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후백제 도성 신자료 소개

        최흥선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6 동원학술논문집 Vol.17 No.-

        견훤은 900년 전주를 도읍으로 하여 백제를 세우고 스스로 왕이 되어 정개(正開)라는 연호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935년 아들인 신검에게 양위한 다음, 936년 후백제가 멸망하므로 후백제의 존속 시기는 37년이 되는 셈이다. 후백제는 후삼국기 가장 강력했던 나라이자 가장 넓은 영역을 지배하였으나 역사에서 후백제의 주역인 견훤의 삶과 그의 궁성, 도성 또한 철저히 파괴되고 시간이 흘러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후백제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 방법으로 후백제의 궁성과 도성에 대한 접근은 『완산지』를 이은 1943년 지방읍지 『전주부사』에 와서야 시작되었다. 전주부사에서는 구체적인 견훤의 궁성과 도성의 범위를 밝혀내고 그에 대한 방증자료를 소개하였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독자적인 『후백제사』가 존재했다는 논문이 발표될 정도로 진전을 거두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학술적인 연구가 진전됨에도 불구하고 불행하게도 후백제의 수도였던 전주시에 대규모 공사에 따른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즉 근대 이전의 생활거주지는 대부분 그 이전의 문화층까지 내려가지 않았지만 최근의 변화는 구릉과 같은 지형 자체를 없애는 작업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파괴 및 훼손에 앞서 전주에서의 후백제 도성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야 하며 관련 유적을 보호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이에 먼저 후백제 도성 및 궁성에 대한 선학의 연구를 살펴보고, 최근 후백제 유적을 보호하기 위해 시도된 지표조사와 본격적인 발굴조사를 토대로 밝혀낸 성과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In Later Three Kingdoms period, Gyeon Hwon(甄萱) ruled over a strong Baekje Kingdom with Jeonju as the capital for 37 years. Nevertheless, he was made to face harsh consequences on the losing side of history: for example, he was often included in historic accounts of figures who were not kings, and he himself was perceived and described as an immoral figure. The history of his country, Later Baekje(900-936), was also omitted or distorted, and the country is estimated to have been completely devastated in reality.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starts from the assumption that Jeonju had at least a trace remaining of its former grandeur as the capital of the country for 37 years, and that prior research had also left some leads for such traces. Due to the author’s limitation, this paper does not address the research on historical records, and only attempts to approach the capital of Later Baekje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the city and recent archeological research findings.

