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노인의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과의 상관관계

        이영미,조윤옥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not only to examine and relate the image of God and death anxiety of the Christian elderly peoples, but to make clear of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to general background of objects, and finally to illuminate relationships among sub-categories of the image of God affecting on death anxiet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98 Christian elderly peoples older than 65 years living at J-area.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are both God Image Assessment developed by Kim(2002) and Death Anxiety Scale of Templer(1970). By using raw data collected from the scale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and Duncan’s post-test were carri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image of God and death anxiety of each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mage of God i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health condition, but shows no difference with regard to sex, age, and the death experience of family. Secondly, death anxiety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sex, age and the death experience of family. The death anxiety of the group expressed as ‘bad health condition’ is low in comparison to the group expressed ‘similar health among the same aged’. It is recognized that the longer the duration of belief, the less the degree of the death anxiety. Thirdly, The higher the subcategories(belonging, goodness, and feeling of control) of the image of God, the lower the death anxiety in the order of the belonging, feeling of control and goodness. Fourthly,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of the image of God, the less the death anxiety in general; It is recognized that the image of God influence on death anxiety of significanc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image of God influences on the factual responses on the death confronted with the aged people, and it can provide with fundamental data and new perspectives on how to approach the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christian peoples. 본 연구는 기독노인의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에 대해 살펴보고,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과의 관계는 어떠하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어떠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죽음불안과 하나님 이미지의 하위영역간의 관련성은 어떠한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J지역의 기독교 신앙을 가진 65세 이상의 노인 9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하나님 이미지 측정도구는 김난예가 개발한 God Image Assessment이며 죽음불안 척도는 Templer의 Death Anxiety Scale를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로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과의 관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와 일원분산분석과 Duncan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별과 연령, 가족의 죽음경험에 따른 하나님 이미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건강상태와 하나님 이미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신앙년 수가 많을수록 하나님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연령, 가족의 죽음경험에 따른 죽음불안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건강상태는 건강이 매우 나쁘다고 인지한 집단이 건강이 같은 연령대와 비슷하다고 인지한 집단보다 죽음불안이 낮았으며, 신앙년 수가 많을수록 죽음불안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하나님 이미지의 하위영역인 소속감, 승인감, 통제감이 높을수록 죽음불안이 낮아졌으며, 소속감, 통제감, 승인감의 순으로 죽음불안이 낮다는 결과를 얻었다. 넷째, 전체적인 하나님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죽음불안이 낮아져서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은 유의한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하나님 이미지가 노년의 죽음을 맞이하는 사건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기독노인의 죽음불안 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윤미(Kim Yun Mi),김성봉(Kim Sung B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본 연구는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의 탐색을 목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의 독특한 주관적생활세계의 복합적 현실의 맥락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질문은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자발적연구 참여자로 죽음불안 경험이 있는 50∼60세로 4개월 동안 8명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참여자 경험의 보편적인 본질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53개의 의미형성과 21개의 하위범주(주제), 그리고 10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도출된 10개의 범주들은 ‘눈에 보이지 않은 불안과 직면함’, ‘세상일과 나 자신에 몰두하며…’, ‘죽음의망각에서 의식(意識)으로 탈바꿈’, ‘삶과 죽음에 대한 재평가’, ‘나, 타인, 그리고 하느님은 하나’, ‘종교적 삶: 감사와 위로의 시간’, ‘죽음에 대한 자기 개방성의 확대’, ‘고통은 나를 성장시키는디딤돌’,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나, 하느님의 도구이자 사랑을 주고받는 존재’이다. 