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식민주의인가, 후기식민주의인가: 김남주, 그리고 한국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연구 20년에 대한 단상

        황호덕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51 No.-

        The research filed of postcolonialism in Korea spans about twenty years when considering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the related concepts and books. Limiting the history of postcolonialism within the studie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period encompasses about fifteen years. This paper focuses on the various practices of translation related to postcolonialism over the past two decades and the achievements of scholarly research. Studies on postcolonialism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re related to the translation of poststructuralism, the representation of subaltern in the Third World, and psychoanalysis on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In contrast, the practices of postcolonialism in Korea was adopted as one of several methodologies that criticize modernity, nationalism, and the rules of nation-state, and that finally have overcomethe centro-homogenous writing and cognition on Korean history. In the conceptual mapping, postcolonialism has been translated into post/colonialism(Tʻalsingminjuŭi), postcolonialism(P'osŭt'ŭk'olloniŏllijŭm or Pʻosŭtʻŭkujojuŭi), or post-colonialism(Hugishingminjuŭi)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resistance, ambivalence, and continuity. Post/colonialism by emphasizing the process of decolonization is the translation that precisely includes the aim of overcoming(Tʻal) modernity, such as nation-states or colonialism. The translation of postcolonialism conveys ambivalence that includes historical practices and perspectives on the one hand, and the actual lives and complicated practices of the colonized country on the other. Postcolonialism was chosen as a neutral term in order to combine the poststructuralism theory with the radical ideas of tri-continental’s resistance and the subaltern studies. Lastly, Post-colonialism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rder, experience and cultural mores of the colonized continues to be linked to the liberated country’s system and consciousness and culture. However, such practices of translation and writing could not overcome a kind of ‘memory regime’ that is strongly embedded in each East Asian states. As a result, the translingual, transnational and translational practices were conducted as either trans-macroscopic or trans-microscopic discourse, such as systematic analysis of the order of imperial history or the psychoanalysis of colonialism in Korea. In addition to the current flow of global modernity, the national memory regime belonging to mass-cultural representation tends to privatize or appropriate academic achievements likes the discovery of (post)colonial ambivalence. In this context, postcolonial studies are in a difficult position because scholars decipher their mission to re-articulate the criteria of the social sphere while carrying out their practical performance as critic, translators, and fighters. Hence, this paper describes the difficulties that postcolonial studies face, focusing on a new analysis called for in the study of Kim Nam-ju and post-Kim Nam-ju. 한국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연구는 해당 개념의 번역 및 관련 서적의 번역사로 보자면 약 20년, 한국근대문학연구사에 국한해 보자면 약 15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지난 20년 간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의 번역과 학문적 성과를 ‘postcolonialism’ 개념의 번역적 산종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우선 이론 및 문제의식의 상속 관계와 관련해 유로 아메라칸적 맥락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이 포스트구조주의의 번역과 제3세계 서벌턴의 재현 및 (후기) 식민지 지성 정신 분석과 연동되어 있음에 비해, 한국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은 근대성 비판, 민족주의 및 국민국가 비판의 과정에서 일국문화사를 극복하는 방법론으로 채용되었음을 논하였다. 한국의 포스트콜로닌얼리즘은 각각 저항, 양가성, 지속이라는 세 맥락에서 각각 탈식민주의, 포스트식민주의 또는 포스트콜로니얼리즘, 후기식민주의 등으로 번역되었다. 탈식민주의라는 번역적 실천은 주로 “근대 (국민국가/식민주의) 극복”을 목적으로 했기에 ‘탈식민화(decolonization)’라는 과제를 뚜렷이 발산했다. ‘포스트식민주의’ 혹은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은 경우에는 역사적 경험과 전망을 아우르는 말로 사용되는 한편, 식민지의 삶과 실천이 지닌 양가성을 강조했다. 포스트구조주의라는 이론을 트리컨티넨탈의 저항 ‘경험’과 서벌턴 연구라는 급진적 ‘시각’ 속에 종합하려 할 경우 이 중립적 용어가 선택되곤 했다. ‘후기식민주의’는 식민지 경험이 제도와 의식 차원에서 장기지속되었다는 가정 아래, ‘해방’ 후 문화의 식민지적 기원을 함축하려 했다. 그러나 이런 실천들은 강고하게 자리자은 기억 체제(memory regime)를 극복하지 못한 채, 서발턴의 상황에 대한 유물론적 접근이나 제국사라는 큰 질서에 대한 제도 분석, 혹은 식민지성의 정신분석과 같은 초거대, 초미시 담론에 귀착되곤 했다. 국가 단위의 기억 체제가 학문적 성과를 사취/전유하는 작금의 상황과 글로벌 모더니티 속에서 이제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연구는 비평가, 번역가, 투사라는 실천적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한편, 사회적 장소 ‘내부’에 그어진 분할선들을 다시 그려나가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필자는 이를 김남주와 포스트 김남주 다음에 놓인 새로운 요청으로 암시해 보았다.

