 전략을 차용하지만 담화 차원에서는 변주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드라마의 방영기간이 스타배우 기용에 미치는 영향

        공우정,신형덕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6

        This study investigated when TV drama producers choose famous actor/actress based on 288 TV dramas aired in Korea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7. We considered the length of drama, measured by the number of episodes, as a major determinant for choosing famous actor/actress, as well as the existence of originals, use of independent producing agents, and producers' fame as interacting factors between length of drama and choosing famous actor/actress. We detected that drama length had a significant effect while original dramas had an interacting effect. We interpret this result as the effect of mismanagement of drama producing. While a famous actor/actress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economic gains to drama producers, drama producers should be careful in choosing him/her since his/her drama guarantee should be high. This is why producers should choose a famous actor/actress when the length of the drama is short and should prefer an original drama. 드라마 제작에 있어서 스타배우의 기용은 드라마 수익의 중요한 요건인 시청률 확보에 있어서 중요한 원천이 되지만 이와 동시에 드라마 비용 상승의 중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어떠한 상황에서 스타배우를 기용하는가에 대해 조사하는 것은 드라마 기획 과정에서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방식에 대해 파악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방영된 텔레비전 드라마를 대상으로 하여 드라마의 스타배우의 기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2014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공중파 방송 3사와 케이블 방송사에서 방영이 완결된 288편 드라마를 선정하였다. 스타배우 기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드라마의 방영기간, 즉 드라마의 횟수에 주목하였으며 원작 유무, 외주제작 여부와 PD의 수상 경력의 조절효과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단편드라마의 경우 스타배우가 기용되며 특히 원작이 존재하는 단편드라마가 원작이 있는 경우에 스타배우를 더욱 기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 수익의 가능성이 큰 스타배우를 기용하는 것에 따르는 높은 출연료의 부담을 덜기 위한 불확실성 감소의 수단으로 방영기간이 짧고 스토리가 검증된 원작을 사용하는 드라마 제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스낵컬처(snackculture) 시대의 새로운 이야기 양식, 웹드라마의 서사 구조에 관한 연구

        강건해 ( Kang Keon-hae ) 한국드라마학회 2020 드라마연구 Vol.0 No.60

        본 연구는 웹플랫폼에 게시될 목적으로 제작된 웹드라마의 서사 구조를 파악하여 드라마의 양식적 특징을 탐구하고자 시작되었다. 먼저 웹플랫폼을 통해 무료로 제공되는 짧은 길이의 드라마를 ‘웹플랫폼 드라마’로 명명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처럼 ‘웹플랫폼 드라마’로 범주의 제한을 둔 것은 이들 드라마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웹드라마’와 구분되는 이야기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웹드라마가’ 기존의 드라마 형식을 고수한 채 ‘웹’을 드라마 재생의 도구로서 활용하는 것과 달리 ‘웹플랫폼 드라마’는 스낵컬처의 서사 콘텐츠로서 ‘웹’의 환경에 적합한 형식으로 구조화되고 있다. 웹플랫폼 드라마는 ‘에피소드(episode)’라 불리는 10분 내외의 분절된 드라마가 10여 편가량 묶여 완결되는 외형적 특징을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에피소드들은 개별적으로 소비되는 까닭에 독자적 이야기 구조를 지니면서도 완결된 드라마의 세계로 수렴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서사의 입구와 출구는 개방되어 있고, 몰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플롯은 간결해진다. 이러한 형식은 웹플랫폼 드라마가 구동되는 매체의 환경과 가상과 현실이 병존하는 상황에 익숙한 수용층의 특성에 부합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웹플랫폼 드라마의 가장 큰 구조적 특징은 이야기가 전통적 서사전개 양식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웹플랫폼 드라마의 사건들은 인과적 결속에 구속되지 않는 탈위계적 전개를 보이며, ‘우연’을 적극적인 서사 추동의 기법으로 활용한다. 또한 증폭된 갈등의 해결을 통해 ‘무엇’에 도달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지 않으며, 당면한 순간을 유희적으로 향유하는, ‘과정’에 충실한 전개를 보인다. 결국 드라마의 전개과정에서 드러난 갈등은 무화되고, 결말은 관객이 기대하는 희극적 마무리에 이르는 양상을 보인다. 웹플랫폼 드라마의 이러한 구조는 필연적 인과관계를 서사의 기본으로 삼아 온 대중적 이야기 양식과는 구분되는 서사 전략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 to explore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drama by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web dramas intended to be posted on Web platforms. First, this study discusses these dramas as ‘web platform dramas’. The reason why the category of "web platform dramas" has been differentiated is that this type of drama shows a distinct narrative structure from general web dramas, which use the web as a tool for playback, while keeping up with the existing drama format. The biggest structural feature of web platform drama is that the story is not limited to traditional narrative development forms. Events in web platform dramas show deviant development that is not constrained by causal bonds, and use "coincidence" as a technique for the active narrative drive. They also show no willingness to reach the resolution of the amplified conflict but develop in the "process" of enjoying the moment at hand. Accordingly, the dramatic conflict revealed in development process is mutilated, and the dramatic conflict is likely to lead to the comic ending expected by the audience. This structure of web platform drama is a narrative strategy that distinguishes it from the popular narrative style, which has inevitably made causality the basis of the narrative.

