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 공동체에 대한 개념적 분석

        윤혜진(Hye-jin Yoo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0 철학탐구 Vol.28 No.-

        본 논문이 핵심 목적으로 삼고 있는 것은 생명 공동체 개념에 대한 구체적 분석과, 현재의 환경 위기와 관련하여 그런 개념적 분석에 따른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자는 것이다. 먼저, 생명 공동체에 대한 개념적 분석과 관련하여 생명 공동체를 하나의 거대한 초유기체와 같은 것으로 보는 초유기체론, 즉 생태학에 관한 유기체 모델이 제시될 것이다. 그리고 생명 공동체를 그 구성 요소들이 서로 기능적 상호 관계를 맺고 있는 공동체와 같은 것으로 보는 공동체론, 즉 생태학에 관한 공동체 모델이 적극 제시될 것이다. 그리고 이런 유기체 모델과 공동체 모델을 제시하면서 이런 모델들이 생명 공동체에 대한 전체론적 이해와 직결된다고 보고, 생명 공동체 내의 생명체들을 독자적 존재가 아니라 서로 상호 의존적 관계를 맺고 있는 상호 관계로 이해해야 한다는 전체론적 측면을 강조할 것이다. 이런 강조를 통해, 본 논문은 환경윤리나 환경철학에서의 생명 공동체 개념의 의의와 중요성을 조명하고자 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결국 이런 모든 논의를 통해 생태학적 차원에서 생명 공동체 개념은 더욱 일반적인 개념으로서의 생태계 개념으로 더욱 확대 해석될 수 있다고 보고, 자연 환경에 대한 철학적 이해나 윤리적 이해와 관련하여 생태계 개념이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를 적극 검토하고자 할 것이다. This paper can begin from conceptual analysis of ‘community’. This paper examines, In particular, concept of ‘biotic community’. We steadily realize that our misuse of environment can come home to roost. Not only nonhuman life forms are endangered, but also human life is threatened. However, some of us do not regard the future so pessimistically. Before it is too late, concept of ‘biotic community’ might be developed. And then, enlightened principles of biotic community might still be discovered. Accordingly, the future that pessimists foresee can be avoided. But possibly only then. Proponents for concept of ‘biotic community’ consider all life organism to be intrinsically valuable. Since concept of biotic community attachs standing to ecosystems, it is sometimes labeled ‘theory of ecosystem’. Therefore, in this paper, I examine a basis of concept of ‘biotic community’.

      • KCI등재

        안건훈의 『생명공동체』(서광사, 2016)에 대한 서평

        김명식 ( Kim Myungsik ) 한국환경철학회 2016 환경철학 Vol.0 No.22

        이 책은 생명공동체의 의미와 우리나라에서의 멸종 문제를 다룬다. 다루는 멸종위기동물에는 호랑이, 늑대, 여우, 산양 등 매우 다양하다. 저자는 이 책에서 생태민주주의에 기초해 이들 동물들을 생명공동체의 일원으로 존중해야 하며, 그들의 고통을 최소화하는데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의 미덕은 민화와 속담 분석을 통해 동물들이 우리의 문화에서 갖는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동물들도 우리 공동체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로 잘 표현하고 있다. 아쉬운 점은 동물해방론에 치우쳐, 생태중심주의와 보전생물학적 관점을 소홀히 하고 있다는 것이다. This book explores the meaning of biotic-community and the extinction in our country. The endangered species which it deals with are tigers, wolves, foxes, mountain goats and so on. The author insists that we should respect the animals as the member of ecological community, and try to minimize their pain. The virtue of the book is that it explains the meaning of the animals in our culture by analysis of folk paintings and proverb. It describe well the animals as indispensable beings in our community. However, it overemphasize the viewpoint of animal liberation while ignore the viewpoints of eco-centralism and conservation biology.

