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菩薩戒(보살계)의 受持(수지)와 慈悲實現(자비실현)에 관한 考察(고찰)

        신순남 ( Shun Nam Shi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7 No.-

        붓다의 근본사상은 모든 생명에 대하여 慈悲를 베푸는 가르침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자비의 가르침은 대승불교에 와서 꽃을 피우게 된다. 대승불교시대에 와서는 기존 수행자 중심의 불교에 대하여 붓다의 근본정신이 무엇인가를 알고자 하는 새로운 불교운동이 전개된다. 이때 불교계율 또한 수행의 장애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상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실천 덕목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특히 ‘大乘戒’는 대승의 이상적인 인간상인 대승보살이 자비를 실천하기 위하여 지니는 수행덕목이기 때문에 ‘菩薩戒’라고도 한다. 따라서 대승계율도 수행자 중심의 초기계율과는 달리, 대승보살이 慈悲를 근본실천 덕목으로 하는 자리이타의 계율이 부각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대승보살의 자비수행은 대승계의 완성을 위한 이론적 근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菩薩戒에서는 모든 생명을 아끼고 죽이지 않는 등의 계율을 현실 속에서 실현하기를 요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菩薩戒는 대승적 실천관점에서 초기불교의 계율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즉 菩薩戒는 자비를 실천하는 보살수행에 토대를 두고 강조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大乘戒經 가운데 후기에 형성된 菩薩戒의 형성과정에 대하여 재고한 후, 보살계에 나타난 모든 중생에게 佛性이 있다는 사상적 토대에서 접근해 보았다. 특히 持戒修行을 통하여 佛性을 개현하게 되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것은 대승의 이상적인 인간상인 보살이 지녀야 하는 자비실현이 佛性思想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론을 배경으로 하여, 菩薩戒를 受持하는 수행 과정에서 佛性思想이 慈悲行으로 실현되는 것을 조명해 보았다. 대승정신의 꽃이라 할 수 있는 菩薩戒를 재고하는 계기로 인하여 인간의 탐욕과 최고의 善 가운데에서 자비가 실현되어 현시대에 지혜롭게 상응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uddha’s basic teaching is to have compassion for all living beings. This compassionate teaching bloomed with the beginning of Mahayana Buddhism. Mahayana Buddhism spread a new Buddhist campaign which requires us to think about what the Buddha’s original teaching was. Since precepts deal with the methods of removing obstacles when practicing, according to times and places, various ways of practicing are possible. The Mahayana precepts are also called the Bodhisattva precepts. That’s because they are the precepts that Bodhisattvas, the ideal humans of Mahayana Buddhism, are supposed to follow. At the time of the emergence of Mahayana Buddhism, people questioned the previously held idea of focusing on the practice of individual practitioners. Therefore, unlike the earlier precepts centering on the practitioners themselves, as basic practice for the Bodhisattva, precepts that focus on practicing compassion, that is “Helping yourself and loving others as well”, were highlighted. In this context, Mahayana precepts are believed to be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complete practice. Accordingly, these Bodhisattva precepts require practicing “loving all beings and not killing them” in real life. It can be said that Bodhisattva precept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arly Buddhism in the view of practice. It is believed that Bodhisattva precepts emphasize the Bodhisattva practice of performing compassionate practice. This paper first considers the formation process of Bodhisattva precepts, which appeared in the later part of Mahayana Precepts. Then it approaches the idea that all beings have Buddha Nature, which is one of the features shown in Bodhisattva Precepts. It’s because practicing compassion, which a Bodhisattva is supposed to do, is based on the concept of Buddha Nature. Accordingly, with the background of this theory, in this paper I consider that Buddha Nature shown in Bodhisattva Precepts can be realized as compassion. With this chance of newly considering Bodhisattva precepts, which are the flower of Mahayana thought, I hope compassionate practice suggests wise choices at the fork in the road where human greed and a more wholesome path diverge.