      • KCI등재

        후백제 불교조각의 대외교섭

        진정환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5 百濟硏究 Vol.61 No.-

        The Later Baekje Kingdom, founded by Gyeonhwon in 892, had for a brief period the most powerful army among the Three Later Kingdoms, and used its own reign title, Jeonggae (literally meaning “Authoritative Opening”). The kingdom was embroiled in almost permanent war with the other two Korean kingdoms, Silla and Later Goguryeo (later Taebong, and then Goryeo), over the unification of all three, until Goryeo brought about its final collapse in 936. It also maintained active diplomatic relations not only with Goryeo and Silla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with Wuyue and Later Tang in China, and with Japan. This study focuses on the Buddhist sculptures of Later Baekje and its mutual exchanges with Silla, Goryeo, and the Chinese dynasties as part of an effort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and rediscover the valu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Later Baekje. The first part of the paper deals with various aspects of Buddhist ceremonies and rites held in Later Baekje and the Buddha statues produced by Baekje artisans for the purposes of worship. The study then takes up other topics such as the relations between Later Baekje, Silla and Goryeo (and Taebong before it) and their mutual influence on each other’s respective sculptures, as well as the Buddhist statues of the Five Dynasties in China.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892-936) is extremely short compared with other time periods in Korean history, yet the Buddhist sculpture of Later Baekje shows a unique combination of Baekje and Unified Silla styles. The Buddhist sculptural works of Taebong exhibit similar features, although they are more decorative and elaborate, while Goryeo statues tend to be more imposing figures. The stylistic differences in the Buddhist statues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lso reflect the differences in the three kingdoms’ political goals and relations with Silla. The artisans of Later Baekje actively adopted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Unified Silla statues, as evidenced by the Buddha Triad at the Bongnimsa Temple Site in Wanju and the Standing Stone Buddha in Cheolcheon-ri, Naju. These statues suggest that Gyeonhwon admired the cultural heritage of Silla, as shown by the fact that he regarded himself as a provincial administrator of Unified Silla, while proclaiming that he did so in order to restore Baekje. Meanwhile, the Buddhist statues of Later Baekje show few signs of influence of the statues of Taebong or, after the later 1920s, those of Goryeo, with which it had been at war since its foundation. Interestingl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Later Baekje Kingdom (i.e. the area around present-day Naju), which had previously been occupied by Taebong and Goryeo, there are various Buddhist sculptural works made by Taebong and Goryeo artisans, including the Seated Stone Buddha of Yonghwasa Temple in Jangheung (Taebong) and the Rock-cut Seated Buddha of Bungmireugam Hermitage, Daeheungsa Temple, Haenam (Goryeo). Of the Later Baekje sculptures,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discovered at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and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of Buljusa Temple in Gunsan exhibit the influence of sculptures from Wuyue in China, which maintained close diplomatic relations with Later Baekje. Statues with a voluminous face and lean body, characteristic elements of Wuyue statues, are found mostly around Gunsan, which was a major port linking Later Baekje and Wuyue, suggesting that the Buddhist artisans of Later Baekje were under the influence of Wuyue across the Yellow Sea. 892년 甄萱이 건국한 後百濟는 한때 후삼국 중 가장 강대한 군사력을 자랑하였으며,‘正開’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후백제였던 만큼 936년 고려에 의해 멸망하기 전까지 끊임없이 三韓一統을 위한 전쟁을 진행하는 한편, 신라·고려는 물론 中國의 吳越과 後唐 그리고 일본과도 적극적인 외교를 펼쳤다. 본고는 후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복원하는 과정의 일환으로써, 후백제 불교조각이 신라·고려, 그리고 중국 불교조각과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후백제 佛事의 양상은 어떠하였으며, 어떠한 불상이 조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후백제 불교조각과 신라 불교조각과의 관계, 태봉과 고려 불교조각과의 영향 여부와 함께 중국 오대 불교조각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후삼국기가 매우 짧은 기간이었음에도 후백제 불교조각은 통일신라 불상양식을 바탕으로 일부 백제 형식을 차용한 특징을 보인다. 반면, 태봉의 불교조각은 후백제 불상과 마찬가지로 통일신라 불상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섬세함과 장식성이 두드러지며, 고려의 불교조각은 건장함과 당당함이 극대화 되었다. 이처럼 후삼국의 불교조각이 제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 이유는 후백제, 태봉, 고려가 추구하였던 정치적 지향점과 對新羅觀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특히 후백제는 완주 봉림사지 삼존불이나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에서 볼 수 있듯 통일신라 불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는데, 이는 후백제가 백제의 부흥을 표방하였음에도 견훤이 신라의 지방관을 자임하는 한편 신라의 문화를 동경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건국부터 적대적이었던 태봉이나 920년대 후반부터 적대관계였던 고려의 영향은 후백제에서 살펴볼 수 없다. 다만 태봉과 고려의 점령지인 후백제 서남해일대(나주일대)에 태봉과 고려가 직접 조성한 불상이 전하고 있을 뿐인데, 전자의 사례가 장흥 용화사 석불좌상이고 후자의 사례는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불좌상이다. 또한 후백제 불교조각 가운데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입상, 군산 불주사 금동불입상 등에서는 후백제와 빈번한 교류를 하였던 중국 오월 불교조각의 영향도 살펴볼 수 있다. 이들 불상은 오월 불상에서 볼 수 있는 풍부한 양감의 얼굴과 평판적이고 홀쭉한 신체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들 불상은 지역적으로는 후백제와 오월의 중요한 무역항이었던 군산지역 인근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정치뿐만 아니라 불교조각에 있어서도 후백제와 오월과의 교류가 빈번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後百濟 佛敎美術의 特徵과 性格