가톨릭신자들은 생과 사를 오가는 극적인 한계 상황에 봉착하였을 때 비종교인과 차이가 없이죽음에 대한 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종교적 믿음의 강도와 신앙의 깊이와는 상관없다는 말이다. 그러나 죽음불안이라는 부정적인 경험은 오히려 하느님 안에서의 강한 변화의지를 통해 삶의의미와 목적이 하느님과 나, 그리고 가족, 타인, 공동체와의 유대감이 ‘우리’라는 정체성의 확장이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을 확인함으로써, 죽음사건으로 말미암은죽음불안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현대의 신앙인들에게 죽음불안에 대한 이해와 가톨릭신자들의 영적 본래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실존주의 심리치료(상담)와 영성상담을 접목한 죽음불안 교육의 중요성을 부여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 존재가 지닌 고유한현상으로서의 보편성을 띈 죽음불안의 실존적 자각에 대한 인식 증진의 방안으로 죽음불안 체험자와의 소그룹 나눔(프로그램화)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reality of the unique subjective life world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the experiences of death anxiety of Catholic.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is ‘What is the experience of death anxiety among Catholics?’ A voluntary study participant was in-depth interview with eight people over the age of 50 to 60 years with experience of death anxiety. Data analysis employs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which is suitable for analyzing the universal nature of participant experience.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53 meanings, 21 sub - categories, and 10 categories. The ten categories derived are ‘Confronting invisible anxiety’, ‘Iindulging in the world and myself.…’, ‘Transformation from oblivion of death to consciousness’, ‘reevaluation of life and death’, ‘I, others, and God are one’, ‘Religious life: thanksgiving and time of comfort’, ‘Expansion of Self-Openness to Death’, ‘Memento Mori’, ‘Me, the tool of God, and a loving being’. When Catholics were faced with the dramatic limits of life and death, they showed anxiety about death no different from non-religious people. This is irrelevant to the strength and depth of religious faith. However, the negative experience of anxiety of death, rather than a strong will of change in God, extended the identity that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is “we,” the bond between God, me, family, others, and community. This study is meaningful to confirm the experience of death anxiety of Catholics and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death anxiety and the spiritual originality of Catholics for modern believers who do not recognize the death anxiety caused by death. It also gave the importance of death anxiety education combined with existentialist psy chotherapy (counseling) and spiritual counseling.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 small group sharing (programming) with the death anxiety experienced as a way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existential awareness of death anxiety.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김명희(Myunghee Kim),이병숙(Byoungsook Lee)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9 계명간호과학 Vol.13 No.1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death anxiety and attitude on death in hospice volunteers. Method: The subjects were 267 hospice volunteers from six general hospitals in Daegu-Kyungbuk area. Tools for the death anxiety developed by Park(1995) and the attitude for death, the Korean version of Thorson & Powell(1988) were used. SPSS/Win 12.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 The average score of the death anxiety was 2.12(SD .59) in 4 score scale. In death anxie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occupation, religion and the frequency of volunteer service.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11.6% of death anxiety. The average score of subject’s attitude to death was 2.91(SD .59) in 4 score scale, revealing the positive attitude to death. In attitude on dea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frequency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 experience of the death of close relatives and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 And these explained 6.6% of attitude on death.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death anxiety and the attitude on death. Conclusion: The variables affecting death anxiety and attitude on death, such as sex, occupation, religion and frequency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s, and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hospice volunteers.