      • KCI등재

        의적(義寂) 『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의 기초 연구 - 쇼묘지(稱名寺)·가나자와(金澤)문고 소장 사본(寫本) 소개를 겸하여 -

        박광연 ( Park Kwang Youn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6

        의적(義寂, 7세기 중반~8세기 초반)은 당에 유학을 갔다가, 690년경 귀국하여 신라 교단에서 활동한 승으로서, 61부 이상의 저술을 하였다. 『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이하 의적소)는 『범망경』 하권의 게송(偈頌)부터 시작하는 `보살계본`에 대한 주석서로서, 일본의 보살계 사상과는 다른 전개를 지닌, 신라의 보살계 사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문헌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현재 전하는 의적소의 판본 가운데 가장 오래된, 쇼묘지(稱名寺)·가나자와(金澤)문고 소장의 사본을 저본으로 활용하였다. 의적은 『유가사지론』에 근거하여 보살계의 체상(體相)과 종취(宗趣)를 밝히면서 보살계를 삼취정계 가운데 율의계를 중심에 두고 설명하였다. 그는 출가자의 경우 성문계를 받아야 보살계를 얻을 수 있다고 하고, 성문계도 계체(戒體)를 잃지 않는다고 하는 등 보살계의 수승함을 이야기하면서도 성문계를 인정하고 중시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당(唐)의 법장이 재가자 및 처음 발심(發心)한 출가자를 대상으로 한보살계를 말했다면, 의적은 성문계를 받은 또는 앞으로 받을 출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보살계를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의적이 활동하던 시기 신라 교단에는 체계화된 보살계 수계갈마가 없었을 가능성이 크고, 이런 상황에서 의적은 의적소를 통해 출가승들에게 보살계 수지의 필요성을 피력하고 구체적인 수계갈마를 소개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의적소의 사상사적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같은 시대의 신라 승려인 둔륜(遁倫)의 보살계관과 비교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나가도록 하겠다. Uijok (義寂) is a monk in the Silla Buddhist Order, who has authored more than 61 fascicles of Buddhist texts. He studied in Tang, China before moving back to Silla around 690. Posalgyeponso (菩薩戒本疏, Commentary to the Code of the Bodhisattva Precept, hereafter, Uijokso) is a commentary on the Posalgyepon (菩薩戒本, Text of the Bodhisattva Precepts) starting from gatha in the second fascicle of Pommangyyong (梵網經, Sutra of Brahma`s Net). Since Uijok`s book shows different philosophical developments from bodhisattva precepts philosophy in Japan, it is an essential material to understand this philosophy in Silla. Of particular importance, this study uses the Uijokso copy housed in Shomyoji Temple (稱名寺) (Kanazawa Bunko (金澤文庫)) as an original text, the oldest manuscript (13<sup>th</sup> Century) of the sesurviving. Uijok focuses on comparing the bodhisattva precepts and sravaka precepts explaining the substance, characteristics and doctrinal tenets of bodhisattva precepts based on Yugasa chiron (瑜伽師地論, Yogacaryabhumi-sastra). Although he argues that the bodhisattva precepts are superior to the sravaka precepts, he also recognizes and gives importance to receiving the sravaka precepts. He insists, for example, that monks must receive the sravaka precepts for a full ordination of the bodhisattva precepts and the essence of the precept also exists in the sravaka precept. During the time when Uijok was in Silla Buddhist Order,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systemized ordination of the bodhisattva precepts did not exist. Due to this circumstance, he expresses the necessity of receiving bodhisattva precepts and introduces the idea of more detailed ceremony through Uijokso. It seems that Popchang explains that the bodhisattva precepts are intended for laities as well as monks who initially arouse the intentional mindset to achieve enlightenment, whereas Uijok believes that the reception of bodhisattva is for those monks who have already received the sravaka precepts or expect to receive it. In order to clarify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Uijokso, Uijok`s perspective on bodhisattva precepts should be compared to the one of Silla monks, Dunllyun (遁倫) and Sungchang (勝莊). Thus, I will conduct further research on this subject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is topic.

