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漢文科) 교과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윤재민 ( Yoon Jae-mi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7 No.-

        교과서의 편찬은 교육과정의 요구, 한문교육 연구자의 요구, 교사의 요구, 학습자의 요구, 시대의 요구 및 기타 사회 각계의 요구 등 여러 관련 주체들의 요구와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이 논문은 이들 여러 요구 중 교육과정의 요구를 중심으로 몇 가지 문제를 살펴본 것이다. 교육과정의 요구는 보통 교육과정의 내용 그 자체 및 특히는 교과서 편찬을 담당하는 정책 당국이 제시하는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또는 인정) 기준`에서 우선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내용이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교과용도서 편찬의 기본 방향을 `교육과정을 충실히 구현하는 교과용도서`, `바른 인성과 창의융합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적합한 교과용도서`, `일상생활과 연계되어 이해하기 쉽고 흥미를 유발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과용도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적합하며, 핵심역량 함양을 도모하는 실생활 중심의 교과용도서 개발`로 제시하였다. `창의융합형 인재`나 `바른 인성과 창의융합적 사고력`은 언뜻 보면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내세우는 `창의·인성 교육`과 같은 맥락에 있는 용어로 보인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주요 내용으로 제시하는 `바른 인성과 창의융합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적합한 교과용도서`는 이번에 새롭게 내용이 보완 강조되어 제시된 것이다. 인성의 내용이 보다 구체화되고 다양화되었다. 창의의 내용이 `창의성`으로만 제시되던 데에서 `지식의 창조 및 융합 능력`으로, 그리고 `인문·사회·과학기술 기초 소양`, `교과 역량`, `융·복합적 사고력과 통찰력` 등으로 그 세부 내용이 보다 구체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교과서의 검정기준 또는 인정기준은 교육과정의 요구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내용들이라 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인정 기준의 심사 영역 및 항목들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내용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심사 영역의 하나로 새롭게 추가 제시하였다는 것과 일상생활과의 연계 및 교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 내용이 심사 항목에 새롭게 포함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이들 내용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강조하는 내용들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漢文科 교과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가 오늘의 학술대회의 주제이다. 이 주제는 크게 다음의 두 가지 연구 주제를 아우르고 있다. 하나는 漢文 교과서에 관한 일반론적 연구이며, 다른 하나는 당면한 한문 교과서 편찬이라는 실용적 실천적 목적을 전제로 하는 특수적 연구이다. 그 동안의 한문 교과서 연구는 주로 후자의 측면에서 수행되어 왔고, 전자의 측면 또한 통상 후자를 매개로 수행되어 왔던 게 사실이다. 오늘의 학술 대회 또한 여기서 예외가 아니다. 모쪼록 오늘의 학술대회가 보다 나은 한문 교과서의 편찬 및 한문 교과서 연구의 심화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the acknowledge of the fact that the publication of textbook can`t be independent of the demand of various related subjects, like curriculum, academics, teachers, students and any other social groups, this thesis focuses on the demand of national curriculum on editing classical Chinese textbook, implied in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itself and specifically in Note on Editing Course Book and Qualification of Textbook Authorization by the authorities. The Education Ministry and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suggest the basic concept of course book in 2015 Revised Curriculum as “Textbook as Embodiment of Curriculum”, “Textbook for Cultivating Competent Individuals with Thinking Power of Creation-Convergence and Moral Character” and “Textbook for Learners Related to Daily life and Easy to Learn.” Even though the expression of “Competent Individuals with Thinking Power of Creation-Convergence” or “Moral Character” seems repetition of “Education of Creation and Morality” in 2009 Revised Curriculum, the 2015 version consists of newly added and strengthened contents. Not only what “morality” means becomes diverse and specified, “creation” is variously defined as “the ability of creation and convergence of knowledge”, “background knowledge of humanity, society and scienc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nd “thinking power of creation-convergence and insight.” Qualification of textbook authorization also shows the demand of curriculum directly. Among criterions of textbook authorization,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relation with daily life and improving key competencies is emphasized in 2015 Revised Curriculum. Under the main theme of today`s conference, Desirable Directions of Course Book according to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there are two main perspectives regarding the matter. One is a broad study of course book of Classical Chinese, and the other is practical approach of editing the course book. Most studies about Classical Chinese textbook have been categorized the latter, and studies that can be categorized the former also have been conducted via the latter approach, as you can see in today`s conference. Let`s expect today`s event will help editing and studying of Classical Chinese course book.