      • KCI등재

        대지윤리의 윤리적 쟁점들

        김남준 ( Kim Nam Joon ) 한국윤리학회 2022 倫理硏究 Vol.137 No.1

        레오폴드의 ‘대지윤리’는 서로 밀접히 연관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진술에 기반하고 있다. (1) 대지윤리는 공동체의 범위를 흙, 물, 식물과 동물, 곧 집합적으로 대지를 포함하도록 확대하는 것이다. (2) 대지윤리는 호모 사피엔스의 역할을 대지 공동체의 정복자에서 그것의 평범한 구성원이자 시민으로 변화시킨다. 대지윤리는 대지 공동체의 동료 구성원에 대한 존중과 대지 공동체 그 자체에 대한 존중을 함의한다. 레오폴드는 이러한 전제 아래 “어떤 것이 생명 공동체의 온전함, 안정, 아름다움을 보전하는 경향이 있다면 그것은 옳다. 반면 어떤 것이 그 반대의 경향이 있다면 그것은 그르다.”라는 윤리적 명제를 제시한다. 이와 같이 대지윤리는 부분에서 전체로, 개체에서 공동체로 그 강조점을 옮김으로써 인간중심주의에서 생태중심주의로의 윤리학적 전환을 도모한다. 그런데 바로 이러한 대지윤리의 특성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비판과 논쟁이 제기되었다. (1) 대지윤리는 윤리로 성립할 수 있는가? (2) 대지윤리는 환경 파시즘인가? (3) 대지윤리는 반인간적 윤리인가? (4) 대지윤리는 자연주의적 오류를 범하는가? (5) 대지의 가치는 내재적 가치인가, 본래적 가치인가? 이러한 의문들은 대지윤리에 내포된 공동체의 중첩성, 덕윤리적 특성, 인간의 가치 평가와 태도의 역할 등에 의해 해소될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Leopold’s land ethic is based on the following closely related statements: (1) The land ethic enlarges the boundaries of the community to include soils, waters, plants, and animals, or collectively, the land. (2) The land ethic changes the role of Homo sapiens from conqueror of the land-community to plain member and citizen of it. It implies respect for his fellow-members, and also respect for the community as such. Based on these premises, Leopold proposes the summary moral maxim of land ethic: A thing is right when it tends to preserve the integrity, stability, and the beauty of the biotic community. It is wrong when it tends otherwise. The two most revolutionary features of the land ethic are, first, the shift in emphasis from part to whole ― from individual to community ― and, second, the shift in emphasis from human beings to nature, from anthropocentrism to ecocentrism. Due to these features of the land ethic, there ar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oversies: (1) Can the land ethic be an ethic? (2) Is the land ethic an environmental fascism? (3) Is the land ethic antihuman? (4) Does the land ethic commit naturalistic fallacy? (5) Is the value of the land intrinsic value or inherent value? These questions are expected to be answered by the overlap of the communities, the virtue ethical account of the land ethic, and the role of moral agent’s evaluation in the land ethic.

      • KCI등재

        『샌드 카운티 연감』의 생태학적 비전

        강규한(Kang, Gyu-Han) 문학과환경학회 2014 문학과 환경 Vol.13 No.1

        According to Aldo Leopold, the homopocentric approach to nature is limited and biased and therefore man’s role should be changed from conqueror of the land community to a plain member and citizen of it. This is why we should need biocentric understanding of ecosystem and a new moral called ‘land ethic’ clearly demonstrated in his A Sand County Almanac. Land ethic assumes that the boundary of ethic has been extended from white men to non-white women and also has to get into non-human beings in the land community. A focus of the ethic is laid on the ecosystem network of the land community rather than its individual members. The ethic asserts that it is right to tend to preserve the integrity, stability and beauty of the biotic community while it is wrong to tend otherwise. Clearly, it is not the individual organism that attracts moral consideration, but the community as a whole. Too heavy stress on the wholeness of the community would lead to the risk of a totalitarian perspective or ecofascism. It is also argued that the integral, stable ecological wholeness can be found only in the theoretical models, not in the reality. We need to be reminded, however, that Leopold’s A Sand County Almanac aims to inspire us with a new moral for our environment in danger rather than to present any scientific ecological theories or models. Furthermore, the book demonstrates that he has a deep affinity with other individual non-human beings. He pays a great respect to each member as well as the community as a whole. He is hard to be labelled as ‘totalitarian’ although he accepts as one of its working principles the food-chain mechanism in which one member is eaten and served as energy source of another member. It is also noteworthy he is one of the rare professional scientist among the nature writers and that his land ethic admits the benefits of modernity and the inevitability of human intervention. Using the scientific ecological discourses, he tires to provide a revolutionary ethic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 the same time, he keeps his balance admitting the basic necessity of modern technology.

