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1930년대 중반 소작입법을 둘러싼 식민지 조선과 일본 사회의 대응과 인식

        최은진(CHOI Eun-jin) 한국근현대사학회 2021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6 No.-

        1930년대 초반 조선총독부가 소작입법 방침을 결정하면서 지주들의 조선소작령제정 반대운동이 거세어졌다. 이에 따라 식민당국은 지주 측의 소작법안 수정 요구를중심적으로 반영하면서 지주소작관계를 통제하려 하여 조선농지령은 소작문제 해결에 역부족인 내용을 담게 되었다. 그럼에도 지주들과 금융업자 등은 조선농지령제정에 불만을 품고 그 시행에 협조적이지 않았다. 한편 소작인 측과 관계자들은조선소작령 제정 촉진운동을 벌이며 여러 가지 법안의 대안을 제시했다. 그러나식민당국의 소작입법 과정에서 소작인 측의 의견을 반영할 공식적인 통로가 없었기에 이는 묵살되었다. 결국 조선농지령은 지주 측에도 소작인 측에도, 또 재조선일본인 사회에서 볼 때도 만족스럽지 않은 채 시행되어 준수되기 어려웠던 한계가있었다. As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Chosun decided on tenant farming legislation policies in the early 1930s, landowners began strong movements against the legislation of the Tenant Law in Chosun. Accordingly, colonial authorities tried to control relations between landowners and tenant farmers by centrally applying landowner requests for modifications of tenant law and thus the contents of the Farmland Law in Chosun were insufficient in resolving tenant farming problems. Nevertheless, landowners and financiers were unsatisfied with the legislation of the Farmland Law in Chosun and were uncooperative regarding its enforcement. Meanwhile, tenant farmers and related parties participated in movements to promote the legislation of the Tenant Law in Chosun and presentedvarious legal alternatives. But these were ignored as there were no official pathways to apply the opinions of tenant farmers in the tenant farming legislation processes of colonial authorities. Eventually, the Farmland Law in Chosun was enforced as a law that did not satisfy landowners, tenant farmers, or even Japanese societies of Chosun, producing limitations in compliance.

      • KCI등재

        김사량의 『태백산맥』과 조선적 고유성의 의미

        서영인 ( Young In Se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4 어문론총 Vol.62 No.-

        The Tae Baik Mountains is Kim, Sa-Ryang’s first work after his confinement and release, and repatriation to Chosun. It stands against forced situation with detour strategy and has a meaning as a turning point of his literary world. The Tae Baik Mountains is linked with his previous works in that it features ‘the motive of fire field farmers’ and ‘the uniqueness of chosun.’ This essay focuses on how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signifies in the specific time of 1943 in Chosun, concentrating on the common points. The motive of fire field farmers is one of his consistent concerns, which is used to express disastrous reality of the nation as a material. For example, in “Deep Into the Grass”, fire field farmers as a subaltern implies the reality of Chosun that cannot accept national policy of colonialism, In The Tae Baik Mountains, however, fire field farmers are represented as an other who struggles to realize their dreams of imagined community as they have been absorbed in the enlightening will of the main character, Yoon, Cheon-Il. The reality of colonialism cannot be conquered with compulsive dominant order, nor overcome with the will of enlightenment, which is what his ‘uniqueness of chosun’ has its effect.