      • KCI등재

        菩薩戒의 持戒와 慈悲實現에 관한 考察

        신순남(적연스님)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7 No.-

        Buddha’s basic teaching is to have compassion for all living beings. Thiscompassionate teaching bloomed with the beginning of Mahayana Buddhism. Mahayana Buddhism spread a new Buddhist campaign which requires us to thinkabout what the Buddha’s original teaching was. Since precepts deal with the methods of removing obstacles when practicing,according to times and places, various ways of practicing are possible. TheMahayana precepts are also called the Bodhisattva precepts. That’s because theyare the precepts that Bodhisattvas, the ideal humans of Mahayana Buddhism, aresupposed to follow. At the time of the emergence of Mahayana Buddhism, people questioned thepreviously held idea of focusing on the practice of individual practitioners. Therefore, unlike the earlier precepts centering on the practitioners themselves, asbasic practice for the Bodhisattva, precepts that focus on practicing compassion,that is “Helping yourself and loving others as well”, were highlighted. In this context, Mahayana precepts are believed to be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complete practice. Accordingly, these Bodhisattva precepts requirepracticing “loving all beings and not killing them” in real life. It can be said thatBodhisattva precept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arly Buddhism in the viewof practice. It is believed that Bodhisattva precepts emphasize the Bodhisattvapractice of performing compassionate practice. This paper first considers the formation process of Bodhisattva precepts, whichappeared in the later part of Mahayana Precepts. Then it approaches the idea thatall beings have Buddha Nature, which is one of the features shown inBodhisattva Precepts. It’s because practicing compassion, which a Bodhisattva issupposed to do, is based on the concept of Buddha Nature. Accordingly, with the background of this theory, in this paper I consider thatBuddha Nature shown in Bodhisattva Precepts can be realized as compassion. With this chance of newly considering Bodhisattva precepts, which are the flowerof Mahayana thought, I hope compassionate practice suggests wise choices at thefork in the road where human greed and a more wholesome path diverge. 붓다의 근본사상은 모든 생명에 대하여 慈悲를 베푸는 가르침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자비의 가르침은 대승불교에 와서 꽃을 피우게 된다. 대승불교시대에 와서는기존 수행자 중심의 불교에 대하여 붓다의 근본정신이 무엇인가를 알고자 하는 새로운 불교운동이 전개된다. 이때 불교계율 또한 수행의 장애요소를 제거하기 위한방법상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실천 덕목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특히 ‘大乘戒’는 대승의 이상적인 인간상인 대승보살이 자비를실천하기 위하여 지니는 수행덕목이기 때문에 ‘菩薩戒’라고도 한다. 따라서 대승계율도 수행자 중심의 초기계율과는 달리, 대승보살이 慈悲를 근본실천 덕목으로 하는 자리이타의 계율이 부각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대승보살의 자비수행은대승계의 완성을 위한 이론적 근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菩薩戒에서는 모든생명을 아끼고 죽이지 않는 등의 계율을 현실 속에서 실현하기를 요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菩薩戒는 대승적 실천관점에서 초기불교의 계율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즉 菩薩戒는 자비를 실천하는 보살수행에 토대를 두고 강조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大乘戒經 가운데 후기에 형성된 菩薩戒의 형성과정에대하여 재고한 후, 보살계에 나타난 모든 중생에게 佛性이 있다는 사상적 토대에서접근해 보았다. 특히 持戒修行을 통하여 佛性을 개현하게 되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것은 대승의 이상적인 인간상인 보살이 지녀야 하는 자비실현이 佛性思想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론을 배경으로 하여, 菩薩戒를受持하는 수행 과정에서 佛性思想이 慈悲行으로 실현되는 것을 조명해 보았다. 대승정신의 꽃이라 할 수 있는 菩薩戒를 재고하는 계기로 인하여 인간의 탐욕과 최고의 善 가운데에서 자비가 실현되어 현시대에 지혜롭게 상응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신라 승려 義寂과 菩薩戒受戒儀禮