        진정환 동악미술사학회 2010 東岳美術史學 Vol.0 No.11

        지금까지의 後百濟佛敎美術에 대한 논의는 王宮里五層石塔出土品, 後三國期地方化된 佛像, 百濟系 石塔에만 머물렀다. 이러한 논의의 대부분은 후백제 불교미술품의 土俗的性格을 부각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고찰은 후백제 불교미술을 대표할 만한 왕실 발원의 불사가 어떠한 것들이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왕실 발원 불교미술품의 분석을 통하여 종국에는 후백제 불교미술의 성격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그러한 후백제 불교미술의 성격 형성에 어떤 배경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후백제 甄萱정권은 金山寺와 彌勒寺를 근거로 한 彌勒信仰과 결탁하였으며, 王權强化를 위해 華嚴 宗, 그리고 禪宗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 만큼 왕실 주도의 많은 불사가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의 예로 미루어 볼 때, 정권에서 주도적으로 불교미술품을 조성한 예는 첫째, 왕경 내 佛敎儀式을 위한 사찰의 佛事, 둘째, 왕경 인근의 주요 방어 및 교통 거점의 裨補寺刹을 위한 불사, 셋째 정치적 목적을 위한 불사가 있을 수 있다. 후백제에서 불교의식은 금산사나 미륵사 같은 기존 사찰을 이용하였고, 방어와 교통로의 비보를 위해서 南固寺와 鳳林寺같은 사찰을 창건하였던 것으로 여겨지며, 정치적 목적을 위해 백제의 옛 宮城址에 王宮里五層石塔을 보수하기도 하였다. 후백제 왕실 발원 불교미술품 가운데 石塔은 華嚴寺東五層石塔, 鳳林寺址五層石塔등이 있는데, 대 체로 통일신라 석탑을 바탕으로 일부 형식에서 백제 석탑의 요소가 보인다. 石燈은 鳳林寺址石燈이 있 는데, 형태에서는 통일신라 석등과 고려 석등의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기는 하지만, 火舍石에 조각된 四 天王像의 형식과 양식은 雲門寺四天王像과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佛像은 王宮里五層石塔出土金銅佛 立像, 鳳林寺址三尊佛이 있는데, 두 상은 모두 통일신라 9세기 후반의 불상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특히 봉림사지 삼존불은 불상 조성 유파를 추정할 수 있는 특정 형식이 安東, 聞慶, 八公山地域과 연관된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후백제 불교미술의 특징은 두 가지로 집약된다고 하겠다. 첫째, 통일신라시대 이 지역에 광범위 하게 유입되었던 통일신라 양식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이와 아울러 경북 북부지역 특히 문경지역의 불교 미술의 특정 형식이 후백제 불교미술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백제적 요소는 일부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통일신라시대 백제의 불교미술 양식이 잠재되었다가 표출되었다기보다는 후백제 견훤에 의해 촉발된 백제 계승 의지를 표출하기 위해 특정 형식만 차용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특징의 이면에는 후백제 견훤 정권의 출신 배경과 대신라관에 기인한 견훤의 내재된 신라에 대한 향수와 신라 문화에 대한 동경, 그리고 백제 계승을 표방한 정치적 입장이 相應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So far, discussions about the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have focused on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Wanggung-ri, localized Buddha images dating back to the Late Three Kingdoms Period, and Baekje stone pagodas. Such discussions have mostly shed light on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Perio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Buddhist temples sponsored by the royal family, which include representative works ofthe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Period, and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Period and the background to the formation of those characteristics. The Gyeon Hwon government of the Late Baekje Dynasty based its philosophy on the Maitreya Buddhist faith and adopted Geumsansa Temple and Mireuksa Temple as its spiritual guiding lights. It also maintained close relations with the Hwaeom (Huayan) and Seon (Zen) Orders of Buddism to reinforce its regime. Thus, it is presumed that many temples were directly controlled by the royal family. Based on examples dating back to the Goryeo Period, the instances of the government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production of works of buddhist art include a Buddhist-style rite in the capital; a rite for temples (located in major defense and traffic strongholds near the capital) supposed to support the country; a rite for particular political purposes. During the Late Baekje Dynasty, rites were mostly held at temples, such as Geumsansa Temple or Mireuksa Temple. It is thought that Namgosa Temple and Bongnimsa Temple were built to offer prayers for the national defense and the protection of roads.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Wanggung-ri was restored on the site of the royal palace of the preceding Baekje Period for a political purpose. Examples of buddhist art from Buddhist temples controlled by the royal family of the Late Baekje Dynasty include the East Five-story Stone Pagoda of Hwaeomsa Temple and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the Bongnimsa Temple site. Generally speaking, they appear to be based on the style of Unified Silla pagodas, with some form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stone pagodas dating back to the Baekje Period. Concerning stone lantern structures, the Stone Lantern at the Bongnimsa Temple sit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Unified Silla to Goryeo in appearance, but the style and form of the sacheonwang (four heavenly kings) images sculpted ther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sacheonwang statues in Unmunsa Temple. Both Buddha statues, such as the Standing Bronze Buddha excavated from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and the Buddha Triad at Bongnimsa Temple, follow the style of Buddha statues made in the late 9th century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Buddha Triad at Bongnimsa Temple Site shows its association with Andong, Mungyeong and the area near Palgongsan Mountain concerning the background of its formation. The characteristics displayed in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Dynasty can be divided into mainly two principles: first, it was based on the styl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was widespread in the area. It also appears that the specific styles of the buddhist art developed in Mungyeong in Gyeongsangbuk-do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on that of the Late Baekje Dynasty second, elements associated with the Baekje period were found in only a few pieces, because Gyeon Hwon of the Late Baekje Dynasty used specific styles to express his commitment to the continuation of Baekje styles rather than to the reappearance of the styles of the Baekje area of the Unified Silla Period. It can be said that the foregoing shows the background of the Gyeon Hwon government of the Late Baekje Dynasty, the king’s longing for the culture of Silla and his political position inheriting Baekje.