      • KCI등재

        박인환 시의 불안, 죽음 의식과 이를 통한 시쓰기의 문제

        박지은(Park, Ji-Eun)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이 연구는 박인환 시에 나타나는 불안과 죽음 의식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박인환 시에서 나타나는 불안과 죽음 의식이 단순하게 비극적 시대 상황에 처한 지식인의 수동적인 감정이 아니라, 그가 역사를 인식하는 데 보다 근본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분’(Stimmung)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과정을 통해 박인환 시에서 주로 등장하는 모티프들(검은 신, 바람/폭풍, 종말 등)을 해석하고, 박인환 시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한 지점을 마련하고자 했다. 그의 문학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불안과 죽음 의식은 단순히 한국전쟁이라는 특정한 원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의 시에서 불안은 오히려 세계 속에 ‘내던져져 있음’(Geworfenheit)에 의한 존재론적 불안에 가깝다. 그는 이러한 존재론적 불안을 ‘바람’(폭풍)의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에게 인식되는 무의미의 세계는 ‘검은 신’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존재론적인 불안의 문제는 죽음 의식과도 연관된다. 그는 언제나 자신을 삶과 죽음 사이에 위치한 존재로 위치시키는데, 이 때 그에게 죽음은 곧 닥쳐올 어떤 것이면서 동시에 그로 하여금 현재의 삶을 계속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그에게 죽음을 인식하는 시간은 자신이 처한 현재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순간’이 된다는 것이 그의 죽음 의식의 특징적인 부분이다. 결국 그가 불안과 죽음 의식을 통해 얻게 된 것은 양심으로서의 시쓰기이다. 화자는 불안 속에서 들려진 양심의 부름을 듣고, 그는 본래적인 자기(시인이 되기)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계속한다. 이렇게 봤을 때 불안과 죽음에 대한인식은 시인이 시쓰기를 계속할 수 있는 동력이 된다. 즉 박인환의 문학에서 ‘불안’은 단순하게 전쟁으로 인한 수동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의 시작(詩作) 전체를 추동시키는 근본적인 요인으로 기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박인환은 자신의 문학을 통해 특정한 시대를 뛰어 넘는 진정한 실존의 의미에 대해 질문했다. 또한 불안이라는 감정에 잠식되는 것에서 나아가 자신만의 독특한 죽음 의식과 양심의 문제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discusses Park, In-hwan’s attitude toward death and anxiety as they appear in his poetry. I argue that the anxiety and consciousness of death that appears in Park’s poetry is not simply the passive emotional response of an intellectual facing a tragic era, but is instead an important mood(stimmung) that serves a more fundamental role in Park’s perception of history. Through this process, I interpret some of the main motifs of Park’s work (the black god, wind/storms, finality, and so on), hoping to provide a perspective from which to understand Park’s poetry with greater depth. The source of the anxiety and consciousness of death that permeates Park’s work is not limited simply to the Korean War. The anxiety of his poetry is instead closer to the ontological anxiety of “having-been-thrown” (geworfenheit) into the world. He expresses this ontological anxiety through the image of ‘wind’ (or storms), and he represents a perceived world of meaninglessness in the image of ‘the black god.’ The issue of ontological anxiety is also linked to his consciousness of death. Park consistently locates himself in the space between life and death, so that to him death is both something fast approaching and, at the same time, the thing that repeatedly makes him aware of life. The discerning feature of this consciousness of death is that the moment the poet perceives death is the moment that forces him to see his present objectively. Ultimately what Park achieves through this consciousness of death is a poetry of conscience. From within his anxiety, the speaker hears the call of conscience, and then makes a continued effort to recover his essential self (to become a poet). In this way, anxiety and perception of death become the motivation for the poet to continue writing poetry.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in Park’s work, anxiety is not only the expression of a passive emotional response to war, but in fact functions as the fundamental element that sets his entire poetic process in motion. Park thereby approaches the question of the real meaning of existence, which extends beyond a specific era, in his literary work. In addition, he moves beyond the encroachments of anxiety as an emotion to reveal a unique attitude towards death and the problem of conscience.

      • KCI등재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임송자(Song-Ja Lim),송선희(Sun-Hee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는 개인 특성에 따라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불안에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고,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하위요인 별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천안시, 아산시 및 용인시에 소재한 대학의 대학생들과 천안시, 아산시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들로 총 325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 특성에 따라 죽음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었다. 하위 요인별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요인에서는 일반 성인, 종교가 있는 사람, 기혼자가 긍정적이었고, 죽음에 대한 회피요인에서는 종교가 있는 사람, 여자, 기혼자가 긍정적이었으며, 죽음에 대한 개방성요인에서는 일반성인, 종교가 있는 사람, 기혼자의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둘째, 개인 특성에 따라 죽음불안에 차이가 있었다.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인지·정서적 불안요인에서는 대학생, 종교가 없는 사람, 여성 및 미혼자의 죽음불안이 더 높았고, 신체변화에 대한 불안요인에서는 결혼유무만 차이가 있어 기혼자 보다 미혼자의 불안이 더 높았다. 셋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불안은 상관이 있었다. 죽음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인 중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죽음불안의 하위 세 요인 모두와 부(-)의 상관이, 죽음에 대한 회피는 신체변화에 대한 불안에만 정(+)의 상관이, 죽음에 대한 개방성은 인지·정서적 불안에만 정(+)의 상관이 있었다. 넷째, 죽음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인 중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죽음에 대한 회피는 죽음불안의 하위 세 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the effect and differenc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the death attitude on death anxiety. The college students who study in the area of Chonan, Yongin, and Asan and the adults who live in the area of Chonan and Asan enrolled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rvey data from 325 responses finally.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adults are more positive than college students, religious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nonreligious people, female are more positive than male, and married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unmarried people in the death attitude. Second, college students are more positive than adults, nonreligious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religious people, female are more positive than male, and unmarried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married people in the death anxiety. Thir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death anxiety and the death attitude. The fear on death has negative correlation on all subvariables of the death anxiety. Avoidance on death has positive correlation on the physical change anxiety, and openness on death has positive correlation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nxiety. Finally, It showed that the death attitude are affected by the death anxiety. The death anxiety was not much, if the fear on death are more little, the death anxiety was much, if the avoidance on death are much.

