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동양사학의 계보와 ‘실증’주의의 스펙트럼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의 ‘만선사(滿鮮史)’ 연구를 중심으로-

        박준형 ( Park Junhyung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8 한국문화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의 ‘만선사’ 연구를 중심으로 근대 일본의 동양사학의 계보를 재검토한 것이다. ‘전후 조선사학’을 이끈하타다 다카시는 전전의 동양사학, 특히 ‘만선사’를 인간 부재의 역사학이라 비판하고, 나아가 실증에만 천착하는 순수 학문의 존립 가능성에까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때 대표적 인물 중 하나로 꼽았던 것이 자신의 스승이기도 했던 이케우치 히로시이다. 이케우치를 중심으로 일본 동양사학의 계보를 작성해 보면, 그 시원은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와 루드비히 리스(Ludwig Riess)를 매개로 랑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 계보를 따라 근대 과학으로서의 ‘실증’주의가 일본에 수용되었는데, 시라토리는 랑케의 ‘실증’주의뿐만 아니라 그의 역사철학을 통해 천황제 국가 일본을 국민국가로 진화하는 역사적 존재로 자리매김하고자 했다. 시라토리는 학문에 있어서도 오로지 학문을 위해 탐구를 행하는 순수성뿐만 아니라 국가의 필요에 봉사할 수 있는 실효성을 강조했으며, 이러한 이중적 태도는 일본동양사학의 제2세대인 이케우치와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에게 각각 계승되었다. 즉 이나바는 정세적 요구에 응답하는 차원에서 학문을 수행하려했던 데 반해, 이케우치는 학문의 실효성 자리를 나름의 ‘합리주의’로 대체하면서 자신만의 ‘실증사학’을 발전시켜 나갔다. 하타다 다카시(旗田巍)는 이케우치의 ‘합리주의’를 “일종의 논리학”이라고 비판했으나, 이케우치를 떠나 만철에 입사하여 그가 담당했던 일 또한 실증을 위한 현지 조사였다. 이처럼 ‘실증’주의는 다양한 논의들과 결합하면서 폭 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실증’주의의 경계는 애매모호할 수밖에 없으며, 그 경계를 긋는 행위 자체가 사실은 정치적일 수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genealogy of Oriental History in modern Japan, focusing on Ikeuchi Hiroshi(池內宏)’s studies of Manchurian-Korean History (滿鮮史). Hatada Takashi(旗田巍) who led the study of Korean history in post-war Japan, criticized Oriental History which was studied during the pre-war era, especially the specialty of Manchurian-Korean History. Further, he questioned the academic integrity that strives only for actual, empirical proof. Incidentally, it was Takashi’s teacher, Ikeuchi Hiroshi, who he present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s. The origin of Japanese Oriental History’s genealogy centering on Ikeuchi Hiroshi can be traced back to the famous German historian, Leopold von Ranke, through the works of Ludwig Riess and Shiratori Kurakichi(白鳥倉吉). As is well recognized, historical factualism as a scientific approach entered Japan through this genealogical route. By using historical factualism, informed by von Ranke’s historical philosophy, Shiratori tried to position the Japanese Empire as an historical entity that evolved into a nation state. Even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Shiratori emphasized academic integrity in the study of history to meet the needs of the state in addition to study for purely academic purposes. Shiratori’s dual perspective was passed on to Ikeuchi and Inaba Iwakichi(稻葉岩吉), the second generation of Japanese Oriental History specialists. While Inaba attempted to pursue academic tasks within the context of the political situation, Ikeuchi developed his own factual history by repla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cademic approach with rationalism. Hatada criticized Ikeuchi’s rationalism as being closer to logic than history, but his work, when he joined the South Manchuria Railway Co., LTD(南滿洲鐵道株式會社), was a field survey comple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mpirical proof. In this way, historical factualism, which was combined with various discourses, formed a broad spectrum. Therefore, its boundaries were ambiguous, and the act of drawing those boundaries could be based on political factors.