      • KCI등재

        후백제의 역사적 성격

        신호철(Shin Ho-cheol)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4

        견훤은 신라 말의 혼란 속에서 단순히 반란을 일으키는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사회건설을 목표로 내세웠다. 그는 민심의 수습과 호족세력의 통합에 성공하여 후백제를 건국하였고, 한 걸음 더 나아가 후삼국통일과 고구려의 옛 영토 수복을 꿈꾸었다. 견훤의 후백제 건국은 궁예의 후고구려 건국의 모델이 되었다. 견훤의 후삼국통일과 고구려 구토 회복의 꿈은 왕건의 고구려 계승과 西京중시 등 북방정책에 영향을 주었다.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은 그에 맞는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수립하였다. 그 하나가 백제계승의식이고, 다른 하나는 미륵신앙을 통한 이상 사회의 실현이었다. 이 둘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현실사회에 불만을 가지고 있던 민심을 끌어들이는 정치이념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당시 호남지역 주민의 정서에 맞는 새로운 정치이념이었다. 견훤은 외교에도 민첩하였다. 대외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상황에 따라 명분과 실리를 추구하는 등 적극적인 대외관계를 실현하였다. 그리하여 새로운 국제질서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등 그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후백제는 여러 가지 한계도 있었다. 견훤은 우선 구체제를 극복하는데 실패하였다. 그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견훤의 역사인식의 이중성에 있었다. 자신이 백제계승자로서 백제부흥과 삼한 통합을 내세우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신라 왕실에 대한 ‘尊王의 義’를 강조하였다. 견훤은 자신의 출생설화를 통해 백제 계승자임을 정당화하면서도, 반면에 자신의 先代를 신라 왕실과 연결시키고자 했다. 즉 자신의 계보를 진흥왕의 5대 손으로 신라왕족의 직계 후손에 연결시킨 것은 백제계승자임을 표방했던 정치이념과는 이율배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견훤의 역사인식의 이중성은 신라와의 대외관계에서도 나타난다. 즉 견훤은 한편으로는 후백제왕을 칭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신라의 군신임을 자임하고 있었다. 견훤은 미륵신앙을 통해 민심을 수습하고 호족세력과 결합하는데 어느 정도 성공하였지만, 호족세력들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데는 실패하였다. 그는 자신의 초기 세력기반인 광주 호족과 천도 후 등장한 전주 호족 간의 대립을 막지 못하였다. 특히 나주를 비롯한 서남해 일대의 해상세력이 견훤에게 등을 돌린 것은 후백제 성장의 결정적 약점이었다. 후백제의 한계는 對중국?일본외교에서도 나타난다. 후백제는 吳越과 後唐과의 외교에 앞장서서 후삼국 중 우월적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지만, 그들로부터 받은 직함에는 ‘百濟王’과 함께 ‘신라서면도통’이라는 명칭이 함께 나온다. 일본과의 외교에서도 비슷하였다. 일본 측 기록에 의하면, 후백제 사신을 ‘新羅人’이라고 하였고, 견훤을 가리켜 ‘新羅 陪臣’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일본에서는 후백제를 독립된 국가로 인식하지 않았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후백제의 관부나 관직 등의 내용에서도 그 성격 및 한계를 찾을 수 있다. 즉 후백제는 백제의 정치제도를 계승하지 않고 오히려 신라의 그것을 그대로 차용하였다. 후고구려가 독자적인 행정체계를 갖고 있었던 것과 비교하면 후백제의 성격을 더욱 분명하게 알 수 있다. Gyeonhweon did not stop at simply revolting in the midst of a chaos at the end of Silla Dynasty, but came up with a goal of constructing new society. Successfully settling the public and combining the powerful clans, he found Hubaekje (Later Baekje), and furthermore dreamed of the unification of Later Three Kingdoms and recovery of old territory of Goguryeo. Gyeonhweon’s foundation of Hubaekje became the model of the foundation of Hugoguryeo (Later Goguryeo) by Gung Ye. Gyeonhweon’s unification of Later Three Kingdoms and recovery of Goguryeo territory influenced the Nothern Policy, such as Wang Geon’s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emphasis on Seogyeong. Gyeonhweon, who established Hubaekje, established a new ideology accordingly. One of them was the consciousness of Baekje succession, and the other was realization of ideal society through Maitreya faith. These two had the indivisible relationship, and acted as the political belief to draw discontent public. It was a new political concept that suited especially the residents of Honam area at the time. Gyeonhweon was quick in diplomacy also. He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realized active international relationships such as seeking justification and benefit based on the situation. Therefore, he played a leading role by rapidly responding to the new international order. However, Hubaekje had many limitations also. First, Gyeonhweon failed in overcoming the old system.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lied within the dualism on Gyeonhweon’s historical recognition. While he claimed Baekje’s revival and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s a successor of Baekje, on the other hand, he emphasized the ‘rightness of honoring the King’ towards the Royal Family of Silla. Gyeonhweon justified his position as Baekje successor through his birth story, but on the other hand, tried to connect his ancestors to the Royal Family of Silla. In other words, connecting his pedigree directly to 5th generation descent of Silla Royal Family is contradictory to his political ideology that claimed he was the successor of Baekje. The dualism of Gyeonhweon’s historical recognition shows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Silla. That is, while he called himself the King of Hubaekje, he was posing as the ruler and the ruled of Silla. Gyeonhweon was somewhat successful in settling the public and uniting with the powerful clans, but failed in resolving the conflicts among the clams. He could not prevent conflict between his initial power base, Gwangju Clan, and Jeonju Clan, which appeared after moving the capital. Especially, the southwestern seashore clans, including Naju, turning their backs on Gyeonhweon were a crucial disadvantage in the growth of Hubaekje. Limitations of Hubaekje also appear in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and Japan. Hubaekje held a prominent position among the Later Three Kingdoms by leading the diplomacy withWuyue and Later Tang, but the title received from them includes ‘King of Baekje’ along with ‘Southern Silla Military Governor’. It was similar in the diplomacy with Japan. According to Japan’s record, Hubaekje ambassador was called ‘person of Silla’, and Gyeonhweon was described as ‘retainer of feudal lord of Silla’. This proves that Japan at the time did not recognize Hubaekje as an independent country. Information on Hubaekje’s government or office positions shows its nature and limitations. Rather than inheriting Baekje’s political system, Hubaekje borrowed that of Silla. Comparing with Hugoguryeo’s independent administration more clearly shows Hubaekje’s characteristics.