      • KCI등재

        탈식민지론과 아시아 신학 - 피에리스와 호미 바바를 중심으로: 탈식민지론과 아시아 신학

        이찬석(Lee Chan-seo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8 신학사상 Vol.0 No.141

          아시아의 에토스를 가난과 종교성으로 규정하면서 전개되어지는 피에리스의 아시아 신학은 많은 아시아 신학자들에 의하여 탁월한 신학적 시도로 평가되어져 왔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은 탈식민 담론이 발전되어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고, 호미 바바의 탈식민지론은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이 지니고 있는 한계점을 명확히 지적하면서 탈식민지 이론의 발전을 가져왔다.   이 논문은 탈식민적 아시아 신학의 형성을 위하여 피에리스의 아시아 신학,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그리고 바바의 탈식민지론과의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다. 이차적인 목적은 탈식민시대 속에서 아시아의 정체성을 제시하고, 아시아 신학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피에리스의 아시아 신학을 그가 주장하는 아시아의 에토스(ethos)와 이중세례(double baptism)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사이드의 오리 엔탈리즘을 고찰한 후에 피에리스와 사이드의 대화를 시도할 것이다. 다음에는 앙카성과 흔종성을 중심으로 바바의 달식민지론을 살펴본 후에 바바와 피에리스의 아시아 신학의 대화를 통하여 탈식민적 아시아 신학을 위한 아시아의 정체성을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이 논문은 탈식민적 아시아 신학은 아시아와 서구 기독교와의 관계를 일방적이 아닌 상호관계적으로 이해해야 하고, 아시아의 정체성을 가난과 종교성과 같이 다른 대륙파의 차별화를 통한 개념이 아니라 흔종적인 개념에 기반되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Most of Asian theologians think that Aloysius Pieris" Asian theology, which defines Asian ethos as "poverty" and "religiosity" is an excellent theological attempt. Edward Said"s Oriental ism contributes to develop Postcolonial discourse. Homi Bahbha"s postcolonialism clearly reveals the limit of Said"s Orientalism and provides an advanced postcolonialism.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ttempt the conversation among Pieris" Asian theology, Said"s Orientalism, and Bhabha"s postcolonialism. The second purpose is to show Asian identity in the postcolonial era.   Firstly, I will engage on the Asian Theology of Aloysius Pieris focusing on his notion of Asian ethos and double baptism, and Said"s Orientalism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ifest orientalism and latent orientalism. And then, I will compare Pieris" Asian Theology to Said"s Orientalism. After I will examine Bhabha"s postcolonialism focusing on his notion of ambivalence and hybridity, I will suggest that Asian identity for Postcolonial Asian Theology through "criticizing Pieris" Asian Theology from Bhabha"s perspective. As a result, I will suggest that Postcolonial Asian Theology shoul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estern Christianity and Asia not as one-side aspect but as mutual aspect. furthermore, I will insist that it is more reasonable to define Asian ethos as hybridity rather than noverty and reliaiesity like Pieris.