      • KCI등재

        특집 :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의 대방군(帶方郡) 위치 비정과 그 성격

        위가야 ( Ka Ya Wee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 Vol.0 No.54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는 근대 일본 동양사학의 실증적 연구를 대표하는 사학자 중 한 사람이다. 이 글은 그가 한군현 중 대방군의 위치를 비정하며 구사한 ‘실증’에 영향을 준 것이 단지 학술적 입장에서의 ‘합리주의’뿐이었는지를 규명하려 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케우치는 대방군의 영역이 군의 존치 기간 내내 한강 하류 유역을 포괄하고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구사된 ‘실증’은 그의 다른 연구와는 달리 허술했으며, ‘합리주의’와도 거리가 있었다. 그리고 그 배경에 한국사의 타율성을 핵심논리로 하는 만선사관이 자리잡고 있음을 이케우치의 다른 연구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방군 영역에 대한 이케우치의 인식은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 쯔다 소키치(津田左右吉)와 거의 같다. 그들 모두가 남만주철도회사 역사조사부에서 만주와 조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온 만선사학자였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케우치의 연구에서 구사되는 ‘실증’과 ‘합리주의’는 그가 상식으로 여겨온 한국사의 타율성과 조우했을 때 쉽게 무너져 내리고 있었다. 이는 이른바 ‘실증사학’이 역사가의 현실 및 시대와 완전히 무관한 것일 수 없음을 알려준다. Ikeuchi Hiroshi (池內宏) is one of the Japanese historians who devoted himself to positive-historical research of East Asian history in modern Japan. This study is aimed at figuring out whether or not his estimate of the location of Daebang-gun (帶方郡) -one of the four Han Commanderies (漢 郡縣) in ancient Korea -and its influence on “positive-historical” research are based on “rationalism” from the academic perspective. As a result, the study has examined the following facts. Ikeuchi maintained that Daebang-gun was located downstream from the Han River during the period of the Han Commanderies (漢郡縣). His positive-historical research made in the process was less precise than other studies of his and was far from the mode of rationalism. Besides, when compared with other studies of Ikeuchi, such an academic suggestion was based on a view that “the history and culture of old Korea had been subordinate to Manchuria (滿鮮史觀),” which was fully based on the heterogenous character of Korean history at its core. Ikeuchi’s understanding of the location of Daebang-gun was almost identical with that of Shiratori Kurakichi (白鳥庫吉) and Tsuda Soukichi (津 田左右吉). It must be noted that both scholars were the so-called “historians of Manchuria-Korea (滿鮮史學者)” who made research of the relations between Manchuria and Joseon as they were working at the Historic-geographical Research Center of South Manchuria Railway Companies (南滿州鐵道會社). Although Ikeuchi had long proclaimed the importance of “positive-historical research” and “rationalism” in his academic study, he only betrayed his own philosophy when the two ideas encountered with what he had regarded as common knowledge: the heteronomy of Korean history. This clearly shows that even positive-historical research is not totally irrelevant to the reality and the period of a historian.