      • KCI등재

        後百濟의 對중국 교류 연구

        허인욱(Heo, Inuk)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2

        後百濟와 吳越의 관계는 늦어도 8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후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양국의 교류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명확하지는 않다. 다만 崔藝熙가 파견된 896년부터는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후백제가 일찍부터 오월과 외교관계를 맺은 것은 대외적으로 인정을 받는 것과 함께 문화의 교류라는 목적 때문이었다. 당시까지 신라를 종주국으로 인정하고 있던 견훤의 입장에서는 당이 외교상대로 후백제를 선택할 확률은 그리 높지 않다고 판단하고 서로 비슷한 처지에 있는 오월을 외교상대로 삼아 문화교류 및 국제적 위상의 확보라는 실리를 얻고자 했던 것이다. 물론 後高句麗(泰封)와 그 뒤를 이은 高麗의 성립 이후에는 이들에 대한 견제라는 현실적인 목적도 존재했다. 900년 이후의 양국 교류는 905년 6월에 逈微가 武州會津으로 귀국한 사례, 906년에 玄暉가 후백제 내의 포구를 이용해 渡唐한 사례, 908년 7월에 무주 회진으로 돌아온 慶猷의 사례, 909년에 무주 昇平으로 귀국한 麗嚴의 사례, 911년에 羅州의 회진으로 귀국한 利嚴의 사례 등을 통해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오월은 후백제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이러한 모습은 927년에 있었던 후백제와 고려의 質子 사망에 대한 오월의 후백제 지지를 통해서 확인이 된다. 925년에 가면 후백제는 당시 새롭게 건국된 後唐과의 통교를 통해 외교관계의 외연을 넓히려는 시도를 하였다. 당시 후백제가 후당에 사신을 파견할 수 있었던 데는 한반도에서 주도권을 잡은 자신감이 반영된 것이었다. 후백제는 고려 견제를 위해 927년에는 거란과의 교류를 시도하기도 했다. 오월과의 단선적인 외교에서 벗어나 후당과 거란으로 외교의 다변화를 추구했는데, 이는 다각 외교를 통해 국제관계에서 안정을 추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노력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거란과의 교류는 후당과의 관계에서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후백제와 거란의 연합은 후당의 안보에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이는 것이었기 때문에 후당은 이에 반발할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고려에 힘을 실어주면서 후백제와는 거리를 두게 되었던 것이다. 이후 후백제의 대외관계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933년에 있었던 神劍의 왕위 찬탈이었다. 그동안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던 견훤의 실각으로 인해 오월과는 틈이 생겼기 때문이다. 정권 안정이 중요한 신검은 후당의 淸泰 연호를 사용하며 외교 노선의 변화를 꾀하였다. 하지만 얼마 되지 않아 후백제가 멸망하면서 후당과의 관계 개선 시도는 그리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The Later Baekje Kingdom’s exchanges with China were investigated centered on its relations with the Wuyue Kingdom in the Zhejiang region and the Later Tang Dynasty of the Five Dynasties. The diplomatic ties between the Later Baekje Kingdom and the Wuyue Kingdom began as late as in the mid 890s and lasted until the fall of the Kingdom. Their ties had the practical purpose of keeping Goryeo in check. Such purpose was confirmed by the Wuyue Kingdom’s support for the Later Baekje Kingdom’s killing of a Goryeo hostage. The Later Baekje Kingdom tried to expand its global reach by establishing diplomatic ties with the Later Tang Dynasty in 925, which had been newly founded, and with the Khitans in 927 with an eye on keeping Gorye in check. However, its relationship with the Khitans had negative impact on its relationship with the Later Tang Dynasty. Because for the Later Tang Dynasty, the alliance between the Later Baekje Kingdom and the Khitans could pose a threat to them so they understandably expressed opposition to the Later Baekje Kingdom’s relationship with the Khitans and started keeping a distance from the Kingdom by supporting Goryeo. Since then, what changed the Later Baekje Kingdom’s foreign relations was the usurpation of the throne by Gyeon Singeom in 933. Because a crack in the Later Baekje Kingdom’s relationship with the Wuyue Kingdom appeared when Gyeon Hwon who had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 with the Wuyue Kingdom fell from the power. Singeom tried to bring about a change to the Later Baekje Kingdom’s diplomatic platform by using the Qingtai era of the Later Tang Dynasty. However, the change did not have big effect on improving the relations with the Later Tang Dynasty as the Later Baekje Kingdom was ultimately destroyed.