      • KCI등재

        1950~60년대 연극전문비평 형성 과정에서 종합교양잡지의 역할 -에디토리얼을 중심으로

        김유미 ( Kim Yoo-mi ) 한국드라마학회 2018 드라마연구 Vol.0 No.56

        이 연구는 1950~60년대 종합교양지의 연극기사와 이를 담당한 필자를 살펴봄으로써 연극전문비평으로 분화해 나가는 지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밝히는 일은 영문학에서 연극학 그리고 연극비평으로 분화해 나가는 과정을 드러내는 일이다. 그리고 1970년대 연극전문비평지의 탄생으로 평단이 형성되고 본격적 연극비평활동이 가능할 수 있었던 배경을 살피는 일이다. 잘 알려진 1970년대의 연극비평을 가능하게 했던 숨겨진 힘들을 살펴보면 1970년대의 모습이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이 연구의 중심인 1950~60년대는 전문비평의 형성이란 점에서 그 자체로 중요하지만 1970년대로 이어지는 연속선상에서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살펴볼 1950~60년대 종합잡지는 『사상계』 『현대문학』 『자유문학』 『문학예술』 『세대』 『신동아』 『공간』 등이다. 전체 잡지들의 발간인, 주요 필자와 연극관련 기사의 경향, 전체 목차 안에서의 역할, 내용상의 특징들을 살핌으로써 연극관련 기사들의 역할과 위상을 정리하여 잡지별 특성과 1950년대와 1960년대의 차이를 드러냈다. 편집상 연극평론의 비중을 높게 다룸으로써 1970년대 연극전문지와 가장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잡지는 『세대』이다. 연극 관련 전체 기사는 셰익스피어, 동시대 해외연극 소개, 학술적 글, 기타 시론이나 연극평 4가지 정도로 분류되는데 셰익스피어와 해외연극 소개의 비중이 높다. 이는 잡지들의 연극 기사를 담당한 주요 필자들이 외국문학 전공자라는 사실과도 관련된다. 오화섭, 여석기, 이근삼은 영문학자, 교수이면서 연극비평도 담당함으로써 이들의 변화과정은 연극비평의 분화과정을 드러내준다. 특히 여석기는 1970년대까지 비평활동을 이어간다는 점에서 그리고 1950~60년대 문학계 안에서 전방위적으로 활동함으로써 연극비평으로 분화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들 종합지가 문학적 성격이 강하다 보니 시극을 통한 연극 장르의 위치제고, 신비평의 등장과 비평무용론을 둘러싼 비평의 역할에 대한 간접경험 등이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place differentiating to critics specialized on drama by looking into the articles and the writers on general culture magazines in 1950~60’s. It is revealing the process differentiating from English literature to dramatics and critics on drama. In addition, it is investigating the backgrounds where the creation of the magazine specialized on critics on drama leading to the formation of critics society and the activity of critics on drama were possible.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images of 1970’s by looking into the hidden power to make the well-known critics on drama in 1970’s. The periods of 1950~60’s focused on this study are important in the aspect of formation of specialized critics themselves as well as the continuation to 1970’s. The general magazines to be examined for this include 『sasanggye』, 『contemporary literatual』, 『jayumunhak』, 『munhakyesul』, 『sedae』, 『shindonga』, 『space』, and so on. Investigation of editors, main writers, trends of articles on drama critic, role in total lists and features of contents on all magazine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gazin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1950’s and 1960’s through the summarizing the role and position of drama-related articles. 『sedae』 is the most similar to the magazine specialized on drama in 1970’s by giving the priority to critics on drama during editing. The all drama-related articles can b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such as Shakespeare, introduction of contemporary overseas drama, academic writing, other public opinion or drama critic. Among them, Shakespeare and introduction of contemporary overseas drama are more important, which is related with the fact that main writers of drama articles on magazines are experts on foreign literatures. O hwa-sub, Yer suk-gi, Lee keun-sam are both scholars of English literatures and professors taking charge of critics on drama. Their changing process shows the differentiation of critics on drama. Notably, Yer suk-gi is important because he exhibits well the differentiation process to critics on drama by his broad activity in literary society in 1950’s~1960’s and the continuation to 1970’s. As these general magazines have strong literary features, these were affected by reconsideration of the status of drama genre, emergence of new critics and indirect experience about the role of critics surrounding the uselessness of the criticism.