      • KCI등재

        2015 개정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敎育課程)의 주안점과 특징

        장호성 ( Ho Sung Cha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이 글은 2015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의 內容을 2009 改定 敎育課程과 비교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일관성유지 및 대영역 설정의 타당성 제고, 학교급별 학습내용의 위계화에 개정의 중점을 두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식과 기능을 합쳐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문화를 비롯한 인성 및 한자 어휘 활용과 같은 내용 요소를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 ‘학년별·학교급별 학습시간과 학습발달상황을 고려하여 중학교 학습 내용 감축’, ‘학교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교수·학습 및 평가 관련 내용 강화’를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의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에서는 한문 문장의 독해력과 함께 한자 어휘 학습, 인성및 문화 소양 함양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인성 역량’, ‘심미적 감성’ 등의 다섯 가지를 한문과 교과 역량으로 설정하여 성격에 함께 제시한 것도 주목된다.‘목표’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달리 < 中學校 漢文 >과 <高等學校 漢文Ⅰ>에‘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을 별도의 세부 목표로 설정하였고, <高等學校 漢文Ⅱ>의세부 목표였던 ‘한국 한문학’ 관련 내용을 제외하였다는 점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내용 체계’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달리 ‘핵심 개념’, ‘내용(일반화된 지식)’, ‘기능’등이 새롭게 추가되었고, 독해’, ‘문화’, ‘한문 지식’의 3개 영역에서 ‘한문의 이해’, ‘한문의 활용’의 2개 영역으로 변화되었다. ‘한문의 이해’ 영역에는 교육과정 내용 중 기능적 요소를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고자 ‘한자와 어휘’, ‘한문의 독해’를 ‘핵심 개념’으로 두었으며, ‘한문의 활용’ 영역에는 한문과 수업에서 실질적으로 다루어지는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를 ‘핵심 개념’으로 두었다. 그리고 ‘기능’은 ‘읽기’, ‘풀이하기’, ‘이해하기’, ‘조사하기’, ‘활용/적용하기’를 기본으로 하되, 각 핵심 개념의 구체적 내용을 고려하여 ‘표현하기’, ‘분석하기’, ‘토의·토론하기’ 등을 가감하였다.‘성취기준’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다루기 힘든 성취기준은 제외하거나 통합함으로써 학습량의 적정화를 제고하고자 했다.‘교수·학습 및 평가’는 기존과 달리 ‘영역(성취기준 그룹)별 교수·학습 방법 및평가’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는 방식을 택했다. 먼저‘영역(성취기준 그룹)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는 각 영역 또는 성취기준 그룹에서 학습해야 할 요소를 모두 제시한 ‘학습 요소’와 성취기준 중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 진술이 필요한 항목에 한해 작성한 ‘성취기준 해설’, 선행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중 해당 영역 또는 성취기준 그룹의 내용 요소를 학습하는 데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영역 또는 성취기준 그룹의 내용 요소를 평가할 때 중점을 두어야할 사항을 중심으로 서술한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은 미시적 차원의 교수·학습 및 평가를 제시한 ‘영역(성취기준 그룹)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와 달리 한문과의 성격과 특성에 비추어 한문과 교수·학습 및 평가가 추구해야 할 철학, 가치 등과 함께 교과 역량의 계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거시적 차원의 교수·학습 및 평가 방향을 기술하였다 This article compared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of content in 2009 with 2015.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focus on content system consistency maintenance and setting the high domain of validity, hierarchic of school level of learning-content.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establish the ‘Knowledge and function’ and ‘Culture’, ‘personality’, ‘Vocabulary’, ‘considering learning of grade and progress in middle school learning content reduction’.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were reconstructed five part ‘Character’ and ‘Goal’, ‘Content system’, ‘Achievement standard’,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First, ‘Character’ goals were underlined the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in real school’ and ‘improving evaluation of content’. Second ‘Goal’ part were emphasized to the character set to Chinese curriculum and competencies of the ‘communication skills’,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creative thinking skills’, ‘ability personality’, ‘aesthetic sensibility’. Furthermore,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were changed < Middle School Classical Chinese > and <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Ⅰ > of ‘Language lives in utilization of capacity’. <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Ⅱ > part was excluded the ‘Korea Literature’. third, ‘Content system’ part were added ‘core construct’, ‘content (generalized knowledge)’, ‘function’, and changed two domain of ‘under standing of the Chinese’, ‘the use of Chinese’. Forth, ‘Achievement standards’ part were included all elements of learning in real schools, such as improving the adequacy of the amount of learning achievement standards. Finally,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part was chosen ‘domain(achievement standard group)’ and ‘direction’. ‘Domain(achievement standard group)’ were presented to suitabl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factors in phase of grade. ‘Direction’ part presented the microscopic (achievement standard group) and macroscopic (philosophy and worth) dimensions to implement the curriculum development capabilities of Classical Chinese in light of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 ‘2022 개정 한문 교육과정중 ‘인성’ 관련 목표 분석