        김영미(Kim Young Mi)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6

        신라에서는 삼국통일을 전후한 시기부터 『범망경』 보살계에 대한 연구와 수계가 이루어진다. 본고는 그동안『범망경』 보살계 사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를 벗어나, 신라사회에서 행해진 구체적 보살계 수계의례를 파악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범망경』에서는 구체적 수계 의례에 대한 언급이 없고, 신라 승려들의 『범망경』 주석서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예외적인 사례가 義寂과 勝莊의 저술이다. 승장은 주로 중국에서 활동하였으므로, 의적의 『보살계본소』에 나타난 수계의례를 분석함으로써 신라사회에서 행해진 보살계 수계의례의 모습을 파악하였다. 의적은 『범망경』 보살계를 설명하면서, 수계의례의 순서에 대해서는 『보살지지경』의 8단계의 수계의례에 근거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유가계에 속하는 것으로, 『범망경』과는 그 흐름이 다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것은 당시 전하던 『범망경』이 120권으로 된 廣本(大本)이 아니므로, 계율의 조목은 자세히 포함하고 있으나 수계의식이 번역되지 않았다는 인식에 기인한다. 이에 『보살지지경』과 유가사지론에 의거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그렇지만 의적은 수계의식에 대해서는 중국의 여러주장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의적이 참고했을 중국의 수계의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In Silla, the study of the Bodhisattva precepts on the Brahma’s Net Sutra(梵網經) began and the ordination was performed around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Regarding this topic, most research has covered Buddhist philosophy of the Bodhisattva precepts.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ordination ceremony of Bodhisattva precept’s performed in Silla. However, a detailed account on the ritual for receiving the precepts is hardly found in Brahma’s Net Sutra as well as commentaries on the Sutra composed by the Silla monks except for the ones by monk Uijeok and Seungjang(勝莊). Since monk Seungjang spent most of his time in China, the ceremony for Bodhisattva precept’s ordination during the Silla period will be covered by analysis of monk Uijeok’s Commentary on Text of Bodhisattva Precepts(菩薩戒本疏). Explaining the Bodhisattva precepts from the Brahma’s Net Sutra, Uijeok mentioned that the stages of ordination ceremony were based on the eight stages from Bodhisattva bhumi Sutra(菩薩地持經). As the Bodhisattva bhumi Sutra forms a part of Yogācāra Bodhisattva precepts, how the ordination ceremony was performed shows differences from the Brahma’s Net Sutra. The difference results from the circumstances that then-read Brahma’s Net Sutra was not the full 120 volumes; Brahma’s Net Sutra contained each point of the precepts but the volume on the ordination ceremony was not translated. In consequence he had to explain the stages of ordination ceremony on the basis of the Bodhisattva bhumi Sutra and Treatise on the Stages of the Yogācāra(瑜伽師地論). Nevertheless, he also indicated various arguments on the ceremony in China. Thus this study deals with the ceremony for Bodhisattva precept’s ordination in China which he could have referred to.