      • KCI등재

        日帝 下 新羅 花郞 硏究와 南堂 朴昌和의 ≪花郞世紀≫ -花郞制의 起源・成立 問題를 中心으로-

        정운용 신라사학회 2017 新羅史學報 Vol.0 No.41

        In the period of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the premise of Japanese’s study of Hwarang was an inconsistency. Imamura Tomo(今村鞆), who approached to Hwarang in the field of folklore such as history of social customs, denied the part of inscription about Hwarang in ≪Samkooksagi(三國史記)≫ recognizing them as shamans. It substantially seems that modified perception of Hwarang in Joseon Dynasty caused an error in viewing Silla Hwarang. Subsequently, Ikeuchi Hiroshi(池內宏) emphasized the ‘warrior spirit’ of Silla people, taking note of the development of Silla Dynasty in 5~6C. On his angle, studying the ‘History of Manchurian and Joseon(滿鮮史)’, the process of thinking might came from the need of courageous soldiers and prominent leaders for Japan’s invasion of China. ‘The warrior spirit of Silla people’, which Ikeuchi deduced, varied to ‘Hwarang’s Sesok-Ohgye’・‘Hwarang’s warrior spirit’ in the stage of Ayukai Husanoshin(鮎貝房之進)’s study. Ayukai’s study has ‘Imlailbonbusul(任那日本府說)’ on the premise. He preposterously claims that Hwarang and Silla Dynasty, who had the warrior spirit, were descendants of Japanese(大和民族). Furthermore, he refers to Wonhwa(源花) as a nationally revered Hwarang but actually was a prostitute. His study, which covers substantial historical records of Hwarang, appears to had come from an idea based on the ‘same ancestors of Japan and Joseon(日鮮同祖論)’. Contemporarily, Mishina shoei(三品彰英) who mobilized anthropological knowledge figured Wonhwa, the origin of Hwarang, and Hwarang themselves as an assembly or southern coming-of-age ceremony. Also, while contending the combating function of Hwarang, he comprehends the state was not a national affair. This is an entirely unacceptable interpretion and signification. On the other hand, Park Chang Hwa shows an unconventional view of Hwarang(花郞觀) based on his historical knowledge of Silla through ≪Hwarangsegi(花郎世紀)≫. It begins with referring to the origin of Wonhwa who was in the maze. In other words, it is saying that chief priest Yoenbuin(燕夫人)’s Kookhwa(國花) propagated to the east, leading to a priest of shrine(神宮), Wonhwa, in Silla. Besides, designating ‘Hwarang’ came from Weehwarang(魏花郞) who gained favor of King Bubheung. It seems that Yoen-buin has a feature of goddess of furtility and fecundity. Or she might had been mentioned from the idea that Weeman(衛滿) from Weeman-Joseon were Yeon-in(燕人). Moreover, Hwarang Moonlo(文努) appears as a Hokooksun(護國仙), equivalent to Seolwonrang(薛原郎) who is brought up at numerous documents of history as a Kooksun(國仙). Park Chang Hwa would have been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achievements of Japanese historians. Nonetheless, he set up Wonhwa, who was either a fictitious character or just a prostitute in Japanese’s study, not only as a priest equivalent to the priest of TaeSan Bongsunje(泰山 封禪祭) in China but also as the origin of Hwarang. While Japanese historians emphasized the warrior spirit of the Hwarang, ≪Hwarangsegi≫ has no such reference. It simply suggests the outstanding martial skills of Hwarang through Moonlo. It explains the biography of Silla Hwarang on the contrary of Japanese historians’ view, which could be much more approximate description to the history of Silla and Silla people. This is the reas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Hwarangsegi≫ written by Park Chang Hwa. 항일독립운동기 일본인 중 화랑을 연구한 몇몇 연구자로는 今村鞆, 池內宏, 鮎貝房之進, 三品彰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원화・화랑 연구는 대부분 ≪삼국사기≫의 내용을 부인한 채, 원화・화랑을 무당으로 파악하고, 화랑의 ‘武士的 정신’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원화를 娼女라 주장하면서도, 任那日本府說이나 日鮮同祖論에 입각한 논리로 신라 화랑을 바라보았다. 반면에 박창화의 ≪花郎世紀≫는 자신의 신라사 인식에 입각하여 색다른 花郞觀을 드러내고 있다. 그의 ≪화랑세기≫는 미궁에 빠져있던 원화의 유래를 언급하는 것에서 시작하고 있다. 즉, 중국(燕 나라)에서 제사를 관장하던 燕夫人의 國花 풍습이 東漸하여 신라의 神宮 제사를 주관하는 원화가 생겨났다고 서술한 것이다. 아울러 ‘화랑’이라는 명칭은 법흥왕의 총애를 받던 魏花郞의 이름에서 비롯한 것이라 하고 있다. 추측컨대 연부인은 풍요와 다산을 의미하는 神母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어 보인다. 아울러 위만조선의 위만이 ‘燕人’이었다는 것에서 착안하여 燕夫人을 언급한 것일는지도 모른다. 또 여타 史書에서 國仙으로 거명되는 薛原郎과 대등하게 화랑 文努를 ‘護國仙’으로 등장시키고 있다. 당시 박창화는 일본인 화랑 연구자들이 업적을 충분히 접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가공의 존재 또는 창녀로 취급한 원화를 중국 泰山 封禪祭와 대등한 祭儀 주관자로 설정하면서 화랑의 시원으로 그려 놓고 있다. 일본인 연구자들이 화랑의 무사적 정신의 강조한 반면, 朴昌和의 ≪화랑세기≫는 호국선 文努를 언급하면서 화랑의 출중한 무예 수준을 드러내고 있을 뿐이다. 박창화는 일본인 화랑 연구자들과는 정 반대의 논리로 신라 화랑의 傳記를 그려놓았는데, 이것이 신라사・신라인의 실상에 근접한 서술이라 여겨진다.

      • KCI등재

        근대 일본의 조선사 연구 : 통계적 접근

        장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2 규장각 Vol.61 No.-

        이 연구는 한국 근대사학사에서 제기된 두 개의 주장을 통계로 증명하였다. 이를 위해 동경과 경성에서 나온 역사학 논저 목록들을 이용하였다. 첫 번째는 근대 일본의 한국사 연구를 동경제대 출신이 주도하다가 경성제대가 이어받았다는 주장이다. 또 경성제대와 함께 조선사편수회가 그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고 하였다. 조사 결과 1926년 이후 경성이 동경 등 일본보다 논문 생산 편수가 많아졌다. 주된 발표지면은 『청구학총』과 『진단학보』 등이었다. 오랜 주장은 통계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는 조선반도사 편찬의 실패 원인이다. 1938년 이전의 조선사 관련 논문을 시대순으로 정리해보니 1920년 이전에는 고대사에 집중되었다. 중세사나 근대사는 조선사편수회 설치 이후에 연구자가 나오면서 논문이 생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대 일본의 조선사 연구가 고대사에 편중되어 통사로서 조선사를 서술하기 어려웠다는 주장은 사실에 가깝다.