      • KCI등재

        효자전의 효, 살림의 효인가? 죽임의 효인가?

        김세정 ( Kim Sea-je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5 No.-

        조선시대에 쓰인 다양한 「효자전」은 당시 왕조사회와 가부장사회에 적용되었던 ‘삼강(三綱)’이나 ‘충효(忠孝)’의 이념적 관점이 밑바탕에 깔려있다. 그로 인해 부모와 자식 사이의 자연한 효가 체제 유지의 수단으로 과도하게 왜곡되고 생명을 손상시키거나 죽이는 부정적 방향으로 진행된 측면이 없지 않다. 이는 오늘날 현대인들이 효를 부담스럽거나 부정적으로 바라도록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효의 본질을 되찾아보고자 삼강과 충효의 이념적 관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생명관, 즉 ‘영속적 생명관’과 ‘생명공동체’의 관점에서 ‘효’의 본질과 의미를 재조명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효자전」의 다양한 내용을 ‘살림의 효’와 ‘죽임의 효’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유전정보와 같은 정체성의 측면에서 본다면, 앞 세대는 뒤 세대를 통해 자신의 생명을 영속해 나가고 뒤 세대는 앞 세대를 이어나간다. 죽음이 아닌 생명의 영속이다. 이러한 ‘영속적 생명관’의 관점에서 볼 때, 내 몸을 다치게 하거나 죽이는 일은 결국 나의 부모님을 다치게 하거나 죽이는 일이 된다. 이에 『효경』에서는 “사람의 신체와 터럭과 살갗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이것을 감히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이다.”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부모님이 남겨주신 몸을 함부로 손상시키지 않고 잘 보존하면서 부모님의 뜻을 잘 이어갈 뿐만 아니라 자식을 낳아서 조상과 부모님의 생명과 정체성을 이어가는 것이 바로 효의 출발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죽임의 효의 경우는, 위중한 부모님을 살리기 위해 손가락을 자르는 일이나 돌아가신 부모님을 뒤따라 자살하는 일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체를 손상시키는 일로써 자칫 생명의 단절을 야기할 수 있는 바, 이는 영속적 생명관의 관점에서의 진정한 효라고 할 수 없다. 그리고 부모님의 복수를 위해 다른 사람을 죽이는 살인 행위 또한 반생명적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자신의 신체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지극정성으로 연로하신 부모를 봉양하고, 형제자매 간에 우애 있게 서로 화합하고 보살피는 일은 생명을 살리는 효이자 영속적 생명관에 부합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부모님은 물론 형제자매와 조카들 모두 동일한 유전인자를 지닌 영속적·연속적 생명체이기 때문이다. 『효경』에서는 효의 마침은 행도(行道)를 통한 양명(揚名)에 있다고 한다. 행도의도는 바로 ‘인(仁)’으로 인은 생명공동체 안의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랑과 아픔과 돌봄과 배려로 들어난다. 그러므로 부모님에 대한 효는 인을 행하는 출발점으로서, 효는 단지 자신의 부모에 대한 사랑과 봉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맹자와 양명이 말한 자신의 부모에 대한 자연한 사랑의 마음을 이웃의 부모로, 인류의 부모로 확대해 나가는 것이 바로 생명공동체에서 말하는 효의 진정한 목적이다. 그런데 본 논문에서 살펴본 8편의 「효자전」의 경우 자신의 부모나 가족에 대한 사랑과 보살핌만으로 한정되어 있고, 도움의 손길을 필요로 하는 이웃에 대한 따뜻한 돌봄과 배려의 내용이 없다. 영속적 생명관에 위배되거나 생명공동체로 확대되지 못하고 가족주의에 함몰된 이러한 점들이 현대사회에서 효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계승해 나가는 데 있어 장애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이제 효는 영속적 생명관의 관점이나 생명공동체의 관점에서 새롭게 정립해 나갈 필요가 있다. Various ‘stories of filial piety’ (孝子傳) written in Joseon dynasty were originated from the ideological viewpoints on ‘three bonds’ (三綱) or ‘loyalty and filial piety’ (忠孝) that were applied in the patriarchal and dynastic society. Consequently, the natural filial piety of the children to the parents was excessively distorted, as a way to maintain the social system, and thus there definitely appeared some negative aspects that were inclined to harm or kill the life. That is the main reason why many people today regard the filial piety as burdensome and negative. Thus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s to recover the nature of the filial piety, and re-examine the essence and significance of the filial piety from the viewpoint on ‘eternal life’ and ‘biotic community’, getting out of the ideological viewpoint on ‘three bonds’ or ‘loyalty and filial piety’. On that basis, the author tries to separate the varied contents of ‘stories of filial piety’ into ‘destructive filial piety’ and ‘live-giving filial piety’ and analyze them. From the aspect of identity such as the genetic code, it can be said that the preceding generation lasts its life forever through the succeeding generation which succeeds the preceding one. That permanence is of the life, not of the death. From the viewpoint on ‘eternal life’, it can be said that the harm done to or the killing of my body means the very harm done to or the killing of my parents. Thus it is said in “Classic of Filial Piety” that “One’s body, hair and skin are all received from one’s parents, so they cannot be harmed, that is the starting point of filial piety”. One does not carelessly harm one’s body that parents left for, on the contrary tries to protect it, and not only succeeds the parents’ mind an aim, but also gives birth to children and through that succeeds the life of ancestors and parents, that can be called the starting point of the filial piety. In the case of the so-called ‘destructive filial piety’, such as the story about one who cut one’s own hand to save the parents in critical circumstance, or one who committed suicide to follow the deceased parents, it is to say the severance of life by harming the physical body inherited from the parents, that cannot be called true filial piety. And the act of killing others in revenge for what they did to one’s parents can also be seen as the opposite to the life. On the contrary, the act of not harming one’s own body and devoting oneself to serving one’s old parents, being in agreement and taking care of one’s siblings, can be seen as the correspondence with the viewpoint of eternal life. For parents, siblings, and other relationships are all eternal - succeeding living things which have the same genetic code. The finish and top of filial piety in “Classic of Filial Piety” is the ‘achievement of fame’ (揚名) by ‘carrying out the Dao’ (行道). The Dao in ‘carrying out the Dao’ is the very benevolence (仁), and the so-called ‘benevolence’ means the love, the care, the pity, the compassion on others who are members of the living community. Thus the starting point of the filial piety to the parents is the benevolence for others, it does not stop only at the service to parents. Mencius and Yang Ming’s thought, that the natural love for one’s own parents spreads into the parents of neighbors and of every body, is the true aim of the filial piety from the aspect of biotic community. However, in some cases of 8 chapters of ‘the stories of filial piety’ considered in this paper, one loves and takes care only of one’s own parents, and we cannot find in them the kind-hearted care and concern about the neighbors who are in need of help. The viewpoints that goes against the eternal life, or cannot spread into the biotic community and be sunk into the familism, can become the obstacle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and success of the filial piety in the modern society. Henceforth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filial piety from the viewpoints on eternal life or biotic community.