      • KCI등재

        다산의 국방안보론

        함규진 ( Ham Kyu-ji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5

        다산 정약용(이하 ‘다산’)의 학문은 계속해서 여러 분야를 두고 논의되고 있지만, 국방-안보 사상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의 국방안보 사상은 조선의 전통 국방안보 사상과의 비교를 통해 성격을 파악할 수 있으며, 국방안보 전략과 군사준비태세론으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다. 조선의 국방안보 전략 사상은 ‘사대’와 ‘민본’으로 정리할 수 있다. 중국에 대한 편승으로 일관하면서 여진, 일본 등을 견제하고, 군사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계획보다는 민생과 인화(人和)를 우선했다. 이는 일정한 합리성을 담지했으나, ‘사대’가 ‘사대주의’화되며 비합리적인 국방안보 이념으로 이어지기도 했고, 군사적 약체성을 숙명처럼 지속시키는 요인이기도 했다. 조선의 군사준비태세론은 병농일치제를 중심으로 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국민개병제를 표방하면서도 양반과 천민을 열외시켰으며, 이는 점차 대립군제를 정착시키며 열악한 군비태세와 부정부패의 만연에 따른 공적 기강 약화를 초래했다. 이에 대해, 다산은 실학적 관점에서 사대의 이념적 근거를 부정했다. 그리고 ‘인화’를 개인의 사적 욕망을 최대한 배려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이는 현실주의적인 안보론과 문(文)이 무(武)를 과도히 억제하는 당시 사회 이념에의 비판론으로 이어졌다. 또한 명실상부한 병농일치제를 주장했다. 그것은 토지제도를 정리하여 백성에게 ‘항산(恒産)’을 부여하고, 그 항산을 지키려는 의지에서 국방 정신을 이끌어내려는 것이었다. 다만 이는 단기간에 성취될 일이 아니었기에, 급박한 상황을 대비해 지은 『민보의』에서는 개인의 여러 욕망을 교묘히 이용해 전투력을 극대화하려는, 다분히 법가적인 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Chong Yagyong's thoughts on national defense and security would be understood clearly with the traditional ones of Chosun Dynasty. For defense strategy, traditional Koreans in Chosun Era heavily relied on relationship with China. Originally, it was an application of 'bandwagon strategy'. But gradually it was transformed to a posture of political and cultural toadism. Because of this transformation, people of Chosun had to suffered non inevitable warfares during the Ming-Qing transition. Moreover, this wholesome Sinocentric toadism led to public welfare-over-security policies and effeminancy. For military readiness, Chosun statecrafts idealized farmers-become-soldier policy. But in reality, yangban class and low-class people got out of military service system. Over time, more and more commoners followed them. Therefore, military readiness of Chosun had been nearly nullified in practice. Chong Yagyong did not believe Sinocentric toadism with realistic insights. His defense strategy was centered on the balance of power scheme in Northeast Asia. To him, main military power was also manpower as other East Asian traditional military thinkers. But not righteous resolves, but common desires were true basis of fighting morale, as he thought. To promote the morale, he insisted constituting reasonable property and distribution assurance systems, not moral improvement efforts. But in short term, they could not wait to new system. So Chong Yagyong suggested plots that more directly, and subtly prompt individual desires in his Minboyi. as a result, he did come close more to Legalists in his national defense and security thought, than in his other ones.