      • KCI등재

        보살계 사상의 전개와 원효 『菩薩戒本持犯要記』의 성격

        박광연(Park, kwang youn)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6

        본고에서는 동아시아 보살계 사상의 전개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元曉(617~686)의 『菩薩戒本持犯要記』(이하 『지범요기』)의 성격을 이해하였다. 세밀한 내용분석을 통해 『지범요기』의 찬술 목적을 파악하고, 나아가 신라 불교계에서 『지범요기』의 역할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지범요기』에는 달마계본과 다라계본, 즉 유가계와 범망계가 동시에 등장한다. 이에 대해 원효가 보다 중시한 것이 유가계다, 범망계다, 또는 유가계·범망계를 조화·화해시켜려 하였다 등의 다양한 해석이 있었다. 5세기 『菩薩地持經』, 『優婆塞戒經』의 역출, 『梵網經』, 『菩薩瓔珞本業經』 등의 僞撰으로 보살계경이 유행하면서 많은 보살계본이 만들어졌는데, 6세기에 이미 지지계와 범망계가 결합된 형태의 보살계본이 등장한다. 지지계(유가계)의 핵심인 三聚(淨)戒는 『보살영락본업경』에도 수용되고, 『범망경』 주석시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므로 7세기 동아시아에서 지지계(유가계)와 범망계를 동시에 거론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모습이었다. 『지범요기』에는 원효가 달마계본과 다라계본을 조화·화해시키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지범요기』에서 원효가 중점을 두어 설명한 것은 무엇이 보살계의 ‘중죄’인가였다. 自讚毁他戒를 예로 들었는데, 원효가 가장 경계한 것은 正戒(성문계)를 잘 지키는 자기자신을 훌륭하다고 여기고 다른 사람은 업신여기는 마음이었다. 원효에게 당시 신라 교단에 대한 비판의식이 있었던 것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직접 교단을 비판하기 위해 『지범요기』를 쓴 것은 아닌 것 같다. 그보다는 스스로 보살계 정신을 잊지 말자고 다짐하고, 學徒들에게 계가 無自性임을 깨닫고 보살계를 항상 마음에 새기라는 조언을 남기기 위해서 저술한 것으로 보인다. 『지범요기』에는 교단에 속한 신라 출가자에게 보살계의 올바른 受持를 촉구하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이는 출가자의 보살계 수지가 일반적이지 않던 신라 교단 내에 보살계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리라 생각한다.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Wŏnhyo’s Posalgyepon jibŏm yogi ( hereafter, Jibŏm yogi) through historical consideration of bodhisattva precepts’ philosophical progress in East Asia. Also, this study focuses on the purpose of writing Jibŏm yogi by analysis of the content and its role in Silla Buddhism. In Jibŏm yogi, both Brahma’s Net Precepts (梵網戒) and Yogācāra Precepts (瑜伽戒) are found so that there has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regarding this. Some say that Wŏnhyo put more emphasis on the former while others suggest the latter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addition, it is said that Wŏnhyo sought the harmony or reconciliation of the two in his work. In the 5<SUP>th</SUP> Century, many texts on the bodhisattva precepts were written because sutras on Bodhisattva precepts became widesprea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Posal chijigyŏng (菩薩地持經, Sutra on Bodhisattva Stages) and Upasae gyegyŏng (優波塞戒經, Sutra on Upasaka Precepts) were translated as well as apocryphal scriptures like Pŏmmanggyŏng (梵網經, Sutra of Brahma’s Net) and Bosal yŏngnak bonŏpkyŏng (菩薩瓔珞本業經, Sutra of the Garland of a Bodhisattva’s Primary Karmas) appeared. From the 6<SUP>th</SUP> Century, texts on the bodhisattva precepts, which included both Brahma’s Net Precepts and Yogācāra Precepts appeared. For example, Samch’ wichŏngye, (三聚淨戒, three categories of pure precepts), the core idea in Yogācāra Precepts, was borrowed by Bosal yŏngnak bonŏpkyŏng and used to comment Pŏmmanggyŏng. In this historical context, it was common for Brahma’s Net Precepts as well as Yogācāra Precepts to appear together in one Buddhist text or book in East Asia in the 7<SUP>th</SUP> Century. Wŏnhyo’s effort to harmonize or reconcile the two precepts is hardly found in Jibŏm yogi . What Wŏnhyo placed emphasis on in his work was how to define the grievous sin in bodhisattva precepts. He used the precept, ‘Prohibition of Praising Oneself and Disparaging Others’ as a pillar in his work. Even in his life, he refrained from praising himself who ordained bodhisattva precepts and disparaging others. At that time, it was obvious that Wŏnhyo was critical of Silla’s Buddhist Order; however, he did not write Jibŏm yogi as a means of criticizing the Order directly. Rather, he wrote the book to show his resolve in obeying bodhisattva precepts, and to convince students and monks that the precept is selflessness, urging them to obey the precept in their hearts. Wŏnhyo encouraged monks affiliated with Silla’s Buddhist Order to receive and observe the bodhisattva precepts through Jibŏm yogi.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is book contributed to the increased interest in the bodhisattva precepts which was not common to receive in Silla’s Buddhist Order.