      • KCI등재

        차문화치료를 활용한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불안과 죽음인식에 미치는 효과

        김인숙 한국차학회 2019 한국차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a-culture therapy program to help elderly Koreans express anxiety about death, the last task of life, to improve and stabilize the quality of life by easing anxiety about death, and to study the effects of tea culture therapy applied to well-dying programs on elderly people's death anxiety. The Tea Culture Treatment Program, which applied the well-dying Program for the Mitigation of Death Anxiety for the Elderly, was aimed at 20 senior citizen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t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P City. The program consisted of 15 minutes for introduction, 60 minutes for intervention development, 15 minutes for leakage, and 15 minutes for cleaning up. The program lasted a total of 90 minutes per session and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eight times. To verify the effects of tea culture therapy applied to well-dying programs on the elderly's death anxiety, a correspondence sample t-test was conducted for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measuring tools for marriag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ea culture therapy on elderly people's death anxiety by applying the well-being program showed that the death anxiety score average for senior citizen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3.18 (SD 0.35), and the death anxiety score averag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2.90 (SD 0.30),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ath anxiety scor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6.170***, P=.000). The average death-recognition score for the elderly was 3.33 (SD 0.43). The average death-recognition scor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creased by 0.29 to 3.58 (SD 0.23),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5.252***, P=.000). Over the course of the program, the elderly could also see the true well-dying of trying to end their lives with a comfortable mind while naturally talking about life, death, and future views, expressing anxiety about death, and sharing the thoughts of the participants about happy lives. This has shown that tea culture therapy applied to well-dying programs is effective in alleviating elderly people's fear of death.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에게 생애의 마지막 과업인 죽음에 대한 불안 감정을 표출하고 죽음 불안을 완화로 삶의 질 향상과 안정화를 위하여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개발된 노인의 죽음불안 완화를 위한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은 P시의 노인복지관의 본 프로그램의 참가를 동의한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도입 15분, 개입 전개 활동 60분, 소감나누기와 정리 15분 총 90분으로 회기 당 구성하여 1주일에 1회씩 총 8회로 진행하였다.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결혼만족도 측정도구 점수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전 노인들의 죽음불안 점수 평균은 3.18(SD 0.35)였고, 프로그램 참여 후 죽음불안 점수 평균은 2.90(SD 0.30)으로 나타나,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의 죽음불안 점수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6.170***, P=.000). 노인들의 죽음인식 점수 평균은 3.33(SD 0.43)이었고, 프로그램 참여 후 죽음인식 점수 평균은 3.58(SD 0.23)로 0.29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252***, P=.000).또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노인들은 삶과 죽음, 내세관에 대한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하면서 죽음에 대한 불안한 감정을 표출하고, 인생의 행복한 삶에 대한 참여자들의 생각을 공유하면서 편안한 마음으로 삶을 마무리할려고 하는 참다운 웰다잉을 볼 수 있었다. 이상으로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노인의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 간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 기독교인과 비종교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송진영,민장배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sthe mediating effect of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an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separately from Christians and non-religious people, which can be lowered due to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For the purpose, this study extracted 325 people aged 60 years or older who used the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located in southern of Kyunggi-do. SPSS 21.0 and Sobel-test was methodologically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oth Christians and non-religious people have confirmed that death process anxiety is a predictor of lowering ego integrity among the elderly. (2) While Christians showed anxiety about loss of existence and anxiety about consequences after death affected ego integrity, non-religious people showed no impact. (3) In the case of Christians, anxiety about consequences after death affected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while nonreligious people showed no effect on all the subcomponents of death anxiety. In addition, in the case of Christians, loss of existence and anxiety about consequences after death are factors that influence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while in the case of non-religious people, all sub-factors of death anxiety were found to be unaffected. In this study, Christians differ from non-religious people in that they are mediated to form the ego integrity that has been reduced due to loss of existence or anxiety about consequences after death through religious spiritual or existential well-being. Non-religious people also realize values such as faith through interaction with themselves, communities and the environment, and in their post-retirement, non-religious people could see differences in that death anxiety had no influence on spiritual well-being, ego integrity. In the theoretical sense, this study had significance in terms of finding such intermediaries as religious an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in the case of religious people in a situation where their sense of self-integration can be reduced due to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불안으로 인해 낮아질 수 있는 자아통합감을 높일 수 있는 기제로서, 종교적 영적 안녕감과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같은 매개요인을 기독교인과 비종교인으로 구분하여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남부에 위치한 노인복지관 등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325명을 대상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이용하였으며, sobel-test 값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독교인이나 비종교인 모두에서, 죽음과정불안은 노인의 자아통합감을 낮추는 예측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독교인은 존재상실불안과 사후결과불안이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친 반면, 비종교인은 영향이 없게 나타났다. 셋째, 기독교인 경우, 사후결과불안이 종교적 영적 안녕감에 영향을 보인 반면, 비종교인은 죽음불안의 모든 하위요인들이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기독교인의 경우, 존재상실불안과 사후결과불안이 실존적 영적 안녕감에 영향요인인 반면, 비종교인 경우에는 죽음불안의 하위요인 모두가 영향이 없게 나타났다. 넷째, 기독교인 경우, 노인의 종교적 영적 안녕감은 사후결과불안과 자아통합감 간을 매개하였으며, 실존적 영적 안녕감은 존재상실불안과 자아통합감, 그리고 사후결과불안과 자아통합감 간을 매개하였다. 반면, 비종교인 경우, 종교적 영적 안녕감이나 실존적 안녕감은 죽음불안 하위요인들과 자아통합감 간을 매개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기독교인 경우, 종교적 영적 안녕감이나 실존적 안녕감 등을 통해 존재상실이나 사후결과에 대한 불안으로 낮아진 자아통합감을 잘 형성할 수 있도록 매개한다는 점에서 비종교인과 차이가 있다. 또한 비종교인들은 믿음과 같은 가치들을 자기 자신과 지역사회, 그리고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실현하는데,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줄어드는 은퇴 이후 노년기에 비종교인들은 죽음불안이 영적 안녕감이나 자아통합감 그리고 죽음불안이 영적 안녕감 등에 아무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노인의 죽음불안으로 인해 그들의 자아통합감이 낮아질 수 있는 상황에서 종교인의 경우에 종교적 및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같은 매개요인을 찾아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남성 독거노인의 죽음 불안과 수용에 관한 웰다잉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홍명진(Myoung-Jin Hong ),김서현(Seo-Hyun Kim) 한국노년학연구회 2024 한국 노년학연구 Vol.33 No.1

