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Water Use Efficiency of an Abies holophylla Plantatio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빈두 말라 타쿠리,강민석,장용휘,천정화,김준 한국농림기상학회 2016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8 No.4

        Water use efficiency (WU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ecological indicator which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process-structure relationships associated with energy-matter-information flows in ecosystem. The WUE at ecosystem-level can be defined as the ratio of 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to evapotranspiration (ET). In this study, KoFlux’s long-term (2007–2015) eddy covariance measurements of CO2 and water vapor fluxes were used to examine the WUE of needle fir plantatio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Our objective is to ascertain the seasonality and inter-annual variability in WUE of this needle fir plantation so that the results may be assimilated into the development of a holistic ecological indicator for resilience assessment. Our results show that the WUE of needle fir plantation is characterized by a concave seasonal pattern with a minimum (1.8 - 3.3 g C⋅(kg H2O)-1) in August and a maximum (5.1 - 11.4 g C⋅(kg H2O)-1) in February. During the growing season (April to October), WUE was on average 3.5±0.3 g C (kg H2O)-1. During the dormant seasons (November to March), WUE showed more variations with a mean of 7.4±1.0 g C⋅(kg H2O)-1. These values are in the upper ranges of WUE reported in the literature for coniferous forests in temperate zone. Although the growing season was defined as the period from April to October, the actual length of the growing season (GSL) varied each year and its variation explained 62% of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growing season WUE. This is the first study to quantify long-term changes in ecosystem-level WUE in Korea and the results can be used to test models, remote-sensing algorithms and resilience of forest ecosystem.

      • KCI등재

        사물인터넷(IoT)발전을 위한 소스프로그램 보호방안 연구 : 프로그램의 보호와 유사표절 연구

        이종식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4

        최근 인터넷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컴퓨터 관련 기술이 함께 발달하면서 컴퓨터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둘러싼 소프트웨어 분쟁이 심화 되고 있고 또한 각국의 정책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에 소리 없는 전쟁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최근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 IoT (Internet of Things) 인터넷 기반의 관련 산업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된 java 와 C 언어,xcode의 오픈소스 기반의 소스프로그램을 만들고 개발하기 위하여 수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소프트웨어의 침해를 방지하고자 보안 방법이 존재 하지만 생각보다 쉽게 복제되는 것이 현실 이다. 이런 상황일수록 소스프로그램의 라이센스에 대한 원천 권리자의 권리보호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물론 제작자의 원천 기술을 당연히 보호되어야 함이 마땅하나 너무 지나친 보호는 프로그램으로 인한 산업발전과 문화발전에 저해 될 수 있는 소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IoT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유사표절을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연구하였으며 이는 프로 그램 복제로 인한 창작자의 프로그램을 보호하고 나아가 프로그램으로 인한 개인정보유출과 침해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Recent dramatical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related to internet technology intensifies the dispute over software of computer or smart device. Research on software has been flourished with political issuing of fierce competition among nations for software development. Particularly industrial growth in ethernet based big data and IoT (Internet of Things) has promoted to build and develop open source programs based on java, xcode and C. On these circumstances, issue on software piracy has been confronted despite the basic security policy protec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software and thus it is of substantial importance to protect the rights of originality of source program license. However, the other issue on source technology protection of developer is the possibility of hindrance to advancement in industry and culture by developing programs. This study discuss the way of enhancing legal stability of IoT appli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reinforcing precision in inspection of program plagiarism by analyzing the source programs with newly introducing text mining technique, thus suggests an alternative protective way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due to duplicating program.

      • KCI등재

        우리나라 공역 법제의 개선방안

        김종대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8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3 No.2

        Recently airspace became a hot issue considering today's international relations. However, there was no data that could be fully explained about a legal system of korean airspace, so I looked at law and practice about korean airspace together. The nation's aviation law sector is comletely separate from those related to civil and military aircraft, at least in legal terms.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hall carry out his/her duties with various authority granted by the 「Aviation Safety Act」. The nation's aviation-related content is being regulated too much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notice or regulation, and there are many things that are not well known about which clauses of the upper law are associated with. The notice should be clearly described only in detail on delegated matters. As for the airspace system, the airspace system is too complex for the public to understand, and there seems to be a gap between law and practice. Therefore, I think it would be good to reestablish a simple and practical airspace system. Airspace and aviation related tasks in the military need to be clearly understood by distinguishing between those entrusted by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ose inherent in the military. Regarding matters entrusted by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 it is necessary to work closely with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hen preparing related work guidelines, and to clarify who should prepare the guidelines. Regarding airspace control as a military operation, policies or guidelines that are faithful to military doctrine on airspace control are needed. 최근들어 ‘공역’은 뜨거운 이슈가 되었는데, 의외로 우리나라의 공역 법과 제도에 대해 전체적으로 설명된 자료는 없어, 민․군 공역 법제와 실무를 함께 정리하여 보았다. 우리나라의 항공법 분야는 적어도 법적인 측면에서는 민간항공기와 군용항공기 관련 법은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국토부교통부장관은 「항공안전법」에서 부여된 각종 권한을 갖고 업무를 수행한다. 우리나라 항공관련 내용은 너무 많은 사항을 국토부 고시나 규정으로 규율하고 있고, 그 고시나 규정들도 상위 법규의 어떤 조항과 연결되는지 잘 알 수 없는 것들이 많다. 따라서, 현행 고시의 내용을 검토해서 가능한 법규명령으로 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고, 고시 내용도 위임된 사항에 한하여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서술되도록 정비할 필요가 있다. 공역체계에 있어서는, 일반인이 이해하기에는 공역 분류체계가 너무 복잡하고, 법규와 실무의 괴리도 일부 있어 보인다. 따라서, 단순하면서도 실무현실에 부합하는 공역 분류 체계로 재정립해 보는 것은 어떤가 생각된다. 군에서 하는 공역이나 항공 관련 업무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위탁받은 것과 군 고유의 권한을 명확히 구분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국토교통부 위탁사항과 관련해서는, 본래 국토교통부의 업무이기 때문에 관련 업무 지침 작성시 국토교통부와 긴밀히 협조해야 하고,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국방부로 위탁한 것을 대부분 예하 비행단급까지 재위임하고 있는데 재위임 부대의 적정성을 한 번 고민해 볼 필요가 있고, 관련 지침의 작성 주체도 명확히 해 둘 필요가 있다. 군사작전활동으로서의 공역통제와 관련해서는, ‘노력의 통일’과 같은 공역통제에 관한 군사교리에 충실한 정책이나 지침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