      • KCI등재

        보살계의 성립에 대한 재고

        신성현(Shin, Sunghyun)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3 No.-

        본 논문은 대승불교의 보살계가 어떠한 과정과 단계를 거쳐설립되었는가를 밝힌 글이다. 특히 보살계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3취정계가 어떻게 성립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대승만의독자적인 계의 확립이라는 면에서 의미있다고 생각한다. 불교교단에서 재가자는 중요한 구성원이다. 초기불교 또는 부파불교시대에 재가자는 우바새(Up?saka) 또는 우바이(Up?sik?)라고불렸다. 재가자는 3귀의, 5계, 8재계 등을 수지해야 한다. 초기불교시대에서의 3귀의, 5계, 8재계는 다양한 형태의 변화를 보여준다. 특히 대승불교시대에는 재가자에 대한 지위와 역할이확대되면서 이에 따른 재가보살이 준수하여야 할 덕목, 즉 3귀의, 5계, 8재계 등의 의미도 더불어 발전하게 된다. 물론 그 의미는 이전의 입장과는 다르다. 대승불교의 관점에서 해석된 것이다. 또한 수계작법의식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대승불교가 성립되고 대승의 이상적인 인간상인 보살이 강조되면서 보살계도또한 중시된 것이다. 보살계는 대승의 대표적인 실천법이자 보살의 실천행이라 할 수 있는 6바라밀 중의 계바라밀에서 설명된다. 보살계는 10선계를 거쳐 3취정계로 완성된다. 대승불교에서도 3취정계가 성립되기까지의 과정이 단순하지만은 않다. 초기대승불교의 경전마다 다양한 3취정계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3취정계에 성문계를 포함시키는 형태와 포함시키지 않는 형태도 보인다. 보살계는 여러 단계의 변화를 거쳐 3취정계로 확립되는데, 그 의미에는 한결같이 자리이타행을 강조하고 있음이 발견된다. 이는 보살계 이념 또한 대승이념을 함축하고 있는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and reveals how the Bodhisattva ??la was established within Mah?y?na Buddhism. For this purpose, it is meaningful to examine how threefold classification of Mah?y?na ??la was established within Bodhisattva. A laity is an important member of the Buddhist structure. During the early years of Buddhism, that is during Abhidharma Buddhism, the laity was referred to as the Up?saka or the Up?sik?. The Up?saka or the Up?sik? had to receive the three refuges, the five precepts, and the eight precepts. During Abhidharma Buddhism, the three refuges, the five precepts, and the eight precepts all show various forms of transformations. Even during the period of Mah?y?na Buddhism, the Bodhisattva laity had to carry out the three refuges, the five precepts and the eight precepts. The onlydistinction would be that they had to be followed from the perspective of Mah?y?na Buddhism. This also refers to ritual of accepting sila. With the establishment of Mah?y?na Buddhism, the classifications of Bodhisattva which are the human ideal that a bodhisattva pursues were also established. The classifications of Bodhisattva proceeds through ten good precepts until it ends with the threefold classification of Mah?y?na ??la. The practice of a Bodhisattva of Mah?y?na is the p?ramit?. Thus, among the p?ramit? it is the ??la ?p?ramit? that describes the Bodhisattva ??la. Even to Mah?y?na Buddhism, the process of constituting the threefold classification of Mah?y?na ??la is not simple. Each scripture of Abhidharma Buddhism reveals a varying form of the threefold classification of Mah?y?na ??la. There are also cases of including or excluding the ?r?vaka-??la within the threefold classification of Mah?y?na ??la. The Bodhisattva ??la underwent many stages of transition before establishing the threefold classification of Mah?y?na ??la. Still, it can be seen that the classes consistently emphasize the principle of benefiting both oneself(having priority) and others. This reveals that Mah?y?na ??la of Bodhisattva implie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Mah?y?na Buddhism.

      • KCI등재

        보살계관의 변용에 관한 고찰 - 유가계에서 범망계로 -

        이충환 한국불교학회 2022 韓國佛敎學 Vol.104 No.-

        Buddhism was introduced to East Asia from India and underwent various changes during its migration. The ideas and cultures of each region have been incorporated into Buddhism throughout the years. When Buddhism entered into China it developed differences from its Indian predecessor. Traditionally the Precepts have been maintained in a particular way in China however, due to environmental and social conflicts maintaining Buddhism in the same way as before has become difficult. Newly emerged Bodhisattva precepts suggested a way to maintain Buddhism despite changes in the environment. This is an example of the way Buddhism develops and specifically how Buddhism came to be transformed in China. The Bodhisattva Precepts by and large are based in the lineages of the Yogācāra Precepts (瑜伽戒) and Brahma’s Net precepts (梵網戒). These two sets of Precepts come with important classifications that confirm the transition of the Bodhisattva Precepts in East Asia. In particula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Yogācāra Precepts which arose out of India and the Brahma’s Net Precepts that were made in China, which include receiving the precepts from another (從他) and undertaking the vows (⾃誓). In this study differences will be explored by dividing the Bodhisattva Precepts in East Asia into Yogācāra Precepts and Brahma’s Net Precepts. It will furthermore consider the transformation of the Bodhisattva Precepts by considering the auspicious mark (好相).

      • KCI등재

        보살계(菩薩戒)의 전개와 발전에 대한 일고(一考)

        신성현(Sung Hyun Shi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佛敎學報 Vol.0 No.54