      • KCI등재

        소설로 분광된 ‘만보산사건’ 읽기 -이토 에노스케(伊藤永之介)의 「만보산」을 중심으로-

        노상래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人文硏究 Vol.- No.57

        본고는 만보산사건을 소설로 형상화한 이토 에노스케(伊藤永之介)의 「만보산」을 중심으로 1931년 만주에서 일어난 ‘만보산사건’이 갖는 역사적 의미와 식민담론의 문학적 형상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만보산사건에 섞여 있는 민족주의적, 식민주의적, 제국주의적 시각에 따라 만보산이라는 공간이 어떤 표상공간으로 인지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공간에서 이루어진 역사적 사건은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프롤레타리아 작가인 이토의 「만보산」은 민족을 초월한 계급적 연대에 기초한 소설이다. 이 소설에서 이토는 만주로 이주한 조선농민의 고통스러운 삶을 묘사하고 있다. 그런데 이토의 「만보산」에는 만주로 이주한 조선농민이 일제의 상징인 일본인 지주나 일본인 경찰에 의해 추방당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고발함으로써 당시 천황내셔널리즘에 바탕한 일본인의 민족에고이즘에서 벗어난 듯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일등국민이라는 천황이데올로기에서 연유한 차별자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다른 차원에서의 민족에고이즘을 노출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천황내셔널리즘에 근거한 민족에고이즘이 당시 일본인들의 의식 혹은 무의식 속에 깊숙이 침투하고 있었음을 확인한 것은 이 논문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inquire into the literary shaping of colonial discourse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Mt. Wanbaoshan Incident which occurred in Manchuria in 1931, focused on Mt. Wanbaoshan by Ito Einosuke(1903~1959). And additionally, this thesis is to examine out as what kind of place Mt. Wanbaoshan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nationalism, colonialism, imperialism, and also how the historical incident occurred in that place is interpreted. Mt. Wanbaoshan by Ito Einosuke, who is a proletariat novelist, is a novel based on cross-class alliance irrevelant of ethnic differences. In this novel, he describes a painful life of Chosun farmer who emigrated to Manchuria. He seems to show a literary outlook detached from national egoism of Japanese people based on Tenno nationalism at that time, by accusing that Chosun farmers come to be the dispossessed by the Japanese landowner or police. However, he also shows a discriminator derived from an ideology of Tenno. This means that he reveals a national egoism in a different aspect.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points out that the national egoism based on Tenno nationalism is deeply rooted in sense of value of Japanese people, or possibly either in their consciousness or in subconsciousness.

      • KCI등재

        마명 정우홍 연구를 위한 시론 1930년대 농민운동론을 중심으로

        이은지 ( Lee Eun-j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2 No.-

        본고는 1929년에서 1940년에 걸쳐 발표된 마명 정우홍의 작품들을 다수 발굴하여 소개하고, 그가 문학사에서 점하는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1930년대에 제출된 농민운동론 및 소설과 시 작품들을 검토했다. 그의 농민운동론을 대표하는 것은 「귀농운동」이다. 이글은 전반부에서 민족주의 계열의 농촌계몽운동을, 후반부에서 사회주의 계열이 지원해 왔던 소작쟁의 과정을 그린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조선노농총동맹의 핵심 인물이었던 마명이 이처럼 계몽운동과 경제투쟁을 단계적으로 연결해 보려고 시도한 것은, 두 계열의 장점을 취하여 합법적이고 광범위하면서도 조직적인 투쟁을 구상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한편 마명은 1935년부터 농민운동론 개진을 중단하고 시를 쓰기 시작했다. 특히 시작 초기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에 경탄하고 몰입하는 화자의 모습을 자주 보인다. 그런데 이러한 양상은 마명이 농민운동론을 개진하던 시기에도 글 곳곳에서 관찰된다. 특히 「귀농운동」은 갖은 지식이나 이론보다도 시골의 자연환경 자체가 운동의 핵심적인 원동력이 된다는 인식을 보여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마명의 시 작품들은 문면상 꿈같은 이상향으로 침잠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마명의 맥락상으로는 운동을 위한 동력의 원천을 되돌아보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요컨대 1930년대의 마명은 농민운동의 양 진영을, 그리고 운동가와 목가시인 사이를 가로지르는 독특한 인물이었다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introduces Ma-myeong Jeong Wu-hong`s works, which has rarely been reviewed, and analyses them in order to judge his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especially focusing on his theory on peasant movements. His viewpoint on peasant movements is well represented in the newspaper serial “Gui-nong-un-dong(a back-to-earth movement).” This article is distinctive, because it claims both strategies of nationalists and socialists, even though he was a key executive member of the socialists` peasant movement group. It appears likely that he tried to lead a legitimate, wide and organized struggle, as he witnessed the decline of the peasant movements in the late 1920s. Since 1935, Ma-myeong stopped clarifying movements and started to write poems. His early poems, the speaker often wonders at the beauty of nature and admires it. This attitude might seem inattentive to the impoverished conditions of the rural communities, considering that he proposed the movement. But that attitude is found also in his novels and Gui-nong-un-dong, and in these works, nature is not a space for escapism, but the source of driving force of campaign development. In sum, Ma-myeong was a unique figure, who crossed the border between nationalism and socialsim, and that between an activist and a pastoral po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