      • KCI등재

        후백제역사문화권 정립과 추진 방향

        진정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2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which was enacted in 2020 and revised in 2021,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law is applicabl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The main discussion of the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revising the Special Act and on determining whether the detailed plan of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corresponds to the standards provided by the act. The discussion will be followed by the presentation of various directions and measure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Later Baekje existed for just 45 years, during which time it assumed a definite attitude as the successor to Baekje while struggling to remain a unified country with a well-defined identity. In its early phase, Later Baekje showe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a military regime formed by a coalition of powerful local warlords, but it gradually developed into a kingdom ruled by a powerful monarch and a centralized government, thus exhibiting the general trend of development shown by its predecessor, Baekje. The territory of Later Baekje vari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but in its heyday the kingdom encompassed present-day Jeolla-do, a part of Chungcheong-do,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and the western part of Gyeongsangnam-do. The archaeological sites scattered across the area once occupied by Later Baekje have produced a variety of artifacts and archaeological features dating back to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including Buddhist statues and stone pagodas from Baekje that display the cultural influence of Later Baekje, which persisted around the area even after the kingdom’s fall. These archaeological remains, together with the social and philosophical heritage of Later Baekje, which aspired to overcome the existing order of the transitional period and establish a new order, are regarded as clear evidence that Later Baekje deserves far more attention from historians regarding its significance in Korean history.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corresponds to the standards set by the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value make it a perfect candidate for designation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to be promoted and preserved by the Korean government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Despite that, special legal status cannot be accorded to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on the principle of appropriateness or reasonableness alone. Rather, it is the activities of the consultative bodies operated by the local administrations of the provinces, cities and counties located in the territory of Later Baekje that are most important. Therefore, local governments and their consultative bodies should focus their activities on raising public awareness about the history and culture of Later Baekje and shedding new light on its heritage. One priority among these activities should be to designate Jeonju as a Ancient City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Ancient Cities. The efforts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combined with those of organizations from the academic milieu and civil society that are devoted to discovering and propagat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Later Baekje across society. 이 논문은 2020년 제정되고 2021년 개정된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에 후백제역사문화권이 포함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역사문화권정비법의 제·개정 과정을 살펴보고, 후백제역사문화권이 법이 정하는 역사문화권에 부합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여기에 덧붙여, 후백제역사문화권 정립을 위한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후백제는 비교적 짧은 45년 동안 존속하였지만, 백제 계승을 기치로 건국하였고 종국에는 통일국가를 지향하였다. 이처럼 후백제는 뚜렷한 정체성을 갖춘 국가였다. 이뿐만 아니라, 초기에는 호족 연합 정권의 특징을 보였지만 절대왕권 구축과 중앙집권 국가를 지향하는 등 고대국가의 일반적인 발전 양상을 보인다. 고대에 속하며,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발전시킨 후백제의 영역은 시기에 따라 달라졌지만, 현재의 전라도와 충청 일부, 경북 북부지역과 경남 서부지역을 포괄하였다. 이러한 곳에서는 후삼국시기 즉 후백제의 유적과 유물이 확인된다. 후백제 문화의 영향은 후백제 멸망 후에도 이어져 후백제지역에 소위 백제계 불상과 석탑이 만들어졌다. 한편, 후백제는 사회편성의 원리나 종교·사상의 측면에서 변혁기 기존 질서를 극복하고 새로운 질서를 세우고자 한 나라였던 만큼 한국사에서도 조명할 가치가 충분한 국가다. 이러한 후백제역사문화권은 역사문화권정비법이 정하는 기준에 합당할 뿐만 아니라 그 의미와 가치가 크므로, 역사문화권정비법에 하나의 역사문화권으로 지정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후백제역사문화권의 법제화는 당위성이나 합리성만으로 이룰 수 없다. 그래서 후백제 영역에 속했던 시·군이 참여하는 후백제문화권 지방정부협의회의 활동이 중요하다. 협의회 차원에서, 시·군마다 후백제 역사와 문화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후백제를 조명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필요하다. 그 가운데서도 후백제가 하나의 독자적인 국가였다는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서 선도적으로 전주를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서 규정하는 고도로 지정하는 것을 추진해볼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지방정부 차원에서만 이루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바로 후백제 역사문화의 실체를 밝히기 위한 학계의 노력, 가치와 의미를 지역사회에 확산시키기 위한 시민사회단체의 노력 역시 필요하다.