      • KCI등재

        Microbiota Communities of Healthy and Bacterial Pustule Diseased Soybean

        김다란,김수현,이수인,곽연식 한국식물병리학회 2022 Plant Pathology Journal Vol.38 No.4

        Soybean is an important source of protein and for a wide range of agricultural, food, and industrial applications. Soybean is being affected by Xanthomonas citri pv. glycines, a causal pathogen of bacterial pustule disease, result in a reduction in yield and quality. Diverse microbial communities of plants are involved in various plant stresses is known. Therefore, we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community differentiation depending on the infection of X. citri pv. glycines. The microbial community's abundance, diversity, and similarity showed a difference between infected and non-infected soybean. Microbiota community analysis, excluding X. citri pv. glycines, revealed that Pseudomonas spp. would increase the population of the infected soybean. Results of DESeq analyses suggested that energy metabolism, secondary metabolite, and TCA cycle metabolism were actively diverse in the non-infected soybeans. Additionally, Streptomyces bacillaris S8, an endophyte microbiota member, was nominated as a key microbe in the healthy soybeans. Genome analysis of S. bacillaris S8 presented that salinomycin may be the critical antibacterial metabolite. Our findings on the composition of soybean microbiota communities and the key strain information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biological control strategies against X. citri pv. glycines.