        김영옥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 2023 동아한학연구 Vol.- No.17

        본 연구는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 ‘인성’ 관련 목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전의 한문과 교육과정 내 관련 항목과 비교하여,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규정한 ‘인성’ 관련 목표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漢文과 人性’ 영역을 핵심 개념으로 새롭게 제시하였으므로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편찬한 한문 교과서에서는 ‘인성’ 관련 목표가 어떠한 학습 요소를 통하여 구현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교수요목기 이후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및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성’ 부분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문 자료를 매개로 한 내용중심의 지식교육을 통하여 학습자의 가치관이나 태도를 형성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도의 앙양’, ‘인격 도야’, ‘자기 수양’, ‘건전한 생활 윤리’, ‘민주적 생활 태도’, ‘건전한 가치관’, ‘바람직한 인성’,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의 함양을 통하여 자기 삶에 적용하고,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올바른 인성 함양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특히,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인성’ 관련 영역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은 반면,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인성’ 관련 영역에서는 공통적으로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목표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목표는 ‘전통 문화의 이해’, ‘선인들의 삶과 지혜에 대한 이해’, ‘선인들의 사상과 감정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도달하도록 제시하였다. 둘째, 현재 학교에서 사용 중인 한문 교과서 내 ‘인성’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내 여러 ‘핵심 개념’에 비하여 ‘인성’ 관련 부분이 실제 교과서에 출현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학습 요소도 다양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교과서마다 상이하지만 평균 10개 내외의 ‘인성’ 관련 학습 요소가 제시되었고 많게는 18개의 학습요소가 제시된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비중이 높은 ‘인성’ 관련 학습 요소는 ㉠ 나눔과 배려, 우정, 효, 가족애, 고운 말 사용, 신중한 언행, 선행. ㉡ 애국, 애민, 국토의 소중함, 공동체 생활. ㉢ 배움의 즐거움, 습관 형성, 진로에의 열정 순이었다. 한편, ‘인성’ 부분은 실천적 교육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한문과 교육과정 내에는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인성’의 학습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교과서마다 제시한 학습 요소가 너무 다양하다는 것, 학습 요소를 범주화할 수 없다는 점은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인성’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한문과에서 다루어야 할 ‘인성’의 세부 학습 요소를 제시해야 하며, 더불어 학교급별 ‘인성’의 학습 요소 및 성취기준을 차별화하여 제시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성’ 관련 내용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이후 한문 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앞에서 제시한 문제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mad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s a subject of study. By comparing to the previous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is study contemplated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 which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regulated. Furthermore, I studied how ‘Classical Chinese and Personality in Korean Curriculum’ is shown recently. First, after ‘The First Curriculum’, I foun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present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s to build value and attitudes of learners. Second, I was able to find out that in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sec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Personality’ have not only the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but also have various learning elements than the ‘Essential Concepts’ in it. In addition, I found that meanwhile, despite the ‘Personality’ section’s requirement for the actual curriculum, in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y were not able to suggest the definite way to practice it efficiently. Also, as they did not provided learning elements of the ‘Personality’ clearly, the learning elements which every ‘Classical Chinese Textbook’ contains became quite various and had difficulties in categorizing the Learning Elements, which needs to be improved. Therefor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rranged regulating the definition of the ‘Personality’ clearly, providing its detailed learning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which should be instructed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as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hat the aforementioned problems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enough discussion related to ‘Personalit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lassical Chinese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 KCI등재