      • KCI등재

        셰익스피어의 한국수용(2) -1962년~1979년까지

        신정옥 ( Jung Ok Shin ) 한국드라마학회 2006 드라마연구 Vol.- No.24

        The decades of the 1960s and 70s form the second phase of Korean acceptance of Shakespeare and this paper attempts to survey the Shakespeare studies of this phase in the areas of literature and drama, and within universities. Shakespeare was first introduced as a heroic figure, philosopher, and statesman, but by this time, he recovered his true persona was approached as a literary figure, playwright, and dramatist. Korea during this period was emerging out of an upheaval resulting from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and Korean War. However, the seed of Shakespeare studies was germinated and energetically nurtured at this time. Shin-hyup produced Shakespeare`s tragedies and their effort no doubt facilitated the Shakespeare acceptance and the rebirth of theater movement. As the public gained better understanding of Shakespeare, Shakespeare scholars and publishers embarked on translating Shakespeare for further understanding. Jung-eum-sa in 1964 published the first complete translation of Shakespeare`s works in 4 volumes, a monumental feat in the Shakespeare studies in Korea. The Jung-eum-sa`s translation was participated by 19 scholars, including Choi Jung-woo, Han No-dan, Kim Kap-soon, Kim Joo-hyun, Oh Wha-sup, Lee Jong-soo, Yoh Suk-kee, and Lee Chang-bae. Whye-moon Publishing House, on the other hand, published Kim Jae-nam`s 5 volume translation of complete Shakespeare. In 1964, all of the Shakespeare`s works were translated. During the 1970s, Eul-yoo Books published the paperback editions of Shakespeare translation and his works were included in collections and anthologies. Then the younger generation got in the act of translation and they added a fresh perspective to the Shakespeare studies. Starting with Choi Jae-suh, Hamlet has been translated by 50 times, different people and remains to be the most frequently translated work It is followed by Romeo and Juliet, 39 times, Othello, 29 times, Macbeth, 27 times, and King Lear, 26 times. Among the comedies, The Merchant of Venice tops the list with 30 translations, different translations, then comes The Tempest, 12 times, A Midsummer Night`s Dream, 10 times and The Taming of the Shrew, 9 times. As shown in this statistics, tragedies predominate comedies. The decade of the 1970s saw the generational shift in research activities: the old generation gave way to the newly emerging generation of scholars and the Shakespeare studies rapidly flourished. What distinguished me modern drama was its emphasis on me vivid depiction of everyday reality and it gave birth to me little theater movement. In the Western world, the movement began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nd in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In Korea, it began in 1920 when the Theater Art Association was formed, and during the 1950s me Theatre Libre and the Drama Production Association were organized. Then the college drama movement ensued. Soon, Won-gak-sa joined in the movement and scheduled dramas as part of its regular programs. The year 1962 is very important in the history of Korean theaters: the Drama Center, an all exclusive drama theater and the very first of its kind, opened its door. The opening of the Drama Center was the culmination of the Korean little theater movement and the fulfillment of Yoo Chi-jin`s life-long dreams. The opening production of the center was Hamlet. The play was produced and performed by Yoo Chi-jin, Lee Hae-rang, Kim Dong-won, Whang Jung-soon, and Jang Min-ho all living legends of the Korean theater and this production records as the first long-run performance in Korea. In 1964, the Korean theater had the Shakespeare quarter-centennial celebration, and six best known repertory theaters participated in the commemoration and 50,000 people came to see the performances. Shakespeare never had such attention before, and nor since. In addition to the professional theater groups, the student theaters have also made contribution to the spread of Shakespeare among the general public. As the cultural taste of the public got keener, the professional and student theater groups got better. Korea hasn`t had a Shakespeare drama group and there is not one yet. However, between 1970 and 1980 the London Shakespeare Group visited Korea four times and set an example for true professionalism and rendered a model process