      • KCI등재

        탈식민 담론과 한국 그리스도교 신학

        김항섭 ( Hang Seob Kim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3

        식민주의나 식민성의 문제는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여전히 진행 중인 우리사회의 현실임을 고려할 때, 탈식민적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글에서는 탈식민 담론을 살펴보고, 이 담론을 그리스도교 신학이 어떻게 수용, 대응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탈식민 담론하면 흔히 후기식민주의(포스트콜로니얼리즘)을 이야기하는데, 그 외에도 라틴아메리카를 기반으로 한 탈식민주의(디콜로니얼리즘)이 있고, 또한 그 이전에 식민지 과정에서 형성된 탈식민 비평도 있다. 따라서 탈식민 담론을 개별 담론의 공과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민족과 인간의 해방이라는 궁극적인 탈식민적 지향 아래 평가, 보완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그리스도교 신학은 대부분 후기식민주의에 초점을맞춰, 이 담론을 수용해 한국 사회나 교회를 진단하거나, 이 담론 자체를 비판적으로 수용, 보완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한국의 특수한 현실을 고려함이 없이 또 다른 수입 이론에 그칠 가능성이 있고, 후자의 경우 비판적으로 수용하나 후기식민주의의 근본적인 한계를 주목하거나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앞서 말한 탈식민적 지향이라는 관점 아래, 한편으로 기존의 탈식민 담론을 수정, 보완하고, 다른 한편으로 한국적 현실을 충분히 고려하는 탈식민적 비판이 요청된다.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postcolonial issues, because the colonialism or coloniality is the question not only in the past but also in the progress of our history and society. In this article, we are going to overview the various postcolonial discourses and then analyze how the Korean theologians accept and react to these discourses in doing theology. We can observe three types of postcolonial discourse, the postcolonialism: evolved by some scholars from the ex-colonies of England in 1980s; the decolonialism: presented by Latin American scholars in 1990s; and the postcolonial critics: concurrent with the struggle process for national liberation in many colonies. These critics had considerable effects on both anterior discourses. In this paper, we are not going to review these discourses separately and examine the merits or demerits of each discourse, but our concern is to consider the perspective of the ultimate aim of postcolonial discourses, that is, the liberation of the nation and the humanities. The Korean protestant theologians started to introduce the postcolonialism from the mid-1990s, but there was no introduction or discussion about the decolonialism until now. These theologians generally diagnose the Korean society and the church, utilizing the postcolonial analyses, or accept them critically, sometimes trying to complement them. But in the former case, the theological analyses can commit an error of introducing simply another import theory without relevant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peculiar to Korea. While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case, their critics aren’t incompetents in realizing or overcoming the fundamental limits of postcolonialism.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Korean theologians need to make the postcolonial discussion abundant in introducing the decolonialism and restoring the postcolonial critics emerged in the Korean history, and as well as to correct and complement the various postcolonial discourses in perspective of its ultimate purpose, considering the Korean peculiar reality.