      • KCI등재

        위천 상류에 건설 중인 화북댐 상,하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서진원 ( Jin Won Seo ),김희성 ( Hee Sung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2009 생태와 환경 Vol.42 No.2

        본 조사는 낙동강 유역의 홍수피해를 저감하고, 경북 중부지역의 안정적인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경북 군위군 고로면에 건설 중인 화북댐의 상?하류 어류조사를 통하여 댐 건설이 하천유역에 특히 수 생태계내의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유무를 파악하여 종 다양성을 보전하고 하천의 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화북댐 상?하류에서 사후환경영향조사 기간(2004~2008년) 중 측정된 수질항목 분석결과 현장에서 측정한 수온,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와 실내분석 항목인 부유물, 총대장균수의 경우 지점별로 다소 계절에 따른 변화를 나타냈지만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유기물 및 영양염류 농도에 해당하는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엽록소, 질소, 인의 경우 지점별로 매우 큰 폭의 변화를 보였으며 상류에서 다소 높고 하류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중금속 중 비소의 경우 2005년 6월 0.092 mg L-1를 제외하고는 0.05 mg L-1 이하를 나타내어 하천수 수질환경기준 상 사람의 건강 보호 측면에서 규정한 0.05 mg L-1 이하의 범위 내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북댐 상?하류에서 어류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7과 19종 10,263개체가 확인되었다. 조사된 어류 중 우점종은 하천중?상류에 주로 서식하는 참갈겨니(62.5%)로 확인되었으며 아우점종은 버들치(10.6%)로 나타났다. 조사 구간인 위천 상류에서 확인된 19종 중 한국고유종은 긴몰개, 동사리, 쉬리 등 총 9종(47.4%)으로 나타났으며, 멸종위기야 생동?식물 I급으로 지정된 얼룩새코미꾸리(Koreocobitis naktongensis)가 소수의 개체이지만 포획되었고, 외래도 입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 지수는 하류로 갈수록 감소한 반면에 다양도, 풍부도 지수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우점종인 참갈겨니의 개체군 분석 결과, 길이-무게 상관관계식은 TW=0.000003 (TL)3.2603로서 매개변수 b값이 3.0보다 크게 나타나 개체군의 영양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사시기에 다른 하천에서의 개체군들과 비교분석 결과 size별 평균 비대지수 (CF)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 화북댐 유역의 참갈 겨니가 다른 지역보다 성장률이 높았다. 화북댐 상?하류에서 어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건강성평가(IBI)를 적용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양호(26~35)에서 최적 (36~40)을 보였으며 지점 5에서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어류에 관한 환경영향평가와 하천건강성평가 등을 통한 화북댐 완공 후 상?하류 하천의 어류상 변화유무 및 환경영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Hwabuk Dam has been under construction to reduce flood damage in Nakdong River watershed and to supply stable water for middle area of Gyeongbuk Province. Therefore, fish investigation in up and downstream of the dam was conducted from 2004 to 2008 in order to determine any negative effect on fish community due to dam construction and to use as fundamental data for conserving species diversity and maintaining stream health. According to data analysis on water quality,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pH, suspended solids, and total E-coli had seasonal variation, but they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sites. However, biological and chemical oxygen demand, chlorophyll-a, nitrogen, and phosphorus representing organic matter and nutrient concentration were higher in upper site and decreased to lower site so that they differed by site. Concentration of arsenic among the heavy metals was less than 0.05mg L-1, which is regulated for protection of human health in water quality standard, except for 0.092 mg L-1 in June 2005. During the study period, the total number of fish caught from the 6 sites was 10,263 representing 7 families 19 species. Among them,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Korean chub (Zacco koreanus, 62.5%) and Chinese minnow (Rhynchocypris oxycephalus, 10.6%) which inhabit mostly in mid and upper streams, Korea. Among the 19 species, Korean endemic species were 9 species (47.4%) including Korean slender gudgeon (Squalidus gracilis majimae), Korean dark sleeper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Korean shiner (Coreoleuciscus splendidus). There was several individuals of the 1st-class endangered species, Naktong nose loach (Koreocobitis naktongensis), caught in 2005~2007, and no introduced species of fish was found in entire sampling period. According to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dominance index decreased toward lower site, but diversity and richness indices increased toward lower site. The equation of length-weight relationship on the dominant species was TW=0.000003 (TL)3.2603. The parameter b in the equation was greater than 3.0 indicating good nutritional condition in the populations. Compared to populations of Korean chub in other streams, the population in Hwabuk Dam watershed had higher mean of condition factor by size indicating better growth rate. With fish fauna and multi-metric health assessment model in each sampling attempt, index of biotic integrity (IBI) was evaluated and it resulted mostly in good (26~35) and excellent (36~40) condition in all sites, and the mean of IBI was the highest in site 5.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not onl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ith fish composition but also stream health assessment in order to conserve healthy aquatic ecosystem.