      • KCI등재

        이병도의 측면사(側面史), 『고려시대(高麗時代)의 연구(硏究)』 검토

        장지연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4

        This article reviews “A Study on Goryeo dynasty” by Byung-do Lee, in the aspects of background, methodology and spread. This is made with regard to view his work as ‘forming and moving’ knowledge, rather than as ‘completed and fixed’ one. Lee chose this topic with a strategy of evasion and confidence. The former refers to not touching on the territory of other Japanese scholars, and the latter refers to this confidence in traditional Korean Pungsu(feng shui) knowledge. He assumes that Pungsu or Docahm has not been changed at all, in the point that it is nonsensical superstition. This produces the view Pungsu and Docham in the Goryeo Dynasty, were explained in terms of the anxiety and struggle of kings and subjects. As a result, his research could not escape from the colonial perspective. Methodologically, Lee compensated for the lack of sources with Chinese feng shui books and fieldwork. The Chinese feng shui books are problematic in that they cannot be viewed as geographical knowledge of the Goryeo period, and the field trips seem to borrow from modern academic methodologies, but in the end, they were no different from the feng shui experts’practices in the point relying on their own intuition of feng shui discernment. The term "Pungsujiri" was first invented by Lee and is only used in Korea. He invented the term "Umyangjiri" from the beginning of his research in his Japanese article in 1926, but in his newspaper columns in the 1930s(Joseon Ilbo), he changed it to "Pungsujiri" by adding the familiar "Pungsu" instead of the unfamiliar "Umyang". The implication was that it could be called "geography" because it deal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 and humans, and that this relationship was based on the same logic as yin and yang. The 1948 edition retains the term and seems to have been popularized by the 1950s at the latest. The introduction to the 1980 revised edition actively evaluated Pungsu as a geo-phrenology or geo-philosophical discipline. The strengths of Byung-do Lee's scholarship, such as his deep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traditional knowledge, his careful and extensive documents’ reading, and his enthusiastic fieldwork, are on full display in this book. However, the book suffers from a major flaw in that he chose a topic of convenience without understanding the colonial bias of academic arena of the time, and he relied on his own pungsu intuition, which he mistook for modern academic methodology. However, by inventing the new term 'Pungsujiri', he presented the subject as something more than a superstition, and this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our academic and social attitudes towards feng shui to this day. 이 글에서는 이병도의 고려시대의 연구를 크게 배경과 방법론,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했다. 이는 완결・고정된 지식으로서가 아니라 형성 중이고 움직인 지식으로 이병도의 연구를 바라보기 위한 것이다. 이병도는 비껴가기 전략과 자신감으로 고려시대의 풍수 도참이라는 주제를 선택했다. 전자는 다른 일본인 학자의 영역을 건드리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후자는 전통적인 풍수 지식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한다. 그는 풍수나 도참은 황당한 미신이라는 점에서 시대와 무관하게 변함이 없었다고 전제했다. 이러한 부정적 시각은 고려시대의 풍수나 도참의 유행을 권력층의 혹신이나 사회불안으로만 설명하게 했는데, 결과적으로 식민사관의 관점을 강화시켰다. 이병도는 관련 사료의 영성함을 중국 풍수서와 현장 답사로 보완하였다. 그가 참조한 중국 풍수서는 고려 시대의 지리지식으로 볼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으며, 현장 답사는 일견 근대적 학문 방법론을 차용한 듯하였으나, 결국 자신의 풍수적 안목이라는 직관에 의거함으로써 지관의 풍수 행위와 다를 바가 없었다. ‘풍수지리’라는 용어는 그가 처음 고안하여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한다. 그는 1926년 일본어로 발표한 연구의 시작부터 ‘음양지리’라는 용어를 만들었다가, 1930년대 신문 연재를 하면서 대중에게 생소한 ‘음양’ 대신 익숙한 ‘풍수’를 붙여 ‘풍수지리’로 바꿨다. 이는 땅과 인간과의 관계를 다룬다는 점에서 ‘지리’라는 말을 붙일 수 있으며 그 관계가 비록 신비적이기는 해도 음양론 같은 논리에 기반한다는 의미에서 붙인 것이다. 1948년 단행본에도 이 용어가 그대로 사용되며 늦어도 1950년대 무렵에는 대중화된 것으로 보인다. 1980년 개정판의 총론에서는 ‘풍수지리’를 지리관상학 혹은 지리철학으로까지 적극적으로 평가하였다. 한학적 전통에 대한 깊은 이해, 치밀하고 넓은 사료 섭렵과 열정적인 현장 조사와 같은 이병도 학술의 장점은 이 책에서도 남김없이 발휘되었다. 그러나 당대 학술장에 대한 조망 없이 편의상 주제를 선택함으로써 식민주의적 관점의 자장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논증의 마지막은 자신의 풍수 직관에 의거하였음에도 이를 근대적 학문 방법론으로 오인한 결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럼에도 그는 ‘풍수지리’라는 새로운 조어를 통해 이 주제를 척결해야 하는 미신 이상의 무언가로 제시했으며, 이는 현재까지 풍수를 대하는 우리의 학문적, 사회적 태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