        한문의 이해-한자와 어휘영역의 내용 요소와 성취 기준 분석

        이군선 ( Goon Seon Le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교육부는 2015년 9월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확정 발표하였다. 이 교육과정의특징은 교과에서 학생들에게 중점적으로 길러주고자 하는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내용체계에 핵심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요소,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 등을 함께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한문과의 내용도 2015 교육과정에 맞추어 재조직되는 과정에서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및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과 비교해 볼 때 학습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에 다소의 출입이 있게 되었다. 본고는 ‘한문의 이해-한자와 어휘’ 영역을 중심으로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과 2007,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를 분석하고 성취기준에 대한 해설을 하여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한문의 이해-한자와 어휘’ 영역을 이해하는 기회로 삼고자 하였다 Ministry of Education published 2015 Amended Curriculum in September, 2015. The characteristics of this curriculum are that it set core competencies that students should develop in each subject and provided core contents, generalized knowledge, contents elements and functions to perform them in content system. Accordingly, contents of Classical Chinese are changed. Elements of Study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somewhat changed comparing with 2007 Curriculum and 2009 Curriculum. This article purposed to analyze content elements of 2007, 2009, and 2015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focusing on ‘Understanding Classical Chinese-Sino-Korean and Vocabulary,’ to explain performance standards,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2015 Amended Curriculum ‘Understanding Classical Chinese-Sino-Korean and Vocabulary.’