for the Shakespeare production. Domestic professional theater groups have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hakespeare production and they included the Drama Center, Sil-hum Theater, Drama Troupe Ka-gyo, and Hyun-dae Theater. The student theater groups have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hakespeare`s dramas and their contribution should be attributed to the concerted effort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On the wave of the theatrical rebirth in the 1960s, the number of student dramas increased. During the second phase of Shakespeare`s rooting in Korea, student groups staged 85 productions while the professional groups performed 54 times. The quality of the student dramas may not be up to that of the professional groups, but the sheer number indicates the contribution the student dramas had made to the rebirth and solid establishment of the theater arts. In 1959 Joong-ang University established Drama and Film Department and soon after other universities followed suit, and since then, dramas have been studied within the university settings. Joong-ang University was in the forefront of Shakespeare productions and universities began to produce Shakespeare in English. These developments were professors` ways of teaching Shakespeare better. The History of English Dramas-the 70 Year Retrospective of English Drama Productions at Ewha University English Department(compiled by Kim Kap-soon) is the witness to the activities of the college theaters of the time. Student dramas are an integral part of the Korean theater and yet regrettably they cannot be fully covered here. Artistic expression is diverse. Dramas presuppose perform 이 논문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셰익스피어의 한국수용과정을 수용 2기로 하여 문학적, 연극적, 학문적 분야로 나누어서 연구하는 것이다. 셰익스피어의 당초 수용은 위인으로, 경세가로, 철학자로 소개되기 시작하였으나 이미 그 계몽적 과정은 마감이 되었고 문학가로, 희곡작가로, 연극인으로서의 셰익스피어의 면모가 반영되는 발전적 단계에 돌입한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러나 일제시대 후반의 침체에서 벗어나고 해방을 맞이하고 6ㆍ25 한국전쟁의 대혼란을 맞이한 혼돈의 시대에 셰익스피어의 싹은 발아되고 정력적으로 육성되어 왔다. 그 무렵 신협의 셰익스피어 비극공연은 우리나라 셰익스피어 수용이나 연극부흥에 큰 공로로 인식될 것이다. 셰익스피어를 이해하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셰익스피어 학자나 출판사의 욕구는 작품의 번역출판에 대거 참여하게 되었다. 1964년에 정음사가 셰익스피어 전집 4권을 출간하였는데 셰익스피어의 전작품이 우리나라에 소개되는 기록이 되었고, 최정우, 한노단, 김갑순, 김주현, 오화섭, 이종수, 여석기, 이창배, 등 19명이 번역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휘문 출판사에서는 김재남 단독으로 번역하여 전집 5권이 출판되었다. 1964년은 우리나라에 셰익스피어의 전작품이 소개되는 한 해가 되었다. 1970년대는 문고본 시대로 접어들었으며 을유문고가 시작하였고 또한 선집이나 단행본으로도 출판이 계속되었다. 번역진도 중진 신진 그룹으로 신선미있게 교체되고 있었다. 최재서의〈햄릿〉을 포함해서 수용초부터 가장 많이 출판된 작품은 비극인 경우〈햄릿〉이 50회이고,〈로미오와 줄리엣〉이 39회이며,〈오셀로〉가 29회며,〈맥베스〉 27회,〈리어왕〉 26회였고, 희극인 경우〈베니스의 상인〉이 30회,〈태풍〉이 12회,〈한여름 밤의 꿈〉이 10회,〈말괄량이 길들이기〉 9회로 비극이 압도적이다. 셰익스피어의 번역진도 1970년대에 가서는 계속 세대교체가 되고 셰익스피어의 연구나 번역이 확대되었다. 근대극은 생생한 현실을 제시한다는 연극운동을 펼치며 소극장이 확산되었다. 서구에서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우리나라는 1920년에 전개되었고 극예술협회가 시작이다. 1950년대에 떼아뜨르 리블, 제작극회 등 그리고 학생극으로 이어졌으며 원각사도 공연의 일부가 연극이었다. 1962년에 준공된 드라마센터는 진정한 소극장 운동의 결실이며 유치진의 평생소원인 연극전용극장이 탄생한 것이다. 우리나라 연극의 산 역사라 할 유치진, 이해랑, 김동원, 황정순, 장민호 등이 참여한 개관공연이 바로〈햄릿〉이었다. 이 공연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최장기공연이 되었다. 1964년의 셰익스피어 탄생 400주 기념행사는 셰익스피어가 우리나라 연극사상 가장 각광을 받은 바가 되었다. 저명한 6개 직업극단이 참여하였으며 5만 여의 관객을 동원한 행사였다. 직업극단 외에 대학교의 셰익스피어 연극공연도 셰익스피어 수용의 보편화에 기여하였다. 국민문화의식의 향상에 힘입어 직업극단과 학생극의 공연도 발전적으로 향상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셰익스피어의 작품만을 공연하는 전문직업극단이 없었고 지금도 없다. 그러나 1970년대에서 80년까지 런던 셰익스피어 그룹이 4회 내한 공연하여 전문극단의 전문성과 무대화 작업에 하나의 모델을 보여주었다. 국내의 직업극단들도 셰익스피어 극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니 드라마센터, 실험극장, 극단 가교, 현대극장 등을 꼽을 수가 있다. 셰익스피어의 연극발전에는 학생극의 공헌이 있다. 이는 지도교수와 학생간의 학문적, 예능적 교류의 성과다. 1960년대부터 연극중흥의 물결을 타고 대학극의 공연이 증가되었다. 셰익스피어의 한국수용 2기에 학생극 공연수가 85회니까 직업극단의 54회 보다 많으며 연극공연의 질에 차이가 있다고 하여도 연극중흥의 기반이 되는 것은 확실하다. 1959년 중앙대에 연극영화과가 설치된 것도 특기할 일이다. 대학에서 연극이 한 전공과목이 되었고 다른 대학에도 이 풍조가 파급이 되었다. 셰익스피어 공연은 중앙대가 단연 많았으며 셰익스피어의 원어 공연도 늘어났다. 이는 영문학과 교수들의 지도도 큰 몫을 했을 것이다. 『영어연극공연사-이대영문과 연극 70년을 돌아보며』(김갑순 엮음)의 기록은 그 사실을 입증한다. 학생극은 연극사의 주요한 부분이나 모든 대학의 실적을 기록하지 못했음은 서운한 일이다. 예술의 표현방식은 다양하다. 희곡은 공연을 전제로 한다. 공연무대는 종합예술이다. 그리고 관중이 있어야 한다. 희곡은 지금이나 100년 후나 동일성을 유지한다. 그러나 무대화되는 방식은 다양다종이다. 연극으로 가는 희곡의 수용도 다양하겠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의 하나가 변용된 수용이다. 흔히 번안이라고 한다. 서구작가의 것은 찰스 마로윗츠의〈마로윗츠 햄릿〉이 있고, 외진이오네스꼬의〈막베뜨〉, 장 사르망의〈햄릿 다시 태어나다〉가 있다. 한국작가들의 것은 주로 민속화로 번안된 것이다.〈실수연발〉,〈오셀로〉,〈리어 왕〉,〈햄릿〉,〈십이야〉를 바탕으로 창작 또는 번안한 것이다. 최재서가 1963년에 발표한 『셰익스피어 예술론』은 우리나라의