        생의 후반기에는 나이가 들수록 지인의 죽음에 더 자주 노출되면서 일부 노인들의 경우 죽음에 대한 불안이 매우 심하다. 특히 홀로 지내면서 건강이나 빈곤 문제를 지닌 남성 노인의 불안이 매우 심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남성 독거노인들이 지닌 죽음에 대한 불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서 그들이 죽음을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수용하도록 돕기 위한 맥락에서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한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남성 노인 4인이었는데, 그들은 모두 최소 20년 이상 홀로 지낸 자였다. 그들을 대상으로 수용전념치료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 1회, 10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회기마다 참여자가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삶이나 죽음에 관련된 이야기를 꺼낼 수 있도록 도왔으며, 프로그램 종료된 이후에는 참여자와 심층 면담을 두 차례 가졌다. 회기마다 이루어진 대화 및 심층 면담 내용에 관한 사례 내 분석 및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죽음의 불안 및 수용의 두 범주에 해당하는 소주제 및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죽음의 불안 범주는 사례 내 분석에서 29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고, 이들은 사례 간 비교를 통해 5개의 주제로 통합했다. 그 5개의 주제는 ‘어린 시절 알게 된 죽음’, ‘먼 곳에 있지 않은 죽음’, ‘죽음을 마주하며 느낀 절망과 두려움’, ‘죽음이 찾아올지 몰라 잠 못 드는 밤’, 그리고 ‘고통 없는 죽음 희망’이었다. 한편 죽음의 수용 범주는 사례 내 분석에서 22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고, 이들을 4개의 사례 간 주제로 통합했다. 그 4개의 주제는 ‘죽음을 생각하면 보이는 삶’, ‘죽음이라는 태풍 속의 무풍지대’, ‘죽음을 바라보는 여유’, 그리고 ‘프로그램이 준 아름다운 선물’이었다. 아울러 남성 독거노인들은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죽음의 불안을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죽음을 삶의 과정으로 자연스럽게 수용하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록 소집단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프로그램에서 도출되었지만, 자살 예방 효과라는 의의를 지닌다. 즉 웰다잉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질환이나 빈곤 등의 이유로 자살의 위험성이 높은 취약한 고령자들에게 삶과 죽음에 관한 소통의 기회를 제공해 주면서 자살 위험을 낮추어 준다고 할 수 있다. In the second half of life, as people get older, they are more frequently exposed to the death of acquaintances, and some of the older adults have very intensive anxiety about death. In particular, the anxiety tends to be severe in older men who are living alone in poor health and in poverty.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examining the specific background of the death anxiety among older men living alone and helping them to accept their death as a natural phenomen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our older men who were members of a senior welf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all of them had lived alone for at least 20 years. A group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was conducted on them once a week for 10 week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have interaction verbally with them related to life or death while helping and/or intervening in their work activities in each session, and had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of them after the program ended twice. Through within-case and cross-case analyses of the verbal interaction and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in each session, sub-themes and themes corresponding to two categories of death anxiety and acceptance were derived. As a result, 29 sub-themes were derived from the within-case analyses of the death anxiety category, and they were integrated into 5 themes through cross-case comparisons. The five themes were ‘death recognized in childhood’, ‘death to come soon’, ‘despair and fear of death’, ‘sleepless nights due to death anxiety’, and ‘wishing for a painless death’. Meanwhile, for the category of death acceptance, 22 sub-themes were derived from within-case analyses and integrated them into 4 themes through the cross-case comparisons. The four themes were ‘a new life in the face of death’, ‘a peaceful zone in the storm of death’, ‘composure toward death’, and ‘a valuable gift gained from the program’. In addition, older men living alone not only reduced their anxiety about death but also developed an attitude of naturally accepting death as a part of life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of this study. Althou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a program conducted on a small group, they are significant in terms of their effectiveness in preventing suicid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well-dying art therapy program would lower the risk of suicide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ng about life and death to vulnerable older people who are at high risk of suicide due to illness or poverty.