      • KCI등재

        한문의 이해-한자와 어휘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분석

        배희정 ( Hee Jeong Ba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문의 이해-한자와 어휘’ 영역에 제시된 교수·학습 방법을 분석하고,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의 실제를 보여주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전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자와 어휘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자와 어휘 영역 교수·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한자와 어휘 교수·학습 방법의 명칭이 ‘~학습법’에서 ‘~하기’로 변화되었다. 이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상당 부분은 ‘방법’보다는 ‘기법’에 편중되어 있음을 반영한 명칭 변화라고 생각할 수 있다. 둘째, 교수·학습 방법 중에서 자료 및 도구를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 중에서 두루 많이 활용되는 것만 남기고 나머지를 삭제하였다. 셋째, 교수·학습 방법을 이전보다 명료하게 정리하였다. 이전 7차와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설명이 다르던 구조 분석법과 조어 분석법의 명칭을 각각 한자 구조 분석하기와 단어의 구조 분석하기로 명확하게 구분하였다. 또 영역과합치되지 않는 교수·학습 방법은 과감하게 삭제하였다. 다음으로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한문의 이해-한자와 어휘’영역에 제시된 교수·학습 방법을 단독 또는 몇 가지 방법을 결합하여 수업하는 절차나 혹은 그 사례를 몇 가지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제 학생들의 활동 결과물을 제시하여, 교육과정 상의 교수·학습 방법의 실현 가능성을 보였다. 교수·학습방법 절차 제시의 마지막에는 수업에서 학생 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표를 제시하였다. 평가표의 평가 지표가 한자와 어휘의 개수에 치우쳐 있다는 점은 본고의 미흡한 점이다. 반면 수업과 평가가 일체가 되는 평가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요즘학교 현장의 평가가 지향하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본고의 내용은 학교 현장의 교사들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과 평가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 이러한 도움은 2015 개정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을 더욱 불러일으켜 개정된 교육과정은 현장 적용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aims to show theory and practice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for Understanding Sentences-Alphabets par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And it examines to point out characteristics of the Understanding Sentences-Alphabets par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by comparing with that of earlier curriculums. First, this article covers that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itle was changed from ``Learning method`` to ``Doing`` in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The change of title reflects new thought that Classical Chinese cannot to be learned memorizing but by to be learned practically using it. Second, it is indicates that much unnecessary materials was eliminated from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Third, it was more clearly used the terms on structures and coinage of Understanding Sentences-Alphabets in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than that of earlier. Based on these critical analysis on the Understanding Sentences-Alphabets par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this article suggests practical procedures, examples, and works of students that was applie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And this article argues that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i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earlier. Furthermore,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in classes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is proposed in this article. These criteria will be function to judge results of works of students in Understanding Sentences-Alphabets par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Although these criteria biased on the numbers of Classical Chinese, they have strong point in that practical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are mixed to one dimension, which is reflects new demands from school. This article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for Understanding Sentences-Alphabets par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And applying of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based on this article will be expected to change practices of Teaching-Learning of Classical Chinese classes.

      • KCI등재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서의 ‘학습 용어’ 구현 양상에 관한 연구 -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중심으로 -

        안세현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1 漢字 漢文敎育 Vol.50 No.-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 구현된 ‘학습 용어’ 관련 교육 내용과 방법을 검토하고 효과적인 학습 용어 교육을 위한 발전 방안을 제언한 것이다. 중학교 한문 교과서 17종에서 학습 용어의 구성 방식, 과목과 용어의 제시 방법 등을 정리하였다. 17종 가운데 5종에서는 학습 용어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았으며, 소단원의 본문 학습으로 구성한 것은 2종에 불과하였다. 학습 용어의 수록 현황을 정리해 본 결과, 16개 과목의 480여개 학습 용어를 수록하고 있었는데 중학교 교육과정 편제에 없는 과목과 학습 용어를 수록한 경우도 있었다. 본고에서는 과목과 학습 용어의 선정, 단원 구성과 교육 방법 등의 측면에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중학교 교육과정의 편제를 고려하여, 국어‧사회‧역사‧도덕‧수학‧과학 등 6개 과목으로 한정 할 것을 제안하였다. 학습 용어의 선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6개 교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내용 요소, 학습 요소’에 나오는 용어와 한국어 교육과정의 ‘교과별 학습 어휘 목록’을 토대로 ‘학습 용어 목록’의 작성을 제안하였다. 학습 용어의 실질적인 교육을 위해 적어도 1개 소단원 이상에서 본문 학습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어휘 교육의 기본이 되는 ‘단어의 짜임’을 함께 학습하고 ‘나만의 학습 용어 노트 만들기’와 같은 학생 중심 학습 활동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고가 차후 교육과정을 새롭게 개정하고 이에 따른 교과서를 집필할 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aspects of the 'learning term' in the middle school Chinese character textbook and proposed measures for effective learning term education. First, I organized the composition of learning terms, the presentation of subjects and terms, the meaning solving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etc. Five of the 17 species did not have separate learning terms, and only one was composed of small-unit body learning. Next, I organized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terms with subject name. It contained more than 480 learning terms in a total of 16 subjects, and sometimes included subjects and learning terms that were not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I suggested improvements in the selection of subjects and learning terms, the composition of units, and the method of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mpilation of middle school curriculum, I proposed to limit myself to six subjects: Korean, Social, Historical, Moral, Mathematics, and Science. And I proposed a list of learning terms based on the terms in the 'core concepts, content elements, and learning elements' of these six curriculum and the 'List of learning vocabulary by subjec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 emphasized that learning terms should be organized into more than one unit of text, and the structure of words should be trained together. I hope this paper will help in revising the curriculum and writing new textbooks in the future.