      • KCI등재

        진해만 대형 저서동물군집 분석을 통한 저서환경 평가

        임경훈,신현출,윤성명,고철환,Lim, Kyeong-Hun,Shin, Hyun-Chool,Yoon, Seong-Myeong,Koh, Chul-Hwan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1

        본 연구는 1998년 5월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분석을 통하여 진해만 저서환경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진해만 내에 모두 67개 정점을 선정하여 퇴적물 입도 조성과 저서동물상을 조사하였다. 주요 표층 퇴적상은 silty clay, clay로 지역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전체 저서동물의 평균 서식밀도는 984개체/$m^2$이었고, 총 255종이 채집되었다. 가장 우점하는 동물군은 다모류로 총 90종이 채집되었고, 평균 773개체/$m^2$의 서식밀도를 보였다. 대체적으로 진해만의 서쪽 해역은 저서동물상이 빈약한 반면, 만 입구와 가덕도 사이의 수로역은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내었다. 우점종은 다모류, Lumbrineris longifolia(16.9%), Tharyx sp.(6.7%), Chone teres(4.7%), Glycinde sp.(4.2%), 이매패류 Theora fragilis(4.0%), 갑각류 Corophium sp.(4.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은 동쪽 입구 수로역에서 집중적으로 출현하였다. 종 조성과 출현개체수에 근거한 집괴분석의 결과 진해만은 모두 3개의 정점군, 즉 마산만 입구역과 진해만의 서쪽 해역(정점군 A), 만의 중앙해역(정점군 B), 가덕도와 거제도 사이의 외해역(정점군 C)으로 구분되었다. 3개 정점군 중 진해만의 서쪽해역을 포함하는 정점군 A의 저서동물 출현종수 및 평균서식밀도가 가장 낮았고, 만 중앙해역인 정점군 B가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다. 섭식유형군별 출현비율에 의한 BPI값과 유기물 집적에 대한 내성/민감도에 근거하여 구분한 생태그룹별 출현비율에 의한 BC값은 서로 유사한 경향이었다. 두 지수 모두 내만역에서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고, 비교적 유속이 빠른 동쪽 입구 수로역과 외해역에서 낮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진해만의 저서동물 서식밀도는 과거에 비해 큰 변화가 없거나 소폭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진해만에서 출현한 상위 우점종의 종조성은 과거에 비해 큰 변화는 없었으나 오염지시종이나 기회종의 출현비율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BC값에 근거하여 진해만을 오염 구배에 따라 구분해 본 결과, 유속이 빠르거나 외해의 영향을 받는 일부 해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해역이 모두 중간정도의 오염 지역(meanly polluted site)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특히 일부 내만역의 오염도는 심각한 수준(heavily polluted site) 이었다.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ollution us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community and environment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Jinhae Bay, May of 1998. In Jinhae Bay, benthic macrofaunal community was investigated on the base of the samples from 67 stations. The main facies of the surface sediment was silty clay and clay. The total species number and the mean density of macrobenthic animals were 255 species and 984 $ind./m^2$, respectively. There were 90 species and 773 $ind./m^2$ of polychaetes as the most major faunal group in Jinhae Bay. At the region between the eastern mouth of Jinhae Bay and Gadeok Is., the species number and density were higher, while lower at the western area of Jinhae Bay. The most dominant benthic macrofauna in Jinhae Bay was the polychaetes, Lumbrineris longifolia(16.9%), and followed by polychaetes Tharyx sp.(6.7%), Clone teres(4.7%), Glycinde sp.(4.2%), bivalves Theora fragilis(4.0%), crustaceans Corophium sp.(4.0%) and so on. The most of the predominant species appeared mainly on the region between the eastern mouth of Jinhae Bay and Gadeok Is.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macrobenthic faunal composition showed that Jinhae Bay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tion groups: The western Jinhae Bay(Station group A), the mouth of Jinhae Bay(Station groupe B), and offshore area between Gadeok Is. and Geoje Is.(Station group C). The mouth of Jinhae Bay had the highest mean species number and the mean density, and its important species was Lumbrineris longifolia. The offshore area between Gadeok Is. and Geoje Is. had medium mean species number and the mean density. The western Jinhae Bay had the lowest mean species number and the mean density. The distribution of BPI and BC values, used to assess benthic pollution, showed similar pattern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proposed by Borja et al.(2000), the stations of the western inner-bay were heavily polluted sites, the stations between mouth of the bay and the offshore area were slightly polluted sites, and the stations of the other area were meanly polluted sites. Benthic community healthiness of the western Jinhae Bay was classified to 'Transitional to pollution' by BC values. The degree of pollution in Jinhae Bay may have extended gradually from the western Jinhae Bay to the mouth of the bay.

