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峰和尙禪要』에 나타난 看話禪의 修行次第 一考

        오태섭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두 학자로부터의 ‘看話禪 實參者가 보따리를 제대로 풀지 않는다.’라는 問題提起를 筆頭로 하여 ‘Ⅱ. 高峰原妙와 『禪要』’에서는 고봉의 일대사에 배대하여 고봉과 『선요』를 간략히 소개하였다. ‘Ⅲ. 『禪要』에 나타난 禪思想 및 修行次第’에서는 ‘看話三要’와 ‘看話禪의 修行次第’를 기술하였다. ‘간화삼요’는 간화선을 수행함에 있어 필연적으로 갖춰야 하는 근본적인 마음가짐인 大信心ㆍ大墳志ㆍ大疑情으로 고봉의 선사상에 있어 뿌리를 이루는 가르침이다. 고봉 자신이 修行時 많은 난관을 헤쳐 나가면서 무너지지 않는 진리에 대한 확고한 신념인 大信心, 장애를 만나 허덕일 때마다 힘껏 박차고 일어나 다음 단계를 향해 힘껏 매진할 수 있는 구동력을 주는 大憤志, 그리고 수행의 主 기둥이요 次第의 母胎가 되는 大疑情에 대하여 고봉의 법문을 근간하여 각 요소를 분별하여 살펴보고 三要間의 시너지적 상호관계에 대하여 간략히 고찰하였다. ‘看話禪의 修行次第’에서는 『선요』의 處處에 있는 고봉의 화두선 초기 수행 시기의 경험과 감상, 화두를 청하는 대중에게 공부에 대하여 說한 법문 등 여러 수행에 관련된 법문들을 수행차제라는 잣대로 時間의 軸과 修行境界의 軸을 기준으로 하여 一連性이라는 관점에서 수행 단계를 분별하고 고찰하여 정리하였다. 고봉은 수행에 있어서만큼은 徹頭徹尾함을 말만이 아닌 간화선을 통하여 자신의 存在 그 자체를 증명하였고 그럼으로써 뒤를 따르는 수행자들 또한 철두철미 하여 누구나 깨달을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고봉은 『선요』의 곳곳에서 간화선 과정이 ‘화두만 애써서 의심하다보면 疑情이 발현되고 疑團이 打破 되어 일대사가 단박에 끝난다.’는 매우 단순한 과정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의심을 밀어 붙이고 밀어 붙여 더 이상 갈 곳이 없도록 밀어 붙이면 물살의 방향이 바뀌고 이러한 때에 이르면 省力處가 되어 힘을 쓰지 않고 애쓰지 않아야 오히려 공부가 되는 자리가 있다’고 설하고 있다. 그래서 성력처가 곧 득력처가 된다고 하고 이 자리에서의 공부방법은 힘을 쓰지 않으면서 見聞覺知 行住坐臥에 의단만을 지켜야 되는 공부 경계 등이 있다는 것을 『선요 에서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간화선을 수행하여 일대사를 마쳐 생사를 벗어나고자 한다면 고봉이 설한 바와 같이 수행차제를 잘 숙지하고 제대로 시행해야만 깨침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Two scholars suggested the problems that Ganhwa Seon practicers didn't opening completely their packages by introductory chapter. and than Chapter Ⅱ Gaofeng Yuanmiao(高峰原妙) and 『Chan-Yao』 was simple introduced with Gaofeng's life. There were traced the three essentials of Ganhwa Seon & the disciplinal Ganhwa Seon process in the chapter Ⅲ. It's displayed the thought of Seon and the disciplinal Seon process in 『Chan-Yao』. The three essentials of Ganhwa Seon(看話三要) were teachings, to become with root of the Gaofeng's thought of Seon, of great faith(大信心)ㆍgreat flare-up emotion(大憤志)ㆍgreat doubt feeling(大疑情) that were necessarily possessed basic mind to practice the Ganhwa Seon. Therefore those were contemplated to be discriminated the three essentials of Ganhwa Seon and between synergic correlation. Thus those were organized the practice process to be discriminated and to be contemplated as criterion that time & practice stage axis from a series of patterns of it many relational practice preachings; Gaofeng's early time practice experiences & feelings, to require several hwadu his disciples to study preachings etc, from place to place of 『Chan-Yao』in the disciplinal Ganhwa Seon process. Gaogeng proved own being himself at least thoroughgoing practice not only words but through Ganhwa Seon, and thereby he demanded practicer followed him to anyone finding enlightenment. Geofeng said not very simple process if Ganhwa Seon process had diligently doubting hwadu and then doubt feeling(疑情) was manifested and then doubt mass(疑團) was broken so the one great work(一大事) was finished immediately in here and there of 『Chan-Yao』. He preached if push the doubt and more push ahead it so that there is no more go anywhere than is changed direction of current of water become save power stage(省力處) preferably not use force or save effort than there is place that become practice. Therefore he made the point clear handson stage that save power stage(省力處) is become immediately obtained power stage(得力處) and the way of practice doesn't used force and that must keep only doubt mass(疑團) with seeingㆍhearingㆍawakeningㆍcognizingㆍwalkingㆍstandingㆍsittingㆍlying(見聞覺知行住坐臥) by 『Chan-Yao』. Thus you will arrive at enlightenment that you must understand and properly practiced the disciplinal process by preached Geofeng if you want finish the one great work(一大事) and be free births and deaths(生死).