      • KCI등재

        추천석사논문 : 누구를 위한 탈식민인가 -해방기 채만식 소설의 탈신민성 연구

        송상덕 ( Sang Deok So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0 No.-

        이 글은 1945년 해방 이후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탈식민성(postcoloniality)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탈식민성이 이 시기의 채만식 소설에서 중요한 까닭은 채만식이 일제 말기에 스스로가 범한 대일협력이라는 과오를 반성하며 해방의 공간에서 민중 중심적인탈식민의 가능성을 탐색했기 때문이다. 본고는 해방기(1945~1950) 채만식 소설 전반에 나타나는 탈식민성을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각각의 유형에 따른 탈식민적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탈식민주의 이론가이며 실천가인 프란츠 파농(Frantz Fanon)의 사상을 따르는 파농주의(Fanonism)의 시각에서채만식 소설을 분석할 것이다. 첫째로, 해방 후 지속되는 식민주의 이데올로기를 풍자하고 비판하는 소설들에서 탈식민성이 드러난다. 채만식의 해방 직후의 작품들은 식민주의 이데올로기가 제도로서 어떻게 지속되었으며, 신식민주의 기회주의자가 어떻게 탄생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먼저 「맹순사」, 「미스터방」, 「논 이야기」 등은 식민주의 이데올로기가 지속되었다는 점을 기회주의적 인물을 통해 보여준다. 다음으로 「역로」, 「도야지」는 작가의 현실 인식이 식민주의 이데올로기를 풍자하고 비판하는 것에서 자기 비판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암시하고 있다. 둘째로, 민족역사와 민족문화에 대한 재인식하는 작품들에서 탈식민성이 드러난다. 장편역사소설 『옥랑사』는 주인공의 일대기와 역사의 연대기적 서술과 번갈아 나타나는데, 이는개인의 비극을 식민 침략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을 통해 이해한 것이다. 다음으로 『여자의일생』, 「역사」연작은 개화기를 조선 민중이라는 서발턴의 시각에서 재인식하고 있다. 또한조선 고전 패러디 소설 「허생전」 및 희곡 「심 봉사」는 작가의 민족문화에 대한 인식이 민중중심적이면서, 또한 근대적 욕망에 대한 비판적 거리가 나타나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다. 셋째로, 자기 비판 소설과 귀환 소설에 탈식민성이 나타난다. 「낙조」와 「민족의 죄인」은 대일협력에 대한 반성 과정 속에서 과잉결정된 조선 민족성을 수용함으로써 탈식민의 출발점을 후속세대로 상정하고 있다. 또한 「소년은 자란다」는 해방기 귀환 서사의 맥락에서 탈민족주의적 인식과 태도를 보여준다. 특히 「소년은 자란다」는 탈민족주의적 인식이 민족주의적 인식과 서로 충돌하면서 모든 타자의 인정을 추구하는 뉴휴머니즘 지향이 나타난다. 따라서 채만식은 자주적인 탈식민의 가능성을 탐색했던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해방기 채만식의 전 작품은 다른 어느 시기보다도 다양한 실험적 시도를 통해 탈식민성을 추구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에서 시도된 문학사회학적 연구에 해방기 채만식의문학의 탈식민성을 추가함으로써 채만식 문학의 지평을 조금이나마 더 넓힐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postcoloniality in Chae Man-sik`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1945~1950). The postcolonia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his novels because he searchs for possibility of postcoloniality in subaltern`s vision through self-criticsim. The postcoloniality in his novel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nd then I investigate the aspects of postcolonial vision in each type of his novels. Especially, this study accepts ideas of Frantz Fanon who as known as postcolonial thinker and revolutionist and then applies visions of Fanonism to analysis Chae Man-sik`s novels. Firstly, the postcoloniality emerges to satirize lasting colonialism. I aim to investigate how colonialism lasts and how neo-colonial opportunists were born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The Policeman Mr. Maeng, The Mr. Bang, The Story about rice-field imply that colonialism lasts in this period, and also satirize the neo-colonial opportunists. And then The Road of history, The Doyazi, show that satire techniques reach the limit. Secondly, the postcoloniality emerges to recognize korean national history and national culture. I focused on his history novels and parody of Korean classics novels in liberation period. Ok-rangsa which means ancestral shrine to admire Ok-rang is story about tragic love in the korean enlighened period. I aims to investigate meaning of descriptive dualistic structure which Ok-rangsa was composed of that. And then I could prove that this structure is related to his history vision. The Life of the woman, history novel series is related to reconstruct of korean enlighened history from subaltern`s vision. At last, The Story of Heo Saeng, The Blind Shim, which are parody of Korean classics novels, is realted to his vision about national culture. This visions is accepted from subaltern`s vision and criticism about modern desire. Thirdly, the postcoloniality emerges to self-criticism and Repatriation novels. The Sunset shows objective self-criticism. and also The Sinner of Nation accomdates overdeterminated Korean nationality in self-criticizing about obedience to Janpanese Empire. And also postcolonial praxis is achieved from future generation. The Boy is growing up has a postnational vision. Especially, The Boy is growing up aims to New-humanism through conflicting between postnational vision and national vision. Therefore, Chae Man-sik appears to search for possibility of indipendent postcoloniality. In conclusion, All about Chae Man-sik`s novels in this period pursue to postcoloniality through various attempts. Threfore It shows postcoloniality to Chae Man-sik`s novels during the libertation period.

      • KCI등재후보

        탈식민주의적 글쓰기- 토니 모리슨의『 타르 베이비』를 중심으로

        조은비(Jo, Eunbi) 한국문화융합학회 2015 문화와 융합 Vol.37 No.1

        본 논문에서는 탈식민주의에 대해서 논하고, 토니 모리슨(Toni Morrison)의 소설 『타르 베이비』(Tar Baby)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관점을 분석하고 탈식민주의 글쓰기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탈식민주의는 1980년대부터 논의되어왔으나 아직 “Postcolonialism”이라는 단어에 대한 개념정리도 확실히 정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탈식민은 서구담론에 의해 생긴 이데올로기와 권력에 의해 연구되고 있으므로 비서구 국가에서도 탈식민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사회적인 현상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문학작품을 탈식민주의적 시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영문학 작품을 통해 이를 논의하고자 한다. 토니 모리슨은 『타르 베이비』는 과거에 영국의 식민지였음에도 불구하고 독립 후 아프리카인들을 식민노예로 삼은 미국의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모리슨은 식민 현장인 카리브를 작품의 배경으로 삼았고, 서구제국주의의 식민 자본주의적 폭력을 고발하고 흑인신화를 인간을 통해 복원하려 하고 있다. 주인공 son과 Jadine, 섬을 식민화시킨 Valerian의 행동을 통해 서구 사회의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미국 자본주의를 앞세운 신식민주의의 폭력을 노예의 억압받고 훼손된 삶을 살펴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리슨의 작품을 탈식민주의적 관점으로 분석하고, 그녀가 저항적 글쓰기를 통해 미국의 흑인이 겪는 현실적인 상황과 작중 인물들이 식민주의를 거부하는 과정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aimed at discussing Postcolonialism, analyzing the postcolonial perspective shown in Toni Morrison s novel 『Tar Baby』, and discussing postcolonial writing. Postcolonialism has been discussed since the 1980s, but actually, even the concept arrangement of the word Postcolonialism has not been established as yet. Postcolonialism is being discussed through the ideology and power which arose from the Western discourse, so it s more required that even the non-Western countries should do research on Postcolonialism. Not to mention a social phenomenon, it s also important to do analysis of and research on literary works, with which people easily come in contact through postcolonial perspective; thus, this paper is intending to discuss it through English literature works. Toni Morrison s 『Tar Baby』 is the novel which plainly shows the situation in America which made Africans slaves after their independence although America was also British colony in the past. In this novel, Morrison used the colonial site-the Caribbean as the background of the work, denounced the colonial capitalism violence of the western imperialism and tried to restore the colored people s myth through humans. It s possible to look into the Western society s imperialism and colonialism, and neocolonial violence under the pretext of American capitalism, as well as slaves suppressed, damaged life through the main characters-Son and Jadine, and the act of Valerian who colonized the island. This paper is intending to analyze Morrison s novel from the postcolonial perspective, and to look into how the author expresses realistic circumstances suffered by colored people in America,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characters in the story reject colonialism through her resistant writing.