      • KCI등재

        동물의 자유와 평등- ‘정도의 차이’를 중심으로 -

        안건훈 한국환경철학회 2022 환경철학 Vol.- No.33

        This paper concerns the implications of the idea that desirable morality ought to include the relationship of humans to animals. Animals in biotic community ought to have their rights for the freedom and equality related to the holistic views. It is also desirable for us to consider about the compatibilistic views in the unitarianism/hierachism controversy. The difference of humans and animals is not type, but just degree. Pains or sufferings are the typical issues of animal righ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reduce them that animals face their daily lives. Hence, to reduce is to enhance the animal rights such as freedom, equality, etc. 우리가 앞으로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윤리는 동물에 대한 사람의 도덕성도 함축한다. 사람들이 민주사회에서 자유와 평등을 누리듯이, 생태민주주의에서는 동물의 자유와 평등에 관한 담론이 필요하다. 동물의 자유나 평등은 탈인간중심환경윤리에서는 전체론적인 견해에, 단일주의나 계층주의와 관련된 논의에서는 실천적 현실주의를 받아들이면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생명공동체에서 그 구성원들이 누리는 자유와 평등은‘이다’와‘아니다’에 기초한‘유형의 차이’가 아니라,‘더하다’와‘덜 하다’라는 ‘정도의 차이’에 기초한다. 동물의 권리를 위해서는 고통(좁게는 통증)이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고통의 감소는 동물이 지니는 내재적 가치, 자유나 평등에 기초한 동물의 권리를 고양시키는 일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낙동강 상류 폐탄광의 산성광산배수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배연재 ( Yeon Jae Bae ) 한국하천호수학회 2012 생태와 환경 Vol.45 No.1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cid mine drainage (AMD) from abandoned coal mine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upp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from May to October in 2009.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ampling (Surber sampler: 50×50 cm; mesh size, 0.2 mm) was conducted at 7 study sites and 3 control sites in the study area. We thus sampled 117 species belonging to 53 families, 15 orders, 6 classes, and 5 phyla; the Ephemeroptera, Plecoptera, and Trichoptera group (EPTgroup) represented the majority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71 species; 64.5%). In the quantitative sampling, a total of 11,575 individuals belonging to 58 species of benthic maroinvertebrates were sampled from the study sites (Sites 1--7), whereas 2,844 individuals belonging to 79 species were sampled from the control sites (Sites A--C). Tolerant species such as oligochaetes, Epeorus pellucidus, Baetis fuscatus, Hydropsychidae species, and Chironomidae species were predominant in the study sites. The community indices for the study sites, such as MacNaughton`s dominance index (DI) (mean±SD, 0.52±0.21; range, 0.33--0.85) and the Shannon diversity index (H′) (2.06±0.60; 1.06--2.57), were different from those for the control sites (DI: 0.29±0.07, 0.22--0.35; H′: 3.13±0.14; 3.03--3.30). In the study sites, shredders and scrapers were scarce, whereas gathering-collectors (mainly Chironomidae species) were relatively abundant, as were clingers and burrowers. The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and similarity analyses showed that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study sites were clearly separated from those of the control sites, with the greatest dissimilarity being noted at the uppermost study site (Site 1), which is located close to an abandoned coal mine. The Korean saprobic index (KSI) and the ecological score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ESB) showed that the uppermost study site (Site 1) was α-mesosaprobic or heavily polluted, whereas other study sites were in a fair or relatively good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