      • KCI등재

        후백제 도성 동고산성의 보존과 활용

        정재용(Chung, Jae-yun)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4

        본고에서는 후백제 도성인 동고산성의 중요성을 밝히며, 보존과 활용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후백제 도성 유적의 복원과 후백제의 역사문화에 대한 가치를 提高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동고산성은 후백제 도읍의 방어성 및 피난성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현재 동고산성은 방치되어 보존 상태가 좋지 못하며, 시민들 또한 이 유적의 중요성을 알지 못한다. 그러나 전주는 백제부흥운동기부터 삼남의 요충지로 부상하였다. 통일신라 때 완산주라는 명칭을 붙이면서 정치?경제?지리?군사적 중요성이 더해졌고, 이것이 바탕이 되어 후백제가 도읍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동고산성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종합정비계획을 세워 탐방로와 시설을 정비하고, 후백제 도성 유적이 갖는 가치를 시민들과 함께 공유해야 한다. 이웃한 익산의 고도육성사업과도 연계하여 백제-후백제를 잇는 벨트라인을 형성한다면 상대적으로 낙후된 백제권 개발에 탄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전주의 다른 문화산업과도 연계하여 문화적 다양성과 깊이, 그리고 공간적 확대라는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겠다. 아울러 스토리텔링을 통해 동고산성이 후백제의 정기를 이어받아 전주 시민들을 지켜주는 영험한 산이라는 믿음을 널리 확산시킬 때 관심이 증대되어 후백제 도성 유적복원의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조선시대에 국한된 전주의 이미지를 후백제 도성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천년 전주’의 위상을 확립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llustrate the reason why the preservation of Dongosanseong, a castle of Hubaekje, is necessary and propose a solution of active utilizat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local community. As a castle of Hubaekje, Dongosanseong took the role of defense and refuge for the capital. However, the current preservation condition of Dongosanseong is not good and left in a state of neglect without citizen"s acknowledgement of the importance of this historic site. The reason why Jeonju was calledWansanju is that this area was related with the Shilla"s westward policy that revealed the political, economical, geographical and military importance of this area. As Jeonju emerged as a strategic point of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since Baekje revival movement period, Hubaekje chose Jeonju as its capital. In order to preserve and utilize Dongosanseong, a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plan should be established for maintaining its historic trail and facilities so that the value of Hubaekje"s castle site can be shared with citizen. It should establish a belt line that connects Baekje and Hubaekje in connection with the Old-city Development Project of neighbouring Iksan. It should also expand its cultural diversity and depth as well as its space. In addition, the public attention to Hubaekje could be obtained through storytelling. It is also expected to make a large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Millennial Jeonju" by expanding the strong image of Joseon Dynasty, that Jeonju has, to Hubaekje castle.

      • KCI등재

        완주 봉림사지 기와의 변천과 후백제

        차인국 호남고고학회 2020 湖南考古學報 Vol.64 No.-

        후백제는 통일신라시대 후기부터 최소 37년 이상 존속한 나라이지만, 그에 대한 고고학적 성격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후백제의 여러 물질자료중 평기와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후백제의 왕실사찰로 비정되는 완주 봉림사지 출토기와를 분석하여 변천양상을 파악하고, 후백제의 기와를 특정하였다. 그 결과 봉림사지의 기와는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1기는 후백제가 등장하기 이전인 7세기 후반~9세기 중반에 해당한다. 기와의 특징으로는 단판과 중판 타날판, 내면하단부 깎기조정을 들 수 있다. 2기는 9세기 중반에서 10세기 초반이며, 후백제의 존속시기와 일정부분 일치한다. 이 시기의 기와는 ‘장판타날판+내면하단부 無조정’, ‘장판타날판+내·외측 와도질’이 표지적이며, 그 밖에 내면하단부 깎기조정과 와도질 방향의 양쪽 외측, 혹은 양쪽 내측도 가능하다. 3기는 후백제멸망 이후인 10세기 중반~12세기 후반으로 기와는 ‘토수기와+내면하단부 물손질조정’이 특징적이다. 4기는 경복궁에서 출토된 기와의 문양과 비교하여 조선시대 전기로 추정하였는데, 미구기와가 토수기와를 대체하며, 내면하단부에는 물손질조정이 계속된다. 이중 후백제 기와는 유물의 시·공간적 배경을 토대로 2기에 해당하는 모든 기와를 상정하였는데, 일부 문양은 후백제의 또 다른 유적으로 알려진 전주 동고산성과 광양 마로산성 출토품과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1기의 기와는 후백제가 등장하기 이전에 제작된 것이나, 전주 동고산성의 기와양상과 비교하여 후백제에 의해 (재)사용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후백제 불교미술품과 고고자료의 검토