      • KCI등재

        탈식민주의 이론으로 바라보는 기독교 세례 예식

        안덕원(Deok-Weon Ahn)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79 No.-

        This research focuses on Christian init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The first part articulates the history of postcolonial interpretation and its contributions. It was raised in the area of literary criticism by renowned scholars such as Edward Said and Homi Bhabha. It asks who has the power to interpret text and/or tell stories to others. According to postcolonial theologians, contexts and traditions should be the texts of hermeneutics and theological reflection. Through “imaginative dialogue” and “liberating interdependence” one can effectively examine th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vironment that gave shape to the liturgy and life of Christians. In this respect, in the second chapter, the writer of this article deals with not only the text, but also the context of the text of Christian Initiation. Christian baptism is a form of resistance and it is expressed as apophasis in the midst of oppression and injustice. Paul dreamed of, and indirectly proclaimed, a new world of peace and justice through the Christian Initiation. Thirdly, Christian Baptism is a process of seeking hybridity and in-betweenness, appropriating such terms from Postcolonial studies. Paul speaks the truth to both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In the “the Third Place,”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encounter, and all conflicts are resolved. The Christian initiation creates this new life where equality is accomplished between the Jew and the Greek, men and women, and the free and slaves. It is a life with an unrealistic but necessary vision which is possible by “one Spirit” through Christian initiation. According to the insights from Post-colonialism, all the baptized drink one Spirit with a new and the “third” identity in the Third Space. The writer hopes that this research would provide a positive challenge to both traditional liturgical understanding and romantic idealism on baptism through postcolonial analysis. Christian initiation is not just a ritual of a community, but a sacrament which advocates radical resolution toward a new life in any context of injustice and inequality. This research focuses on Christian init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The first part articulates the history of postcolonial interpretation and its contributions. It was raised in the area of literary criticism by renowned scholars such as Edward Said and Homi Bhabha. It asks who has the power to interpret text and/or tell stories to others. According to postcolonial theologians, contexts and traditions should be the texts of hermeneutics and theological reflection. Through “imaginative dialogue” and “liberating interdependence” one can effectively examine th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vironment that gave shape to the liturgy and life of Christians. In this respect, in the second chapter, the writer of this article deals with not only the text, but also the context of the text of Christian Initiation. Christian baptism is a form of resistance and it is expressed as apophasis in the midst of oppression and injustice. Paul dreamed of, and indirectly proclaimed, a new world of peace and justice through the Christian Initiation. Thirdly, Christian Baptism is a process of seeking hybridity and in-betweenness, appropriating such terms from Postcolonial studies. Paul speaks the truth to both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In the “the Third Place,”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encounter, and all conflicts are resolved. The Christian initiation creates this new life where equality is accomplished between the Jew and the Greek, men and women, and the free and slaves. It is a life with an unrealistic but necessary vision which is possible by “one Spirit” through Christian initiation. According to the insights from Post-colonialism, all the baptized drink one Spirit with a new and the “third” identity in the Third Space. The writer hopes that this research would provide a positive challenge to both traditional liturgical understanding and romantic idealism on baptism through postcolonial analysis. Christian initiation is not just a ritual of a community, but a sacrament which advocates radical resolution toward a new life in any context of injustice and inequality.