      • KCI등재

        한문과 핵심역량 설정의 배경과 의미

        윤지훈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7 漢字 漢文敎育 Vol.42 No.-

        본고는 향후 한문 교육과 관련하여 수행될 역량 관련 연구의 초석을 다지는 차원에서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이 도입되게 된 배경과 취지를 살펴보고,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역량 다시 말해 교과역량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역량’이라는 개념이 1970년대 초 처음 제기된 이래, 자 유교육의 전통에 기반을 둔 학교교육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전 지구적으로 역량을 학교교육 의 중심에 두고 사회적 삶에서 필요한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육내용을 수정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그간 축적된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성과가 모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이란 개념이 등장하였는데, 이 핵심역량은 ‘추구하는 인간상’ 및 ‘학 교급별 교육목표’ 등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다른 요소들과 긴밀한 연계 속에서 의미와 가치를 지니 고 있다. 한편,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인성 역량’, ‘심미적 감성’ 5가지의 교과역량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한 것이 아니라 그간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에 포함되어 있던 내용을 역량이란 관점에 서 요목화한 것이다. 즉,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역량은 총론에서 제시한 핵심역량과 궤를 함께하면서도 한문과 고유의 성격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introducing into basic level of the key competencies in futur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e key competencies were examined the meaning of the curriculum competencies in the Classical Chinese class curriculum The concept of ‘competencies’ began in the early 1970s and it is based on the tradition of liberal education of the contents. This concepts were revised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the competencies needed in the social life by placing the competencies at the center of the school education. In Korea, research results on key competencies appeared in revised curriculum. Also, the key competencies were closely linked to the other elements that make up the curriculum, such as the ‘pursuing human image’ and ‘school-level educational goals’. Additionally, 2015 revised the Classical Chinese class curriculum presented five kinds of curricular capabilities: ‘communication a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personality competencies’, and ‘aesthetic sensitivity’. that is, the new Classical Chinese class curriculum was not adding, rather than make a syllabus of competencies. The subject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Classical Chinese class curriculum of key competencies in the general theory and reflect the nature of the classical Chinese class. Key

      • KCI등재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중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 분석