      • KCI등재

        ‘화두’, 간화선 수행의 본질과 교육적 시사점

        안성규 ( An Sung-gy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1

        간화선(看話禪)은 선어(禪語)인 화두(話頭)로써 번뇌망념을 제어하는 수행법이다. 그런데 간화선은 의심의 감정을 형성[疑情]하고 그 형성된 의심의 감정을 더욱 몰아부쳐 하나의 덩어리로 만든 뒤[疑團] 이것을 궁극적으로 깨부수어[打破]하여 깨달음을 얻는 것이라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행법을 참의(參意)법이라고 부를 수 있는데 이것은 화두의 의미를 추구하는 수행법이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간화선 수행법은 창안자인 대혜(大慧宗杲, 1089∼1163)가 애초에 구상한 방법과는 다르다. 그의 간화법은 의외로 간명직절한 수행법이었다. 그는 ‘단지 망념이 일어날 때 화두를 들어라 그러면 망념은 붉은 화로위의 한 송이 눈처럼 사라진다. [妄念起時, 但看話頭, 正恁麼時, 如紅鑪上一點雪相似.]’라고 하여 ‘단간화두(但看話頭:단지 화두를 간한다.)’라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수행법을 참구(參句)법이라고 부를 수 있다. 즉 일구인 화두를 단지 참구하는 방법이다. 화두는 공안(公案)중에서 핵심적인 일구(一句)를 가리킨다. 일구는 현성공안(現成公案)으로서 지금여기에 나를 존재하게 하는 활구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었다. 화두는 그 속성 자체가 무의어(無義語) 이면서도 중도실상(中道實相)을 지시하는 진법의 단서라는 성격을 가진다. 참구법에 의하면 망념이 일어날 때 화두를 들면 그 순간이 시각(始覺)이고 이것은 곧 본각(本覺)으로 이어지는 구도였다. 깨달음이 달리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망념이 제거된 상태로가 곧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참의적 간화선 수행법은 만약 ‘의정’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다음단계인 ‘의단’형성은 구상할 수 없는 것이며 타파는 기약할 수 없는 것이 된다. ‘의정’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면 수행의 추력으로 작용하겠지만 생기지도 않은데도 억지로 구상하여 집착하면 자칫상기증(上氣症)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현대의 간화종장이라고 불려지는 성철에 의해 선양된 간화법은 참의법으로 화두참구시에 반드시 ‘어째서. 어떤 것이’라는 의문사를 들것을 강력히 주문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의문의 감정을 형성하기 위한 방편으로 설정된 것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자칫 의식집중훈련이나 정신수련으로 흐를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간화선 수행법의 본질은 참구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일구를 통한 번뇌의 제어에 있다고 보고 일구의 수립과 의식상에 내면화하는 것을 교육현장에서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중등교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자신의 목표를 수립하는데 영감을 주는 일구가 화두로서 설정되기 위해서는 학부모와 교사의 관심과 구체적인 지도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Ganhwaseon practice is method of observing the truth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Hwadu. By the way It is generally known that Ganhwaseon form doubt emotions and further drive away the formed feelings of doubt into one mass and eventually break them down to gain enlightenment. This method is referred to as the Chamyi method. This practice would be that the next step, the mass of doubt emotions, is inconceivable and that a breakaway is impossible if the doubt emotions is not formed. The method of performing these commonly recognized Ganhwaseon was not the one that the creator had devised. He said, 'Just remind me of the Hwadu when delusions occur, and the wrong idea disappears like a snow flower on a red brazier.' That's just the way to look at the Hwadu. In other words, if one raises the issue when delusions occurs, that moment is the moment of enlightenment and this is the structure that leads to the original realization. This method is referred to as the Chamgu method. This method of execution of the founder has been transformed into emphasize what is doubt emotions during the latter phase of the Song Dynasty and the early days of the Yuan Dynasty. It can be said that the changed method of Ganhwaseon was adop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as of now, it has been established as the practice of carrying out the current state-of-the-art Ganhwaseon. The Hwadu refers to the key phrase of Koan. The Hwadu is a condensed statement that reflects one's current issues. In such a case, the proposed section will act as a powerful tool and act as a power to solve the problems of one's own reality. and The Hwadu can serve as a message of hope in young people's hearts. For example, the question 'Who am I, what do I live for?' and 'how do I live' may be an example of Hwadu whose identity and goal a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and parents to instruct teens in a kind and caring manner to keep a phrase of hope in their heart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 자기의심과 정서지능이 삶의 만족과 진로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현미(Hyunmi Park),유나현(Nahyun Y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적응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진로적응모형에 반영할 수 있는 변인으로 진로 자기의심, 정서지능, 진로적응성, SCCI, 삶의 만족, 진로 만족을 선정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3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Mplus 8.1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하였다.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진로적응모형의 모형 적합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지능은 진로적응성과 SCCI를 통해 삶의 만족 및 진로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 자기의심은 진로적응성과 SCCI를 통해 진로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지능은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로 자기의심은 SCCI와 진로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들이 진로적응모형에 적용하기 적절함을 검증함으로써 대학생의 진로적응 과정을 이해하고 개입하는 데 의미있는 경험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변인의 특성을 고려한 관계 설정을 통해 진로적응모형의 경로를 다각화하는 것에 관한 논의를 하였다. Objectives To comprehend the career adaptation proc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chose career self-doubt,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adaptability, SCCI,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as variable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ation. It then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data of 231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using Mplus 8.10. Results First, The model fit of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 Model of Adaptation establish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dequate.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through Career Adaptability and SCCI. Third, Career Self-doubt has a negativ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through Career Adaptability and SCCI. Fourth,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Self-doubt has a negative effect on SCCI and Career Satisfaction. Conclusions Through the validation of the suitability of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ithin the context of the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ation, we have presented valuable empirical findings that contribute to the comprehension and intervention in the career adaptation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Additionally, we have discussed the diversification of pathways in the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ation by establishing relation-ships that consid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