      • KCI등재

        로버트 J.C. 영의 트리컨티넨탈리즘과 포스트식민의 급진화

        김용규(Yong-gyu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10 비평과이론 Vol.15 No.2

        This paper is a critical review article of Robert J.C. Young's representative two books, White Mythologies and Postcolonialism: A Historical Introduction, and tries to examine his theoretical endeavors to construct a new version of postcolonialism. It focuses on Young's theoretical development from the critique of the eurocentrism of radical theories like Marxism to the construction of postcolonialism a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movement of tricontinental countries. For Young, this development means a succession of engagements with various theories including the Western Marxism and the existing postcolonial theories like Said, Bhabha, and Spivak. He harshly criticizes the white mythologies of the Western Marxism which has disregarded the radical traditions of the non-western regions and imposed its own pseudo-universality on them, while on the other hand he tries to make his own version of postcolonialism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ostcolonial theories, which are oriented just to the culturalist and discursive dimension of colonial domination at the expense of its politico-economical dimension. In order to do so, he practices the radicalization of the postcolonial. He develops his own strategy to open up the field of the postcolonial in order to accept the fruitful legacies of postcolonial theories in tricontinental countries and at the same time set up the perspective of the subaltern subjects as a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strict measure.

      • KCI등재

        탈식민주의 이론으로 바라보는 기독교 세례예식: 저항과 어파퍼시스(Apophasis) 그리고 제 3의 공간을 중심으로

        Ahn Deok Weon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79 No.-

        본 논고는 탈식민주의 이론을 사용하여 기독교 세례에 대한 이전의 평면적인 접근을 넘어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는 목적을 가진다. 즉 성서가 쓰인 상황에서 발견되는 억압과 고통 등 사회정치적 상황을 감안하여 포괄적이며 정확한 이해를 도모한다. 1장에서는 탈식민주의적 성서읽기를 위해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id)와 호미 바바(Homi Bhabha) 등의 이론과 곽 퓨란(Kwok Pui‐lan)은 “상상을 통한 대화”(imaginative dialogue)과 메사 두베(Mesa W. Dube)의 “해방의 독립성“ (Liberating Interdependence)등을 사용할 것이다. 2장에서는 1장에서 제기한 기존의 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갈라디아서 3장 26-28절, 그리고 고린도 전서 12장 13절에 언급된 세례의 특성을 저항과 어파퍼시스 이론의 시각에서 분석할 것이다. 당시 교회는 세상의 힘과 권력, 그레코-로만(Greco- Roman)의 세계질서 속에서 생존과 정체성의 확립이라는 숙제를 풀어가고 있었다. 바울은 이러한 사회, 정치, 문화적 상황 속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선포하고자 했고 그 과정과 결과가 바로 세례라는 것이다. 바바의 이론을 빌리면, 바울은 세례에 대한 반어법적인 피력을 통해 로마황제의 야망과 계획을 극복하려했을 것이다. 세례는 기존의 강제된 통일을 해체하고 그리스도안에서 궁극적인 하나됨을 시도하는 은혜와 자유의 사건임을 탈식민주의 이론에서, 구제척으로는 저항과 어파퍼시스를 통해 얻어내는 것이다. 3장에서는 호미 바바(Homi Bhabha)가 주장하는 제 3의 공간의 개념으로 기독교의 세례를 정의할 것이다. 제 3의 공간은 권력과 힘의 거래와 합의가 이루어지는 자리, 이항대립성이 해소되는 장소이다. 세례를 받았다고 하여 유대인과 헬라인이, 남자와 여자가, 자유인와 노예가 그 계급적 정체성을 서로 바꾸지 못한다. 그 고유의 정체성의 바탕 위에 새로운 정체성이 생기는 것이 바로 세례이다. 위와 같이 탈식민지적 관점에서의 세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세례의 의미에 대한 고찰과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 글을 마무리 하게 될 것이다. This research focuses on Christian init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The first part articulates the history of postcolonial interpretation and its contributions. It was raised in the area of literary criticism by renowned scholars such as Edward Said and Homi Bhabha. It asks who has the power to interpret text and/or tell stories to others. According to postcolonial theologians, contexts and traditions should be the texts of hermeneutics and theological reflection. Through "imaginative dialogue" and "liberating interdependence" one can effectively examine th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vironment that gave shape to the liturgy and life of Christians. In this respect, in the second chapter, the writer of this article deals with not only the text, but also the context of the text of Christian Initiation. Christian baptism is a form of resistance and it is expressed as apophasis in the midst of oppression and injustice. Paul dreamed of, and indirectly proclaimed, a new world of peace and justice through the Christian Initiation. Thirdly, Christian Baptism is a process of seeking hybridity and in-betweenness, appropriating such terms from Postcolonial studies. Paul speaks the truth to both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In the "the Third Place,"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encounter, and all conflicts are resolved. The Christian initiation creates this new life where equality is accomplished between the Jew and the Greek, men and women, and the free and slaves. It is a life with an unrealistic but necessary vision which is possible by "one Spirit" through Christian initiation. According to the insights from Post-colonialism, all the baptized drink one Spirit with a new and the "third" identity in the Third Space. The writer hopes that this research would provide a positive challenge to both traditional liturgical understanding and romantic idealism on baptism through postcolonial analysis. Christian initiation is not just a ritual of a community, but a sacrament which advocates radical resolution toward a new life in any context of injustice and inequality.