        계는 불교라는 종교에 들어가는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그러므로 불교사를 볼 때, 시대를 불문하고 계에 대하여 설명하지 않는 시기가 없었다. 대승불교에서는 율보다 계를 부각시킨 시대이다. 율이라는 형식보다 계라는 내용이 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대승불교의 계를 우리는 보살계라고 한다. 대승불교의 이상상인 보살이 지녀야하는 계이기 때문이다. 초기부파불교와 달리 대승불교에서는 율장이라는 텍스트를 따로 두지 않고, 경장에서 계율에 대한 설명을 한다. 이는 계를 붓다의 말씀, 즉 진리로서 이해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대승불교시대에서의 계는 다양하게 해석되고 이해된다. 계에 시대정신을 담아 생명력 있게 끊임없이 발전시켜 나아간다. 보살계는 10선계, 3취정계, 10중48경계로 발전되어간다. 10선계는 10선업도에서 발전된 것이다. 10선업도 자신만이 아닌 남까지도 선한 행위를 하도록 계도하는 형태로 시대에 걸맞게 변형시켜 계로서 수용하였다.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지만 현실성 있게 이해한 결과였다. 3취정계는 섭율의계·섭선법계·섭중생계의 3가지 계를 말한다. 대승으로서의 보살은 3취정계에 의해서 자리이타행을 완성시킬 수 있다. 보살은 단지 악을 그치는 섭율의계를 지키는 것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선을 행하여 모든 중생을 포섭하는 것도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10중48경계는 성문의 250계를 바탕으로 하여 새로이 세운 계이다. 10중48경계는 단순히 악을 제지하는데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善을 실천하는 데에 있다. 이처럼 대승계는 시대정신에 따라 자신과 남이 동시에 실천하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선을 행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되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Precepts are the most important item of virtue included in Buddhism. Therefore, it was explained in the history of Buddhism regardless of era. Morality was, however, emerged above precepts in Mahayana Buddhism; precepts as contents were thought as more important than morality as forms. Precepts of Mahayana Buddhism were called precepts of bodhisattva; they were the precepts that bodhisattva should bear as a ideal image of Mahayana Buddhism. Unlike as in the early era of Abhidharma Buddhism, there was no text known as chapter of morality in Mahayana Buddhism. Rather, it described precepts & morality through light chapter. This was regarded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precepts as words of Budda. Precepts were interpreted and understood in various ways in the era of Mahayana Buddhism. Also, precepts went further and were developed without a pause by embodying Zeitgeist into them. Precepts of bodhisattva were developed into ten good precepts, threefold classification of Mahayana sila, and 10 heavy precepts 48 light precepts. Ten good precepts were discovered through the ten good paths of action. Also, the ten good paths of action were transformed as time needed and were accepted as precepts not only for itself but also with the shape of what not behaved by others. It was simple without complexity but a result of understanding it in reality. Threefold classification of Mahayana sila consisted of three precepts including morality as temperance or restraint; samvara-sila, morality as pursuit of the good; kusala-dharma-samgrahaka-sila, and morality as altruism or supererogation; sattva-artha-kriya-sila. Mahayana bodhisattva was able to complete self-profit and altruism through threefold classification of Mahayana sila. It was important for bodhisattva to keep morality as temperance or restraint; samvara-silaquit by quitting bads only. It described that it was also important to win all humankind over to your side by doing all the good. 10 heavy precepts 48 light precepts were newly made precepts based on 250 precepts of Sravaka. The purpose of them was not only to restrain the bad but also to practice the good. As such, the purpose of Mahayana precepts was to make self and others practice according to Zeitgeist. Thus, the central idea of Mahayana precepts was to do the good eventually and it was interpreted as such.