      • 미국 유아교육에서 드라마와 수학의 통합교육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위수정 ( Su Jung Wee )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0 실천유아교육 Vol.15 No.-

        본 연구는 미국 중서부 지역의 한 사립학교에서 이루어진 6주간의 드라마 프로그램에서 드라마 특별교사와 담임교사가 초등학교 일학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통합 드라마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드라마가 수학과 어떻게 통합되는지, 드라마의 어떤 지식과 내용이 가르쳐지는지, 또한 드라마가 통합 프로그램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드라마 수업 동안, 아동들은 신체운동 탐색과 표상, 이야기의 재구성, 공연하기를 통해 드라마에서의 기본 지식과 기술들을 배웠으며 수학 학습을 강화하였다. 자신들의 신체를 이용하여 수학 내용에 대해 비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경험을 다양한 방법으로 체험하였으며, 수학 문제가 포함된 이야기를 토론을 통해 재구성하였다. 이렇게 재구성한 이야기를 공연하는 동안 아동들은 드라마에 관한 기초 지식과 기술들을 적용시켰으며, 상상력을 이용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정교화 하였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성공적인 통합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들이 논의되었다. This research examines integrated drama curriculum for first-grade students taught by a drama specialist and a first-grade classroom teacher during a 6-week drama program at a private school in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Specifically, how drama is integrated with math, what unique knowledge and content of drama are delivered, and what roles drama serves in an integrated program are explored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During the drama sessions students` kinesthetic exploration and representation, re-creation of the story, and on-stage performance enabled them to reinforce math learning as well as experience art forms of drama. Adopting their learning of basic knowledge and skills of drama performance, the students used their body for communication and elaboration of their ideas with creativity. Based on the findings, important contributions to a successful integration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