      • KCI등재

        학교의 국제이해 교육과정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비평

        주재홍 ( Jae Hong Joo ),김영천 ( Young Chu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탈식민주의 이론의 관점에서 국제 이해 교육의 논의를 확장하고 재개념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들은 무엇들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무엇보다 국제이해교육의 핵심적 영역으로 제시되고 있는 ‘문화간 이해’를 위한 새로운 출발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학교에서 가르쳐지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비평적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실제 수업과 교육과정의 다양한 실행 장면에서 서구와 비서구의 이미지가 교사와 학생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합의되는지를 분석해야 한다. 셋째, 탈식민주의 담론은 탈식민 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는 국제이해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탈식민 의식 고양을 위한 수업방법과 수업의 실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탈식민주의가 우리나라의 국제이해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Postcolonialism which problematizes and reconceptualizes the political, cultural, and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East and West challenges the traditional approach on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t asks the educational researchers and curriculum scholars to expand and critically examine the traditional approach to emphasize the advanced understanding for other nations without critical perspectives and epistemologies such as oppression, ideologies, discriminations, and hegemonies among other underrepresented territori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s to problematize limitations of Korean previous discourse related to EIU, and to open the academic space to expand the present discourse with concepts and ideas related postcolonialism. For this purpose, first, the definition of postcolonialism and its recontextualization in Korean curriculum studies were discussed as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four research themes were discussed as critical reviews which we believe help educational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o open the potential research opportunities They we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postcolonial curriculum; (2) Instructional strategies to enhance the critical awareness for postcolonial consciousness; (3) Uses of postcolonial literature; and (4) Critical analysis of school textbooks. Based on four themes, furth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탈’식민 해방 투쟁과 제국의 문화 정치 -주변부 식민지의 ‘식민지성’과 혁명의 ‘유산’을 딛고