      • KCI등재

        『郁伽長者所問經』에서의 菩薩의 戒에 대한 小考

        전민지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7 No.-

        Early Mahāyāna Sūtra demanded the preservation of strict precepts while emphasizing the practice of the Bodhisattva path. The Ugraparipṛcchā Sūtra preaches Mahāyāna Precepts that have to be practiced by lay Bodhisattvas as well as monastic Bodhisattvas. It suggests the Pañca-sīla as precepts that lay Bodhisattvas should observe and also the Four Noble Traditions as those that have to be preserved by monastic Bodhisattvas. As the Pañca-sīla, which lay Bodhisattvas should preserve, corresponds to the precepts of the Eight Purification Rituals of Uposatha, it demands highly intense cultivation equivalent to that of monastic Buddhists. The Four Noble Traditions of monastic Bodhisattvas is a lifestyle that clearly separates and distinguishes Bodhisattvas from monastic Bodhisattvas. To build up wisdom and move forward, monastic Bodhisattvas must practice four dhūta. 본고는 대승경전 중에서도 최초기의 대승계경이라고 할 수 있는 『욱가장자소문경』에 나타난 보살의 계행(戒行)을 고찰한다. 대승의 『욱가장자소문경』은 아함의 욱가장자를 등장시켜 재가보살과 출가보살이 실천해야할 대승계를 설한다. 재가보살이 지켜야 할 계로는 오계(五戒)를, 출가보살이 지켜야 할 계로는 사성종(四聖種)과 두타행(頭陀行)을 제시한다. 재가보살이 지켜야 할 오계는 팔재계의 계행에 준하는 것이어서, 출가자와 같은 철저한 수행의 실천을 의미한다. 특히 불사음계(不邪婬戒)는 내용적으로는 불사음이 아닌 불음(不婬)을 설하고 있어 재가보살에게 출가계를 요구한다고 할 수 있다. 출가보살의 사성종은 재가보살과 출가보살을 명확히 구분 짓는 소욕지족(少欲知足)의 생활방식이다. 사성종의 외형은 부파의 사의법(四依法)과 같지만, 형식적인 두타행보다는 출가보살이 지녀야할 바른 마음가짐을 내용으로 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욱가장자소문경』은 재가보살과 출가보살이 수지하는 계의 형식은 부파의 것을 따르면서, 대승적인 해석을 통해 대승만의 계행을 재창출하고 있다. 또한 대승계의 특징은 보살이 지니는 계상(戒相)의 지향점이 출가와 재가를 초월한 불도(佛道)에 있거나, 이타적 자비심[自利利他]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청담조사의 계율관

        김선근 ( Kim Sun-keun ) 경상국립대학교 청담사상연구소 2012 마음思想 Vol.10 No.0

        청담조사(1902-1971)의 발자취는 한국 근 · 현대 불교의 역사이다. 청담조사의 행적, 업적, 영향은 다양하고 지대하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 청담조사의 계율에 대한 업적을 요약 정리하여 오늘의 한국불교도가 어떻게 인식하고 계승하여야 할 내용을 살펴보려는 글이다. 청담조사의 계율 분야에 대한 행적은 1928년 조선불교학인 대회를 발기하면서 한국불교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불조(佛祖)의 정법을 수호하기 위하여 정화불사(淨化佛事)를 시작하였다. 정화의 기본 이념은 정법불교이었다. 청담조사의 정법은 계율에 근거하고 있다. 그는 그 당시 교단의 사조인 정혜쌍수를 계 · 정 · 혜 삼학을 준수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청담조사의 계율사상은 용성진종(1864-1940)스님과 동산혜일(1890-1965)스님의 영향으로 삼취정계를 불타적(佛陀的)으로 중생을 구제하자는 것이다. 중생의 구제는 계 · 정 · 혜로 탐 · 진 · 치를 제거, 미(迷)를 오(悟)로써 제거, 자비로써 모든 중생을 동체대비(同體大悲)하자는 것이다. 오늘의 한국불자는 청담조사와 같이 한국불교와 인류를 자기의 피와 살로 느끼면서 보살행을 실천하는 것이 계승해야 할 일이다. Venerable Chungdam(1902-1971) became a bhikku (Buddhist priest) in order to seek ‘Mind’ after he opened his eyes of the spirit in 1934. Ever since his enlightenment, he preached the sermon of ‘Mind’ for about 40 years(1928-1971), and he himself became a Forbearance Bodhisattva himself, preserving the way of Bodhisattva in the 20<sup>th</sup> century Korea. Who else might have felt like him that all Koreans are his own flesh and blood? His way of Bodhisattva came from ‘his mind philosophy-his purification thought’. Buddha’s spiritualism was constructed as Venerable Chungdam’s ‘mind philosophy’ on his own words. Venerable Chungdam’s performances, achievements, and influences are diverse and enormous. Among his various achievements, this research attempts to summarise his achievement on the Buddhist precepts. Regarding Chungdam’s performance on the Buddhist precepts, it was a good example for him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Japanese Buddhism regime that would allow Buddhist bhikkus to take wives and eat meats around the Korean Buddhist temples. Therefore, he made continuous efforts for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e Korean Buddhism order. He tried to teach bhikkus and Buddhism believers to observe the buddhist precepts wherever he was. There is a clear depiction of Mahāyāna Buddhist preparation for the Bodhisattva precepts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ree comprehensive precepts. Especially, we could observe various conflict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perception of the three comprehensive precepts. The self ordination would probably be a good solution for the conflicts. Chungdam’s thought on the Buddhist precepts has still been preserved in the recent Korean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