      • KCI등재

        Factors Associated with Death Acceptance among Thai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Maliwan Krapo,Sureeporn Thanasilp,Janya Chimluang 충남대학교 아시아여론연구소 2018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Vol.6 No.1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cope with various issues, especially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anxiety about death. Previous research from various countries indicates that most advanced cancer patients perceive distress before death, which means they cannot accept death peacefu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ath acceptance of Thai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The participants were 242 adult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from three tertiary hospitals in Bangkok, Thailand. The research instruments consisted of 7 questionnaires: a personal information questionnaire, the death anxiety questionnaire, Buddhist beliefs about death questionnaire, the unfinished task questionnaire, general self-efficacy scale, family relationship questionnaire, and death acceptance scale. These instruments were tested for their content validity by a panel of experts. All instruments except the first one were tested for reliability, and their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ere .86, .72, .74, .74, .89, and .70, respectivel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Point-bi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a total of 42% of variance of death acceptance among Thai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was explained by death anxiety, Buddhist beliefs about death, and self-efficacy. Knowing these factors provides further information for nurses to help patients to cope with their death. From this crucial knowledge, nurses can develop interventions in decreasing or controlling anxiety about death, promoting Buddhist beliefs about death, and enhancing self-efficacy of advanced cancer patients. Therefore, a better quality of life and good death can be achieved.

      • KCI등재

        Factors Associated with Death Acceptance among Thai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Krapo, Maliwan,Thanasilp, Sureeporn,Chimluang, Janya Center for Asian Public Opinion ResearchCollaborat 2018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Vol.6 No.1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cope with various issues, especially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anxiety about death. Previous research from various countries indicates that most advanced cancer patients perceive distress before death, which means they cannot accept death peacefu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ath acceptance of Thai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The participants were 242 adult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from three tertiary hospitals in Bangkok, Thailand. The research instruments consisted of 7 questionnaires: a personal information questionnaire, the death anxiety questionnaire, Buddhist beliefs about death questionnaire, the unfinished task questionnaire, general self-efficacy scale, family relationship questionnaire, and death acceptance scale. These instruments were tested for their content validity by a panel of experts. All instruments except the first one were tested for reliability, and their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ere .86, .72, .74, .74, .89, and .70, respectivel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Point-bi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a total of 42% of variance of death acceptance among Thai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was explained by death anxiety, Buddhist beliefs about death, and self-efficacy. Knowing these factors provides further information for nurses to help patients to cope with their death. From this crucial knowledge, nurses can develop interventions in decreasing or controlling anxiety about death, promoting Buddhist beliefs about death, and enhancing self-efficacy of advanced cancer patients. Therefore, a better quality of life and good death can be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