        공임순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4 No.-

        이 논문은 탈식민주의가 한국 인문학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쳤다고 보고, 탈식민주의가 일상의 식민주의를 날카롭게 파헤치는데 일익을 담당했음을 전제로 탈식민주의의 기본적 문제의식을 새롭게 조명하고 환기하고자 했다. 탈식민주의는 식민주의의 전세계적이고 근원적인 영향력을 정치·경제뿐 아니라 문화와 관련해 식민주의의 지구화와 지역화의 변증법적 역학인 ‘자기의 이국화(self-exoticization)’와 ‘자기의 오리엔탈화(self-orientalization)’를 비판적으로 규명하고 탐구해왔다. 이 과정에서 제국과 식민지간의 비대칭적이고 불평등한 관계가 문제시됨은 물론 제국과 식민지간의 차이와 동일성에 대한 보다 복잡하고 다면적인 독해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한국의 인문학 연구는 때로 탈식민주의를 내셔널리즘에 대한 비판과 직결시켜 식민주의의 일차 과제였던 제국의 ‘제국성’에 대한 첨예한 문제의식은 사장해버린 채 주변부 식민지인이 얼마나 ‘식민지적’인가를 매번 재확인하는 자기 고백과 폭로로 일관하는 감이 없지 않다. 이는 현재 식민지 말기에 대한 과잉열기의 연구붐으로도 충분히 입증되는데, 이러한 탈식민주의의 부분적 전용과 탈취는 탈식민주의의 급진적 문제의식을 오히려 희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법적 독해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법적 독해는 식민주의의 전지구적이고 근원적인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제국과 식민지간에 동시 병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식민주의의 파괴적 영향력을 비교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탈식민주의의 이론적 방법론이자 실천적 인식론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법적 독해의 문제틀을 공유하며, 2장에서 식민지 출신 탈식민주의의 이론가이자 실천가였던 세제르와 파농 그리고 멤미를 중심으로 그들이 제기했던 식민화 시스템의 총체적인 감시체제와 인종주의의 전면적 도래 그리고 이 식민화 시스템의 파괴와 청산을 지향했던 반식민지 해방 투쟁의 ‘유산’과 의미를 재점검해보았다. 반식민지 해방과 저항 투쟁에서 식민지인들은 자기를 옭매던 식민주의의 흔적을 제거하고자 욕망하지만 그것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탈식민 해방 투쟁의 때늦은 도래를 목도하고 좌절한다. 그러나 바로 이 반(탈)식민 해방 투쟁의 때늦은 도래야말로 식민지인들의 해방을 위한 중요한 사회정치적 자산으로 기능 변환되는 문화의 세속화와 지역화(토착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도래시킨다. 에드워드 사이드는 이러한 반식민지 해방과 저항 투쟁의 혁명적 ‘유산’을 제국의 중심부로 옮겨놓는 대위법적 독해를 통해 제국의 ‘제국성’이 식민지를 은폐함으로써 기능했음을 폭로한다. 그는 제인 에어의 『맨스필드 파크』를 하나의 전범으로 삼아 제국의 문화가 제국의 정치경제적 식민주의를 성별화된 섹슈얼리티의 가정화 전략으로 매개하고 굴절시킴으로써 식민지가 제국 문화에서 어떻게 은폐/삭제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법적 독해는 탈식민주의의 기본적 문제의식이 제국의 ‘제국성’과 식민지의 상호 의존적이고 동시적인 연루와 착종을 규명하는 유효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새삼 일깨워준다. 이 논문은 2장과 3장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주변부 식민지였던 구식민지 해방국가들의 유사하지만 다른 반식민지 해방 투쟁의 역사를 탈식민주 ... Considering Postcolonialism a great effect in Korean humanities, this paper focuses on a basic critic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on the assumption that it has helped keenly understand for Colonialism of the daily life. Postcolonialism critically has analyzed and examined ‘self- exoticization’ and ‘self-orientalization’ as dialectic dynamics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n relation to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which have been a result of Colonialism. But the existing studies of Korean humanities have consisently pursued self-confession and disclosure reconfirmed how much the peripheral intelligent is colonialism rather than tried to make clear ‘Imperialism’ of Empire in global colonialism. This can be proved numerous studies about the end of colonial period, they sometimes have blurred out sharp awareness of Postcolonialism by partly appropriating and usurping Postcolonialism. Thus nowadays contrapuntal criticism of Edward Side needs to define newly. Contrapuntal criticism of Edward Side has an theoretical methodology and practical theory of knowledge approaching a destructive result of Colonialism in terms of comparative studyto examine global and basic influence of Colonialism which run parallel between Empire and Colony. While this paper shares the issue of contrapuntal criticism of Edward Side, it also reexamines not only a total surveillance regime of Colonialization system and a full-scale coming of racism proposing such as Cesaire Aime, Fanon Frantz, Memmi Albert previously said in this paper two chapter but also ‘heritage’ and meaning of anti-colonial liberation struggle intending for this destruction and clearing of Colonialization system. Colonial people wanted to eliminate the trace of Colonialism tied themselves, but because of not easy to it and too late coming of anti-colonial liberation struggle they felt frustration. However this belated coming of anti-colonial liberation struggle brought about new possibility of secularization and regionalism of culture translated as a important political-social property for liberation of Colonial people. Edward Side showed that ‘Imperialism’ of Empire has been at working by suppressing Colony through contrapuntal criticism which put this revolutionary ‘heritage’ of liberation and resistance struggle in metropolis of Empire. For example Jane Austen’s Mansfield Park, he argued, contributed to suppress and eliminate Colony in culture of Empire by mediating and displacing political-social Colonialism with domestic strategy of gendered sexuality. This contrapuntal criticism of Edward Side awakes us how basic critic view of Postcolonialism effectively define interdependent and coincident implication and connection between ‘Imperialism’ of Empire and ‘Colonialism’ of colony.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f two and three chapter, this paper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developing a concrete and open view about anti-colonial liberation struggle which can embrace threefold temporality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rising from ‘Colonialism’ of the peripheral colony and ‘heritage’ of revolution as an example Oh, Gi-Young’s earnest wish of nation(194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