        김우정 ( Woo Jeong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이 글은 2018년부터 적용될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문의 활용’ 영역 중‘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을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현장에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은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언어생활의 활용 능력’을 별도의 세부 목표로 설정함에 따라 새롭게 마련된 부분이다. 이전 교육과정에서 ‘독해’ 또는 ‘문화’의 하위영역으로 다루어졌던 ‘언어생활’을 독립하여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내용 요소는 ‘일상용어’ ‘학습 용어’ ‘성어’의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 용어’는 기존의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내용 요소이며, ‘성어’는 2009 교육과정에서는 ‘한문 지식’에 속해 있었으나, 어휘적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로 변경하였다.‘어휘’는 ‘일정한 범위 안에서 사용되는 단어의 집합’을 가리키는 말이나, 때로는 개별 단어들을 의미하기도 한다. ‘성어’는 예로부터 관용적으로 널리 쓰여 특별한 뜻을 나타내는 숙어를 말하며, 옛이야기에서 유래한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를 ‘故事成語’라고 한다. 한문의 체계 안에서는 어구에 해당하지만 국어의 체계 안에서는 하나의 단어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어휘의 범주에 든다. 한자 어휘는 교과의 성격에 부합하는 개념적이고 추상적이며 심오한 사상이나 문화가 내포된 어휘를 위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자 어휘 가운데는 역사 속의 특수한 사건, 인물, 이야기나 한문 전적에서 유래한 어휘가 많다. 이러한 한자 어휘는 한자의 음, 뜻과 함께 그 내력을 알아야 이해할 수 있다. 이와같은 어휘의 학습은 언어생활의 수준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교과교육용 한자 어휘를 선정할 때에는 교과 학습에 얼마나 긴요하게 쓰일 수 있느냐를 위주로 하여 축자적 풀이로 의미 파악이 가능하며 개념 이해에 도움이 되는 어휘를 위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빈도, 조어력, 의미 투명도 등도 아울러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be helpful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and its successfully application to the school field by analyzing content factors and achievement standard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among ``Chinese character utilization`` area of ``2015 amended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hich is to be applied since 2018.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was newly prepared as ``the ability of utilizing language life`` was established as a separate goal of ``2015 amended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at was to respond to social demand and apply to school field by separating ``language life``, which had been treated as a subordinate area of ``reading`` or ``culture`` in the previous curriculum. Content factor is composed of ``daily life words`` ``terms of study`` and ``idiom``. ``Terms of study`` is the content factor that had not been treated in the previous curriculum, however ``idiom`` was changed to ``Chinese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considering that it is frequently utilized in lexical form nevertheless it had belonged to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in 2009 curriculum. ‘Vocabulary’ indicates ``a group of words utilized within a regular scope``, however it sometimes indicates individual words. ``Phrase`` has indicated the idiom from old times that means a specific meaning by being widely used idiomatically, also, the phrase made of Chinese characters that come from old stories is called ‘Gosaseong-eo(Idiom originated in an ancient event)’. It belongs to phrases within the system of Classical Chinese, however belongs to vocabulary in respect that it functions as a word within Korean language system.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is desirable to learn mainly with vocabulary that implies conceptual and abstract as well as profound ideology or culture, which corresponds to the character of the subject. There are lots of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that are originated from special event, character, story, or Classical Chinese record in history. Such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can be understood when the origin thereof should be comprehended along with the phonics and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Learning of vocabulary, this way, could be helpful to raise the level of language life. It is desirable to select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for curriculum which is helpful to comprehend the meaning based on literatim explanation mainly with whether it could be usefully utilized for subject learning.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frequency, coinage ability, and semantic transparency.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한문과(漢文科) 평가(評價)의 변화와 시사점 - 2007 개정 교육과정 개정을 기점으로-

        허연구 ( Yeoun Gu Heo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5 한문교육논집 Vol.44 No.-

