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치슨의 도덕감과 도덕적 승인 -『아름다움 및 덕 관념의 기원에 대한 탐구』를 중심으로-

        안현석 범한철학회 2019 汎韓哲學 Vol.92 No.1

        The aim of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Hutcheson’s theory, with an emphasis on a moral sense in An Inquiry into the Original of Our Ideas of Beauty and Virtue.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controversy centered around the views of Hobbes, Shaftesbury, Manderville, and Hutcheson, it seems necessary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 moral sense. The sharp contrast between egoism and altruism is enhanced by Hutcheson. Taking into account the moral theory of Hutcheson in Inquiry, we can conclude that: First, Hutcheson accepted Locke’s epistemology and added the moral sense to a reflexive sense. It reveals that the morality has a strong association with the natural feeling of humans. Second, Hutcheson criticized egoism as he argued at length that moral approval is a disinterested response to the world. The major purposes of Inquiry are defense about Shaftesbury and criticism about Manderville. He emphasized frequently that we necessarily love and approve a virtuous person without any regard to our future interests. Third, Hutcheson tried to show that individual virtue greatly redounds to the public good by computing the morality of actions. In this regard, he had utilitarian aspects. But ‘the greatest happiness for the greatest numbers’ of him is not the end to be achieved but the instrument to demonstrate the maximum quantity of morality. 허치슨은 도덕감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샤프츠베리와 영국 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철학자 중 한 사람으로 간주되는 흄에 가려서 그 사상적 중요성이 간과되곤 한다. 하지만 샤프츠베리가 도덕감을 처음 사용했을지라도 그 사용이 임의적이었던 것에 반해, 허치슨은 도덕감을 체계적으로 해명하려고 시도한다. 허치슨은 도덕감을 처음으로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도덕감정론자로서 당대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흄의 윤리학 또한 허치슨의 이론을 크게 반영하고 있다는 점은 유의할 만하다. 허치슨의 특징을 정리하면, 첫째, 허치슨은 로크의 감관과 반성의 구분을 받아들이고 거기에 미감과의 유비적 설명을 통해 자신의 도덕감을 추가한다. 이는 도덕적 행위 여부를 이성이 판단하는 것이 아닌 일종의 감관과 같은 능력에서 수동적으로 지각하는 것이라 규정함으로써 도덕이 인간의 자연스런 감정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임을 보여준다. 둘째, 허치슨은 심리적 이기주의를 비판한다..『탐구』의 주된 목적은 샤프츠베리의 옹호와 맨더빌에 대한 비판이다. 따라서 그는 도덕성의 판단이 이익과 무관한 도덕적 정서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셋째, 허치슨은 개인의 덕이 공공선에 크게 이바지 한다는 것을 도덕성의 산정을 통해 보이려 한다. 이런 점에서 그는 공리주의적 면모도 지니지만, 공리주의자와 달리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목표가 아니라 최대한의 도덕성을 발휘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는다.

      • KCI등재

        양심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고찰

        강준호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2

        The recent final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with regards to the long-debated issue of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have confirmed, as political rights, that a person’s conviction or judgment about the rightness or wrongness of an action should be respected under the name of ‘freedom of conscience.’ In spite of these decisions, which may confer political approbation to it, the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seems to still be wide-open to a variety of criticisms of its morality. These criticisms are associated with the following two phenomena: (1) a considerable number of people, including some philosophers, often use the terms ‘conscientious’ and ‘moral’ interchangeably in their everyday language; and further (2) they seem to believe that the political approbation of an action should be based on the moral approbation for it in any degree. In this paper, with regards to the first phenomenon, I shall examine several chief contrasting aspects which constitute the meanings of ‘conscientious’ and ‘moral’ in our ordinary conceptions of them. Despite these contrasting aspects, I shall assert through this examination that the meaningful usage of ‘conscientious’ cannot be totally indifferent to the meaning of ‘moral,’ and that the grounds to respect any person’s conscientious conviction or action consist of the essential features of that conviction or action accorded with some certain moral criteria in any degree. For a certain judgment or action to be called ‘conscientious’, thus I shall suggest, it should fulfill the following conditions of (1) factual consideration, (2) imaginary reflection, and (3) coherent judgment. What I wish to establish through this examination, simply put, is that many qualifications are involved in the proper use of the expression ‘conscientious.’ 최근 논란이 되었던 양심적 병역거부와 관련된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판결은 헌법상의 ‘양심의 자유’라는 명목으로 개인은 어떤 행동의 옳고 그름에 대한 자신의 신념이나 판단을 존중받을 정치적 권리가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판결과 무관하게 양심적 병역거부는 그것이 도덕성에 대한 비판에 열려있다. 이러한 비판에는 다음 두 가지 현상, (1) 사람들은 흔히 ‘양심적’과 ‘도덕적’을 유의어처럼 혼용한다는 현상과 (2) 어떤 행동에 대한 정치적 승인은 그것에 대한 도덕적 승인에 기반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현상이 결부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 나는 첫 번째 현상, ‘양심적’과 ‘도덕적’을 유의어처럼 혼용하는 현상과 관련하여, 우리의 일반적 관념에서 ‘양심적’의 의미와 ‘도덕적’의 의미를 구성하는 주요 대조적 양상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조적 양상들에도 불구하고, 나는 ‘양심적’이라는 표현의 유의미한 사용은 ‘도덕적’이라는 표현의 의미와 무관할 수 없으며, 누군가의 양심적 판단이나 행동이 존중받을 근거는 그 신념이나 행동의 본질적 부분이 어느 정도로든 도덕적 기준에 부합한다는 것에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래서 어떤 판단이나 행동이 ‘양심적’이려면, 그 판단이나 행동은 ‘도덕적’ 판단이나 행동과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1) 사실적 고려의 조건, (2) 상상적 반성의 조건, (3) 정합적 판단의 조건.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나는 ‘양심적’이라는 표현의 적합한 사용에는 많은 제한조건이 있음을 밝힐 것이다.