        진정환 호남고고학회 2019 湖南考古學報 Vol.61 No.-

        이 논문은 9세기 말부터 10세기 전반까지 거의 50여 년 유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위 ‘나말여초’라는 애매모호한 시기로 지칭되어 왔던 후백제기 문화 양상을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렇게 후백제 고유의 문화적 특성을밝히기 위해, 그동안 필자가 꾸준히 제기해왔던 후백제로 비정할 수 있는 불교미술품과 더불어 후백제의 것임을 뒷받침할 만한 고고자료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그 공통요소를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후백제 불교미술품을 금동불, 석불, 석탑, 석등, 승탑 등으로 나누어 어떤 것들이 있고, 발원 계층에 따라 각각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왕실 발원 불교미술품은 왕궁리 오층석탑과 금동불, 봉림사지 불교미술품,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 등이고, 호족 발원의 것은 남원 신계리 석불좌상, 보성 유신리 마애불좌상 등이 있다. 아울러 民 주도 향도결사가 발원한 불교미술품은 남원 호기리 마애불이 있다. 후백제 불교미술품은 9세기 후반 통일신라 불교미술 양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특별히 경북 북부지역 장인들의 수용 등 직접적인 방법으로 경북 북부지역의 불교미술품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일부분이기는 하지만 백제를 계승한 국가라는 정체성을 드러내거나 발원 계층에 따른 다양한 조형의지를표출하려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이 더해져 분명히 동시대 신라는 물론이고 태봉과 고려와도 다른‘후백제 불교미술’이라고 하는 독자적인 ‘양식’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 새롭게 해석되고 발굴된 왕궁리유적과 봉림사지의 고고자료는 미술사적 분석과 정황만으로후백제의 불교미술품으로 비정했던, 왕궁리 오층석탑과 봉림사지 석조미술품들의 조성시기를 규명하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후백제 유적 출토 명문와와 와당에도 불교미술품에 투영된 후백제의 조형의지가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소위 나말여초 유적 출토 청자는, 향후 도통리 청자 가마가 후백제의 것으로 판명된다면, 도통리 청자 가마 출토품과의 비교를 통해 유적의 조성시기를 비정할 수 있는 표준자료가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後百濟와 高麗의 吳越國 交流 硏究와 爭點

        이도학(Lee, Do-hac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2 No.-

        후삼국시대 한반도 정치세력의 오월국과의 교류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후백제 일변도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면 후백제가 오월국과의 교류에서 機先을 잡을 수 있었던 요인을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한반도 서남부 지역을 근거지로 한 후백제와 중국 동부 연안을 끼고 있는 오월국과의 지리적 관계에서 찾았다. 그러나 이보다는 진훤이 신라군 비장으로 승평항인 순천만과 광양만에 屯營했던데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오월국 건국 이전 진훤과 전류와의 교류를 일괄 소급시켜 국가적 교류로 기록한 사실을 구명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후삼국시대에 오월국과 교류했던 항로는 사단항로로 밝혀졌다. 이때 이용되었던 항구 가운데 강주 덕안포의 경우는 전통적인 항구인 섬진강 하구의 하동 다사진으로 추정되는 성과가 따랐다. 그리고 진주 촉석루 근처에서 출토된 오월국의 "보정" 명 연호가 양각된 기와를 통해 양국 관계의 유착이 다시금 포착되었다. 935년 왕위계승과 관련한 신검 정변으로 인해 반신검계 내지 친금강계 호족들이 오월국으로 피신한 사실을 새롭게 밝힐 수 있었다. 후백제는 오월국을 통해 선진 문물을 습득하였다는 사실도 새롭게 확인된 성과이다. 가령 후백제는 오월국을 통해 청자 제작 기술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이는 우리 나라 청자 역사의 효시라는 점에서 의미가 지대하다. 불교 사상과 관련해서는 후백제와 고려 모두 오월국의 天台敎法을 전수받았다. 이와 관련해 천안 지역 절터에서 확인된 보협인석탑에 대해 건립이나 중국에서 반입해서 건립했을 가능성을 모두 타진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 본 후백제와 고려의 오월국과의 교류는 정치 뿐 아니라 불교사상을 비롯한 문화 전반과 경제 분야까지도 활발하게 이어졌음이 확인된다. 앞으로의 과제는 오월국이 후백제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 이유를 구명하는 작업이다. Interchanges study between Kingdom of Wúyuè and political power group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has been absolutely for Later Baekje until now. So, researchers could find the reason why Later Baekje had been able to get the start of interchanges with Wúyuè. Until now, the reason was their geographic relationship.Later Baekje established a base in southwest area of the peninsula and Wúyuè was located in the east coast of China. But I could find a clue in that Jinhwon (甄萱) had stationed in Seungpyeonghang Port(昇平港), now in Suncheonman Bay and Gwangyang Bay, as an advisor of Silla troops. It was revealed that exchanges between Jinhwon and Qian Liu before building Kingdom of Wúyuè had recorded retroactively as national interchanges. In the view of study so far achieved, the seaway for interchanges with Wúyuè turned out to be a crossing seaway. Among the ports used, Gangju Deokanpo was presumed to be Hadong Dasajin of the mouth of Seomjin River, which is a traditional port. And a roof tile embassed with ‘寶正’, era name of Wúyuè, was found near Chok-seok Pavilion in Jin-ju. It shows a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wo nations. A new fact that the powerful family related to Prince Geumgang or against Shingum due to his political upheaval for succession to the throne in 935 has come to light. It was newly discovered that Later Baekje had adopted advanced civilization through Wúyuè. Later Baekje absorbed production techniques such as celadon.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origin of Korean celadon history. Both Later Baekje and Goryeo inherited Tiantai Teachings(天台敎法) from Wúyuè. According to it, I could sound out the two possibilities of Stone Dhatu-Karanda Stupa, discovered in the temple site in Cheonan, being constructed or carried from China and later constructed in the country. A review of Later Baekje and Goryeo’s past interchanges with Wúyuè reveals that there were vigorous exchanges of Buddhism, culture, and economics not limiting to politics. The task is to study the reason why Wúyuè had maintained close relations with Later Baekj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