        국가수준 한문과 교육과정은 중고등학교 한문과 수업과 평가의 기준점이다.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한자-한자어-한문’의 체계에 변화를 주었다. 기존의 한자어를 대영역에서 제외하고 ‘한문-한문지식’으로 변화시켰다. 이로 인해 학교에서의 평가도 변화하였다. 기존의 한자어 중심 평가 문항이 한문 문장 중심의 문항으로 변화하였고, 시대적 요청으로 서술형·논술형 문항도 늘어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성취기준이나 성취수준이 평가의 기본적인 지향점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몇 가지의 문제점을 야기 시켰다. 우선 일부 한문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가 낮다는 점이다. 이는 한문과 평가의 타당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 문화 영역의 신설로 다양한 문화요소가 한문 수업시간에 다뤄지고 있지만 문화 문제에 대한 타당성의 문제를 야기 시켰다. 과연 한문과의 문화 문제는 어떠한 형태이어야 하는가?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의 전환을 꾀하는 현 시점에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학생 평가의 중요한 잣대가 되었다. 그러나 한문과의 일부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이 학교 현장에서 균형적이고 일반적으로 평가에 적용되지 않기도 하였다. 2015년 새로운 한문과 교과 교육과정이 만들어진다. 이에 대해 시대의 흐름에 맞으면서도 한문과에 적합한 평가내용과 평가방법 등이 포함된 새로운 교과 교육과정이 완성되기를 기대한다.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on subject evaluation is very absolute. It`s because the curriculum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validity of evaluation. The 2007 Revised Classical Chinese Subject Curriculum resolutely reduced Sino-Korean words in order to re-establish the identity of Classical Chinese subject which was buried in the existing `Sino-Korean words` and to change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class. Such a change had a lot of influences on school Classical Chinese, its class and evaluation. The change aspects in Classical Chinese and evaluation, which varied from the previous ones through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could be divided in two respects. First, various terms altered in evaluation contents, and there came into existence the contents that couldn`t appear in evaluation anymore. If such contents should be evaluated as the existing ones by school authorities, there might arise an error of the failure to observe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e `Form` of a sentence gave way to `Type`, and `Sino-Korean word` was replaced by `Vocabulary`, and further `Huhja` turned into `Huhsa`(formal morpheme). The `Culture` area among the newly changed contents is the one which has been reinforced from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he content about traditional culture forms a mainstream, but in making it into an evaluation question, there comes about content redundancy with other subject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causing a problem in identity of a question. Second, there was a change in evaluation type as well. Multiple-choice simple questions continue to exist by the nature of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but the number of descriptive type & essay-type questions also increased due to the general trend of the times. The teachers at a school field are in a welcoming atmosphere because descriptive type & essaytype question evaluation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look for a spot where Classical Chinese-learning students` learning habit or misconception forms. However, the evaluation type has become an operational problem due to the lack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charge of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and the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in one teacher`s charge. A new educational curriculum content area of the 2015 Classical Chinese subject is being prepared through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period. The existing educational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from the aspect of remedying some points which occurred while going through the 2007 revised curriculum period; hereupon, this study made some suggestions about it.

      • KCI등재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미

        류준경(Ryu Jun Kyu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65 No.-

        본 연구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미를 한문과 교육과정 변천의 역사적 맥락에서 검토한 것이다. 검토 결과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교과 성격 부분 기술의 확대, 내용체계의 변경, 성취기준의 감소, 교수·학습방법의 강화 등이 주요한 특징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성격 부분에서 ‘한자어’ 교육에 대한 강조가 부각되어 있었고, 내용체계에서는 한자 어휘 교육의 주요 내용으로 일상용어 및 타교과 학습 용어를 강조하는 면모를 보여, ‘한자어’ 교육을 보다 강조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한문과 인성’이라는 핵심개념이 새롭게 추가되고, 그에 대한 성취기준까지 제시되어 한문과 교육에서 인성 관련 교육을 보다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내용체계의 변경에서 문화 영역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강조된 ‘한자어’ 교육 및 인성 교육과 관련하여 교육의 구체적인 범위와 방향 및 성취기준의 구체화, 교수학습방법의 개발 등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2015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changes in national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 result of examination, main distinct features of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2015 revision are found to include the following: expanded description in subject characteristics, modification in the system of content, reduction in standard of accomplishment, and reinforce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particular, emphasis is put on ‘Sino-Korean words’ education in terms of subject characteristics, and this peculiarity can also be found in that everyday terms and study terminologies of other subjects are stressed as main materials of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education in the system of content. Moreover, it can be found that ‘Sino-Korean words’ education and personality-related teachings are further highlighted with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the core concept ‘Classical Chinese and human nature’ is newly added with proposal of its standard of accomplishment. Also, ‘Area of Culture’ is found to be underscored constantly in the system of content. With larger emphasis put on ‘Sino-Korean words’ and personality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specification on detailed scope, direction and standard of accomplishment, along with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in n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