      • KCI등재

        도덕적 환경이 도덕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도덕심리학적 고찰 - 도덕적 승인 모델을 중심으로 -

        문경호 한국윤리교육학회 2023 윤리교육연구 Vol.- No.69

        본 연구에서는 환경과 도덕적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여러 입장을 도덕 심리학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도덕적 승인 모델을 통해 환경이 어떠한 방식으로 개인의 도덕적 역량과 결합하여 도덕적 행동 산출을 돕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도덕적 승인 모델에 의하면, 도덕적 환경은 개인의 윤리적 성찰 능력, 자기조절 능력 등을 자극하면서 도덕적 행 동에 기여한다. 이러한 통찰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도덕적 승인 수준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various posi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moral behavior we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moral psychology. And through the moral approbation model, we discussed how the environment produces moral behavior in combination with the individual's moral capacity. According to the moral approbation model, the moral environment contributes to moral behavior by stimulating the individual's ethical reflection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rough these insights, an educational plan was proposed to help establish the level of moral acceptance of students in the school field.

      • KCI등재

        조직 구성원의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도덕적 용인의 조절효과 분석

        민기 ( Min¸ Kee ),박철민 ( Park¸ Cheol-min ) 대한정치학회 2021 大韓政治學會報 Vol.29 No.3

        행정서비스의 수준은 행정의 주체인 공무원들의 의식 여하에 따라서 좌우됨은 재론을 요하지 않는다. 선후진국을 통틀어 정도 차이는 있어도 관료들은 공복으로서 사명감이 부족할 뿐 아니라 국가에 따라서 부정과 부패의 온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본 연구는 공무원들의 비윤리적 행위의 억제는 행정 능률성에 직결된다는 판단하에, 부산 지역 근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비윤리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크기 및 조절 변인 분석에 목적을 둔다. 그간 조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해서는 다수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지만, 처벌, 비윤리적 행위 등 부정적인 행동 변수들간 관계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 연구는 현재의 통제 지향적 관리체제하에서 그 동안 경시되어 온 비윤리적 행위 등 부정적인 행동을 억제하는 것이 조직 성과 제고 나아가 조직 혁신의 중요 과제라는 가정하에, 변인들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결과, 원인변수인 처벌 및 동료는 도덕적 용인과 비윤리적 행위의 중요 영향 변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도덕적 용인은 원인변수인 처벌 및 동료를 자극하여 비윤리적 행위를 더욱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서 이들 사이에서 조절변수로서 기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외생변인들을 처벌, 동료에 한정한 한계는 있지만, 구성 변인들이 요인분석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구성되었으며, 비윤리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 변인들을 실증분석을 통해서 규명함으로써 분석 결과의 합리화를 추구하고 있는 점에서 연구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본다. Nowdays, moral approbation and unethical behavior are expected to negatively related each other, and effect many highly valued organization outcomes in various work contexts respectively. Many previous studies support the belief by suggesting that unfavorable unethical behavior is negatively concerned with organization effectiveness as well as organization competitiveness,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spite of the discording role of the unethical behavior and moral approbation on organization outcome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two concepts to organization outcomes has not been fully tested yet. Sugg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 ie, punishment, colleague, moral approbation, and unethical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s of over 238 public employees working in Busan City of Korea. Findings based on th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supported the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between antecedents(punishment, colleague), and unethical behavior with moral approba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